KR100929974B1 -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974B1
KR100929974B1 KR1020070125457A KR20070125457A KR100929974B1 KR 100929974 B1 KR100929974 B1 KR 100929974B1 KR 1020070125457 A KR1020070125457 A KR 1020070125457A KR 20070125457 A KR20070125457 A KR 20070125457A KR 100929974 B1 KR100929974 B1 KR 10092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rushed
shredded
unit
w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8727A (en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안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890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299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준 filed Critical 안성준
Priority to KR102007012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974B1/en
Publication of KR2009005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00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 D01G1/02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 D01G1/04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by cut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7/00Breaking or opening fibre bales
    • D01G7/06Details of apparatus or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솜 제조장치 및 화장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솜 제조장치는, 화장솜의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를 공급하는 외피 공급부;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솜원단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을 공급하는 파쇄솜 공급부;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파쇄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쇄솜을 감싸 지지하는 솜외피 합착부; 내부로 상기 파쇄솜이 감싸 지지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일체로 프레싱하는 프레싱부; 및 프레싱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화장솜으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로스(loss) 발생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화장솜을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솜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의 흡수가 높아 화장솜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화장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쉽게 소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tton manufacturing method. The cotton wool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n outer skin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uter skin forming an outer skin of a cotton wool; A crushed cotton feeding part for supplying crushed cotton crushed from cotton fabric to one side of the outer shell; Cotton envelope bonding portion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shredded cotton so that the shredded cotton wrapped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sheath; A pressing unit for integrally pressing the shroud and the shredded cotton which are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shredded cotton inside; And a cutting part which cuts the pressed outer skin and the shredded cotton in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plurality of cotton balls. In this way, the entire process can be automated, so that the cotton can be efficiently produced while reducing the loss, and in particular, since the cotton fabric is not used as it is, the absorption of the cosmetics is high, and thus the product can function as a cotton. It is sufficient to, and furthermore, the durability of the cotton can be improved can be easily prevented burning or tearing.

화장, 화장솜, 제조, 장치, 방법, 엠보싱 Cremation, Cotton Wool, Manufacturing

Description

화장솜 제조장치 및 화장솜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manufacturing cosmetic-tissue}Apparatus and method manufacturing cosmetic-tissue

본 발명은, 화장솜 제조장치 및 화장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로스(loss) 발생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화장솜을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솜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의 흡수가 높아 화장솜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화장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쉽게 소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화장솜 제조장치 및 화장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tton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tton pad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entire process to efficiently produce the cotton while reducing the loss (loss), in particular do not use the cotton fabric as it is Therefore, the absorption of cosmetics is high enough to exert the function as a cotton, and furthermore, the durability of the cotton can be impro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tton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burned or torn. .

화장솜은 클린징 크림, 로션, 콜드크림 등의 화장품을 바르거나 닦아낼 때 화장품의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의 모공 속에 남아있는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함으로써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윤기 있는 피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The cotton pad is used to keep the skin clean and shiny by preventing the unnecessary loss of cosmetics when applying or wiping cosmetics such as cleansing creams, lotions, and cold creams. do.

이 뿐 아니라 화장솜은 매니큐어나 립스틱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일회성 제품이다.In addition, cotton is a one-time product used to remove nail polish or lipstick.

이러한 화장솜은 보통 여성들이 화장 시 혹은 화장을 제거할 때 사용되고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화장을 필요로 하는 직업의 남성들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 정이다.These cotton balls are usually used by women when removing or removing makeup, but are also widely used by men in occupations that require makeup in the recent years.

통상의 화장솜은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화장품이 잘 흡수되도록 거의 100% 순면이 사용된다.Conventional cosmetic cotton is used almost 100% pure cotton to prevent skin damage and good absorption of cosmetics.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그 표면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미량의 폴리아크릴 수지를 첨가한 연속적인 솜원단을 다수의 압접롤러에 통과시켜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접합한 후, 접합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다시 적당한 길이로 횡방향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To briefly examine the manufacturing method, in order to settle the surface, a continuous cotton fabric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polyacrylic resin was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pressure welding rollers and join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the joints wer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Next, it is produced by lateral cutting to a suitable length again.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화장솜을 제조하는 경우, 전 공정이 자동화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인라인화(in-line)가 구축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제조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택트 타임(tact time) 증가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화장솜 제조장치의 경우, 그 공정 상 제조 완료된 화장솜의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cotton in such a conventional method, not only the entire process is not automated or in-line (in-line) is built up, but also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is lowered and the tact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tton wool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unction of the finished cotton prepared in the process is poor.

즉, 종래의 화장솜 제조장치와 같이 단순히 솜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여 화장솜을 제조할 경우, 이러한 화장솜으로 화장품을 피부에 묻혀 바르거나 혹은 화장품을 제거할 때 화장품의 흡수가 높지 않아 화장솜으로서의 제 기능을 담당하기에 충분치 못한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otton using a cotton fabric as it is, just like a conventional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when absorbing cosmetics on the skin with such a cotton or remove cosmetics, the absorption of cosmetics is not high, There is a drawback that is not sufficient to function properly.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화장솜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화장솜을 피부에 몇 차례 문지르게 되면 화장솜으로부터 면섬유가 쉽게 이탈되면서 피부에 달라붙어 피부를 오염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cotton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cotton pad manufacturing apparatus rubs the skin several times, cotton fibers are easily detached from the cotton and stick to the skin to contaminate the skin.

따라서 이러한 통상의 화장솜의 경우, 사실상 한번 화장 시 혹은 한번 화장 제거 시에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화장솜을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otton wool, it causes a problem in that an unnecessarily large amount of cotton wool must be used at the time of makeup or once removing makeup.

본 발명의 목적은,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로스(loss) 발생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화장솜을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솜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의 흡수가 높아 화장솜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화장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쉽게 소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화장솜 제조장치 및 화장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e the whole process and to efficiently produce a cotton while reducing the loss (loss), in particular, because the cotton fabric is not used as it is, the absorption of cosmetics is high, the function as a cotton It is sufficient to exert, and further to provide a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tton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burned or torn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tton.

