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555B1 -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 Google Patents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555B1
KR100928555B1 KR1020070130797A KR20070130797A KR100928555B1 KR 100928555 B1 KR100928555 B1 KR 100928555B1 KR 1020070130797 A KR1020070130797 A KR 1020070130797A KR 20070130797 A KR20070130797 A KR 20070130797A KR 100928555 B1 KR100928555 B1 KR 10092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ammer
piston
outer cylinder
wat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436A (ko
Inventor
윤은중
이장현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브이 filed Critical (주)엔에스브이
Priority to KR102007013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5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기름 등의 비 압축성 유체인 액체가 흐르는 배관에 사용되어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수격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는 외통과, 외통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와 물을 구분하고 외통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피스톤을 구비한 종래의 피스톤식 수격방지기와 동일한 수격방지기에 피스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인 피스톤식별장치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다. 피스톤식별장치에는 자석식별장치, 와전류식별장치, 그리고 LVDT식별장치가 있다.
본 발명인 수격방지기는 통상의 수격방지기와 같이 배관시스템에서 수격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것이 설치된 장소에서 직접 육안으로 또는 원격으로 시설관리자가 수격방지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격방지기의 정보로부터, 수격방지기 시설관리자는 수격방지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수격방지기를 교체하거나 하는 등의 유지관리를 할 수 있고, 발생하는 수격의 강도로부터 배관 시스템 설계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수격방지기, LVDT, 와류전류, 자석

Description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Water Hammer Cushion Which Indicates Position of Piston of the Water Hammer Cushion}
본 발명은 물, 기름 등의 비 압축성 유체인 액체가 흐르는 배관에 사용되어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수격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수격방지기 내부에 구비되어 압축기체와 액체를 나누고 있는 피스톤의 위치를 외부에서 알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수격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수격(水擊, Water Hammer)현상이란, 물, 기름 등의 비압축성 유체인 액체가 흐르는 유로에서 유로가 갑자기 폐쇄되거나 갑자기 열릴 때, 유체에 충격파(Shock Wave)가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아주 높은 압력이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이로 인하여 심할 경우 배관이 파손되고, 마치 망치로 치듯이 관로에 진동과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밸브, 게이지, 이음매 등 관계의 취약 부분을 손상시키고, 누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 수격 현상의 강도는 유로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크다.
이러한 수격현상의 문제는 최근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회전식의 밸브가 원터치(one touch) 방식의 밸브 또는 유/공압 구동 밸브로 전환되어 감에 따라 더욱 심 각해지고 있어서 소음과 진동유발이라는 문제뿐만 아니라 배관이나 밸브 또는 펌프의 손상까지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격방지기란 상기와 같은 수격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관로의 일정부분에 압축성 유체인 공기, 질소 등의 압축성 유체인 기체를 충진하여 둔 동공(Cavity)으로서, 충격파에 의하여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이 동공이 흡수하여 수격현상이 소멸되도록 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격방지기는 도 1과 같이 관로의 일부분에 압축기체를 주입한 동공(Cavity)을 가진 형태이고,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몸체는 일정 두께의 금속으로 제작하고, 몸체의 내부에 고무 등의 신축재료로 제작한 벨로우즈를 설치한 벨로우즈형(a), 고무막 등의 탄성막을 설치한 탄성막형(b),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한 피스톤을 설치한 피스톤형(c)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형태의 수격방지기 중에서 피스톤을 설치한 형태(c)가 고압의 수격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고, 고무 등과는 달리 부식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좋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격방지기의 동공 내의 압축성 기체(이하 이들을 대표하는 기체인 "공기"로 통칭함.)의 압력은 관로를 따라 흐르는 비압축성 유체(이하 이들을 대표하는 유체인 "물"이라 칭함.)의 압력과 같거나 약간 높은 정도로 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수격방지기의 피스톤이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의 물의 압력이 일치하는 지점에 정지해 있게 된다. 만약 관로 내의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피스톤은 압축공기 쪽으로 밀려 올라가서 동공의 체적이 감소하고, 보일의 법칙에 의하여 그만큼 압력이 상승 하므로 배관의 수압과 동공 내의 공기의 압력은 동일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만약 수격현상이 발생하여 관로 내부에의 물에 아주 높은 압력이 갑자기 발생하면, 이 압력은 관로를 따라 전파되다가 수격방지기의 벨로우즈, 탄성막, 또는 피스톤 등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벨로우즈가 부풀거나, 탄성막이 상부로 팽창하거나, 피스톤이 상부로 밀리면서 관로 내부의 압력을 흡수하여 수격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한다.
