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600B1 -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600B1
KR100927600B1 KR1020070106213A KR20070106213A KR100927600B1 KR 100927600 B1 KR100927600 B1 KR 100927600B1 KR 1020070106213 A KR1020070106213 A KR 1020070106213A KR 20070106213 A KR20070106213 A KR 20070106213A KR 100927600 B1 KR100927600 B1 KR 10092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data
transmitted
nod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726A (ko
Inventor
김세한
이계선
윤종호
변강호
김내수
표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600B1/ko
Priority to US12/149,255 priority patent/US8089909B2/en
Publication of KR2009004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송신 노드가 송신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긴 프리앰블의 잔량, 송신할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가진 짧은 프리앰블(preamble)들을 포함하는 긴 프리앰블을 생성하고, 긴 프리앰블과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며,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송신 노드가 송신한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 수신 노드가 송신 노드가 송신한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여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오버히어링(ovehearing)을 감소시킨다.
센서 네트워크, overhearing

Description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sensor network for reducing overhearing of sensor nodes}
본 발명은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106-03, 과제명: RFID/USN용 센서 태그 및 센서 노드 기술 개발].
비동기 방식으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 특히 센서 네트워크의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에서 송신을 하고자 하는 노드가 인근 이웃 노드들에게 자신이 송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인근 이웃 노드들이 상기 동작이나 송신에 따른 신호가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신하는 것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이라 한다. 이러한 오버히어링을 하게 되는 센서 노드는 전력, 즉 에너지를 그만큼 소모하게 되고, 이러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몇 가지 종래 기술이 존재한다.
먼저 첫 번째 종래 기술, 즉 Berkeley MAC(Media Access Control), 또는 B-MAC(J. Polastre & J. Hill & D. Culler, 'Versatile Low Power Media Acces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bedded Networked Sensor Systems', pp. 95-107, Nov. 2004)은 프리앰블 샘플링(Preamble Sampling)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비동기 방식으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동기화를 맞추기 위한 프로토콜의 오버헤드를 줄였고,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환경에서 각 노드가 자신의 인근 노드들이 자신에게 보낼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Awake 동작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였다.
도 1은 Berkeley MAC에 따른 센서 노드(Sensor node)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노드들(101, 102, 103)이 각각 다른 시간에 체크 간격(Check Internval)이라 불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깨어나서(Wake), 채널이 사용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LPL) 동작을 수행한다.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노드(101)는 LPL 동작을 통해 채널이 Idle 상태임을 확인하고 체크 간격보다 긴 길이의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하여 주변 수신이 가능한 이웃노드들(102, 103)에게 자신이 송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그리고 나서 송신 노드(101)는 프리앰블에 이어서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 즉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를 수신하는 인근 노드들(102, 103)은 체크 간격으로 깨어나서 LPL을 수행하다가 송신 노드(101)가 전송한 프리앰블을 감지하게 되면 그 송신 노드(101)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 대상이 자신일지도 모르므로 그 송신 데이터의 목적지주소(Destination Address:DA)를 수신할 때까지 오버히어링을 하게 된다. 목적지주소를 수신하여 수신 대상이 자신인 경우에는 데이터를 끝까지 수신하게 되고, 수신 대상이 자신이 아닌 경우에는 슬립(Sleep)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송신노드(101)의 이웃노드들(102, 103) 모두 송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수신할 때까지 불필요하게 프리앰블 구간을 수신하는 오버히어링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서 송신과정에서는 긴 프리앰블을 사용하고, 수신과정에서는 데이터를 오버히어링(104)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국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종래기술, 즉 B-MAC+(Marco Avvenuti & Paolo Corsini & Paolo Masci & Alessio Vecchi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reamble sampling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Mobile Compu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Sep. 2006)에서는 이러한 첫 번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개선하였다.
도 2는 B-MAC+에 따른 센서 노드(Sensor node)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첫번째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각 센서 노드들(211, 212, 213)은 LPL과 슬립(Sleep)을 반복한다.
