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491B1 -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491B1
KR100929491B1 KR1020070096014A KR20070096014A KR100929491B1 KR 100929491 B1 KR100929491 B1 KR 100929491B1 KR 1020070096014 A KR1020070096014 A KR 1020070096014A KR 20070096014 A KR20070096014 A KR 20070096014A KR 100929491 B1 KR100929491 B1 KR 10092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cket
address
wireless internet
appl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607A (ko
Inventor
진성일
박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9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4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은, 자동 접속시킬 이동 단말이 패킷망에 접속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접속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자동 접속시킬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패킷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96014
이동통신, 단말, 브라우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IP 패킷, URL, IP 주소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AUTOMATIC CONNECTION SERVICE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 인터넷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망(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이동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하는 중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예컨대, 영화, 비디오, 실시간 TV, 각종 뉴스, 벨소리 등 다양한 콘텐츠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대부분 이동 단말의 직접 접속에 의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즉, 사용자가 직접 이동 단말의 무선 브 라우저를 구동하여 URL을 입력하여 응용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용자 측면에서는 매번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무선 브라우저를 직접 구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콜백 URL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동 단말에 콜백 URL이 포함된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SMS 메시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SMS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 키, 또는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SMS 메시지에 포함된 URL에 자동 접속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을 직접 입력하지는 않지만 접속 시작을 위해 소정의 키 버튼을 눌러야 한다. 다시 말하면, 무선 인터넷 접속이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동 단말이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착신형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KTF에서 제공하는 네이버 팝업(POP-UP) 서비스가 그 예이다. 이러한 착신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에 소정의 단말 플랫폼(예컨대, KTF의 멀티팩 플랫폼)을 설치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만 한다. 상기 네이버 팝업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폴더를 여는 경우, 이동 단말의 멀티팩 플랫폼에 설치된 네이버 팝업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네이버 서버에 접속하여 각종 무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착신형 서비스는 사실상 사용 자가 직접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과 동일하고, 각 서비스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 단말에 전용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범용적인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착신형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은, 자동 접속시킬 이동 단말이 패킷망에 접속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접속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자동 접속시킬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패킷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무선 인터넷으로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시스템은, 이동 단말에 IP 주소를 할당하여 이동 단말과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패킷 노드; 상기 패킷 노드에 서 할당한 상기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 관리하는 IP 위치 기반 서버; 및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 단말에 대한 자동 접속 요청시, 상기 IP 위치 기반 서버에서 상기 특정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확인하여 패킷망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인 경우 상기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패킷 노드를 통해 상기 특정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의 특정 응용 서버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무선망 처리부; 상기 무선망 처리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패킷 수신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패킷 수신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인터넷 주소를 추출하고 무선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주소 추출부; 및 상기 주소 추출부로부터의 무선 브라우저 구동 신호에 따라 무선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주소 추출부에서 추출된 인터넷 주소에 자동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이동 단말을 무선 인터넷망의 특정 서버에 접속시킴으로써,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서비스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많은 방식의 서비스에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범용 브라우저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CDMA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101), 기지국(BTS)(102), 기지국 제어기(BSC)(103), PCF(104), PDSN(105), AAA 서버(107), 게이트웨이(108), 응용 서버(110) 및 인증 서버(112)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01)은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탑재한 것으로, 상시 접속(Always on)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패킷망에 접속하여 접속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101)은 단말에 전원이 켜지면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PDSN(105)과 PPP 협상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아 상시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 단말(101)은 상시 접속 상태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응용 서버(110)로의 자동 접속을 지시 하는 IP 패킷 수신시 상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자동 구동하여 응용 서버(110)에 접속하여 응용 서버(110)로부터 관련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기지국(BTS)(102)은 무선 신호 송수신, 무선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기저대역 신호처리, 다이버시티(공간), 무선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103)는 기지국(102)과의 정합, 셀간 핸드오버 처리, 호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103)는 여러 개의 기지국(102)을 제어한다.