피스톤식 수격방지기(c)에서, 동공에 충진된 압축공기가 누설될 경우 피스톤은 수압에 의하여 항상 수격방지기의 내부 최상단에 접촉하여 있게 된다. 이 경우 수격현상이 발생하더라고 더 이상 피스톤이 상부로 밀릴 수 없고, 따라서 배관 내의 물의 압력을 더 이상 흡수할 수 없게 되어 수격현상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벨로우즈형(a)과 탄성막형(b) 수격방지기는 부식에 의해서 벨로우즈 고무막 등이 파손될 경우 외에도 동공에 충진된 압축공기가 누설될 경우 벨로우즈 고무막 등이 과도하게 팽창하여 파열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격방지기는 동공에 압축공기가 일정압력으로 충진되어 있는지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수격방지기는 공기 주입구에 압력게이지를 연결하여 확인해보기 전에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수격현상은 배관의 직경, 길이,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와 온도 압력 등의 상태, 유로 개폐 속도 등에 따라 수격 발생시 최대 압력인 수격의 강도가 달라지는데, 종래의 수격방지기로는 발생하는 수격의 강도를 알 수가 없고, 배관에 별도의 압력계를 설치하여야만 발생하는 수격의 강도를 알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수격방지기 중에서 피스톤식의 수격방지기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내부의 피스톤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는 내부의 압축공기의 누설여부 또는 발생하는 수격의 강도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인 수격방지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피스톤식 수격방지기로서, 수격방지기의 내부에 있는 피스톤의 위치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압축공기가 누설 없이 압력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발생하는 수격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별도의 장치 없이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이다.
더불어 본원 발명은 압축공기의 누설 또는 수격에 의한 피스톤의 변위를 관리실 등에서 모니터를 통해 알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설비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인 수격방지기는 종래의 피스톤식 수격방지기에 피스톤의 위치를 지시하는 구성을 부가하였다.
위치 식별장치로는 자석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피스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자석식별장치, 와류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피스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와전류식별장치, 그리고 LVDT를 이용하여 전자적 방법으로 피스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LVDT식별장치를 채택하였다.
본 발명인 수격방지기는 통상의 수격방지기와 같이 배관시스템에서 수격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것이 설치된 장소에서 직접 육안으로 또는 원격으로 시설관리자가 수격방지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격방지기의 정보로부터, 수격방지기 시설관리자는 수격방지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수격방지기를 교체하거나 하는 등의 유지관리를 할 수 있고, 발생하는 수격의 강도로부터 배관 시스템 설계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격방지기의 피스톤의 위치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실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부가하여 수격방지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수격방지기를 적용한 배관시스템의 경우, 시설관리자는 훨씬 편리하고 정확하고 그리고 안전하게 수격방지기가 설치된 시설을 유지, 보수, 그리고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는 외통(1)과, 외통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와 물을 구분하고 외통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피스톤(2)을 구비한 종래의 피스톤식 수격방지기와 동일한 수격방지기에 피스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인 피스톤식별장치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다.
피스톤식별장치에는 자석식별장치, 와전류식별장치, 그리고 LVDT식별장치가 있다.
자석식별장치(3)를 구비한 수격방지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고, 그 구성과 작동은 다음과 같다.
