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66B1 -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66B1
KR100929766B1 KR1020070119797A KR20070119797A KR100929766B1 KR 100929766 B1 KR100929766 B1 KR 100929766B1 KR 1020070119797 A KR1020070119797 A KR 1020070119797A KR 20070119797 A KR20070119797 A KR 20070119797A KR 100929766 B1 KR100929766 B1 KR 10092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lay
far
effect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125A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07011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7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분말이 아닌 점토 또는 지점토와 450∼600메쉬(mesh)의 백탄 분말을 1 : 1∼4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잘 반죽시키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140∼160℃의 전기오븐에서 5∼15분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이온 증가 효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 유해전자파 차단효과, 공기정화, 탈취, 정수, 방부효과가 있는 숯 백탄 가루의 장점을 살린 숯 백탄 지점토 제품을 제조하여 냉장고, 전자레인지 부착 장식물과 TV나 컴퓨터 앞에 놓는 인테리어 소품을 만들고, 숯 백탄 세라믹 점토를 제조하여 핸드폰 고리, 머리핀, 브로치, 반지, 목걸이 등으로 제작하여 몸에 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다.
백탄, 점토, 숯, 장신구, 원적외선, 음이온, 인테리어

Description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the ornament radiating negetive ions and far infrared rays}
본 발명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숯 백탄을 성분의 변화 없이 제작하여 활용하므로 숯 백탄의 검증된 다양한 효능이 변하지 않으며, 기존의 건강기능 액세서리가 투박하고 모양이 다양하지 못한 것에 비해 실용적이고 건강과 미적인 기능까지 겸비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 제품에서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막거나 음이온 증가 및 원적외선 방사를 위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제조되고 있다.
원적외선의 열 효과와 비열효과를 응용하여 원적외선을 여러 산업과 인간의 건강 증진에 활용하고 있다. 원적외선의 열 효과는 페인트나 식품의 건조에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원적외선의 비열효과는 보온, 숙면, 혈류 촉진, 피로 회복, 성장 촉진 등의 생체활성화, 물의 개질, 술의 숙성 촉진 등에 활용되고 있다. 공기 음 이온은 혈액 정화, 세포 활성화, 면역력 증가, 신경안정, 호흡기 및 장기 향상, 피로감 경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목걸이, 팔찌, 귀걸이, 반지, 브로치 등의 장신구나 시계, 거울, 상패 등의 장식품은 표면을 아름답게 하고, 부식되지 않도록 제품의 표면에 도금처리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장신구나 장식품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체적인 효능이 없다. 또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하여도 그 발생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음이온, 원적외선, 또는 동시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장신구 및 장식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특허문헌 1에서는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스, 또는 귀금속으로 제조된 성형체 또는 이들 재료로 코팅된 성형체의 표면에 산화물계 세라믹스 분말과 도료의 혼합물을 도장하여 제조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신구는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상품의 가격이 너무 비싼 경향이 있다. 특히, 넓은 실내에서는 적절한 제품으로 실용화되지 못하여 전자파 차단 효과나 실내 정화 효과가 있다는 식물이나 장식 숯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비효과적이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백탄 분말, 맥반석분말, 점토 등을 혼합 교반하여 일반 시멘트 벽돌을 대체하여, 집안에 다량의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 습도조절과 탈취, 전자파 차단, 곰팡이 발생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건축용 자재로써 사용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용 숯 맥반석 벽돌에 대한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특 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에서는 백탄 분말, 맥반석 분말, 점토, 희토 광물 등을 혼합 교반하고, 성형, 소성, 건조의 과정을 거쳐 원적외선 방사용 숯 볼 또는 항균 바이오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액세서리나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장신구에 관한 기술이 아니라 외관이 투박하고, 표면에 크랙 등이 발생하여 장신구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07240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59266호
특허문헌 3: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87009호