상기 목적은, 화장솜의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를 공급하는 외피 공급부;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솜원단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을 공급하는 파쇄솜 공급부;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파쇄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쇄솜을 감싸 지지하는 솜외피 합착부; 내부로 상기 파쇄솜이 감싸 지지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일체로 프레싱하는 프레싱부; 및 프레싱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화장솜으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솜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n outer shell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uter shell forming the outer shell of the cotton; A crushed cotton feeding part for supplying crushed cotton crushed from cotton fabric to one side of the outer shell; Cotton envelope bonding portion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shredded cotton so that the shredded cotton wrapped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sheath; A pressing unit for integrally pressing the shroud and the shredded cotton which are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shredded cotton inside; And a cutting part for cutting the pressed outer sheath and the shredded cotton in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plurality of cotton wool.

여기서, 상기 프레싱부와 상기 커팅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외피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 가공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mbossing process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utting portion, and further embossing a region of the outer shell.

상기 엠보싱 가공처리부와 상기 커팅부 사이에 마련되어 일체화된 상기 외피 와 상기 파쇄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화장솜이 제조되는 공정 라인을 따라 상기 커팅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다수의 화장솜을 하나씩 분리하는 화장솜 분리부; 화장솜 분리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분리된 화장솜들을 이송시키는 화장솜 이송부; 및 화장솜 이송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이송된 화장솜들을 배열시키는 화장솜 배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gap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embossing process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to adjust a gap between the shell and the shredded cotton; A cotton wool separating unit provided at a rear of the cutting unit along a process line where the cotton is manufactured to separate a plurality of cotton cotton one by one; A cotton wool transfer part provided at a rear of the cotton wool separation part to transfer the separated cotton balls; And it may further comprise a cotton bating arrangement for arranging the conveyed cotton provided in the rear of the cotton conveying portion.

상기 파쇄솜 공급부는, 소정의 솜원단을 제공받아 상기 솜원단을 파쇄하는 파쇄기; 및 상기 파쇄기 내에서 파쇄된 상기 파쇄솜이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파쇄기의 대향측에 마련되어 상기 파쇄솜을 상기 외피 측으로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cotton supply unit, receiving a predetermined cotton fabric crusher for crushing the cotton fabric; And an adsorption unit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crusher so that the crushed cotton crushed in the crusher is supplied to one side of the sheath, and adsorbed to the sheath side.

상기 화장솜 배열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화장솜들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화장솜들을 기립되게 회전시키는 기립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tton wool arrangement may further include an upright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cotton to stand so that the cotton to be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솜외피 합착부, 상기 프레싱부, 상기 엠보싱 가공처리부, 상기 간격조절부, 상기 커팅부, 상기 화장솜 분리부 및 상기 화장솜 이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롤러(roller)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tton skin bond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the embossing processing portion, the gap adjusting portion, the cutting portion, the cotton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tton conveying portion may be provided by a roller.

상기 외피는 부직포일 수 있다.The sheath may be a nonwoven fabric.

한편, 상기 목적은, 화장솜의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를 공급하는 외피 공급 단계;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솜원단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을 공급하는 파쇄솜 공급 단계;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파쇄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쇄솜을 감싸 지지하는 솜외피 합착 단계; 내부로 상기 파쇄솜이 감싸 지지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일체로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 및 프레싱된 상 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화장솜으로 형성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솜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the outer shell supply step of supplying the outer shell to form the outer shell of the cotton; A crushed cotton feed step of supplying crushed cotton crushed from cotton fabric to one side of the shell; Cotton envelope bonding step of wrapping and supporting the shredded cotton so that the shredded cotton wrapped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sheath; A pressing step of integrally pressing the shroud and the shredded cotton which are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shredded cotton inside; And it is also achiev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cotton wool comprising a pressing step of cutting the outer shell and the shredded cotton 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plurality of cotton.

여기서, 상기 프레싱 단계와 상기 커팅 단계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외피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 가공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embossing processing step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step and the cutting step and embossing a region of the shell.

상기 엠보싱 가공처리 단계와 상기 커팅 단계 사이에 마련되어 일체화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 단계; 상기 화장솜이 제조되는 공정 라인을 따라 상기 커팅 단계의 후방에 마련되어 다수의 화장솜을 하나씩 분리하는 화장솜 분리 단계; 화장솜 분리 단계의 후방에 마련되어 분리된 화장솜들을 이송시키는 화장솜 이송 단계; 및 화장솜 이송 단계의 후방에 마련되어 이송된 화장솜들을 배열시키는 화장솜 배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gap adjusting step provided between the embossing processing step and the cutting step to adjust a gap between the shell and the shredded cotton; A cotton wool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a plurality of cotton wool one by one at a rear of the cutting step along a process line in which the cotton is manufactured; A cotton wool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separated cotton balls provided at a rear of the cotton wool separation step; And it may further comprise a cotton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the conveyed cotton provided in the rear of the cotton transfer step.

상기 외피는 부직포일 수 있다.The sheath may be a nonwoven fabric.