자석식별장치(3)를 구비한 수격방지기는 종래의 수격방지기와 유사한 외형의 외통(1), 외통의 하단에 형성되어 관로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2),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3), 그리고 외통(1)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자석식별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1)은 종래의 피스톤식 수격방지기의 외통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하단에는 배관과 결합할 수 있는 플랜지 등의 연결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타이어의 공기주입구의 입구와 동일한 구조의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11)가 구비되어 있다. 외통(1)의 전체형상은 단면이 사각형 등인 각기둥을 사용할 수 있으나,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가공이 용이하여 가장 좋다. 그리고 몸체의 재질은 자석에 반응을 하지 않는 비자성체 또는 자석과 반응하는 힘이 아주 약한 상자성체인 플라스틱,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 한다.
피스톤(3)은 판 형상의 피스톤몸체(31)의 측면에 기밀을 위한 오링(O-Ring) 등의 밀봉재(32)와 자석밴드(33)가 구비되어 있다.
피스톤몸체(31)는 상기 외통(1)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몸체와 동일한 형상이며, 외통이 원통형인 경우 피스톤몸체는 원판형이다. 이 피스톤몸 체의 재질은 상기 몸체(1)의 재질과 같이 자석에 반응을 하지 않는 비자성체 또는 자석과 반응하는 힘이 아주 약한 상자성체 재료로 한다.
밀봉재(32)는 상기 피스톤몸체의 측벽에 1겹 이상 다수 겹이 사용되어 피스톤(3)과 외통(1)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게 하는데, 상하 2겹으로 하고, 그 사이에 하기 자석밴드(33)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자석밴드(33)는 피스톤몸체(31)의 측벽에 설치되어 몸체의 외부에 있는 자석 또는 강자성체에 자기인력을 유발한다. 자석밴드의 형태로는 소형의 막대자석을 피스톤의 측벽에 다수 개를 부착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으나, 일정 폭의 가요성이 있는 자석판을 피스톤몸체(31)의 측면에 접착하여 제작하는 것이 편리하다.
자석식별장치(4)는 외형을 이루는 자석가이드(41)와 식별추(42)로 구성된다.
자석가이드(41)는 외통(1)의 측면에 외통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그 내부에 식별추(42)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관의 형상이다. 자석가이드(41)는 그 내부에 있는 식별추(42)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고 잘 깨어지지 않는 투명한 아크릴관 등 투명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좋고, 필요 시 눈금을 표시하여 식별추(4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석가이드(41)의 재료로 금속관, 불투명 플라스틱관 등을 사용할 경우,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을 통하여 내부의 식별추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자석가이드는 상부 또는 하부에 마개(44)를 구비하면 식별추를 넣고 뺄 수 있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
자석가이드(41)는 상기와 같은 관 형상 이외에도 봉 형상, 가이드가 있는 막대형상 등 하기 식별추(42)의 운동을 직선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식별추(42)는 상기 자석가이드(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자석으로 제작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식별추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용이한 적색, 황색 등으로 도장을 할 수 있고, 플레쉬로 비추었을 때 쉽게 식별되는 야광물질 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물질을 도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추의 내부에 소형 건전지와 전구를 내장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게 하면 어두운 기계실 등에서도 식별추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추의 자석의 N극과 S극의 방향은 상기 피스톤(3)의 자석밴드(33)의 자극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여 식별추와 피스톤의 자석밴드 사이에 강한 인력이 작용하게 한다. 식별추는 전체를 자석으로 할 수 있지만, 플라스틱, 목재 등의 가벼운 재료의 표면에 소형 자석을 부착하여 무게를 가볍게 제작할 수도 있다. 