그렇지만 송신 노드(211)는 첫번째 종래기술에서의 프리앰블 구간에서 웨이크업 프리앰블(Wake-Up Preamble)(201)이라는 짧은 프리앰블을 연속적으로 송신하 여 송신 노드(211)의 이웃 노드들(212, 213)에게 송신 데이터의 목적지주소와 웨이크업 프리앰블의 남은 수를 알려준다. 즉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노드인 송신 노드(211)는 LPL 이후에 웨이크업 프리앰블의 프리앰블(Preamble of Wake-Up Preamble:PWP), 시작 프레임 구분자(Start Frame Delimiter:SFD),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DA) 및 웨이크업 프리앰블의 카운트다운(Countdown) 정보로 구성된 웨이크업 프리앰블을 연속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각자의 체크 간격 동안 슬립(Sleep)하고 깨어나(Wake) LPL을 수행하는 인근 노드들(212, 213)이 트래픽(Traffic)이 있음을 감지하고 깨어나 웨이크업 프리앰블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송신 노드(211)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 대상이 아닌 노드들은 웨이크업 프리앰블에 수납된 웨이크업 프리앰블의 카운트다운 정보를 보고 긴 프리앰블(Long Preamble)이 끝나는 시점까지 슬립(Sleep)하며, 수신 대상인 노드들은 마찬가지로 웨이크업 프리앰블에 수납된 웨이크업 프리앰블의 카운트다운 정보를 보고 긴 프리앰블(Long Preamble)이 끝나는 시점까지 슬립(Sleep)하였다가 깨어나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하여 도 3의 프리앰블 구간에 해당하는 도 4의 긴 프리앰블 구간 동안 그 긴 프리앰블 모두를 수신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첫번째 종래기술에 따른 오버히어링 문제를 개선하였다. 하지만 만약 송신노드(211)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 대상이 아닌 이웃노드들(213) 중의 일부가 일찍 웨이크업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슬립(Sleep)을 하게 되었다면, 다음 LPL 동작을 위해 송신노드(211)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깨어나게 된다.(214) 그런 경우에 도 2의 213a의 시간축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 노드들은 LPL을 수행하고 웨이크업 프리앰블을 수신하기 위해 오버히어링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번째 종래기술에서 송신 노드의 이웃 노드들이 송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깨어나서 오버히어링을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overhearing)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수신 방법, 그리고 이 방법들을 구현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송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 각각은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자신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 수 개의 노드들 중에 포함된 수신 노드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유효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 포함된 상기 유효한 신호를 송신한 송신 노드로부터 송신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송신 노드가 다른 노드들에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노드가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 수신 노드가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된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노드가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다른 노드들에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는 송신 노드; 및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된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한다.
이로써, 송신 노드의 이웃 노드들이 송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깨어나서 오버히어링을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노드의 이웃 노드들이 송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깨어나서 오버히어링을 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센서 네트워크 환경, 특히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 환경 에서 센서 노드들의 오버히어링을 최소화시켜, 그 센서 노드들의 전력 소모, 즉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 송신 노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들이 소모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센서 노드들의 밀집도가 높은 환경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과정에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을 없애기 때문에 데이터의 길이가 클수록, 데이터의 발생 빈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에너지 소모 최소화,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로 인하여 센서 노드의 수명을 연장하여 센서 네트워크가 더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overhearing)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수신 방법, 그리고 이 방법들을 구현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가능한 한 같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참조하는 참조 번호들은 명세서나 도면을 통하여 동일하게 기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서 노드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노드(311)가 송신을 하고 송신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 수신 노드(312)가 송신 노드(311)의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수신 대상이 아닌 송신 노드(311)의 주변 노드들 두 개가 수신을 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각 노드들(311, 312, 313)은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각 노드들(311, 312, 313)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LPL)을 수행하며 동일한 슬립(Sleep) 상태의 간격인 체크 간격(Check Interval)을 갖는다. 여기서 어떤 센서 노드가 '슬립(Sleep) 상태'라 함은 그 센서 노드가 다른 센서 노드들의 신호 수신이나 채널 검사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 즉 비활성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LPL이란 주기적으로 깨어나 채널을 샘플링하는 동작을 말한다. LPL을 통하여 채널이 깨끗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그 채널에 유효한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송신 노드(311)가 두 번째 LPL을 마치고 채널이 깨끗하다고 - 즉 그 채널에 유효한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 판단하고 자신이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 (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대 노드를 위한 짧은 프리앰블(Short Preamble, 301)(제1 프리앰블)의 연속으로 구성된 긴 프리앰블(Long Preamble)(제2 프리앰블)과 (ⅱ)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한다. 이때 긴 프리앰블의 길이(지속시간)는 체크 간격과 하나의 짧은 프리앰블의 길이와 한번의 LPL 동작을 수행하는 시간 길이의 합보다 길어야 한다. 그 이유는 송신노드(311)의 모든 인근노드들(312, 313)이 긴 프리앰블을 감지하고 하나의 짧은 프리앰블을 충분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짧은 프리앰블을 연속해서 보내는 이유는 LPL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채널의 유효한 신호만을 감지해 내는 동작이기 때문이다. 만약 긴 프리앰블을 송신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짧은 프리앰블을 간격을 두어 송신하게 되면 LPL 구간의 길이를 길게 만들어야 하고 그만큼 모든 센서 노드들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도 긴 LPL 동작을 하므로 전체적인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소모가 커진다.