본 발명에 따르면,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로스(loss) 발생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화장솜을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솜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의 흡수가 높아 화장솜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화장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쉽게 소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entire process to reduce the loss (loss) can be efficiently produced cosmetic cotton, especially since the cotton fabric is not used as it is, the absorption of cosmetics is high, the function as a cosmetic cotton It is sufficient to exert, and furthermore, the durability of the cotton can be impr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prevented burning or tearin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솜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otton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솜(1)은 외피를 형성하는 부직포(1a)와, 부직포(1a) 내에 감싸 지지된 상태에서 부직포(1a)와 일체를 형성하는 파쇄솜(1b)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cotton wool 1 of this embodiment is a nonwoven fabric 1a forming an outer shell, and a crushed cotton 1b forming an integral part with the nonwoven fabric 1a in a state of being wrapped and supported in the nonwoven fabric 1a. )

이 때의 부직포(1a)는 파쇄솜(1b)의 상하면에 하나씩 배치된 후에 파쇄솜(1b)과 일체를 형성해도 좋고, 혹은 파쇄솜(1b)을 사이에 두고 부직포(1a)가 파쇄솜(1b)의 둘레를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싸 지지한 상태가 되어도 좋다.At this time, the nonwoven fabric 1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rushed cotton 1b one by one,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rushed cotton 1b, or the nonwoven fabric 1a is crushed with the crushed cotton 1b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on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of 1b) may be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솜(1)은 파쇄솜(1b)을 제외한 부직포(1a)의 어느 일 영역이 엠보싱 가공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1a)의 어느 일 영역이 엠보싱 가공처리됨으로써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직포(1a)가 쉽게 분리되거나 찢기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cotton 1 of this embodiment is embossed in any one area of the nonwoven fabric 1a except for the shredded cotton 1b. Thus, by embossing any one area of the nonwoven fabric 1a,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the nonwoven fabric 1a can be easily separated or torn.

그러면 도 1의 화장솜(1)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smetic cotton 1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도 1의 화장솜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솜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엠보싱 가공처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팅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화장솜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솜 제조방법의 플로챠트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tton pa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tton ball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mbossing processing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cutting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part, Figure 5 is a flow chart of a cotton pad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 cotton ball of FIG.

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화장솜(1)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솜 제조장치는, 크게, 외피 공급부(10), 파쇄솜 공급부(15), 솜외피 합착부(20), 프레싱부(25), 엠보싱 가공처리부(30), 간격조절부(35), 커팅부(40), 화장솜 분리부(45), 화장솜 이송부(50) 및 화장솜 배열부(55)를 구비한다.Mainly referring to FIG. 2, a cotton pa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cotton pad 1 of FIG. 1 is largely an outer skin supply unit 10, a crushed cotton supply unit 15, a cotton outer skin cementing unit 20, and a pressing unit. (25), an embossing processing unit 30, a spacing control unit 35, a cutting unit 40, a cotton separation unit 45, a cotton wool conveying unit 50 and a cotton wool arranging unit 55 are provided.

외피 공급부(10), 파쇄솜 공급부(15), 솜외피 합착부(20), 프레싱부(25), 엠보싱 가공처리부(30), 간격조절부(35), 커팅부(40), 화장솜 분리부(45), 화장솜 이송부(50) 및 화장솜 배열부(55)는 도 1의 화장솜(1)을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단일 공정 라인(line)을 형성하며, 공정 라인이 끝난 지점에서 즉, 화장솜 배열부(55)를 거친 후에야 비로소 포장되어 제품으로 출시된다.Outer skin supply unit 10, crushed cotton supply unit 15, cotton skin cementing unit 20, pressing unit 25, embossing processing unit 30, gap control unit 35, cutting unit 40, cotton wool separation The part 45, the cotton wool conveying part 50 and the cotton wool arranging part 55 form one single processing line for manufacturing the cotton 1 of FIG. 1, and at the point where the processing line ends. That is, only after going through the cotton batting unit 55 is packaged and released as a product.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장솜 제조장치는 인라인(in-line)화를 구축할 수 있어 종래보다 화장솜(1) 제조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tton swa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uild an in-lin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the cotton 1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overall reducing productivity by shortening the tact time. It can be improved.

각 구성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Each structure is demonstrated sequentially.

우선, 외피 공급부(10)는, 공정 라인으로 외피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는 파쇄솜(1b)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부분이다.First, the skin supply part 10 is a part which supplies a skin to a process lin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hell is a portion that supports the crushed cotton 1b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외피는 부직포(1a)로서 마련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부직포(1a) 외에도 다른 천이 대체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피부에 접촉될 때 피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화장품의 흡수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 사용되어도 좋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hell is provided as the nonwoven fabric 1a.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ther fabrics may be replaced in addition to the nonwoven fabric 1a. For example,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high absorption of cosmetics without damaging the skin when contacted with the skin.

외피 공급부(10)에서 공정 라인으로 공급되는 외피인 부직포(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루마리 형태로서 부직포(1a)가 감긴 부직포 롤러(11)에서 풀려 공정 라인으로 공급된다. 이 때, 부직포 롤러(11)에서 풀린 부직포(1a)가 사실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공정 라인으로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직포 롤 러(11)와 파쇄솜 공급부(15) 사이에는 부직포(1a)를 지지하면서 부직포(1a)를 팽팽하게 지지시키는 다수의 지지롤러(12)들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nonwoven fabric 1a, which is an outer skin supplied from the outer skin supply unit 10 to the process line, is unrolled from the nonwoven roller 11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1a is wound as a roll and supplied to the process line. At this time, since the nonwoven fabric 1a loosened from the nonwoven roller 11 has to be fed into the process line in a state where the nonwoven fabric 11 is substantially stretched, the nonwoven fabric 11 is supported between the nonwoven fabric roller 11 and the crushed cotton feed part 15 while supporting the nonwoven fabric 1a.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2 are provided to tightly support the nonwoven fabric 1a.

본 실시예의 도면을 보면 서로 다른 위치에 3개의 지지롤러(12)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면의 편의를 위해 다소 간략하게 또한 다소 과장되게 도시한 것일 뿐, 지지롤러(12)의 개수와 위치 등은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support rollers 12 are shown in different positions, but these are merely briefly and somewhat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drawing,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support rollers 12 are Design changes may be made as appropriate.

파쇄솜 공급부(15)는, 공정 라인으로 공급되는 부직포(1a)의 일측으로 솜원단(16)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1b)을 공급하는 부분이다.The crushed cotton feed part 15 is a part which supplies the crushed cotton 1b crushed from the cotton fabric 16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1a supplied to a process line.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솜원단(16)을 잘라 솜원단(16)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솜원단(16)을 파쇄시켜 입자가 고운 파쇄솜(1b)으로 형성시킨 후에 이 파쇄솜(1b)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파쇄솜(1b)을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화장솜(미도시)에 비해 화장품의 흡수가 높아 화장솜(1)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다.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otton fabric 16 was cut and the cotton fabric 16 was used as it i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tton fabric 16 is crushed to form finely crushed cotton 1b. After crushing, this crushed cotton 1b is used. When the crushed cotton 1b is used in this way, the absorption of cosmetics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tton (not shown), which is sufficient for exerting the function as the cotton 1.