PCF(Packet Control Function)(104)는 A8/A9 및 A10/A11 인터페이스를 처리한다. 즉, PCF(104)는 기지국 제어기(103)와 PDSN(105) 사이의 패킷 전송을 처리한다.
PDSN(Packet Data Service Node)(105)은 무선 네트워크와 고정 네트워크 간의 패킷 전달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고 영역 내 이동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며, 또한 PCF(104)을 통해서 기지국(102)과 통신하여 이동 단말(101)과 PPP 협상을 통해 세션을 설정하고 이동 단말(101)로 IP 주소를 할당한다.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107)는 사용자 인증, 권한 검증 및 과금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상기 PDSN(105)과 IP 백본망(106)으로 연결된다.
IP 위치 기반 서버(111)는 이동 단말(101)에 할당된 IP 주소와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으로, PDSN(105)과 IP 백본망(106)으로 연결된다 .
게이트웨이(108)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109)을 상호 연동하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응용 서버(110)로부터 이동 단말(101)에 대한 자동 접속 요청을 받으면 해당 이동 단말(101)의 IP 주소를 상기 IP 위치 기반 서버(111)에서 획득하고, AAA 서버(107)를 통해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101)의 IP 주소를 획득하고 인증을 완료한 후 게이트웨이(108)는 상기 PDSN(105) 및 PCF(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IP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IP 패킷에는 응용 서버(110)의 URL(또는 IP 주소) 및 해당 패킷이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패킷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응용 서버(110)는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인터넷 포털 서버와 같이 무선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응용 서버(110)는 일반 포털 서버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서버가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응용 서버(110)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통신 가입, 해지, 변경, 사용요금 조회, 요금제 변경 등의 각종 고객 센터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인증 서버(112)는 상기 응용 서버(110)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를 위해 인증 서버(112)는 응용 서버(110)의 URL 및 가입자의 이동 단말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저장 관리하고, 게이트웨이(108)로부터 어느 한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가 응용 서버(110)의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게이트웨이(108)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도 2는 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IP 할당 및 등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 단말(101)은 상시 접속(Always on)의 초기 단계로서 기지국과 무선 링크 설정을 완료한 후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을 경유하여 PCF(104)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세션(session)을 설정한다(S201). 세션을 설정한 후, 이동 단말(101)은 PDSN(105)과 PPP(Point to Point Protocol connection) 연결을 수행한다(S203). 이 과정에서 PDSN(105)은 AAA 서버(107)로 이동 단말(101)의 인증을 위한 접속 요청(Acces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205),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AA 서버(107)는 이동 단말(101)의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 응답(Access Response) 메시지를 이동 단말(101)로 전송한다(S207). 상기 접속 응답(Access Response) 메시지는 상시 접속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서 이동 단말(101)에 IP 주소가 할당되고 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101)과 PDSN(105) 사이에 PPP 접속이 설정된다.
이어서, PDSN(105)은 IP 위치 기반 서버(IPLS:Internet Protocol Location Server)(111)로 이동 단말(101)이 할당받은 IP의 등록을 요청(IP Update request)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209, S211). 이때, PDSN(105)은 IP 위치 기반 서버(111)로 IP의 등록을 요청할 때 이동 단말(101)이 할당받은 IP 주소와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함께 전송하여 등록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이동 단말(101)은 무선 데이터 채널에 상시 접속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상시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이 IP 주소를 할당받아 무선 데이터망에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110)는 어느 한 이동 단말(101)을 해당 응용 서버(110)에 자동 접속시키기 위해 게이트웨이(108)로 상기 이동 단말(101)에 대한 자동 접속을 요청한다(S301). 이때, 응용 서버(110)는 게이트웨이(108)로 응용 서버의 URL과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전송한다.
