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997B1 -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997B1
KR100928997B1 KR1020080113546A KR20080113546A KR100928997B1 KR 100928997 B1 KR100928997 B1 KR 100928997B1 KR 1020080113546 A KR1020080113546 A KR 1020080113546A KR 20080113546 A KR20080113546 A KR 20080113546A KR 100928997 B1 KR100928997 B1 KR 10092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hole
casing
guid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영
Original Assignee
장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영 filed Critical 장준영
Priority to KR102008011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47B57/045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지지체의 적어도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어 그 단부의 원주방향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토록 힌지축의 둘레에 고저차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이 스프링을 개재하여 회전및 복원토록 연결되는 케이싱에는 고정홈과 가이드홀에 양측이 각각 지지되면서 피봇을 중심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브라켓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재는 가이드홀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유지토록 압축스프링이 구비되면서 고정홈과 가이드홀에 각각 대응되는 스토퍼와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선반이나 의자등의 지지체에서 올려놓은 중량물을 들거나 일어설 경우 지지체가 자동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브라켓부재, 가이드홀, 지지돌기, 피봇

Description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a device for automatic revolution the suppor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지지체로 사용되는 선반이나 의자 등에서 올려놓은 물건을 들거나 앉아있는 사용자가 일어설 경우 지지체가 자동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등의 공중화장실이나 빌딩등의 화장실은 사용자의 물건등을 올려놓도록 선반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변기등의 상부에 턱을 형성하여 물건등의 보관장소를 확보토록 하였다.
그리고, 화장실 도어의 내측에 별도의 선반등을 설치할 수 있으나 장소가 협소하여 좌변기등에서는 별도의 선반을 설치하지 못하였으며, 이를 보완토록 공간 형성이 가능한 경우 좌변기의 후방에 별도의 턱을 형성하여 물건등의 보관장소를 확보토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선반이나 턱은, 사용자가 물건등을 소지한 상태에서 물건등을 선반등에 올려놓은 후 용변을 처리할 때 물건등을 선반이나 턱 등에 그대로 올려놓고 나가 버려 빈번한 분실사고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별도의 선반을 설치할 경우 앉고 일어서는데 사용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하철 승강장이나 극장등에 사용되는 의자는, 미 사용시 무게중심에 의해 의자가 자동절첩토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역시 의자의 무게중심점에 의자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의자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돌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주변과의 빈번한 간섭이 발생되어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노출에 의한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반이나 의자등의 지지체에서 올려놓은 중량물을 들거나 일어설 경우 지지체가 자동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체를 선반등에 사용할 경우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지지체가 정위치에서 회전하여 지지체가 이탈될 염려가 없도록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체의 적어도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어 그 단부의 원주방향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토록 힌지축의 둘레에 고저차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이 스프링을 개재하여 회전및 복원토록 연결되는 케이싱에는 고정홈과 가이드홀에 양측이 각각 지지되면서 피봇을 중심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브라켓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재는 가이드홀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유지토록 압축스프링이 구비되면서 고정홈과 가이드홀에 각각 대응되는 스토퍼와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노출에 의한 간섭 현상을 방지하고, 선반이나 의자등의 지지체에서 올려놓은 중량물을 들거나 사용자가 일어설 경우 지지체가 자동으로 접히도록 되어 그 사용이 용이하며, 상기 지지체를 선반등에 사용할 경우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지지체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시스템의 위치결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가이드홀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이다.
본 발명은, 의자나 선반등에 사용토록 되는 지지체(100)의 적어도 일단에 힌지축(110)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10)에는 그 단면의 지름에 원주방향 따라 함몰 형성되면서 하기의 스토퍼가 삽입될 때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힌지축(110)의 단면 지름에 접촉되는 스토퍼(310)가 회전되는 힌지축(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리는 호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고정홈(1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10)의 원주방향 일측에 상기 고정홈(115)과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고정홈(115)에 일단이 지지되는 브라켓부재(330)의 타단이 지지토록 하면서 상기 브라켓부재(3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토퍼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토록 되는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상기 브라켓부재(330)의 타단에 연결되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17)의 일측에 동작부(H)가 돌출 형성된다.