식별추는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구형 혹은 원기둥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식별장치(4)의 식별추(42)의 상하에는 스프링상수가 낮은 스프링(43)을 삽입하여 수격현상으로 피스톤이 급격하게 운동하고, 이에 따라 식별추가 급격하게 운동하여 자석가이드(41)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추와 자석가이드(41) 사이의 마찰을 줄여 식별추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물 또는 기름 등의 윤활역할 할 수 있는 유체를 자석가이드(41)의 내부에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3)의 자석밴드(33)과 자석식별장치(4)의 식별추(42)를 모두 자석으로 하는 것이 상호간 자기인력이 강력하여 좋지만, 피스톤의 자석밴드 에 자성이 강한 자석을 사용하고, 식별추는 자석이 아닌 강자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식별추를 자성이 강한 자석을 사용하고, 자석밴드는 자석이 아닌 강자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자석밴드(33) 또는 식별추(42)에 사용되는 자석으로는 이들 사이의 자기인력이 식별추의 중력을 이기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자력이 강한 자석이 바람직하다. 시중에 나와 있는 강한 자석으로는 희토류(希土類)계 자석이 있는데, 희토류계 자석에는 사마륨(SmCo)자석과 네오디움(Nd-Fe-B)자석이 있다. 이들 자석은 작은 크기로도 큰 자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원 발명에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수격방지기의 외통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자석밴드(33)와 외통의 외부에 설치된 식별추(42)는 서로 자기인력이 작용하므로, 피스톤이 상하로 운동을 하면 식별추도 피스톤과 같이 상하로 운동을 하여 피스톤이 위치한 높이에 식별추도 위치하게 되어 수격방지기의 외부에서 식별추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격방지기 내부의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만약 수격방지기가 배관계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설되어 피스톤이 상부로 밀려 올라가 있으면, 식별추도 상부로 올라가 있게 되고, 설비관리자는 수격방지기에 누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식별추가 급격히 상하 운동을 하면 수격현상이 발생한 사실을 알 수 있고, 식별추가 올라가는 높이에 따라 수격의 강도를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식식별장치(4)와 평행하게 전자길이측정기(45)를 부착하고 식별추(42)에 접촉핀(46)을 추가로 구비하여 접촉핀이 전자길이 측정기와 접촉하게 하면, 식별추의 위치를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전자길이측정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시판되고 있는데, 디지털 버니어캘리퍼스에 사용되는 것도 그 한 종류이다. 이와 같이 전자길이측정기를 사용하면 측정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실 등으로 송신하여 관리실에서는 다수개의 수격방지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와류전류식별장치(5)를 이용한 수격방지기는 측면형과 상단형이 있다.
와류전류란 맴돌이전류라고도 일컬어 지는데, 와류전류는 자기장의 변화에 저항하는 전류로, 이는 자기장 내에서 움직이는 도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효과로 나타난다. 역으로 도체 링에 직각으로 자석이 움직일 경우 도체 링에는 자삭의 운동을 방해하려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와류전류가 생긴다.
측면형 와류전류식별장치(5)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격방지기의 외통의 둘레에 도체 링인 검출링(52)을 다수 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피스톤에는 자석밴드(33)를 설치한 것이다. 검출링(52)은 각각 전선(53)이 연결되어 있어 피스톤(3)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와류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한다.
수격방지기의 피스톤(3)은 관로 내부를 흐르는 물의 압력의 변동으로 항상 미세하게라도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가장 많은 와류전류가 발생하는 검출링(52)의 부근 위치에 피스톤이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수격현상이 발생하여 피스톤이 큰 폭으로 운동을 하면, 피스톤이 통과하는 지점의 검출링(52)들에 순차적으로 큰 와류전류가 발생하게 되므로 피스톤의 운동범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수격현상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단형 와류전류식별장치(5-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고, 그 작동원리는 상기 측면형 와류전류식별장치와 동일하나, 수격방지기의 외통의 둘레에 검출링을 설치하는 대신에, 피스톤(3)에 수격방지기 외통(1)의 상단을 관통하는 로드(34)를 설치하고, 로드의 끝단에는 자석(35)을 부착하고, 이 로드의 주변에 검출링(52-1) 다수 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 상단형 와류전류식별장치는 자석(35)과 검출링(52-1) 사이의 간격을 아주 작게 할 수 있고, 자석과 식별링 사이에 공기 이외의 여타 재료가 개입되어있지 않아 훨씬 민감한 피스톤 식별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외통(1)의 상단의 로드가 관통하는 구멍에는 오링 등의 밀봉재를 설치하여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게 한다.
또 다른 형태의 피스톤 위치 식별장치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VDT(61)(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이하 'LVDT(51)'라 칭함.)를 이용한 LVDT식별장치(6)가 있다.
