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743B1 -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743B1
KR100927743B1 KR1020090050234A KR20090050234A KR100927743B1 KR 100927743 B1 KR100927743 B1 KR 100927743B1 KR 1020090050234 A KR1020090050234 A KR 1020090050234A KR 20090050234 A KR20090050234 A KR 20090050234A KR 100927743 B1 KR100927743 B1 KR 10092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water supply
time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필
Original Assignee
(주)하이레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레벤 filed Critical (주)하이레벤
Priority to KR102009005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을 분사하여 태양광 발전설비를 유지관리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제어방식, 온도제어방식, 강제구동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태양 전지판에 쌓인 오물, 눈, 비 등과 과열로 인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발전효율 저하와 겨울철 저온으로 인한 제품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물 분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물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50234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장치, 시간제어, 온도제어, 강제구동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SOLAR CELL FACILITY MAINTENANCE DEVICE}
본 발명은 물을 분사하여 태양광 발전설비를 유지관리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제어방식, 온도제어방식, 강제구동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솔라셀(Solar Cell) 또는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에 집광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 방식을 말한다. 태양광 모듈은 솔라셀(Solar Cell)의 집합체로서 이러한 태양광 모듈의 조합으로 태양광 어레이(Solar Array)를 이룬다.
태양광 어레이는 일반형, 창호형, 추적형, 하이브리드형(다른 청정 에너지 발전수단과 병행된 타입)등을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의 원리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결정 위에 n형 도핑을 하여 p-n접합 태양 전지판을 형성 한다. 여기에 태양광을 조사하면 기전력이 유도되는데 이를 광기전력 효과라 한다.
태양광은 화석원료 등의 기존 에너지원과는 달리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 소음, 환경파괴 등의 위험성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이며 고갈의 염려도 없다. 또한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태양광 발전설비는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태양 전지판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1℃ 당 0.5%의 출력 감소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태양광 발전의 출력은 태양이 가장 긴 여름이 아닌 봄과 가을에 최고치를 기록한다. 이러한 온도 상승은 태양광 발전의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태양 전지판에 황사, 악천후 등의 기상현상 등에 의해 오물이 쉽게 쌓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태양 전지판에 오물이 쌓일 경우 태양 전지판은 광흡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따라서 발전효율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비나 눈등이 태양 전지판에 내릴 경우 발전효율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물, 눈, 비로 인한 발전효율의 저하의 방지를 위해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가 사용된다.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는 태양광 전지판의 온도를 식혀주는 냉각 작용과 태양 전지판에 쌓인 오물, 눈, 비 등을 세척, 제설 등을 함으로써 태양 전지판이 일정한 출력의 발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태양광 발전설비를 유지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로는 차량의 브러쉬와 같이 기계적인 구동력으로써 태양 전지판을 세척하는 방식, 태양 전지판 상부에 물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흘려보냄으로써 태양 전지판을 세척하는 방식, 그리고 별도의 노즐을 통해 강한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태양 전지판을 세척하는 물 분사식이 있다.
브러쉬를 이용하는 방식은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에 적합한 별도의 브러쉬를 제작하여야하고 태양 전지판이 과열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식혀주기 위한 특별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물호스를 통해 물을 흘려주는 방식은 오물 제거나 제설에 큰 효과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태양 전지판을 세척하는 물 분사식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강한 수압의 물을 분사하므로 물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물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물 분사식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가 가진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물 분사를 제어하여 물소모를 최소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을 분사하여 태양광 발전설비를 유지관리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제어방식, 온도제어방식, 강제구동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를 제어하되, 시간제어방식은, 구동개시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구동개시시간이면 펌프를 구동하고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타이머의 작동 시간이 설정된 최대 구동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여 물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온도제어방식은,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이상이 되면 펌프를 구동하고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미만이 되면 밸브를 폐쇄하여 물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강제구동방식은, 세척액의 사용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세척액을 포함시켜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간제어방식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작동단계 이후 물공급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이 물공급관의 설정된 최소압력 이상 내지 최고압력 이하인 경우 다음 단계인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제어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동개시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사이에 레인센서의 온오프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 내에 포함된 태양광 모듈이 물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대기온도가 동파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방식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작동단계 이후 물공급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이 물공급관의 설정된 최소압력 이상 내지 최고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방식에 있어서,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사이에 레인센서의 온오프유무 를 판단하는 단계,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 내에 포함된 태양광 모듈이 물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제구동방식에 있어서, 급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물의 수위와 소정의 설정수위의 비교결과에 따라 펌프 및 상기 펌프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분사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제구동방식에 있어서, 제 1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측정시간과 소정의 설정시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태양 전지판에 쌓인 오물, 눈, 비 등과 과열로 인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발전효율 저하와 겨울철 저온으로 인한 제품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물 분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물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로 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1)은 수레벨 제어기(10), 유량 센서(11), 압력 센서(12), PLC컨트롤러(13), 펌프(14), 및 밸브(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레벨 제어기(10)는 급수탱크(101)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PLC컨트롤러(13)에 제공한다.