즉, 하기의 피봇(230)을 중심으로 양측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브라켓부재(300)의 일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홀(117)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일측에 일정높이로서 돌출되는 동작부(H)에 의해 상승할 때 브라켓부재(300)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토퍼(310)가 고정홈(115)에 삽입토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17)은, 루프형상으로 하기의 지지돌기가 반복하여 순환하도록 형성되고, 호형상으로 외경(117a)측이 그리는 외측모서리중심(117a-1)이 내경(117b)이 그리는 내측모서리중심(117b-1)에서 각각 편심(E)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110)은, 비틀림스프링(250)을 개재하여 일측으로의 회전시 타측으로의 복원력이 작용토록 케이싱(200)의 장착홀(210)에 탄성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케이싱에(200)에는 고정홈(115)과 가이드홀(117)에 각각 대응되어 동작되는 스토퍼(310)와 가이드돌기(330)를 구비하면서 피봇(230)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승강 및 하강하도록 하는 브라켓부재(30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홀(117)으로의 밀착력이 작용토록 일측에 압축스프링(3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홀(117)을 따라 가이드돌기(330)가 용이하게 진행토록 브라켓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되는 가이드판(333)에 가이드돌기(33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이나 구조물등에 일체로 고정되는 케이싱(200)의 장착홀(210)에 지지체(100)의 일측에 연장되는 힌지축(11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15) 및 가이드홀(117)에는 케이싱(200)의 내측에 피봇(230) 연결되어 고정홈 또는 가이드홀측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미리 연결되는 브라켓부재(300)의 스토퍼(310) 및 가이드돌기(330)가 각각 위치토록 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15)과 가이드홀(117)에 각각 대응되는 브라켓부재(300)의 스토퍼(310)와 가이드돌기(330)는 압축스프링(350)의 동작에 의해 가이드홀(117)측에 가이드돌기(330)가 항상 밀착될 때 상기 스토퍼(310)는 고정홈(115)에서 분리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330)는 가이드홀(117)의 일측에 형성되는 동작부(H)에 위치할 때는 가이드홀(117)에서 돌출되는 동작부(H)의 높이에 대응되는 만큼 브라켓부재(300)의 가이드돌기(330)를 상향시켜 브라켓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토퍼(310)를 하향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케이싱(200)에 고정되면서 브라켓부재에 연결되는 스토퍼(310)가 고정홈(115)에 삽입되어 힌지축(110)이 케이싱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돌기(3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17)은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호형상으로 힌지축(1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관없이 가이드돌기(330)가 가이드홀(117)을 따라 연속하여 동일 방향으로 순환 이동토록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17)의 외경(117a)이 그리는 외측모서리중심(117a-1)이 내경(117b)이 그리는 내측모서리중심(117b-1)에서 각각 편심(E) 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홀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방향으로만 연속하여 회전토록 된다.
즉, 본 발명의 지지체(100)를 물건등을 올려 놓기 위해 하향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330)가 가이드홀(117)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가이드홀(117)에 밀착시 스토퍼(310)가 고정홈에서 분리되는 상태이므로 힌지축(11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10)이 계속하여 회전하여 의자나 선반등이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돌기(330)가 가이드홀(117) 일측에서 돌출설치되는 동작부(H)에 위치하면서 상승되어 스토퍼(310)를 고정홈(115)에 진입시키게 되어 힌지축(110)이 자동 정지토록 되므로써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5)은 원주방향을 따라 그리는 호형상이면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체(100)가 더 하향 될 수 있는 여유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지지체를 더욱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100)에 중량물을 올려놓으면 고정홈(115)에 밀착되는 상태로 힌지축이 회전되면서 가이드홀(117)에 밀착되는 가이드돌기(330)가 동작부를 넘어 하강함으로써 스토퍼가 고정홈에서 이탈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토퍼의 이탈시 힌지축(110) 및 케이싱(2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비틀림스프링(250)의 동작에 의해 중량물을 들어올리게 되면 힌지축(110)이 자동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토록 되어 위치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지지체를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물건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고, 상기 물건등을 지지체에 올려놓을 때의 회전에 의해 브라켓부재(300)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물건등을 지지체에서 들어올리면 자동복원토록 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시스템의 위치결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가이드홀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지체 115...고정홈
117...가이드홀 200...케이싱
250...스틀림스프링 300...브라켓부재
330...가이드돌기

Claims (6)