솜원단(16)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1b)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파쇄솜 공급부(15)는, 소정의 솜원단(16)을 제공받아 솜원단(16)을 파쇄하는 파쇄기(17)와, 파쇄기(17) 내에서 파쇄된 파쇄솜(1b)이 부직포(1a)의 일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부직포(1a)를 사이에 두고 파쇄기(17)의 대향측에 마련되어 파쇄솜(1b)을 부직포(1a) 측으로 흡착하는 흡착부(18)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forming the crushed cotton 1b crushed from the cotton fabric 16, the crushed cotton feed unit 15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tton fabric 16 to crush the cotton fabric (16) And a crushing cotton 1b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rusher 17 with the nonwoven fabric 1a therebetween so that the crushed cotton 1b crushed in the crusher 17 can be suppli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1a. Adsorption part 18 which adsorb | sucks to the nonwoven fabric 1a side is included.

솜원단(16)은 앞서 기술한 부직포 롤러(11)와 마찬가지로 롤러 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이러한 솜원단(16)으로부터 풀린 솜원단(16)은 일부분씩 파쇄기(17) 내로 유입되어 파쇄된다.The cotton fabric 16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er like the nonwoven roller 11 described above, and the cotton fabric 16 released from the cotton fabric 16 is partially introduced into the crusher 17 to be crushed.

따라서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파쇄기(17) 내에는 솜원단(16)을 풀어 헤치면서 솜원단(16)을 파쇄시켜 입자가 고운 파쇄솜(1b)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파쇄커터나 롤러 등이 갖춰진다. 또한 그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파쇄기(17)의 측면에는 관찰창(17a)이 더 구비된다. 하지만 관찰창(17a)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도 좋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hredding machine 17 is equipped with a shredding cutter or roller for crushing the cotton fabric 16 while releasing the cotton fabric 16 to form a finely crushed cotton 1b. In addition, the observation window 17a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rusher 17 so that the inside thereof can be observed. However, the observation window 17a may be omitted as necessary.

솜외피 합착부(20)는, 외피 공급부(10)에서 공급된 부직포(1a)를 통해 파쇄솜 공급부(15)에서 공급된 파쇄솜(1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파쇄솜(1b)을 감싸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cotton-clad adhesive portion 20 is a crushed cotton 1b so that the crushed cotton 1b supplied from the crushed cotton feed portion 15 may be at least partially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nonwoven fabric 1a supplied from the outer shell feeding portion 10. ) Is the part that wraps and supports it.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파쇄솜(1b)을 감싸 지지하는 형태는, 부직포(1a)가 파쇄솜(1b)의 상하면에 하나씩 배치된 후에 파쇄솜(1b)과 일체를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혹은 파쇄솜(1b)을 사이에 두고 부직포(1a)가 파쇄솜(1b)의 둘레를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싸 지지한 상태가 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솜외피 합착부(20)를 통해 부직포(1a)가 파쇄솜(1b)의 외피를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 in which the crushed cotton 1b is wrapped and supported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integral part with the crushed cotton 1b after the nonwoven fabric 1a is disposed one by on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rushed cotton 1b, or The nonwoven fabric 1a may be in the state which wrapped and supported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crushing batt 1b more than at least one round with the crushing batt 1b in between. In any form, the nonwoven fabric 1a may form the outer shell of the crushed cotton 1b through the cotton outer shell bonding portion 20.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솜외피 합착부(20)를 통해 합착되어 일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솜외피 합착부(20)는 적어도 한 쌍의 롤러(20a,20b, roller)의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즉, 부직포(1a)와 파쇄솜(1b)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20a,20b)에 의해 다순 압박되거나 혹은 열 압박됨으로써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일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tton jacketed portion 20 is formed of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20a, 20b and rollers so that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can be joined together to form an integral part through the cotton jacketed portion 20. It is formed by the structure. That is,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are integrally formed by multiple pressing or heat pressing by a pair of rollers 20a and 20b arranged up and down with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ing cotton 1b interposed therebetween. Will be able to form.

참고로, 이하의 구성들 역시 대부분이 롤러의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데, 이 때에 롤러의 개수 및 크기, 그리고 위치 등은 절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many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may also be formed by the structure of the rollers,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rollers, the position,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design.

솜외피 합착부(20)에 의해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일체를 형성했다 하더라도 이 상태에서는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상호 분리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들의 합착된 두께를 적당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을 프레싱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프레싱부(25)가 담당한다.Although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otton-clad-bonding part 20, there exists a high possibility that a nonwoven fabric 1a and a crushed cotton 1b will mutually isolate in this state. Therefore, in order not to separate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integrated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in order to appropriately adjust their bonded thickness. 25).

즉, 프레싱부(25)는, 내부로 파쇄솜(1b)이 감싸 지지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을 일체로 프레싱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pressing part 25 plays a role of integrally pressing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in which the crushed cotton 1b is wrapped and supported inside.

프레싱부(25)는 솜외피 합착부(20)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25a,25b) 구조를 가지며, 부직포(1a)와 파쇄솜(1b)을 일체로 프레싱함에 있어 다순 압박시키거나 혹은 열 압박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롤러(25a,25b)의 후방에는 더미 롤러(25c,25d)가 더 구비되어 프레싱의 역할을 배가시키고 있다.The pressing part 25 has a structure of a pair of rollers 25a and 25b which are arranged up and down like the cotton-clad joint 20, and in order to press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integrally in multiple orders. Or heat press. Dummy rollers 25c and 25d are further provided behind the pair of rollers 25a and 25b to double the role of pressing.