게이트웨이(108)는 상기 응용 서버(110)가 자동 접속 요청한 이동 단말(101)의 IP 주소를 IP 위치 기반 서버(111)로 문의한다(S303). 즉, 게이트웨이(108)는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를 IP 위치 기반 서버(111)로 전송하며 IP 주소를 문의한다. IP 위치 기반 서버(111)는 게이트웨이(108)로부터 전송된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내부 DB에서 이동 단말(101)의 IP 주소를 조회하고 그 조회한 IP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108)로 전송한다(S305). IP 위치 기반 서버(111)로부터 IP 주소를 획득하는 경우 게이트웨이(108)는 이동 단말(101)이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획득한 게이트웨이(108)는, 인증 서버(112)로 응용 서버(110)의 URL 및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문의한다(S307). 인증 서버(112)는 게이트웨이(108) 로부터 전송된 응용 서버(110)의 URL과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가 상기 응용 서버(11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게이트웨이(108)로 응답한다(S309). 추가적으로, 인증 서버(111)는 응용 서버(110)가 자동 접속 요청한 이동 단말(101)이 무선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게이트웨이(108)로 응답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8)는 인증 서버(112)의 응답을 분석하여 응용 서버(110)로 자동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311). 응용 서버(110)로 전송되는 자동 접속 요청 응답에는 이동 단말(101)의 자동 접속이 가능하지 여부에 대한 결과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응용 서버(110)로 자동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 후, 게이트웨이(108)는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시 접속 상태(Always on)인 이동 단말(101)로 자동 접속을 위한 IP 패킷을 전송한다(S313). 즉, 게이트웨이(108)는 이동 단말의 IP 주소, 응용 서버(110)의 URL 및 해당 IP 패킷이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패킷임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PDSN(105)을 통해 이동 단말(101)로 전송한다.
상기 자동 접속을 위한 IP 패킷을 수신한 이동 단말(101)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라 내부에 탑재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고(S315)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URL에 자동 접속하여 응용 서버(110)로부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317).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단계 S305에서 IP 위치 기반 서버(111)로부터 이동 단말(101)의 IP 주소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게이트웨이(108)는 이동 단말(101)이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IP 패킷 대신 자동 접속을 위한 메시지(MMS 또는 SMS)를 이동 단말(101)로 전송한다. 즉, 게이트웨이(108)는 응용 서버(110)의 URL과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하며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SMS 발신을 요청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응용 서버(110)의 URL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단문 메시지에 해당 단문 메시지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이동 단말(101)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101)은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에서 URL을 추출하고 단말 내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101)은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메시지 수신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하지 않고 또한 메시지 수신함에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이와 같이 URL을 추출하여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시킨 이동 단말(101)은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패킷 노드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추출한 URL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로 응용 서버(110)에 접속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CDMA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 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401), 기지국(NodeB)(402), 기지국 제어기(RNC)(403), SGSN(404), GGSN(405), AAA 서버(407), 게이트웨이(409), 응용 서버(411) 및 인증 서버(412)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401)은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탑재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의 패킷망에 접속하여 상시 접속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401)은 단말에 전원이 켜지면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405)으로부터 PDP(Packet Data Protocol) 주소(즉, IP 주소)를 할당받아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 단말(401)은 PDP 주소를 할당받아 무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응용 서버(411)로의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IP 패킷 수신시 상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자동 구동하여 응용 서버(411)에 접속하여 응용 서버(411)로부터 관련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기지국(Nodeb)(402)은 무선 신호 송수신, 무선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기저대역 신호처리, 다이버시티(공간), 무선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RNC)(403)은 기지국(402)과의 정합, 셀간 핸드오버 처리, 호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404)은 관리 영역 안에 들어있는 이동 단말(401)이 보내는 또는 이동 단말(401)로 향하는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SGSN(404)이 수행하는 기능에는, 패킷 라우팅 및 전달, 이동성 관리(attach, detach, 위치 관리(location management), 논리적 링크 관리 등이 포함된다. 관리 영역 안에 들어있는 이동 단말(401)에 대한 위치 정보(현재 셀, 현재 VLR), 사용자 프로파일(IMSI, PDN에서 사용하는 주소) 등은 SGSN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GGSN(405)는 무선 백본(backbone) 네트워크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고, PDP 활성화 절차를 통해 이동 단말(401)로 PDP 주소를 할당하여 세션을 설정한다. SGSN(404)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은 GGSN(405)을 통해 적절한 PDP(Packet Data Protocol) 형식으로 바뀌어 상대방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 보내진다. 역으로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된 패킷은 그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GGSN(405)은 사용자 프로파일과 함께 사용자의 현재 SGSN 정보를 같이 저장한다.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407)는 사용자 인증, 권한 검증 및 과금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상기 GGSN(405)과 IP 백본망(406)으로 연결된다.