LVDT(61)는 선형 거리를 측정하는 전자장치를 말하는데,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준다. LVDT(61)는 자석 코어(core or armature)의 이동으로 1 차코일에서 2 차코일에 유도되는 자속의 변화, 즉 상호 인덕턴스를 변화시킴으로서 자석 코어의 변위에 비례하여 전기적 출력이 발생되어 전선(63)으로 송출되는데, 이 출력의 양에 따라서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LVDT(61)는 절대 위치 검출 센서로서 선형도 오차가 0.1% 정도이며 우수한 반복 정밀도를 갖는다. LVDT(61)는 최근에 정밀기계 제어 등에 많이 사용되는 전자부품으로서 많은 기성품이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LVDT식별장치(6)를 이용한 수격방지기는 그 형상이 상기 상단형 와류전류식별장치를 이용한 수격방지기와 동일하고, 다수 개의 식별링 대신 LVDT를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VDT(51)는 그 개구부(64)에 자석이 부착된 피스톤 로드(34)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로 수격방지기 외통(1)의 상단에 고정된다.
LVDT(61)에 연결된 전선(63)은 수격방지기 내부의 피스톤(3)의 위치 변화에 따라 로드(34) 끝단에 위치한 자석(35)의 위치변화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모니터링 장치로 송출한다.
상기 와류전류식별장치(5)가 피스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단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인데 비하여, LVDT식별장치(6)는 피스톤의 위치를 정밀하게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배관시스템에서 수격현상은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서, 예측 불가능한 시간에 예측 불가능한 크기로 발생한다. 따라서 LVDT식별장치를 이용하여 LVDT의 출력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기록하여 두면 수격현상이 일어나는 시간과 수격의 강도를 알 수 있고, 당해 수격이 일어난 시간에 밸브 등 배관 구성품의 작동상태를 대조하여 보면 수격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수격방지기 중에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라인형 수격방지기가 있다. 이 인라인형 수격방지기는 압축공기를 충진하고 있는 외통(1)이 양단에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부(2)를 구비한 내부관(1-1)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내부관과 외통 사이에는 가운데 구멍이 있는 도우넛 형태의 피스톤(3)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관의 하단에는 배관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통수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관의 상단에는 압축공기 주입구가 있어서 피스톤(3)의 상부 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된다. 이와 같은 인라인형 수격방지기는 양단의 연결부(2)에 의하여 배관과 직선으로 연결되는데, 작동원리는 상기한 통상의 수격방지기와 동일하다.
상기 인라인형 수격방지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식별장치(4)를 구비할 수 있고,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의 측면 외부 둘레에 와류전류식별장치(5)를 구비할 수 있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의 상단에 와류전류식별장치(5)를 구비할 수 있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의 상단에 LVDT식별장치(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피스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격방지기는 산업공장 또는 건물의 비압축성 유체가 흐르는 배관시스템에서 설치되어, 수격현상을 방지하고, 배관시스템의 안전한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수격방지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2는 자석식별장치(4)가 측부에 부착된 수격방지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3은 자석식별장치(4)와 전자길이측정기(45)가 측부에 부착된 수격방지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4는 와류전류식별장치(5)가 외통(1)에 구비된 수격방지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5는 와류전류식별장치가 외통의 상부에 구비된 수격방지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6은 LVDT식별장치(6)가 외통의 상부에 구비된 수격방지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7은 인라인형 수격방지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 도면이다.
*주요 구성품 번호*
1 : 외통, 2 : 연결부, 3 : 피스톤,
4 : 자석식별장치, 5 : 측면 와류전류식별장치,
5-1 : 상단 와류전류식별장치, 6 : LVDT식별장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격방지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통(1), 상기 외통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부(2), 그리고 상기 외통(1)의 내벽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피스톤(3)으로 구성된 통상의 피스톤식 수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은 피스톤몸체(31)에 외통(1)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끝단에 자석(35)이 부착된 로드(34)가 구비된 피스톤이고;
    그리고 상기 외통(1)의 상단의 상기 로드(34)가 돌출된 부위에 도체 링인 검출링(52-1)을 다수 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와류전류식별장치(5-1)를 구비한 것으로서;
    피스톤(3)이 상하 운동을 하면 로드(34)의 끝단 자석(35) 부근에 있는 검출링(52-1)에 와류전류가 생성되어 피스톤의 위치를 전기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방지기.