유량 센서(11)는 물공급관 내의 물의 유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PLC컨트롤러(13)에 제공한다.
압력 센서(12)는 물공급관 내의 수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PLC컨트롤러(13)에 제공한다.
기타, 제어 시스템(1)은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레인 센서(18) 및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14)는 물공급관을 통해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에 물이 공급될 수 있 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펌프(14)는 급수탱크(101) 내에 물을 공급 및 저장하기 위한 물공급펌프(141),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펌프(142), 및 주펌프(142)를 보조하는 보조펌프(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15)는 물공급관과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사이에 연결되어 물공급관을 통해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밸브(15)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로 물의 공급을 개폐하는 급수밸브(151) 및 배수를 위한 배수밸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PLC컨트롤러(13)는 상기 수레벨 제어기(10), 유량 센서(11), 압력 센서(12), 펌프(14), 밸브(15)에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연산하며 연산결과 또는 명령을 상기 컴포넌트들에 제공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PLC컨트롤러(1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래밍 정보, 연산결과, 및 각종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RAM, ROM, Flashmemory 등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LC컨트롤러(13)와 기타 컴포넌트의 접속은 전력선 통신, 인터넷, CDMA, 이더넷, ADLS 등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 및 PLC컨트롤러(13)의 프로그래밍 및 제어를 위한 콘솔, 웹서버, PC, 또는 PDA 등의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에 의해 분사되어 사용된 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1)은 수레벨 제어기(10), 유량 센서(11), 압력 센서(12), PLC컨트롤러(13), 펌프(14), 및 밸브(15)에 더하여 물회수부(16) 및 맨홀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회수부(16)는 태양광 모듈의 하단에 부착되어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로부터 분사되어 사용된 물을 받아 맨홀부(17)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맨홀부(17)는 물회수부(16)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여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은 물을 분사하여 태양광 발전설비를 유지관리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제어방식, 온도제어방식, 강제구동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를 제어한다. 이하, 시간제어방식, 온도제어방식, 강제구동방식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시간제어방식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 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LC컨트롤러(13)는 미리 설정된 구동개시 시간(t2)이 되었는지, 즉 현재 시간(t1)이 구동개시 시간(t2)과 같은지를 판단한다(단계S1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이 특정된 날, 주, 또는 달의 특정된 시간, 또는 특정된 날에 구동되도록 프로그래밍된 경우 현재 그 프로그래밍된 시간이 도래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현재 시간(t1)이 설정된 구동개시 시간이면 PLC컨트롤러(13)는 레인 센서(18)의 온오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인 센서(18)가 오프이면 급수레벨 제어기(10)를 통해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현재 시간(t1)이 구동개시 시간(t2)이 아니면 모듈의 온도(T1)가 설정된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이면 상기 단계(S101)로 진행할 수 있고,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에 미치지 아니하면 하기할 단계(S20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레인 센서(18)가 온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레인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만일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인지를 온도감지 센서(19)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에 못미치면 (도시안된)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구동(단계S20)하고 급수밸브(151)를 개방(단계S40)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킬 수 있다(단계S60). 여기서 타이머는 급수밸브의 개방 시간(t6)을 측정한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 온도(T3)에 미치지 못하면 (도시안된) 온도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51)의 개방이후 PLC컨트롤러(13)가 보조펌프(143)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펌프(143)는 평소보다 강한 압력으로 물의 분사가 필요한 경우 이를 기동하여 설정된 압력까지 기동 압력을 올리기 위한 것으로, 세척 및 제설의 경우 고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조 펌프(143)의 사용 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주펌프(142)의 기동에 이상이 있거나 순환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보조 펌프(143)를 통해 시스템을 구동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 보조펌프(143)가 있다고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구동시키고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킬 수 있다(단계S81). 여기서, 타이머는 보조펌프(143)의 구동 시간(t5)을 측정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소정의 설정압력(P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를 정지시켜(단계S83) 보조펌프를 정지시킬 수 있다(단계S84).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가 소정의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이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보조펌프의 정지 후, 또는 상기 단계(S80)에서 보조펌프(143)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PLC컨트롤러(13)가 압력측정을 개시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LC컨트롤러(13)가 (도시안된) 타이머에 의해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이 설정된 최대 구동 시간(t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대 구동 시간(t3)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 및 압력측정단계를 종료한다(단계S130).
이후, PLC컨트롤러(13)는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설정최소압력(P3) 이상 및 설정최고압력(P4) 이하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40).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이 범위에 해당하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밸브(151)를 폐쇄하고(단계S160), 측정된 최고 압력(P5) 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설정최고압력(P4)보다 높다면 배관 내 동결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것이므로 기동을 종료하고, 측정 최고 압력(P5)이 설정최소압력(P3) 이하일 경우 배관 내 누수가 발생한 것이므로 기동을 종료한다.
