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343B1 -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343B1
KR100928343B1 KR1020090048784A KR20090048784A KR100928343B1 KR 100928343 B1 KR100928343 B1 KR 100928343B1 KR 1020090048784 A KR1020090048784 A KR 1020090048784A KR 20090048784 A KR20090048784 A KR 20090048784A KR 100928343 B1 KR100928343 B1 KR 10092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ening
housing
clos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코
Priority to KR102009004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07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개시된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는, 지상과 지하주차장 사이의 토양층에 매설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관, 지상과 하우징을 연결하여, 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 내부로 이송되게 하는 투입관, 투입관과 이송관을 연결하여, 투입관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관으로 이송되게 하는 연결관, 연결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덮개,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수직되게 배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폐실린더, 개폐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개폐덮개가 연동하도록 개폐실린더와 개폐덮개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하우징 내 개폐실린더 설치높이는, 이송관과 연결관을 합한 높이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와 같은,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는, 개폐실린더가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수직되게 배치한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개폐실린더 설치높이는, 이송관과 연결관을 합한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어, 개폐실린더 연결관 상부로의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 투입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지하주차장과 지상 사이의 토양층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An outdoor lower floor type inlet in a automatic refuse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 시설이 있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된 쓰레기 집하시설에서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단지 내 지하주차장의 천장 슬라브 위로 형성되는 토양층의 높이는 약 1.5 m 정도이나, 기존의 쓰레기 옥외 투입구의 토양 내에 매설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관 및 ,상기 투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이송관의 지하부 설치높이는 1.8 내지 2.0 m 수준으로, 토양층의 높이인 1.5 m를 초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쓰레기 자동집하 처리시설의 상기 이송관 및 투입관을 지하주차장의 천장슬라브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관이 노출되지 않도록 주차장 천장슬라브의 상부로 성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더불어, 성토량 증대에 따른 하중 증대로 주차장 천장슬라브의 구조보강 및 추가 공사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상기 투입관 지상부의 높이가 높아져 투입자의 사용에 불편을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 이송되는 투입라인의 높이를 작게 하여, 지하주차장과 지상 사이의 토양층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상과 지하주차장 사이의 토양층에 매설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지상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송되게 하는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과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여, 상기 투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이송관으로 이송되게 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덮개와,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되게 배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폐실린더 및, 상기 개폐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덮개가 연동하도록 상기 개폐실린더와 상기 개폐덮개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상기 개폐실린더 설치높이는, 상기 이송관과 상기 연결관을 합한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개폐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 수직되게 결합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개폐실린더의 실린더로드 신장에 따 라 상기 회전축을 축회전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링크와,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상기 개폐덮개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2링크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연결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3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지상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출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개폐실린더를 결합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이송관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관 일측에는 점검구가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이송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는, 개폐실린더가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수직되게 배치한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개폐실린더 설치높이는, 이송관과 연결관을 합한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어, 개폐실린더 연결관 상부로의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 투입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지하주차장과 지상 사이의 토양층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는, 하우징(100), 이송관(200), 투입관(300), 연결관(400), 개폐덮개(500), 개폐실린더(600), 링크부재(7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지상과 지하주차장 사이의 토양층에 매설되는 통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상기 지상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들이 이송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상기 지상에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게 출입구(110)를 형성한다. 도면번호 111은 상기 출입구(110)를 통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를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이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수구(12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출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를 출입할 수 있어, 이후 설명될 상기 이송관(200)과 연결관(400)의 연결부분, 상기 투입관(300)과 상기 연결관(400)의 연결부분, 상기 개폐덮개(500), 상기 개폐실린더(600), 상기 링크부재(700) 등의 유지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지지프레임(130) 및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프레임(1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이후 설명될 상기 개폐실린더(600)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수직상태로 결합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40)은 이후 설명될 상기 이송관(200)을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이송관(200)은 이후 설명될 상기 투입관(300)과 상기 연결관(40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을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의해 고정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200)의 일측에는 점검구(21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점검구(210)를 통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이송관(200)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점검구(210)를 통해 상기 이송관(200) 내부를 관찰하여 상기 이송관(200) 내부의 청소시기나 상기 이송관(200)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200)의 