특허문헌 4: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86381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작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유해 전자파 차단의 효과가 우수한 제품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배출이 많은 참 숯가루 백탄이 다량 함유된 점토를 이용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면서 외관이 수려한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숯, 바람직하게는 참숯 백탄 가루의 여러 가지 유효한 특성을 최대한 살린 백탄과 점토 또는 지점토의 반죽물을 이용하여 외관이 수려한 장신구를 제조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건강한 생활을 해나갈 수 있는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은 반죽된 점토 또는 지점토와 450∼600메쉬(mesh)의 백탄 분말을 1 : 1∼4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잘 반죽시키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140∼160℃의 전기오븐에서 5∼15분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은 상기 반죽 단계에서, 상기 반죽물에 0.001∼0.1중량%의 허브 향, 0.01∼0.5중량%의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욱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숯 백탄을 성분의 변화 없이 제작하여 활용하므로 숯 백탄의 검증된 다양한 효능이 변하지 않으며, 기존의 건강기능 액세서리가 투박하고 모양이 다양하지 못한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실용적이고 경제적이면서도 건강과 미적인 기능까지 겸비하고, 특히 숯 백탄과 지점토로 제작한 냉장고나 전자레인지의 부착 장식물과 TV나 컴퓨터 앞에 놓는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은 모양이 다양하고 활용기능의 폭이 넓어 효능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장식품으로서의 인테리어 기능까지 갖추어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000℃ 이상의 고열에서만 건류 탄화된 숯 중에서 최고 품질의 탄이 백탄이다. 외형은 밀가루가 묻은 것 같이 흰 재가 묻어있다. 숯은 탄소덩어리이므로 탄소가 발생하는 음이온을 무한정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탄소가 음이온을 모두 방전하는 데는 약 4500 만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숯, 특히 참숯(이하 본 명세서에서 숯과 참숯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에는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참숯이 탄소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음이온은 부교감 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나무가 많은 숲이나 바닷가에 가면 기분이 평온해지는데, 이것은 음이온이 나무에서 많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TV, 컴퓨터 등은 양이온이 다량 배출되는 제품들이다. 양 이온이 많은 곳에서는 긴장, 흥분, 초조하기 쉽고 피로가 빨라진다. 주위에 참숯을 두게 되면 음이온이 증가되고 양이온을 흡착, 중화시켜 공기가 균형을 취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피로의 감소, 평온한 수면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침대 밑에 숯을 놓아두고 잠을 자면 머리가 맑아지고 숲 속에 온 것 같은 상쾌함을 느낄 수 있다.
원적외선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물질을 따뜻하게 하는 힘을 강하게 방사하는 유익한 광선이다. 원적외선이 발산하는 긴 파장(3.6∼16미크론)의 열에너지는 피부 속 40㎜까지 침투하여 몸의 온열작용을 통해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킨다. 원적외선은 지구상의 모든 물질에서 방사되나 특히 참숯, 황토, 돌, 세라믹 등이 방사 율이 높다. 참숯이 방사하는 원적외선은 40℃에서 방사율 기준을 1로 놓고 볼 때 93% 정도로 엄청나다. 따라서 생명의 빛인 원적외선 방사율이 많은 참숯은 혈액순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세포기능 활성화, 생육촉진 작용, 물분자의 활성화 및 숙성 효과가 있다. 물론 숯불구이 시 고기 속까지 골고루 익혀 주어 고기의 참맛을 느끼게도 해준다.
또한, 참숯은 우수한 흡착성과 통전성, 축전성(전기가 통하고, 전기를 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컴퓨터나 TV 등 가전제품의 옆에 두면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거나 흡수해 주는 효과가 있다. 고온에서 구운 참숯 백탄이 전자파를 흡수하는 것은 참숯의 통전성에 있다. 참숯 백탄이 1000℃ 이상이 되면 철판보다도 전자파 흡수 차단력이 높으며, 1200℃ 이상에서 구운 참숯은 흑연보다 더 강한 전자파 흡수 차단력이 있다. 따라서 참숯 백탄은 VDT증후군(컴퓨터 스크린에서 방사되는 X선, 전리방사선 등의 해로운 전자파가 유발시키는 두통 및 시각장애 등의 증세)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참숯은 1g 당 300㎡ 정도의 표면적을 지닌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다공질로써 미생물의 서식처가 되며, 특히 유기물의 분해력이 뛰어난 방선균이 잘 살기 때문에 공기 중에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불순물을 흡착해서 분해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고 냄새를 탈취, 제거시켜 준다. 참숯은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그 악취를 흡착한다. 냉장고, 신발장, 옷장, 주방, 자동차 안 등에 넣으면 탈취용이 되기도 하며, 클로로칼키나 염소 등 소독약 냄새가 강한 수돗물에 참숯을 넣으면 냄새도 제거되고, 물 입자를 작게 하여 물을 정화시켜 준다. 또한 밥이 약간 탔을 때 밥 속에 숯을 넣으면 탄 냄새가 순간적으로 없어진다.