IP 위치 기반 서버(408)는 이동 단말(401)에 할당된 PDP 주소(즉, IP 주소)와 이동 단말(101)의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으로, GGSN(405)과 IP 백본망(406)으로 연결된다 .
게이트웨이(409)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410)을 상호 연동하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응용 서버(411)로부터 이동 단말(401)에 대한 자동 접속 요청을 받으면 해당 이동 단말(401)의 IP 주소를 상기 IP 위치 기반 서버(408)에서 획득하고, AAA 서버(407)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401)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401)의 IP 주소를 획득하고 인증을 완 료한 후 게이트웨이(409)는 상기 GGSN(405) 및 SGSN(404)을 통해 이동 단말(401)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IP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IP 패킷에는 응용 서버(411)의 URL(또는 IP 주소) 및 해당 패킷이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패킷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응용 서버(411)는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도 1의 응용 서버(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인증 서버(412)는 상기 응용 서버(411)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를 위해 인증 서버(412)는 응용 서버(411)의 URL 및 가입자의 이동 단말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저장 관리하고, 게이트웨이(409)로부터 어느 한 이동 단말(401)의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401)의 사용자가 응용 서버(411)의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게이트웨이(409)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도 5는 W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IP 할당 및 등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401)은 WCDMA망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SGSN(404)과의 링크를 생성한다(S501). 즉, GPRS Attach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401)은 SGSN(404)과의 링크를 생성한다. SGSN(404)은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가져와 복사 저장한다. 이러한 GPRS Attach 과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GPRS Attach 과정을 마친 후 이동 단말(401)은 GGSN(405)과의 통 신 세션(Session)을 설정하여 PDP 주소, 즉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IP 주소의 할당 과정은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 활성화(Context Activation)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동 단말(401), SGSN(404) 및 GGSN(405)에는 PDP 타입(예를 들어 IPv4), 이동 단말(401)에 부여된 PDP 주소(예를 들어 129.187.222.10), QoS 프로파일,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접속 지점 역할을 하는 GGSN 주소 등을 포함하는 PDP 콘텍스트(Context)가 저장된다. PDP 콘텍스트가 활성화(activation)되면, 이때부터 이동 단말(401)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접근이 가능해지며 패킷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401)은 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SGSN(404)으로 전송(PDP Type=IPv6, PDP Address = 0)하여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요청한다(S503). 이동 단말(401)과 무선 접속망 및 SGSN(404) 간 무선 자원 RAB(Radio Access Beare) 할당 절차기 이루어지고, SGSN(404)은 DNS(Domain Name Server) 기능을 수행하여 GGSN(405) 주소를 선택하고 해당 GGSN(405)으로 Cre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S505). 이 메시지를 전달받은 GGSN(405)은 PDP 콘텍스트 테이블에 새로운 엔트리(entry)를 추가한다. 이 엔트리 정보는 GGSN(405)이 SGSN(404)과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할 때 참조된다.