급수밸브(151)의 폐쇄후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정지시킨다(S180).
이때,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PLC컨트롤러(13)가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제2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설명한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다른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한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이러한 제3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급수밸브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로서 3개의 급수밸브가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요컨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증가에 따라 급수밸브(151)의 수 또한 증가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급수밸브(151)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계(S40) 내지 단 계(S16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펌프(142)를 정지시킨 이후 PLC컨트롤러(13)는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S200).
구동정지명령이란 자동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지명령으로 온도가 충분히 떨어지는 등 더 이상 기동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어 구동을 종료하고자 할 경우에 입력하는 것이다.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S10)로 돌아가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는 겨울철에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PLC컨트롤러(13)는 미리 설정된 구동개시 시간(t2)이 되었는지, 즉 현재 시간(t1)이 구동개시 시간(t2)과 같은지를 판단한다(단계S1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이 특정된 날, 주, 또는 달의 특정된 시간, 또는 특정된 날에 구동되도록 프로그래밍된 경우 현재 그 프로그래밍된 시간이 도래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현재 시간(t1)이 설정된 구동개시 시간이면 PLC컨트롤러(13)는 레인 센서(18)의 온오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인 센서(18)가 오프이면 급수레벨 제어기(10)를 통해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현재 시간(t1)이 구동개시 시간(t2)이 아니면 설정된 모듈의 온도(T1)가 설정된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이면 상기 단계(S101)로 진행할 수 있고,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에 미치지 아니하면 하기할 단계(S20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레인 센서(18)가 온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레인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만일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인지를 온도감지 센서(19)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에 못미치면 (도시안된)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가 온도감지 센서(19)를 통해 대기온도(T2)가 동파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파온도를 -5℃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 온도에 미치지 못하면 (도시안된) 온도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만일 대기온도(T2)가 동파온도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구동(단계S20)하고 급수밸브(151)를 개방(단계S40)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킬 수 있다(단계S60). 여기서 타이머는 급수밸브의 개방 시간(t6)을 측정한다.
대기온도가 동파온도에 못미치면 (도시안된) 동파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51)의 개방이후 PLC컨트롤러(13)가 보조펌프(143)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펌프(143)가 있다고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구동시키고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킬 수 있다(단계S81). 여기서, 타이머는 보조펌프(143)의 구동 시간(t5)을 측정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소정의 설정압력(P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를 정지시켜(단계S83) 보조펌프를 정지시킬 수 있다(단계S84).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가 소정의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이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보조펌프의 정지 후, 또는 상기 단계(S80)에서 보조펌프(143)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PLC컨트롤러(13)가 압력측정을 개시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공급관 내의 압력이 측정된다.
이때 PLC컨트롤러(13)가 (도시안된) 타이머에 의해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이 설정된 최대 구동 시간(t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대 구동 시간(t3)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 및 압력측정단계를 종료한다(단계S130).
이후, PLC컨트롤러(13)는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설정최소압력(P3) 이상 및 설정최고압력(P4) 이하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40).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이 범위에 해당하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밸브(151)를 폐쇄하고(단계S160), 측정된 최고 압력(P5) 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급수밸브(151)의 폐쇄후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정지시킨다(S180).
이때,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PLC컨트롤러(13)가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제2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설명한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다른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한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이러한 제3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급수밸브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증가에 따라 급수밸브(151)의 수 또한 증가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급수밸브(151)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로서 3개의 급수밸브가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주펌프(142)를 정지시킨 이후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여유시간타이머(t8)를 기동시킨다(단계S1801).
여유시간타이머(t8)는 시스템의 계속적인 구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구동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질 경우 펌프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또한 급수탱크에 물을 채워줄 여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정한 시간이다.
그리고 PLC컨트롤러(13)는 대기온도(T2)가 동파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여(단계S1802) 동파온도 이하라 판단되면 배수밸브(152)를 개방시킨다(단계S1803).
동파온도란 제품 및 배관 내의 물이 얼어 동파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로서, 물의 어는점인 0℃로 설정될 수도 있으나 온도센서의 오차를 감안하여 그 이상의 온도로 설정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1℃로 동파온도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가 제품동파방지 배수시간(t10) 이상인지를 판단하여(단계S1804) 그 이상이면 모든 배수밸브(152)를 폐쇄시킨다(단계S1805).
제품동파방지 배수시간은 초기 시운전 시 동파 방지를 위해 제품 안의 물만을 배수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을 초기 설정 값에 입력하는 것이다. 제품동파방지 배수시간은 각 시스템 및 설비의 규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실제 운전을 통해 측정하여 입력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t8)가 여유구동시간(t7) 이상인지를 판단하여(단계S1806) 그 이상이면 (도시안된) 여유시간 타이머를 종료시킨다(단계S1807).