  7. 수격방지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통(1), 상기 외통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부(2), 그리고 상기 외통(1)의 내벽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피스톤(3)으로 구성된 통상의 피스톤식 수격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은 피스톤몸체(31)에 외통(1)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끝단에 자석(35)이 부착된 로드(34)가 구비된 피스톤이고;
    그리고 상기 외통(1)의 상단의 상기 로드(34)가 돌출된 부위에 LVDT(61)를 이용한 LVDT식별장치(6)를 구비한 것으로서;
    피스톤(3)이 상하 운동을 하면 LVDT식별장치(6)에 의하여 피스톤의 위치를 전기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방지기.
KR1020070130797A 2007-12-14 2007-12-14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KR10092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97A KR100928555B1 (ko) 2007-12-14 2007-12-14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97A KR100928555B1 (ko) 2007-12-14 2007-12-14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36A KR20090063436A (ko) 2009-06-18
KR100928555B1 true KR100928555B1 (ko) 2009-11-24

Family

ID=4099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797A KR100928555B1 (ko) 2007-12-14 2007-12-14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30B1 (ko) 2012-06-01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479B1 (ko) * 2012-09-11 2014-01-13 (주)서광부스타이엔지 에너지 절약형 수격 방지 설비
KR102443276B1 (ko) * 2021-07-01 2022-09-14 송병철 원활하게 안전 구동되는 수격방지장치
KR102459313B1 (ko) * 2022-04-11 2022-10-26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6317A (en) 1975-09-17 1977-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xpansion tank
JPH0654901U (ja) * 1992-12-28 1994-07-26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6317A (en) 1975-09-17 1977-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xpansion tank
JPH0654901U (ja) * 1992-12-28 1994-07-26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30B1 (ko) 2012-06-01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36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0388B (zh) 具有故障检测单元的模块化密封设备
CN104736796B (zh) 用于检测在油井结构中的管连接件的装置和方法
KR100928555B1 (ko)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CN104964786B (zh) 一种霍尔检测方式的磁性液体微压传感器
EP2402550A2 (en) External position indicator of ram blowout preventer
CN111699299B (zh) 用于检测管道吊架的降落的系统
KR101526612B1 (ko) 램 상의 실린더 압력 모니터링 방법, 분출 방지 장치 구성요소 테스트 방법, 웰헤드 구성요소의 이동 결정 방법, 분출 방지 장치 램의 상대 위치 모니터링 방법, 램-타입 분출 방지 장치, 램의 상대 위치 결정 방법, 및 램 분출 방지 장치에의 계측 장비 부가 방법
US4517842A (en) Fluid pressure transducer
GB2380799A (en) Non-invasive detectors for wells
KR101859656B1 (ko) 주유배관누설 감지장치
US8471551B2 (en) Magnetic pos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941789B2 (en) Hydropneumatic piston accumulator
CA2416623A1 (en) Linear position sensor utiliz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US2706463A (en) Pressure indicator device
US10739222B1 (en) Magnetic pipeline pressure sensor/monitor with wireless transceiver
US3448620A (en) Pressure sensing device
US10871390B2 (en) Piston test instrument for calibration and/or gauging of a flow meter and/or for determining a flow rate of a measured medium
CN207598624U (zh) 一种油缸
JP2002349179A (ja) 孔内水平載荷試験方法及び装置
CN109196183A (zh) 用于测量油井结构内的管道的装置和方法
CN201740549U (zh) 高精度微量流量计
CN201363334Y (zh) 带位置自检功能的油缸
US20130104644A1 (en) Coiled Member Measuring Device
CN210221030U (zh) 一种实现ct机内加载活塞轴向位移测量的装置
SU883381A1 (ru) Глубинный пробоотбор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