GGSN(405)은 AAA 서버(407)로 Access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이동 단말(401)의 인증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인증 응답으로 Access Response를 수신한다(S507, S509). 이어서, GGSN(405)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Cre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SGSN(404)으로 송신하고(S511), SGSN(404)은 자신의 PDP 콘텍스트 테이블 정보를 갱신하고 새로운 PDP 콘텍스트가 활성화되었음을 이동 단말(401)에게 Activ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사용해 알린다(S513). 이동 단말(401)은 Activ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유지한다.
한편, 이동 단말(401)의 IP 주소를 할당한 GGSN(405)은 IP 위치 기반 서버(408)로 이동 단말(401)이 할당받은 IP의 등록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515, S517). 이때, GGSN(405)은 IP 위치 기반 서버(408)로 IP의 등록을 요청할 때 이동 단말(401)이 할당받은 IP 주소와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함께 전송하여 등록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이동 단말(401)은 무선 데이터 채널에 상시 접속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상시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도 5를 참조한 이동 단말(401)의 IP 할당 과정은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된 하나의 예로서, 도 5를 참조한 과정 이외 이동 단말(401)이 IP 주소를 할당받아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함을 분명히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이 IP 주소를 할당받아 무선 데이터망에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 버(411)는 어느 한 이동 단말(401)을 자동 접속시키기 위해 게이트웨이(409)로 상기 이동 단말(401)에 대한 자동 접속을 요청한다(S601). 이때, 응용 서버(411)는 게이트웨이(409)로 해당 응용 서버(411)의 URL과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예컨대, IMSI)를 전송한다.
게이트웨이(409)는 상기 응용 서버(411)가 자동 접속 요청한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IP 위치 기반 서버(408)로 문의한다(S603). 즉, 게이트웨이(409)는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IP 위치 기반 서버(408)로 전송하며 IP 주소를 문의한다. IP 위치 기반 서버(408)는 게이트웨이(409)로부터 전송된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내부 DB에서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조회하고 그 조회한 IP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409)로 전송한다(S605). IP 위치 기반 서버(408)로부터 IP 주소를 획득하는 경우 게이트웨이(409)는 이동 단말이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동 단말(401)의 IP 주소를 획득한 게이트웨이(409)는, 인증 서버(412)로 응용 서버의 URL 및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 단말(401)의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문의한다(S607). 인증 서버(412)는 게이트웨이(409)로부터 전송된 응용 서버의 URL과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401)의 사용자가 상기 응용 서버(411)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게이트웨이(409)로 응답한다(S609). 추가적으로, 인증 서버(412)는 응용 서버(411)가 자동 접속 요청한 이동 단말(401)이 무선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게이트웨이(409)로 응답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9)는 인증 서버(412)의 응답을 분석하여 응용 서버(411)로 자 동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611). 응용 서버(411)로 전송되는 자동 접속 요청 응답에는 이동 단말(401)의 자동 접속이 가능하지 여부에 대한 결과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응용 서버(411)로 자동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 후, 게이트웨이(409)는 이동 단말(401)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시 접속 상태(Always on)인 이동 단말(401)로 자동 접속을 위한 IP 패킷을 전송한다(S613). 즉, 게이트웨이(409)는 이동 단말의 IP 주소, 응용 서버(411)의 URL 및 해당 IP 패킷이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패킷임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GGSN(405)를 통해 이동 단말(401)로 전송한다.