엠보싱 가공처리부(30)는, 프레싱부(25)와 커팅부(40) 사이에 마련되어 부직포(1a)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embossing processing part 30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art 25 and the cutting part 40, and serves to emboss the one area | region of the nonwoven fabric 1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a)의 어느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함으로써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직포(1a)가 쉽게 분리되거나 찢기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화장솜(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by embossing any one area of the nonwoven fabric 1a,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the nonwoven fabric 1a can be easily separated or torn.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tton 1 in general.

이러한 엠보싱 가공처리부(30) 역시, 전술한 구성들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롤러(30a,30b) 구조를 갖는다.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30a,3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롤러(30b)의 표면에는 엠보싱 가공처리를 위한 다수의 엠보홈(30c)이 형성되어 있다.The embossing processing section 30 also has a pair of rollers 30a and 30b structures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s shown enlarged, a plurality of embossed grooves 30c for embossing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one of the rollers 30a and 30b.

이에 대해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가공처리부(30)의 한 쌍의 롤러(30a,30b)는 상호 맞대어 회전하면서 부직포(1a)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롤러(30a,30b)가 구비되는데, 한 쌍의 롤러(30a,30b) 중에서 어느 하나(30a)의 표면은 아무런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데 반해, 다른 하나(30b)의 표면에는 엠보싱 가공처리를 위한 다수의 엠보홈(3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30a,30b)의 주변에는 한 쌍의 롤러(30a,30b) 사이로 엠보싱 가공처리 대상의, 아직 커팅되지 않은 화장솜(1')을 투입시키는 투입 유닛(32)이 마련되어 있다. 투입 유닛(32)은 다수의 롤러(32a)에 벨트(32b)가 회전하면서 화장솜(1')을 한 쌍의 롤러(30a,30b) 사이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벨트(32b)의 회전을 위해서는 벨트(32b)를 회전시키는 모터나 혹은 이들을 일련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 등이 더 구비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rollers 30a and 30b of the embossing processing unit 30 rotate to face each other and serve to emboss a region of the nonwoven fabric 1a. To this end, a pair of rollers (30a, 30b) is provided, the surface of any one (30a) of the pair of rollers (30a, 30b) is no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30b A plurality of embossed grooves 30c for embossing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pair of rollers 30a and 30b, an feeding unit 32 for feeding the uncut cotton 1 ', which has not yet been cut,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30a and 30b. . The feeding unit 32 serves to feed the cotton 1 'between the pair of rollers 30a and 30b while the belt 32b rotates on the plurality of rollers 32a. Of course, in order to rotate the belt 32b, a motor for rotating the belt 32b or a support for supporting them in series should be further provided, bu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간격조절부(35)는, 엠보싱 가공처리부(30)와 커팅부(40) 사이에 마련되어 공정 라인에 대한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의 간격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gap adjusting unit 35 is provided between the embossing processing unit 30 and the cutting unit 4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grated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ing cotton 1b for the process line.

즉, 공정 라인 상에서 너무 일측으로 치우쳐 있거나 혹은 그 처리 속도가 빠르다거나 혹은 느리다거나 하는 일련의 간격과 관련한 모든 사항을 간격조절부(35) 에서 적당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간격조절부(35)는 구성상 제외되어도 무방하다.In other words, all the matters related to a series of intervals that are biased one side or too fast or slow on the processing line can be properly processed by the gap adjusting unit 35. However, such a spacing control unit 35 may be excluded in configuration.

커팅부(40)는, 프레싱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을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도 1과 같은 크기의 다수의 화장솜(1)으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cutting portion 40 serves to cut the pressed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in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plurality of cotton 1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FIG. 1.

이러한 커팅부(40) 역시, 전술한 구성들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롤러(40a,40b) 구조를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 쌍의 롤러(40a,40b) 중에서 어느 한 롤러(40a)의 표면에는 커터(41, cutter)가 구비되는데, 커터의 형태는 도 1과 같이 화장솜(1)의 코너 영역에 필렛(fillet) 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만약에 화장솜(1)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형태로 제조된다면 이에 대응하도록 커터의 형태 역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The cutting portion 40 also has a structure of a pair of rollers 40a and 40b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cutter 4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one of the pair of rollers 40a and 40b, and the shape of the cutter is a corner of the cotton pad 1 as shown in FIG. It is manufactured so that a fillet structure can be formed in the region. However, if the cotton wool 1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le or a square, the shape of the cutter will also have to be changed to correspond thereto.

이에 대해 부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40)의 한 쌍의 롤러(40a,40b)는 상호 맞대어 회전하면서 도 1의 단위 크기로 화장솜(1)을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롤러(40a,40b)가 구비되는데, 한 쌍의 롤러(40a,40b) 중에서 어느 하나(40b)의 표면은 아무런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데 반해, 다른 하나(40a)의 표면에는 커팅을 위한 커터(41)가 형성되어 있다. 커터(41)는 화장솜(1)이 도 1과 같은 모양이 될 수 있도록 화장솜(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한 쌍의 롤러(40a,40b) 사이로 엠보싱 가공처리되었지만 아직 커팅되지 않은 화장솜(1')이 투입되면, 상호 맞대어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40a,40b)에 의한 상호작용 및 커터(41)에 의해 화장솜(1')은 단위 크기의 화장솜(1)으로 커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 쌍의 롤러(40a,40b) 주변에 위치되는 롤러(40c)는 화 장솜(1')을 한 쌍의 롤러(40a,40b) 사이로 제공하는 롤러(40c)로서, 이의 표면에는 화장솜(1') 지지를 위한 두 개의 지지패턴(40d)이 마련되어 있다.In this regard, 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rollers 40a and 40b of the cutting portion 40 rotate to face each other and serve to cut the cotton 1 into the unit size of FIG. 1. . To this end, a pair of rollers (40a, 40b) is provided, the surface of any one (40b) of the pair of rollers (40a, 40b) is no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40a) The cutter 41 for cutting is formed. The cutter 4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tton 1 so that the cotton 1 can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 Therefore, when the cotton wool 1 'which is embossed but not yet cut is f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0a and 40b, the interaction and the cutters by the pair of rollers 40a and 40b which rotate to face each other are rotated. 41) the cotton 1 'can be cut into a cotton 1 of the unit size. The roller 40c positioned around the pair of rollers 40a and 40b is a roller 40c which provides the cotton 1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0a and 40b, and on the surface thereof, the cotton batting 1 ') Two support patterns 40d are provided for supporting.