다음으로, PLC컨트롤러(13)는 제품구동시간인지를 판단(단계S1808)하여 제품구동시간이라면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S200).
본 단계는 제품의 자동 제어 구동이 종료되었을 때 대기온도가 낮아 물이 동결될 우려가 크다면 가지배관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단계이다. 따라서, 자동 제어 구동의 제품을 종료하는 시간이 아니라면 가지배관 내의 물을 배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기 위해 부가되는 과정이다. 결국 제품의 구동시간은 최초 시작 단계에서의 제품 구동시간과 동일하다.
구동정지명령이 아직 입력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0)으로 돌아가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었다면 또는 상기 단계(S1808)에서 제품구동시간이 아니라 판단하면 PLC컨트롤러(13)는 대기온도가 동파예상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여(단계S1809) 이하이면 여유시간타이머를 개시하고(단계S1810) 대기온도가 동파예상온도 이하가 아니라 판단하면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시안된) 여유시간 타이머 개시 후 PLC컨트롤러(13)는 모든 배수밸브(152)를 개방시키고(단계S1811) (도시안된) 타이머가 가지배관배수시간(t11) 이상인지를 판단하여(단계S1812) 이상이면 모든 배수밸브를 폐쇄시키고(단계S1813) (도시안된) 여유시간타이머를 종료하여(단계S1814)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제품의 설비에는 주 배관과 가지배관이 있는데, 주배관은 각 가지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두꺼운 관이고 지중 깊은 곳에 위치하므로 동파의 우려가 거의 없다. 그러나, 가지배관은 주배관보다 위에 위치하므로 설치한 깊이에 따라 배수시간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이유러 겨울철 가지배관 배수시간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온도제어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PLC컨트롤러(13)는 장치의 구동을 시작하게 하는 모듈과 물 온도 차이 설정 값(dT1)과 실제 측정된 모듈의 온도(T1)와 물의 온도 (T3) 차이 값을 비교한다(S10).
여기서, 물 온도, 물의 온도 등은 수도, 급수탱크, 물공급관 등의 물의 온도 를 말하는 것으로 필요한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경우 수도, 급수탱크, 물공급관 등에서의 물의 온도는 거의 유사하므로 동일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과 물의 온도 차이 설정 값과 모듈과 물의 온도 차이 측정 값을 비교하여 시스템을 제어하지만, 모듈과 대기의 온도 차이 설정 값과 모듈과 대기의 온도 차이 측정 값을 비교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가 설정 값(dT1) 이상인 경우 PLC컨트롤러(13)는 레인 센서(18)의 온오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인 센서(18)가 오프이면 급수레벨 제어기(10)를 통해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이 설정 값(dT1) 미만인 경우 모듈의 온도(T1)가 설정된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이면 상기 단계(S101)로 진행할 수 있고,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에 미치지 아니하면 하기할 단계(S200)으로 진행한다.
레인 센서(18)가 온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레인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만일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인지를 온도감지 센서(19)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S103) 를 더 포함한다.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에 못미치면 (도시안된)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구동(S20)하고 급수밸브(151)를 개방(S40)시킨다. 그후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60). 여기서 타이머는 급수밸브의 개방 시간(t6)을 측정한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 온도(T3)에 미치지 못하면 (도시안된) 온도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급수밸브(151)의 개방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보조펌프(143)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한다.
보조펌프(143)는 평소보다 강한 압력으로 물의 분사가 필요한 경우 이를 기동하여 설정된 압력까지 기동 압력을 올리기 위한 것으로, 세척 및 제설의 경우 고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조 펌프(143)의 사용 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주펌프(142)의 기동에 이상이 있거나 순환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보조 펌프(143)를 통해 시스템을 구동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 보조펌프(143)가 있다고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구동시키고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81). 여기서, 타이머는 보조펌프(143)의 구동 시간(t5)을 측정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소정의 설정압력(P4) 이 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2)를 더 포함한다.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타이머를 정지시켜(S83) 보조펌프를 정지시킨다(S84).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소정의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5)를 더 포함한다.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이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보조펌프의 정지 후, 또는 상기 단계(S80)에서 보조펌프(143)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PLC컨트롤러(13)가 압력측정을 개시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물공급관 내의 압력이 측정된다.