상기 자동 접속을 위한 IP 패킷을 수신한 이동 단말(401)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라 내부에 탑재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고(S615)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URL에 자동 접속하여 응용 서버(411)로부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617).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단계 S605에서 IP 위치 기반 서버(408)로부터 이동 단말(401)의 IP 주소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게이트웨이(409)는 이동 단말(401)이 상시 접속(Always on)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IP 패킷 대신 자동 접속을 위한 메시지(MMS 또는 SMS)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즉, 게이트웨이(409)는 응용 서버(411)의 URL과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하며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SMS 발신을 요청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응용 서버(411)의 URL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단문 메시지에 해당 단문 메시지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이동 단말(401)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401)은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에서 URL을 추출하고 단말 내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401)은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메시지 수신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하지 않고 또한 메시지 수신함에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이와 같이 URL을 추출하여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시킨 이동 단말(401)은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패킷 노드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추출한 URL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로 응용 서버(411)에 접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무선망 처리부(710), IP 패킷 수신부(720), 일반 IP 패킷 처리부(730), URL 추출부(740) 및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를 포함한다.
무선망 처리부(710)는 CDMA/WCDMA망의 무선 신호를 처리한다. 즉,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접속하여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무선망 처리부(710)는 이동통신망의 패킷 노드(PDSN, GGSN)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이동통신망의 패킷망에 상시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IP 패킷 수신부(720)는 상기 무선망 처리부(710)에서 처리된 IP 패킷을 수신한다. 또한, IP 패킷 수신부(720)는 상기 무선망 처리부(710)에서 처리된 IP 패킷의 특정 필드를 검사하여 해당 IP 패킷이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패킷인지 판별한다.
예컨대, 특정 필드에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IP 패킷 수신부(720)는 수신 패킷이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위한 패킷으로 판단한다. IP 패킷 수신부(720)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위한 패킷은 URL 추출부(740)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패킷은 일반 IP 패킷 처리부(730)로 전달한다.
일반 IP 패킷 처리부(730)는 상기 IP 패킷 수신부(720)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일반적인 패킷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로 전달한다. 일반 IP 패킷의 수신은 사용자가 이미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였기 때문에 수신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처리된다.
URL 추출부(740)는 상기 IP 패킷 수신부(720)로부터 전달된 패킷 내 URL을 추출하고, 그 추출한 URL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로 전달한다.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는 모바일 플랫폼 및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상기 URL 추출부(740)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신호에 따라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URL 추출부(740)로부터 전달된 URL에 자동 접속 한다. 즉,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는 무선망 처리부(710)를 통해 상기 추출된 URL에 대응하는 응용 서버(180)에 자동 접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시 접속 상태인 이동 단말의 IP 패킷 수신부(72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어 무선망 처리부(710)에서 처리된 IP 패킷을 상기 무선망 처리부(710)로부터 수신한다(S801).
IP 패킷을 수신한 IP 패킷 수신부(720)는, 상기 수신된 IP 패킷에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803).
상기 수신된 IP 패킷에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IP 패킷 수신부(720)는 상기 수신된 IP 패킷을 일반 IP 패킷으로 판단하여 일반 IP 패킷 처리부(730)에 전달한다. 일반 IP 패킷 처리부(730)는 상기 IP 패킷 수신부(720)로부터 전달된 IP 패킷을 일반적인 IP 패킷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S811).
한편, 상기 수신된 IP 패킷에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IP 패킷 수신부(720)는 상기 수신된 IP 패킷을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위한 IP 패킷으로 판단하여 URL 추출부(740)로 전달하고, 상기 URL 추출부(740)는 상기 수신된 IP 패킷 내에 포함된 URL을 추출한다(S805).