  1. 지지체(100)의 적어도 일단에 돌출되는 힌지축(110)이 장착홀(210)의 갖는 케이싱(200)의 내측에 탄성을 유지토록 장착되며,
    상기 힌지축(110)에는 그 단면의 원주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15)이 구비되고, 무한으로 연결되는 호형상이면서 그 일측에 동작부(H)를 갖는 가이드홀(117)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에(200)에는 고정홈(115)과 가이드홀(117)에 각각 대응되어 지지되는 스토퍼(310)와 가변되는 가이드돌기(330)를 구비하면서 피봇(230)을 중심으로 승하강하는 브라켓부재(30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17)은, 무한 라인으로 가이드돌기(330)가 반복하여 순환하도록 가이드홀의 외경(117a)이 그리는 외측모서리중심(117a-1)이 가이드홀의 내경(117b)이 그리는 내측모서리중심(117b-1)에서 각각 편심(E)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10)에 구비되는 고정홈(115)은, 가이드홀(117)에 구비되는 동작부(H)를 따라 이동하면서 브라켓부재(300)에 연결되는 스토퍼(310)의 하강시 스토퍼(310)의 원주방향 유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10)은,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비틀림스프링(250)을 개재하여 케이싱(200)의 장착홀(210)에 탄성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홀(117)으로의 밀착력이 작용토록 일측에 압축스프링(3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홀(117)을 따라 가이드돌기(330)가 용이하게 진행토록 브라켓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되는 가이드판(333)에 가이드 돌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KR1020080113546A 2008-11-14 2008-11-14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KR10092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546A KR100928997B1 (ko) 2008-11-14 2008-11-14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546A KR100928997B1 (ko) 2008-11-14 2008-11-14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997B1 true KR100928997B1 (ko) 2009-12-01

Family

ID=4168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546A KR100928997B1 (ko) 2008-11-14 2008-11-14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0869A (zh) * 2010-02-08 2012-10-17 仁川大学校产学协力团 由红藻类制备无毒性紫外线屏蔽用提取物的方法及利用该方法的无毒性紫外线屏蔽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600Y1 (ko) 2001-01-30 2001-07-19 김봉근 건물내벽용 선반
KR200298713Y1 (ko) 2002-09-17 2002-12-27 양광열 스톱퍼 기능을 갖춘 배전반 도어 경첩
KR20060094402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8100762A (ja) 2006-10-19 2008-05-01 Just International:Kk ヒンジ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600Y1 (ko) 2001-01-30 2001-07-19 김봉근 건물내벽용 선반
KR200298713Y1 (ko) 2002-09-17 2002-12-27 양광열 스톱퍼 기능을 갖춘 배전반 도어 경첩
KR20060094402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8100762A (ja) 2006-10-19 2008-05-01 Just International:Kk ヒンジ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0869A (zh) * 2010-02-08 2012-10-17 仁川大学校产学协力团 由红藻类制备无毒性紫外线屏蔽用提取物的方法及利用该方法的无毒性紫外线屏蔽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JPH09500045A (ja) 変換可能なテーブル
KR100928997B1 (ko) 지지체의 일 방향 자동 회전장치
KR101792635B1 (ko)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099043B1 (ko) 전동 이젤
WO2010121622A1 (en) Retractable step system
JP2003310386A (ja) 壁面取り付け用折畳み椅子
KR20170118358A (ko) 선반이 구비된 휴지걸이
KR20120133228A (ko) 엘리베이터의 접이식 디딤판
KR101009287B1 (ko) 연결식 의자의 다리 프레임에 수납되는 메모대 장치
KR20080006359U (ko) 욕조용 받침다리
US20040211344A1 (en) Sofa table with adjustable height
JP2008178438A (ja) 上下昇降棚
JP2001314257A (ja) 転倒防止機構付ワゴンおよびその付属機器
KR20100003376U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KR20190072226A (ko) 가구의 넘어짐 방지 장치
KR102656781B1 (ko) 가변형 거치대
KR20130002667U (ko) 도어 스토퍼
CN216280138U (zh) 多功能电子设备支架
CN208554291U (zh) 一种可移动支架
JP2010000332A (ja) 家具等の前倒れ転倒防止手段とその補助具
RU21335U1 (ru) Кровать
CN215271643U (zh) 一种多功能组合学生床
KR101599964B1 (ko) 물품 거치대
JP2007061524A (ja) 作業台、移動作業台付き設備及び作業台付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