화장솜 분리부(45)는, 공정 라인을 따라 커팅부(40)의 후방에 마련되어 간격이 조절된 다수의 화장솜(1)을 하나씩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tton wool separating part 45 serves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cotton wools 1, which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utting part 40 along the process line and have a spacing adjusted.

이러한 화장솜 분리부(45)는 다른 구조와는 달리 화장솜(1)의 상부 영역에서 화장솜(1)을 분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화장솜(1)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독립된 롤러(45a)와, 분리된 화장솜(1)들의 상부 표면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롤러(45b)와, 독립된 롤러(45a)와 다수의 지지롤러(45b)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45c)를 구비한다. 연결부(45c)는 끈의 형태로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끈이 화장솜(1)들의 상부 표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Unlike the other structures, the cotton separation unit 45 can separate the cotton 1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cotton 1, for this purpose, an independent roller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otton 1 45a,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45b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ed cotton balls 1,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independent rollers 45a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45b to each other ( 45c). The connecting portion 45c may be in the form of a string, and in this embodiment, two st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cotton balls 1.

화장솜 이송부(50)는, 공정 라인을 따라 화장솜 분리부(45)의 후방에 마련되어 분리된 화장솜(1)들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tton wool transfer unit 5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tton wool separation unit 45 along a process line and serves to transfer the separated cotton wool 1 to the rear.

이러한 화장솜 이송부(50)는 벨트 컨베이어 타입(type)이나 롤러 컨베이어 타입(type)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지지대(51) 상에서 다수의 롤러(52)들에 감겨 회전하는 루프(53)에 의해 화장솜(1)들이 직접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Such cotton transfer unit 50 may be implemented as a belt conveyor type (type) or roller conveyor type (type), etc., in this embodiment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rollers 52 on the transport support 51 to rotate It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cotton wool 1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post process by the loop 53.

화장솜 배열부(55)는, 공정 라인을 따라 화장솜 이송부(50)의 후방에 마련되어 이송된 화장솜(1)들을 포장시키기 좋은 위치로 배열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tton batting unit 55 serves to arrange the cotton batts 1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cotton batter conveying unit 50 along a process line in a good packing position.

보통, 화장솜 이송부(50)까지는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 혹은 화 장솜(1)들이 모두 수평 방향으로 누운 상태였다. 하지만, 이 상태로 제품을 포장시키기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솜(1)들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된다면, 포장용기에 몇 개씩 포장시켜 제품으로 출시하기에 수월할 수 있다.Usually, up to the cotton transfer unit 50, the integrated nonwoven fabric (1a) and crushed cotton (1b), or cosmetic cotton (1) was all la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packaging the product in this state can be rather inconvenient. That is, as shown, if the cotton wool (1)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easy to pack a few pieces in a packaging container to release as a product.

이를 위해, 화장솜 배열부(55)는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화장솜(1)들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화장솜(1)들을 기립되게 회전시키는 기립회전부(56)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tton wool arrangement portion 55 further includes a standing rotation portion 56 for rotating the cotton 1 standing up so that the cotton 1 conve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기립회전부(5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arc) 형상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수평 상태의 화장솜(1)들을 기립되게 세우는 아크회전부(56a)와, 기립되게 세워진 화장솜(1)들을 그대로 작업 테이블(미도시) 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6b)를 구비한다.The standing rotation part 56, as shown in Figure 2, is made of an arc (arc) shape arc rotating part (56a) to stand up the standing cotton 1 in a horizontal state by a separate power source, and the standing cotton standing The transfer part 56b which transfers (1) as it is on a work table (not shown) is provided.

이에, 작업자들은 이송부(56b)에서 세워져 이송되는 화장솜(1)들을 몇 개씩 포장하면 된다. 참고로, 도 2의 경우에는 이송부(56b) 상에 세워진 화장솜(1)들이 띄엄띄엄 배열되어 있지만, 이들은 상호 거의 붙은 상태로 이송된다고 봐야 할 것이다.Thus, the workers only need to pack a few pieces of cotton 1 to be conveyed standing up in the conveying portion (56b).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FIG. 2, the cotton batts 1 erected on the conveying part 56b are arranged spacingly, but they should be regarded as being conveyed in a state almost attached to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화장솜 제조방법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smetic cotton manufacturing method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도 2와 같이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정 라인으로 화장솜(1)의 외피인 부직포(1a)를 공급하는 외피 공급 단계(S11)가 진행된다. 이와 동시에 부직포(1a)의 일측으로 솜원단(16)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1b)을 공급하는 파쇄솜 공급 단계(S12)가 진행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sett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 an outer skin supply step S11 of supplying a nonwoven fabric 1a which is an outer skin of the cotton pad 1 to a process line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crushed cotton feeding step (S12) for supplying the crushed cotton 1b crushed from the cotton fabric 16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1a) is in progress.

물론, 외피 공급 단계(S11)와 파쇄솜 공급 단계(S12)는 어떠한 것이 먼저 진행되어도 좋고 혹은 동시에 진행되어도 좋다.Of course, the shell feeding step (S11) and the crushed cotton feeding step (S12) may be any of the first or may proceed simultaneously.

공정 라인을 통해 부직포(1a)가 공급되어 부직포(1a)의 일측으로 파쇄솜(1b)이 공급되면, 부직포(1a)를 통해 파쇄솜(1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파쇄솜(1b)을 감싸 지지하는 솜외피 합착 단계(S13)가 진행된다.When the nonwoven fabric 1a is supplied through the process line and the crushed cotton 1b is suppli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1a, the crushed cotton 1b may be at least partially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nonwoven fabric 1a. 1b) is wrapped around the cotton envelope bonding step (S13) is carried out.