이어서, URL 추출부(740)는 상기 추출한 URL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로 전달하고,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는 구동 신호에 따라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한다(S807). 그리고 무선 인터넷 처리부(750)는 상기 구동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추출한 URL에 자동 접속한다(S809).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CDMA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IP 할당 및 등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CDMA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W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IP 할당 및 등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동 단말 104 : PCF
105 : PDSN 108 : 게이트웨이
110 : 응용 서버 111 : IP 위치 기반 서버

Claims (11)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방법으로서,
    (a) 자동 접속시킬 이동 단말이 패킷망에 접속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접속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자동 접속시킬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패킷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패킷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브라우저를 구동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패킷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이동 단말의 IP 주소 등록 유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응용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자동 접속시킬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및
    작성된 SMS 메시지에 해당 메시지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부가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6. 이동통신망에서 무선 인터넷으로 이동 단말을 응용 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이동 단말에 IP 주소를 할당하여 이동 단말과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패킷 노드;
    상기 패킷 노드에서 할당한 상기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 관리하는 IP 위치 기반 서버; 및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 단말에 대한 자동 접속 요청시, 상기 IP 위치 기반 서버에서 상기 특정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확인하여 패킷망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인 경우 상기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와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패킷 노드를 통해 상기 특정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이동 단말이 상기 응용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P 위치 기반 서버는, 이동 단말의 IP 주소와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대응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IP 위치 기반 서버로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특정 이동 단말이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응용 서버의 인터넷 주소 및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특정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의 특정 응용 서버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로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무선망 처리부;
    상기 무선망 처리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패킷 수신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패킷 수신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인터넷 주소를 추출하고 무선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주소 추출부; 및
    상기 주소 추출부로부터의 무선 브라우저 구동 신호에 따라 무선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주소 추출부에서 추출된 인터넷 주소에 자동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주소는,
    URL, IP 주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070096014A 2007-09-20 2007-09-20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KR10092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014A KR100929491B1 (ko) 2007-09-20 2007-09-20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014A KR100929491B1 (ko) 2007-09-20 2007-09-20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607A KR20090030607A (ko) 2009-03-25
KR100929491B1 true KR100929491B1 (ko) 2009-12-03

Family

ID=4069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014A KR100929491B1 (ko) 2007-09-20 2007-09-20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402B1 (ko) * 2010-06-29 2017-01-1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망에서의 응용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42590B1 (ko) * 2010-11-15 2013-03-1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7A (ko) * 2002-10-29 2004-05-07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경로 선택장치
KR20060061524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상시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060091429A (ko) * 2005-02-15 2006-08-21 주식회사 케이티에프엠하우스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구동 프로그램의 자동수신 및 자동구동 이동 통신 단말기,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6388B1 (ko) 2006-03-21 2007-03-19 주식회사 엠닥스 이동통신 장치의 진단 모니터 포트를 이용한 웹사이트자동접속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7A (ko) * 2002-10-29 2004-05-07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경로 선택장치
KR20060061524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상시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060091429A (ko) * 2005-02-15 2006-08-21 주식회사 케이티에프엠하우스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구동 프로그램의 자동수신 및 자동구동 이동 통신 단말기,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6388B1 (ko) 2006-03-21 2007-03-19 주식회사 엠닥스 이동통신 장치의 진단 모니터 포트를 이용한 웹사이트자동접속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607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10B1 (ko) 패킷 스위칭 도메인에서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EP210428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bearer connection
JP346449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用のアクセス制御方法
EP2296341B1 (en) Method for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US20010015977A1 (en) Selective reception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US9584466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and various corresponding equipment items
WO2010133107A1 (zh) 家用基站网关转发消息至家用基站的方法及系统
US7440439B2 (en) Method of inquiring
EP1219080B1 (en) Transfer of packet data from a network server to a mobile station over a digital radio communication network
JP4497555B2 (ja) ダイヤルアップ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効率的なIPv6用IPアドレス割当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929491B1 (ko)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JP4726860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パケット転送方法
KR10088099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그널링을 제외한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과금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70238242A1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KR20040049189A (ko)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KR100388487B1 (ko) 3세대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네트워크를 방문한 인터넷서비스 가입자 단말에게 동적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78721B1 (ko)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적 ip 주소를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1225747B1 (en) Originator authentication
KR100830442B1 (ko) 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P12257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reception of packet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396923B1 (ko)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아이피주소 할당과 인증처리를 위해 필요한 게이트웨이 노드와아이에스피망 사이의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WO2002037772A1 (en) Packet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42493A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비동기 망에서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01161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