그후, 모듈과 물 온도 차이 설정 값(dT1)이 실제 측정된 모듈의 온도(T1)와 물의 온도(T3) 차이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이 설정 값(dT1) 미만인 경우 타이머 및 압력측정단계를 종료한다(S130).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이 설정 값(dT1) 이상인 경우 현재까지의 측정시간(t6)이 최대 설정 시간(t3)보다 큰지를 판단하고(S120), 현재까지의 측정시간(t6)이 최대 설정 시간(t3) 이상일 경우 역시 타이머 및 압력측정단계를 종료하는 단계(S130)로 진행한다. 만일, 현재까지의 측정시간(t6)이 최대 설정 시간(t3) 미만일 경우 다시 S110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S120 단계를 진행하는 이유는, 모듈의 온도 차를 너무 크게 잡아 불필요한 물의 소모를 막기 위한 것이다. 모듈의 온도 변화는 초기에는 급격하게 변하지만 뒤로 갈수록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징이 있기에 설정시간을 주어 그 이상 구동 시 섹터 구동을 종료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설정최소압력(P3) 이상 및 설정최고압력(P4)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40).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이 범위에 해당하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밸브(151)를 폐쇄하고(S160), 측정된 최고 압력(P5) 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설정최고압력(P4)보다 높다면 배관 내 동결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것이므로 기동을 종료하고, 측정 최고 압력(P5)이 설정최소압력(P3) 이하일 경우 배관 내 누수가 발생한 것이므로 기동을 종료한다.
급수밸브(151)의 폐쇄후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정지시킨다(S180).
이때,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PLC컨트롤러(13)가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제2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설명한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다른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한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이러한 제3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급수밸브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증가에 따라 급수밸브(151)의 수 또한 증가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급수밸브(151)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펌프(142)를 정지시킨 이후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여유시간타이머(t8)를 기동시킨다(S1801).
그후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9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 이상일 경우 여유시간 타이머를 종료시킨다(S192).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 미만일 경우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 이상이 된 후 타이머를 종료시킨다(S192).
여유시간타이머(t8)는 시스템의 계속적인 구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구동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질 경우 펌프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또한 급수탱크에 물을 채워줄 여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정한 시간이다.
다음으로, PLC컨트롤러(13)는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200).
구동정지명령이란 자동 제어 시스템이 구동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입 력하는 정지명령으로 온도가 충분히 떨어지는 등 더 이상 기동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어 구동을 종료하고자 할 경우에 입력하는 것이다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S10)로 돌아가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LC컨트롤러(13)는 장치의 구동을 시작하게 하는 모듈과 물 온도 차이 설정 값(dT1)과 실제 측정된 모듈의 온도(T1)와 물의 온도(T3) 차이 값을 비교한다(S10).
이때,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가 설정 값(dT1) 이상인 경우 PLC컨트롤러(13)는 레인 센서(18)의 온오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인 센서(18)가 오프이면 급수레벨 제어기(10)를 통해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가 설정 값(dT1) 미만인 경우 모듈의 온도(T1)가 설정된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 이상이면 상기 단계(S101)로 진행할 수 있고, 모듈의 온도(T1)가 구동개시 온도(T4)에 미치지 아니하면 하기할 단계(S200)으로 진행한다.
레인 센서(18)가 온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레인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만일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인지를 온도감지 센서(19)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한다.
급수탱크 내의 물이 경고수위에 못미치면 (도시안된)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공급관 내의 물 온도(T3)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구동(S20)하고 급수밸브(151)를 개방(S40)시킨다. 그후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60). 여기서 타이머는 급수밸브의 개방 시간(t6)을 측정한다.
태양광 모듈의 온도(T1)가 물 온도(T3)에 미치지 못하면 (도시안된) 온도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급수밸브(151)의 개방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보조펌프(143)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한다.
보조펌프(143)가 있다고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구동시키고 (도시안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81). 여기서, 타이머는 보조펌프(143)의 구동 시간(t5)을 측정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소정의 설정압력(P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2)를 더 포함한다.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 안된) 타이머를 정지시켜(S83) 보조펌프를 정지시킨다(S84).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가 소정의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5)를 더 포함한다.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이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보조펌프의 정지 후, 또는 상기 단계(S80)에서 보조펌프(143)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PLC컨트롤러(13)가 압력측정을 개시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물공급관 내의 압력이 측정된다.
그후, 모듈과 물 온도 차이 설정 값(dT1)이 실제 측정된 모듈의 온도(T1)와 물의 온도(T3) 차이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이 설정 값(dT1) 미만인 경우 온도제어 구동시간 저장변수(t9)에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을 저장한다(S121). 이와 같이 저장된 온도제어 구동시간 저장변수(t9)를 이용하면 제2, 제3 급수밸브(151)에 대해 S110 단계 및 하기할 S120 단계를 진행하지 않고도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실제 측정된 차이 값(T1-T3)이 설정 값(dT1) 이상인 경우 현재까지의 측정시간(t6)가 최대 설정 시간(t3)보다 큰지를 판단하고(S120), 현재까지의 측정시간(t6)가 최대 설정 시간(t3) 이상일 경우 역시 온도제어 구동시간 저장변수(t9)에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을 저장한다(S121). 만일, 현재까지의 측정시간(t6)가 최대 설정 시간(t3) 미만일 경우 다시 S110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타이머 및 압력측정단계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30).
이후, PLC컨트롤러(13)는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설정최소압력(P3) 이상 및 설정최고압력(P4)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40).