아울러, 참숯은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구멍이 고밀도로 분포되어 있어서 훌륭한 제습 및 습도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다. 고온에서 구워진 참숯은 수분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아 주위의 습도를 줄여주고, 또 너무 건조하면 수분을 방출하여 습도 조절을 자연스럽게 해준다. 참숯은 수면 중 흘리는 땀이나 어린이의 오줌 등 다량의 수분을 순식간에 흡수하여 불순물을 분해하며, 싱크대 밑에 참숯을 놓아둠으로써 수분을 차단하여 바퀴벌레 등 곤충의 서식을 막을 수가 있다. 옷장 안에 넣어 두면 습기를 제거하고, 곰팡이 등의 서식을 막아 주는 등 시중의 일반 습기제거제보다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마루 밑이나 창고 등 환기가 불충분한 건물에서 결로현상(이슬 맺힘)으로 인한 목재의 부패, 고습도로 인한 냄새로 불쾌감을 초래 하게 되는데, 참숯을 넣을 경우 흡탈착 기능에 의하여 쾌적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약 2100년이나 지난 중국 마왕퇴 고분에서 발굴된 유체가 사후 4일 밖에 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는 것,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 목판의 보존, 경주 석굴암 등은 모두 숯의 뛰어난 습도조절과 방부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수목은 오랜 세월에 걸쳐서 대지로부터 흡수해 올린 미네랄을 가득 품고 있는 미네랄의 보물창고이다. 나무속에는 중량비로 보아 0.3∼0.6% 정도 미네랄류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미네랄 성분은 나무가 숯으로 구워질 때 약 4∼5배로 농축되어 회분으로써 숯 속에 남게 된다. 숯에 함유된 미네랄은 칼슘, 나트륨, 철, 마그네슘, 칼륨, 인 등이다. 장을 담글 때 숯을 넣는 것은 물을 정화해 세균의 번식을 막아 미생물을 활발히 번식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탄소와 미네랄이 풍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숯에 가득한 이 미네랄 성분은 피부를 건강하게 바꿔준다. 목욕을 할 때 욕조 속에 숯을 넣어 두면 수돗물에 있는 염소, 클로로칼키 등 유해 불순물을 흡착하여 냄새제거와 물의 정화뿐만 아니라 숯에 함유된 풍부한 미네랄이 녹아 알칼리성화 된 목욕물로 온천욕을 한 것처럼 피부가 부드럽고 윤기가 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숯과 점토 또는 지점토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분말 상태가 아닌 점토 또는 지점토와 450∼600메쉬(mesh)의 백탄 분말을 1 : 1∼4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잘 반죽시킨다. 이때, 상기 백탄 분말의 입자크기가 450메쉬 미만이면 최종 제품의 표면이 거치어서 질감이 떨어지고, 600메쉬를 초과하면 점토와 잘 혼합되지 않 아 결합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토 또는 지점토는 분말 상태가 아닌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분말 상태가 아닌 반죽된 점토나 지점토가 숯 백탄 가루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분말 상태가 아닌 점토 또는 지점토에 대한 상기 백탄 분말의 혼합비가 1 미만이면 숯 백탄에 따른 고유 기능성의 발휘가 어렵고, 4를 초과하면 점토 또는 지점토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 다음, 상기 반죽물은 도 1 및 2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전자레인지 부착 장식물과 TV나 컴퓨터 앞에 놓는 인테리어 소품, 또는 핸드폰 고리, 머리핀, 브로치, 반지, 목걸이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성형물은 140∼160℃의 전기오븐에서 5∼15분간 가열하여 본 발명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를 제조하는데, 상기 성형 온도가 140℃ 미만이면 제품의 강도가 약하고, 160℃를 초과하면 제품의 표면이 갈라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가열시간이 5분 미만이면 역시 제품의 강도가 약하고, 15분을 초과하면 표면이 타거나 갈라지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8∼10분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죽 단계에서, 상기 반죽물에 0.001∼0.1중량%의 허브 향, 0.01∼0.5중량%의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 향은 라벤더, 페퍼민트, 레몬, 캐모마일, 재스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해바라기, 포도씨 등의 식물성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허브 향은 상기 반죽물에 첨가되어 아로마틱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 0.001중량% 미만에서는 첨가효과가 거의 없고, 0.1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식물성 오일은 반죽 효과를 높여 최종 제품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고, 0.01중량% 미만에서는 첨가효과가 거의 없고, 0.5중량%를 초과하면 전기 오븐에서 제품을 가열할 때 오일이 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숯 백탄 가루가 분말상이 아닌 점토와 혼합시킨 적이 없으며, 점토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므로 숯 백탄의 검증된 다양한 효능이 변하지 않아 과학적이다. 아울러, 기존의 숯 장신구는 고가의 제품으로(개당 약 10만원 정도) 대중화가 어렵고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다. 기존의 오븐 세라믹 제조기법을 활용하여 제작되므로 약간의 기법만 습득하면 가정에서 손쉽게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참숯 백탄을 약 500mesh로 분쇄한 가루 200g과 세라믹 점토 100g을 가지고 완전히 검은 색을 나타낼 때까지 혼합하고 충분히 반죽하여 참숯 백탄 세라믹 점토의 반죽물을 만든다.