일 단부에는, 상기 이송관(200)의 타 단부에서 흡입력이 발생시, 공기가 상기 이송관(20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흡입개폐수단(2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공기흡입개폐수단(220)에 의해 상기 이송관(200) 일 단부는 개폐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200)의 타 단부에서 흡입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공기흡입개폐수단(220)은 상기 이송관(200)의 일 단부를 개방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이송관(200)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유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이 상기 이송관(200) 내부에서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관(200)의 타 단부를 통해 집하장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투입관(300)은 상기 지상으로부터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을 유입받아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이송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투입관(300)은 상기 지상과 상기 하우징(100)을 연결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지상으로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400)은 상기 투입관(300)으로 유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을 상기 이송관(200)으로 이송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관(300)은 상기 투입관(300)과 상기 이송관(200)을 연결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투입관(300)에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이송관(200)에 연통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00)은 상기 투입관(300)을 통해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이 하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바로 상기 이송관(20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투입관(300)에 연직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400)과 상기 투입관(300)은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플랜지부(310)(410)로 접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기재(도면미도시)로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개폐덮개(500)는 상기 연결관(400)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연결관(400)을 통해 유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의 상기 이송관(200)에 대한 유입여부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덮개(500)는 상기 연결관(400)의 일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덮개(500)이 상기 연결관(400)을 밀폐시키면 상기 투입관(300)을 통해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은 상기 연결관(400) 내부에 적층되며, 이후 설명될 상기 개폐실린더(600)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400)을 개방시키면 적층되어 있던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은 상기 이송관(200)으로 낙하 유 입된다.
상기 개폐실린더(600)는 상기 개폐덮개(500)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연결관(400)이 개폐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 로드(610)는 상기 개폐덮개(500)에 연결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실린더(600)는 상기 연결관(4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지지프레임(130) 상에 수직으로 결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30) 상에 결합 배치된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총 설치높이 "H"는 상기 이송관(200)과 상기 연결관(400)을 합한 높이 "h"보다 낮게 위치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가 최대 신장된 높이 "H'"도 앞서 설명한 위치 "h"에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실린더(600)가 상기 연결관(400) 상부로의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 상기 투입관(30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지하주차장과 상기 지상 사이의 토양층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실린더(600)(610)는 복수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개폐실린더(600)(610)가 복수개 설치될 경우에는, 하나가 설치된 경우에 비해 실린더의 크기는 작으면서 출력되는 힘은 하나일 때보다 크거나 같도록 할 수 있어, 앞서 설명한 하나의 상기 개폐실린더(600)가 설치된 경우의 설치높이 "H"보다 낮은 설치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700)는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와 상기 개폐덮개(500)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700)에 의해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덮개(500)가 연동되면서, 상기 개폐덮개(500)에 의한 상 기 연결관(40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700)는 회전축(710), 연결축(720), 제1링크(730), 제2링크(740), 제3링크(7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710)은 상기 연결관(400)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710)은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 신장시, 상기 연결축(720) 및 상기 제1링크(730)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축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축(720)은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 단부에 수직되게 결합하는 축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축(720)은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의 신장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상기 제1링크(730)는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 신장에 따라 상기 연결축(720)이 승강시, 상기 회전축(710)을 축회전 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링크(730)는 상기 연결축(720)과 상기 회전축(710)을 연결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730)의 일 단부는 상기 연결축(7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 단부는 상기 회전축(710)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73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축(7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740)는 상기 회전축(710)의 회전력을 상기 제3링크(750)로 전달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링크(740)의 일 단부는 상기 회전축(710)의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제3링크(750)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750)는 상기 회전축(710)을 회전력을 상기 제2링크(74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개폐덮개(500)가 상기 연결관(4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3링크(750)는 상기 제2링크(740)와 상기 개폐덮개(500)를 연결하도록, 일 단부가 상기 제2링크(740)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개폐덮개(500)의 일측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상에서 분리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이 상기 투입관(300)으로 투입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은 상기 투입관(30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가이드 이송된다. 이렇게,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이송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은 상기 투입관(300)과 연결된 상기 연결관(400)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관(400)으로 유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은 상기 연결관(400)을 밀폐한 상기 개폐덮개(500)에 의해 상기 연결관(400) 내부에 적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관(400) 내부에 적층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을 수거하도록 상기 집하장으로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집하장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관(200) 타 단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폐실린더(600) 작동 및 상기 공기흡입개폐수단(220)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관(200)의 일 단부를 개방시킨다.