측정된 최고 압력(P5)이 이 범위에 해당하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밸브(151)를 폐쇄하고(S160), 측정된 최고 압력(P5) 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때,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PLC컨트롤러(13)가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계(S40) 내지 단계(S160)를 제2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한다.
다만, S110 단계 및 하기할 S120 단계를 진행하지 않으며, 대신 제2 급수밸브에 대하여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이 S121 단계를 통해 얻어진 온도제어 구동시간 저장변수(t9)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2).
이때,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이 온도제어 구동시간 저장변수(t9) 이상이면 타이머 및 압력측정을 종료하는 S130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S122 단계를 반복하여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이 온도제어 구동시간 저장변수(t9) 이상이 될 때 타이머 및 압력측정을 종료하는 S130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제2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다른 제3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진행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급수밸브의 수가 그 이상인 경우 역시 동일한 과정 을 진행하게 된다.
마지막 급수밸브(151) 폐쇄 후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정지시킨다(S180).
상기 주펌프(142)를 정지시킨 이후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여유시간타이머(t8)를 기동시킨다(S1801).
그후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9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 이상일 경우 여유시간 타이머를 종료시킨다(S192).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 미만일 경우 여유시간 타이머의 시간(t8)이 최대 구동 시간(t7) 이상이 된 후 타이머를 종료시킨다(S192).
다음으로, PLC컨트롤러(13)는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200).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구동정지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S10)로 돌아가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강제구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구동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로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가 하나일 경우를 상정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구동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로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 장치가 세개인 경우를 상정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PLC컨트롤러(13)는 수레벨 제어기(10)를 통해 급수탱크(101)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소정의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0).
상세하게는, PLC컨트롤러(13)는 수레벨 제어기(10)를 제어하여 급수탱크(101)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명령하고 수레벨 제어기(10)는 이 명령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여 그 결과값을 PLC컨트롤러(13)에 전송한다.
감지된 물의 수위가 경고수위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급수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만일 급수탱크(101) 내의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대기온도가 소정의 온도, 예컨대, -5℃,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들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PLC컨트롤러(13)는 온도감지 센서(19)를 제어하여 대기온도를 감지하도록 명령하고 온도감지 센서(19)는 이 명령에 따라 대기온도를 감지하여 그 결과값을 PLC컨트롤러(13)에 전송한다.
감지된 대기온도가 상기 소정온도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온도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소정온도는 한계구동 온도로서 제품의 구동이 가능한 온도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5℃로 설정될 수 있다.
만일 감지된 대기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가 급수반복횟수(x)를 설정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0)이후, 본 시스템(1)에서 세척액을 사용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러한 상태를 변수값으로 PLC컨트롤러(13)에 지정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세척변수를 y로하여 세척변수값이 PLC컨트롤러(13)에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세척액을 사용하는 경우 y=1로, 그리고 세척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y=0로 하여 PLC컨트롤러(13)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PLC컨트롤러(13)는 주펌프(142)를 구동시킨다(단계S50).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본 시스템(1)이 세척액을 사용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계(S40)에서 PLC컨트롤러(13)내에 세척변수값(y)이 1 또는 0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본 시스템(1)이 세척액을 사용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즉, 세척변수값(y)이 1로 설정되어 있으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세척밸브를 개방하여(단계S70) (도시안된) 세척액 저장소로부터 세척액을 분사한다.
태양광 모듈에 쌓이게 되는 오물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먼지, 황사, 새똥, 지하수에 함유된 석회질 등이 있다. 따라서, 이들 오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세척액이 사용되어야 하며 그를 위해 다수의 세척액의 세척변수값(y1, y2, y3...)을 설정하면 된다. 세척액 별로 설정된 세척변수값에 따라 분사 여부가 결정된다.
본 시스템(1)이 세척액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즉, 세척변수값(y)이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세척밸브의 개 방없이 다음 단계를 이행하도록 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밸브(151)를 개방할지를 판단한다(단계S80).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냉각, 세척 등을 위하여 급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급수밸브(151)를 개방하게 된다.
만일, 급수밸브(151)를 개방한다고 판단하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밸브(151)를 개방하고(단계S90) (도시안된) 제 1 타이머를 개시한다(단계S100).
상기 급수밸브(151)의 개방 및 제 1 타이머의 개시이후 PLC컨트롤러(13)가 보조펌프(143)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펌프(143)는 평소보다 강한 압력으로 물의 분사가 필요한 경우 이를 기동하여 설정된 압력까지 기동 압력을 올리기 위한 것으로, 세척 및 제설의 경우 고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조 펌프(143)의 사용 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주펌프(142)의 기동에 이상이 있거나 순환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보조 펌프(143)를 통해 시스템을 구동하게 된다.