상기 반죽물을 이용하여 도 1과 같은 형상을 갖는 장신구를 제작하여 그늘에 말린 다음, 장신구의 자연미를 살려 그림을 그린 후, 약 150℃의 오븐에서 10분간 구워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2
참숯 백탄을 약 500mesh로 분쇄한 가루 200g과 지점토 100g을 가지고 완전히 검은 색을 나타낼 때까지 혼합하고 충분히 반죽하여 참숯 백탄 지점토의 반죽물을 만든다.
상기 반죽물을 이용하여 도 2와 같은 형상을 갖는 인테리어 소품을 제작하여 그늘에 말린 다음, 인테리어 소품의 자연미를 살려 그림을 그린 후, 약 150℃의 오븐에서 8분간 구워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을 제작하였다.
실시 예 3
참숯 백탄을 약 500mesh로 분쇄한 가루 200g과 점토 100g을 가지고 완전히 검은 색을 나타낼 때까지 혼합하고, 여기에 라벤더 향 0.1g과 올리브 오일 0.3g을 첨가하여 충분히 반죽하여 참숯 백탄 점토의 반죽물을 만든다.
상기 반죽물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형상을 갖는 장신구를 제작하여 그늘에 말린 다음, 장신구의 자연미를 살려 그림을 그린 후, 약 150℃의 오븐에서 8분간 구워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제품들은 도 1 내지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순한 모양의 기존 장식 참숯(부작)작품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이고 내구성이 강하며, 외양이 아름다워 미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실시 예 3에 따른 제품은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여 부가적 인 아로마 치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이온 증가 효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 유해전자파 차단효과, 공기정화, 탈취, 정수, 방부효과가 있는 숯 백탄 가루의 장점을 살린 숯 백탄 지점토 제품을 제조하여 냉장고, 전자레인지 부착 장식물과 TV나 컴퓨터 앞에 놓는 인테리어 소품을 만들고, 숯 백탄 세라믹 점토를 제조하여 핸드폰 고리, 머리핀, 브로치, 반지, 목걸이 등으로 제작하여 몸에 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라 제조된 장신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소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라 제조된 장신구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2)

  1. 반죽된 점토 또는 지점토와 450∼600메쉬(mesh)의 백탄 분말을 1 : 1∼4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잘 반죽시키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140∼160℃의 전기오븐에서 5∼15분간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죽 단계에서, 상기 반죽물에 0.001∼0.1중량%의 허브 향, 0.01∼0.5중량%의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욱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20070119797A 2007-11-22 2007-11-22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092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797A KR100929766B1 (ko) 2007-11-22 2007-11-22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797A KR100929766B1 (ko) 2007-11-22 2007-11-22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125A KR20090053125A (ko) 2009-05-27
KR100929766B1 true KR100929766B1 (ko) 2009-12-03

Family

ID=4086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797A KR100929766B1 (ko) 2007-11-22 2007-11-22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7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520A (ko) * 1997-01-27 1997-04-28 김종운 폐기 페라이트 코어를 활용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의 제조방법
KR20020003417A (ko) * 2000-06-23 2002-01-12 양경선 숯이 함유된 도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520A (ko) * 1997-01-27 1997-04-28 김종운 폐기 페라이트 코어를 활용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의 제조방법
KR20020003417A (ko) * 2000-06-23 2002-01-12 양경선 숯이 함유된 도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125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8003A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新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16739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KR101237700B1 (ko)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KR100864640B1 (ko) 음식물 구이용 맥반석 패드
KR20020097322A (ko) 바이오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KR100929766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20070018750A (ko) 가구용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200326158Y1 (ko)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210122326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함유하고 편백추출액으로 코팅된 건축용 마감재
KR101880800B1 (ko) Em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90103474A (ko) 기공을 살린 운모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KR20120089030A (ko) 황토 몰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KR100929983B1 (ko) 유해파 차단(중화), 뇌파안정 및 생체리듬 활성화 증강 장신구 내장재 제품
KR100550647B1 (ko) 숯이 수용성 함침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5464A (ko) 장식용 서적 및 그 제조방법
KR102134164B1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포함한 건축 마감재 제조방법
KR100690075B1 (ko)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KR200380146Y1 (ko) 건강식 훈제요리용 용기
KR20040105655A (ko)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성물
KR100460775B1 (ko) 입욕제팩
KR19990064712A (ko) 숯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는 고형물 제조방법 및 그 고형물
KR100540384B1 (ko) 약리작용이 있는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