이같이, 상기 개폐실린더(600)가 작동되면, 상기 개폐실린더(600)의 실린더로드(610) 신장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700)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500)가 회동하 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개폐덮개(500)가 회동하며 상기 연결관(400)을 개방시키면서, 상기 연결관(400) 내 적층되어 있던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이 상기 이송관(200) 내부로 낙하 투입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관(200) 내부로 낙하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들은, 상기 집하장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이송관(200)의 타 단부로 이송되면서 상기 집하장에 수거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는, 상기 개폐실린더(600)가 상기 연결관(4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직되게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상기 개폐실린더(600) 총 설치높이는, 상기 이송관(200)과 상기 연결관(400)을 합한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어, 상기 개폐실린더(600)가 상기 연결관(400) 상부로의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 상기 투입관(30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지하주차장과 상기 지상 사이의 토양층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하우징 200: 이송관
300: 투입관 400: 연결관
500: 개폐덮개 600: 개폐실린더
700: 링크부재

Claims (4)

  1. 지상과 지하주차장 사이의 토양층에 매설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작업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점검구가 형성된 이송관과;
    상기 지상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송되게 하는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과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여, 상기 투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쓰레기를 상기 이송관으로 이송되게 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덮개와;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되게 배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폐실린더; 및,
    상기 개폐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덮개가 연동하도록 상기 개폐실린더와 상기 개폐덮개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상기 개폐실린더 설치높이는, 상기 이송관과 상기 연결관을 합한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개폐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 수직되게 결합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개폐실린더의 실린더로드 신장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회전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링크와,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상기 개폐덮개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2링크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연결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작업자가 지상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출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개폐실린더를 결합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이송관을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4. 삭제
KR1020090048784A 2009-06-02 2009-06-02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KR10092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84A KR100928343B1 (ko) 2009-06-02 2009-06-02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84A KR100928343B1 (ko) 2009-06-02 2009-06-02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343B1 true KR100928343B1 (ko) 2009-11-26

Family

ID=4160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784A KR100928343B1 (ko) 2009-06-02 2009-06-02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3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846A (ko) * 2007-09-03 2009-03-06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846A (ko) * 2007-09-03 2009-03-06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782B2 (en) Cable routing in wastewater lift station
KR102246436B1 (ko)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KR20100070347A (ko) 쓰레기 수거 및 처리
CN105804222A (zh) 景观水体下调蓄池
CN108360562B (zh) 综合管廊
KR100928343B1 (ko) 쓰레기 수송관로 저상형 투입구
KR101454188B1 (ko) 지중배전설비 매립형 맨홀
CN111834948B (zh) 一种地埋式箱式变电站
CN109733766B (zh) 一种景观地埋桶垃圾收集设备
RU25490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мусора для подземного мусоросб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1401742B1 (en) Insertion chute
CN213805750U (zh) 一种一体化截流井
CN110578367A (zh) 预制截流井
KR101643725B1 (ko) 지중 전력 설비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0140144U (zh) 一种景观地埋桶垃圾收集设备
WO2011095689A1 (en) Balcony construction
CN207988089U (zh) 一种雨水收集系统以及雨水回收再利用设备
CN220117249U (zh) 一种基坑排水系统
KR200451681Y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다기능 점검구
CN206706959U (zh) 一种一体化预制阀门井
CN220503958U (zh) 一种多功能一体化阀门井装置
CN205475661U (zh) 景观水体下调蓄池
KR20120002712U (ko) 쓰레기 이송관로 점검을 위한 조립식 점검구
CN219196615U (zh) 一种建筑垃圾垂直运输通道
CN112302148A (zh) 一种智能化污水提升泵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