보조펌프(143)가 있다고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구동시키고(단계S102) (도시안된) 제 2 타이머를 작동시킬 수 있다(단계S103). 여기서, 제 2 타이머는 보조펌프(143)의 구동 시간(t5)을 측정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가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소정의 설정압력(P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제 2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 있다(단계S105).
물공급관 내의 압력(P1)이 설정압력(P4)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제 2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소정의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5)이 최대 설정 시간(t4) 이상이면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보조펌프를 소정시간동안 구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압력이 나오지 않았을 경우 누수가 있다고 판단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타이머의 정지(단계S105) 이후 PLC컨트롤러(13)는 세척모드 및 제설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세척모드 및 제설모드가 아니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정지하고(단계S108) 현재압력(P6)이 한계압력(위험압력)(P5) 이하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09).
세척모드 및 제설모드이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의 정지없이 단계(S109)를 수행한다.
단계(S109)에서 현재압력(P6)이 한계압력(P5) 이하가 아니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압력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S109)에서 현재압력(P6)이 한계압력(P5) 이하이면 PLC컨트롤러(13)가 (도시안된) 제 1 타이머에 의해 현재까지 측정한 시간(t6)이 설정된 최대 구동 시간(t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대 구동 시간(t3) 이상이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제 1 타이머에 의한 시간 측정을 종료하고(단계S120) 급수밸브(151)를 폐쇄한다(단계S130).
최대 구동 시간(t3)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프로세스를 단계(S109)로 진행시킨다.
단계(S101)로 되돌아가서, 만일 보조펌프(14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PLC컨트롤러(13)는 프로세스를 단계(S109)로 진행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30)에서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PLC컨트롤러(13)가 제 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S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계(S80) 내지 단계(S130)를 제 2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설명한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급수밸브(151)의 폐쇄 후 다른 제 3 급수밸브(151)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단계S20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단계에서 다른 제 3 급수밸브(151)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한 상기 단계(S80) 내지 단계(S130)를 이러한 제 3 급수밸브(151)에 대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급수밸브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로서 3개의 급수밸브가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요컨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증가에 따라 급수밸브(151)의 수 또한 증가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급수밸브(151)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계(S80) 내지 단계(S13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세척모드 및 제설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S140).
세척모드 및 제설모드이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를 정지시키고(단계S150) 순차적으로 주펌프(142) 또한 정지시킨다(단계S160).
세척모드 및 제설모드가 아니면 PLC컨트롤러(13)는 보조펌프(143)의 정지없이 주펌프(142)를 정지시킨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현재 세척모드인지, 즉 세척변수값(y)이 1인지를 판단하여(단계S170) 세척변수값(y)이 1이면 (도시안된) 세척밸브를 폐쇄하고(단계S175) 세척변수값(y)을 0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단계S180).
현재 세척모드가 아니라면, 즉 세척변수값(y)이 1이 아니라면, 예컨대 0이라면 PLC컨트롤러(13)는 세척변수값(y)을 0으로 변환 또는 유지한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제 3 타이머를 개시하고(단계S190), 제 3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8)이 소정의 여유 구동 시간(t7)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S200).
제3타이머(t8)는 시스템의 계속적인 구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구동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질 경우 펌프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또한 급수탱크에 물을 채워줄 여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정한 시간이다.
제 3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8)이 여유 구동 시간(t7)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단계(S200)를 반복한다.
만일 제 3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8)이 여유 구동 시간(t7)보다 크면 PLC컨트롤러(13)는 제 3 타이머를 종료시키고(단계S210), 구동 정지 명령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20).
구동 정지 명령이 수신되었으면 PLC컨트롤러(13)는 배수 설정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S240).
구동 정지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반복횟수(x)가 소정의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급수반복횟수(x)가 소정 설정치에 미치지 못하면, PLC컨트롤러(13)는 급수반복횟수(x)에 1을 더하여(단계S231) 프로세스가 단계(S50)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만일 급수반복횟수(x)가 소정 설정치 이상이거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S220)에서 구동 정지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한 단계(S240)로 진행한다.
단계(S240)에서 배수 설정이 되지 않았다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세척모드의 실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단계(S250)에서 세척모드를 실행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PLC컨트롤러(13)는 현재 동절기인지를 판단하고(단계S260) 동절기로 판단되면 (도시안된) 동파배수 알람을 기동시킨(단계S261) 후 모든 배수밸브(152)를 개방시킨다(단계S270).
만일 단계(S240)에서 배수 설정이 되었다 판단되면 PLC컨트롤러(13)는 (도시 안된) 배수설정 알람을 기동시키고(단계S241) 순차적으로 (도시안된) 세척배수알람을 기동시킨(단계S251) 후 프로세스를 단계(S270)로 진행시킨다.
이후 PLC컨트롤러(13)는 (도시안된) 제 3 타이머를 개시한다(단계S280).