솜외피 합착 단계(S13)를 통해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부분적으로 일체화되면,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이 완전히 일체화되도록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을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S14)가 진행된다.When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are partially integrated through the cotton skin bonding step S13, the integrated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so that the integrated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are completely integrated. The pressing step S14 for pressing (1b) proceeds.

프레싱 단계(S14)가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a)의 일 영역에 엠보싱 가공처리가 형성되도록 부직포(1a)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 가공처리 단계(S15)가 진행된다.When the pressing step S14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 an embossing step S15 of embossing a region of the nonwoven fabric 1a so that an embossing treatment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nonwoven fabric 1a. Proceeds.

엠보싱 가공처리 단계(S15)가 완료되면, 간격조절 단계(S16)를 통해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의 간격 등을 비롯한 제반적인 간격을 조절한다.When the embossing processing step (S15) is completed, through the gap adjusting step (S16) to adjust the overall spacing, including the gap between the integrated nonwoven fabric (1a) and crushed cotton (1b).

다음, 커팅 단계(S17)가 진행된다. 커팅 단계(S17)를 통해 프레싱되어 일체화된 부직포(1a)와 파쇄솜(1b)은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되어 다수의 화장솜(1)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Next, the cutting step S17 is performed. The nonwoven fabric 1a and the crushed cotton 1b that are pressed and integrated through the cutting step S17 may be cut 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otton 1.

커팅 단계(S17)에 의해서 다수의 화장솜(1)이 형성되고 나면, 화장솜 분리 단계(S18)를 통해 다수의 화장솜(1)을 하나씩 분리한다.After a plurality of cotton 1 is formed by the cutting step (S17), a plurality of cotton 1 is separated one by one through the cotton separation step (S18).

그런 다음, 분리된 화장솜(1)들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화장솜 이송 단 계(S19)를 진행하여, 화장솜 배열 단계(S2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 화장솜(1)들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배열한다.Then, proceeds to the cotton conveying step (S19) for transferring the separated cotton (1) to a post-process, the cotton 1 conve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cotton arrangement step (S20) is a vertical direction Arrange so that it can be erected.

여기까지 진행되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들은 이송부(56b)에서 세워져 이송되는 화장솜(1)들을 몇 개씩 포장하면 되는 것이다.If it proceeds up to this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is to wrap a few pieces of cotton 1 to be conveyed standing up in the conveying portion (56b).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로스(loss) 발생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화장솜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솜 제조장치는, 인라인(in-line)화가 구축될 수 있어 종래보다 화장솜(1) 제조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entire process to efficiently produce the cotton while reducing the loss (loss).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in the cosmetic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built in-line (in-line) can increase the efficiency in manufacturing the cotton (1) than conventional, overall tact time (tact By shortening the tim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솜원단(16)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의 흡수가 높아 화장솜(1)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화장솜(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쉽게 소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tton fabric 16 is not used as it is conventionally, the absorption of cosmetics is high, which is sufficient to exert the function as the cotton batt 1, and furthermore, the durability of the cotton batt 1 is improved. It can be improved so that i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urning or tear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솜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cotton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화장솜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솜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tton pa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tton ball of Figure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엠보싱 가공처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mbossing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팅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utting unit shown in FIG. 2;

도 5는 도 1의 화장솜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솜 제조방법의 플로챠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tton pad for preparing the cotton pad of FIG. 1.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화장솜 1a : 부직포1: cotton 1a: nonwoven fabric

1b : 파쇄솜 10 : 외피 공급부1b: crushing cotton 10: skin supply unit

15 : 파쇄솜 공급부 20 : 솜외피 합착부15: crushed cotton supply portion 20: cotton skin bonding portion

25 : 프레싱부 30 : 엠보싱 가공처리부25 pressing portion 30 embossing processing portion

35 : 간격조절부 40 : 커팅부35: gap adjustment part 40: cutting part

45 : 화장솜 분리부 50 : 화장솜 이송부45: cotton separation unit 50: cotton transfer unit

55 : 화장솜 배열부55: cotton wool arrangement

Claims (11)