다음 PLC컨트롤러(13)는 제 3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8)이 소정의 배관 배수 시간(t11)보다 큰 지 판단하여(단계S290) 미치지 못하면 단계(S290)를 반복하고, 크다면 (도시안된) 제 3 타이머를 종료하고(단계S300) 모든 배수밸브(152)를 폐쇄시킨(단계S310) 다음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구동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제구동방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 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

Claims (7)

  1. 물을 분사하여 태양광 발전설비를 유지관리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제어방식, 온도제어방식, 강제구동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를 제어하되,
    시간제어방식은, 구동개시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구동개시시간이면 펌프를 구동하고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타이머의 작동 시간이 설정된 최대 구동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여 물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온도제어방식은,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이상이 되면 펌프를 구동하고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미만이 되면 밸브를 폐쇄하여 물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강제구동방식은, 세척액의 사용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세척액을 포함시켜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제어방식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작동단계 이후 물공급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이 물공급관의 설정된 최소압력 이상 내지 최고압력 이하인 경우 다음 단계인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제어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동개시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사이에, 레인센서의 온오프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인센서가 온이면 레인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레인센서가 오프이면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미만이면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 내에 포함된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 온도 미만이면 온도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 온도 이상이면 대기온도가 동파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대기온도가 동파온도 미만이면 동파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대기온도가 동파온도 이상이면 펌프를 구동하고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방식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작동단계 이후 물공급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이 물공급관의 설정된 최소압력 이상 내지 최고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방식에 있어서, 측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이 설정된 모듈의 온도와 물의 온도 혹은 대기의 온도 차이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사이에, 레인센서의 온오프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레인 센서가 온이면 레인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레인 센서가 오프이면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미만이면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경고수위 이상이면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 내에 포함된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온도 미만이면 온도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물온도 이상이면 펌프를 구동하고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구동방식에 있어서, 급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물의 수위와 소정의 설정수위의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저장된 물의 수위가 경고수위 미만이면 급수 알람 기동 후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저장된 물의 수위가 경고수위 이상이면 펌프를 구동하고 물분사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KR1020090050234A 2009-06-08 2009-06-08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092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34A KR100927743B1 (ko) 2009-06-08 2009-06-08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34A KR100927743B1 (ko) 2009-06-08 2009-06-08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743B1 true KR100927743B1 (ko) 2009-11-18

Family

ID=4160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234A KR100927743B1 (ko) 2009-06-08 2009-06-08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3199A (zh) * 2013-09-13 2013-12-18 国家电网公司 主进水阀旁通阀位置信号丢失时保证机组正常启动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3012A (ja) * 1988-12-14 1990-06-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自動散水装置
JPH0738131A (ja) * 1993-04-09 1995-02-07 Yutaka Nawata 水噴射装置のつ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03197945A (ja) 2001-12-27 2003-07-11 Panahome Corp 太陽光発電装置
JP2008282837A (ja) 2007-05-08 2008-11-20 Usi:Kk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ソーラーパネル用散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3012A (ja) * 1988-12-14 1990-06-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自動散水装置
JPH0738131A (ja) * 1993-04-09 1995-02-07 Yutaka Nawata 水噴射装置のつ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03197945A (ja) 2001-12-27 2003-07-11 Panahome Corp 太陽光発電装置
JP2008282837A (ja) 2007-05-08 2008-11-20 Usi:Kk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ソーラーパネル用散水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3199A (zh) * 2013-09-13 2013-12-18 国家电网公司 主进水阀旁通阀位置信号丢失时保证机组正常启动的方法
CN103453199B (zh) * 2013-09-13 2016-09-07 国家电网公司 主进水阀旁通阀位置信号丢失时保证机组正常启动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706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0982263B1 (ko) 태양광 발전기 세척 및 냉각 시스템
KR101148020B1 (ko) 효율향상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시스템
KR101599420B1 (ko) 태양광 모듈용 안개분사식 냉각 세정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702301B1 (ko) 빗물을 활용한 건물 온도 내림 장치
KR102245493B1 (ko) 태양광모듈 온도저감 및 세척시스템
CN206472097U (zh) 一种太阳能电池板自动清洁与降温装置
JP5548824B2 (ja) 太陽光発電設備の効率向上設備
KR100927743B1 (ko)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1965812B1 (ko) 태양광 패널 냉각 시스템
KR100983783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CN204583748U (zh) 一种分布式光伏电站组件的自动清洗装置
KR101053120B1 (ko)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99236B1 (ko) 태양광 발전설비 효율향상장치의 관리 시스템
KR101058429B1 (ko) 태양광 발전설비유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1039737B1 (ko)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9371A (ko) 태양광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1148022B1 (ko) 태양광 발전설비 효율향상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624538B1 (ko) 물 수요 중심 용수 공급 시스템
KR20170025183A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냉각 및 세척장치
KR101044712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1107623B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1044713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세척을 구현하는 효율향상설비
KR101151734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1263243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