화장솜의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를 공급하는 외피 공급부;An outer shell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uter shell forming a shell of the cotton pad;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솜원단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을 공급하는 파쇄솜 공급부;A crushed cotton feeding part for supplying crushed cotton crushed from cotton fabric to one side of the outer shell;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파쇄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쇄솜을 감싸 지지하는 솜외피 합착부;Cotton envelope bonding portion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shredded cotton so that the shredded cotton wrapped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sheath; 내부로 상기 파쇄솜이 감싸 지지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일체로 프레싱하는 프레싱부; 및A pressing unit for integrally pressing the shroud and the shredded cotton which are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shredded cotton inside; And 프레싱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화장솜으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되,It includes a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pressed outer shell and the shredded cotton 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plurality of cotton, 상기 파쇄솜 공급부는,The crushed cotton supply unit, 소정의 솜원단을 제공받아 상기 솜원단을 파쇄하는 파쇄기; 및A crusher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otton fabric to crush the cotton fabric; And 상기 파쇄기 내에서 파쇄된 상기 파쇄솜이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파쇄기의 대향측에 마련되어 상기 파쇄솜을 상기 외피 측으로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솜 제조장치.Cosmetic co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sorption por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rusher so that the crushed cotton crushed in the crusher is supplied to one side of the outer shell and adsorbs the crushed cotton to the skin side. Manufactur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싱부와 상기 커팅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외피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 가공처리부;An embossing process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unit and the cutting unit and configured to emboss a region of the outer shell; 상기 엠보싱 가공처리부와 상기 커팅부 사이에 마련되어 일체화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A gap adjus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embossing processing unit and the cutting unit to adjust a gap between the shell and the shredded cotton; 상기 화장솜이 제조되는 공정 라인을 따라 상기 커팅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다수의 화장솜을 하나씩 분리하는 화장솜 분리부;A cotton wool separating unit provided at a rear of the cutting unit along a process line where the cotton is manufactured to separate a plurality of cotton cotton one by one; 화장솜 분리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분리된 화장솜들을 이송시키는 화장솜 이송부; 및A cotton wool transfer part provided at a rear of the cotton wool separation part to transfer the separated cotton balls; And 화장솜 이송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이송된 화장솜들을 배열시키는 화장솜 배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솜 제조장치.The cotton wool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tton wool arranging unit arranged at the rear of the cotton wool conveying unit to arrange the transferred cot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화장솜 배열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화장솜들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화장솜들을 기립되게 회전시키는 기립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솜 제조장치.The cotton wool arrangement portion of the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tanding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cotton to stand so that the cotton to be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장솜의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를 공급하는 외피 공급 단계;An outer shell feeding step of supplying an outer shell forming an outer shell of a cotton pad;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솜원단으로부터 파쇄된 파쇄솜을 공급하는 파쇄솜 공급 단계;A crushed cotton feed step of supplying crushed cotton crushed from cotton fabric to one side of the shell;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파쇄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쇄솜을 감싸 지지하는 솜외피 합착 단계;Cotton envelope bonding step of wrapping and supporting the shredded cotton so that the shredded cotton wrapped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sheath; 내부로 상기 파쇄솜이 감싸 지지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일체로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 A pressing step of integrally pressing the shroud and the shredded cotton which are wrapped and supported by the shredded cotton inside; 상기 외피의 일 영역을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 가공처리 단계;An embossing processing step of embossing one region of the shell; 일체화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 단계;A gap adjusting step of adjusting a gap between the shell and the shredded cotton; 상기 화장솜이 제조되는 공정 라인을 따라 상기 커팅 단계의 후방에 마련되어 다수의 화장솜을 하나씩 분리하는 화장솜 분리 단계;A cotton wool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a plurality of cotton wool one by one at a rear of the cutting step along a process line in which the cotton is manufactured; 화장솜 분리 단계의 후방에 마련되어 분리된 화장솜들을 이송시키는 화장솜 이송 단계; 및A cotton wool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separated cotton balls provided at a rear of the cotton wool separation step; And 화장솜 이송 단계의 후방에 마련되어 이송된 화장솜들을 배열시키는 화장솜 배열 단계Cotton wool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the conveyed cotton ball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cotton wool transfer step 프레싱된 상기 외피와 상기 파쇄솜을 소정의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화장솜으로 형성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솜 제조방법.And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pressed outer skin and the shredded cotton in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plurality of cotton. 삭제delete
KR1020070125457A 2007-12-05 2007-12-05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KR100929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57A KR100929974B1 (en) 2007-12-05 2007-12-05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57A KR100929974B1 (en) 2007-12-05 2007-12-05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27A KR20090058727A (en) 2009-06-10
KR100929974B1 true KR100929974B1 (en) 2009-12-04

Family

ID=4098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457A KR100929974B1 (en) 2007-12-05 2007-12-05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9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052B1 (en) * 2018-05-31 2020-01-08 안성준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keup cott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43B1 (en) * 2010-08-26 2012-03-05 안성준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keup cotton
KR101302072B1 (en) * 2012-02-06 2013-09-05 윤승록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tt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tton using the same
KR101439790B1 (en) * 2013-09-12 2014-09-12 유승국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agnostic kit and diagnostic kit
KR101501882B1 (en) * 2014-08-20 2015-03-12 유승국 Equipment for manufacturing diagnostic kit having a dehumidifying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agnostic kit and diagnostic k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859Y1 (en) * 2000-01-21 2000-08-01 주식회사한국참 Cosmetic pad with rayon spunlase nonwoven fabric
KR20030038242A (en) * 2001-11-10 2003-05-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Magnet gear assembly and conveyor using the same
KR20030092994A (en) * 2002-06-01 2003-12-06 심광섭 Toilet cotton embo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859Y1 (en) * 2000-01-21 2000-08-01 주식회사한국참 Cosmetic pad with rayon spunlase nonwoven fabric
KR20030038242A (en) * 2001-11-10 2003-05-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Magnet gear assembly and conveyor using the same
KR20030092994A (en) * 2002-06-01 2003-12-06 심광섭 Toilet cotton embos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052B1 (en) * 2018-05-31 2020-01-08 안성준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keup co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27A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974B1 (en) Cotton wool manufacturing device and cotton wool manufacturing method
KR101415875B1 (en) Corn peeling machine
KR101330272B1 (en) A unit and a method for forming absorbent pads used in nappies/diapers
CN1075672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terial of moulding flat
KR101447365B1 (en) An Apparatus for Cutting and Packing A Patch
JP5261606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ants-type wearing articles
KR101268900B1 (en) Manufacturing and packing system of medical patch with embossing protection sheet
JP2004137655A (en) Method for recovering bulk of non-woven fabric
CN102470054A (en) Web conveying device and web conveying method
KR100956936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make up cotton
KR101057054B1 (en) Cosmetic Puff Maker
KR101116543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keup cotton
KR101852586B1 (en) Cotton manufacturing device of pack function having wave pattern
CN204197465U (en) A kind of bale opener of expanded polyethylene foam manufacturing line
KR20130126562A (en) A folder type skin patch assembly
KR101561055B1 (en) Turn Table Type Wrapping Device
KR101335301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ke up cott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9165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older type Skin Patch Assembly
CN113320727A (en) Winding device for columnar object packaging structure
KR101161519B1 (en) L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eup cotton
CN215882625U (en) Full-automatic bandage mask production packaging machine
TWM342166U (en) Manufacturing device of mask
CN213428584U (en) One drags two gauze mask machines
CN213441206U (en) One drags a gauze mask machine
CN207710940U (en) A kind of full-automatic flat-press flat-die cuts trash-clea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16

Effective date: 201405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123

Effective date: 20160623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02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03

Effective date: 201707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94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328

Effective date: 201707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6514;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912

Effective date: 20180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