짧은 프리앰블(301)은 짧은 프리앰블의 프리앰블(Preamble of Short Preamble:PSP), 시작 프레임 구분자(Start Frame Delimiter:SFD),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DA), 긴 프리앰블의 잔량(Remainder of Long Preamble), 데이터 길이(Data Length)로 구성되어 있다.
PSP는 비트(bit)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필요하고, SFD는 바이트 단위의 유효한 정보가 시작됨을 알린다. DA는 송신 노드(311)가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목적지 주소 정보를 담고 있고, 긴 프리앰블의 잔량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짧은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 남아있는 긴 프리앰블에 관한 정보를 담는다. 데이터 길이는 송신할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수신 노드(312)는 LPL과 슬립(Sleep)을 반복하다가 세 번째 LPL 동작 중에 채널에 유효한 신호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하고 라디오를 켜서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노드(312)는 짧은 프리앰블에 포함된 DA를 보고 자신이 수신 대상임을 판단하고 긴 프리앰블의 잔량에 적힌 길이, 즉 시간만큼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긴 프리앰블의 잔량에 적힌 길이가 지나면 깨어나서 송신 노드(301)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 대상이 아닌 타 노드들(313)은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DA를 보고 자신이 수신 대상이 아님을 알고 긴 프리앰블의 잔량에 적힌 길이와 데이터 길이에 적힌 길이의 합만큼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한다.
두번째 종래 기술에서는 짧은 프리앰블에 대응되는 웨이크업 프리앰블 내에 상기와 같은 데이터 길이 부분이 없기 때문에 송신 노드(201)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일부 센서 노드가 깨어나서 LPL을 수행하면 채널에 유효한 신호를 감지하고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송신 노드(301)가 송신하고 있을 때에도 도 3의 313b의 시간축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 노드들은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314) 오버히어링을 하지 않고 그만큼의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내의 하나의 센서 노드의 데이터송수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센서 노드가 LPL 동작을 수행하여(S410) 채널이 깨끗하다고 판단한 상태에서, 즉 그 채널에 유효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S420)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430) 만일 그 채널에 유효 신호가 감지된 경우(S420)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440) 이후 그 센서 노드는 자신의 다음의 LPL 시점까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S450) 다시 LPL 동작을 반복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구성 단계 중 하나의 센서 노 드의 송신 모드의 동작 단계(S430)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채널에 유효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S420)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31).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오버히어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짧은 프리앰블들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그 뒤에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붙여서 송신한다.(S432)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구성 단계 중 하나의 센서 노드의 수신 모드의 동작 단계(S440)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하나의 센서 노드가 채널에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다면(S420),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하기 위해 라디오를 켜고 무선신호를 수신 한다. 이 경우 짧은 프리앰블을 충분히 수신할 수 있는 시간, 즉 미리 정해진 짧은 프리앰블 수신의 유효시간 동안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해 본다(S441) 그 후 짧은 프리앰블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442) 만일 짧은 프리앰블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정해진 짧은 프리앰블 수신의 유효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S443) 이 경우 짧은 프리앰블 수신의 유효시간이 만료되었다면, 즉 충분한 시간 동안에도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그 센서 노드는 더미 데이터(Dummy Data)를 수신했다고 생각하고 라디오를 꺼서 자신의 LPL 시점까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S450) 다시 LPL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만일 짧은 프리앰블 수신의 유효 시간이 만료되지 않았으면(S443) 짧은 프리앰블 수신의 유효시간 동안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S441)를 반복한다.
만약 짧은 프리앰블 수신이 완료되었다면(S442) 짧은 프리앰블에 포함된 DA, , 긴 프리앰블의 잔량, 데이터 길이라는 정보를 얻게 된다.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한 노드는 DA를 통해 자신이 송신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지 아닌지, 즉 DA에 수신 노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S444)
여기서 자신이 수신 대상임을 확인하면 그 수신된 짧은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긴 프리앰블의 남은 구간 동안, 즉 긴 프리앰블의 잔량만큼의 시간 동안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S445) 송신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점에서 깨어나 데이터를 수신한다.(S446) 이 때 긴 프리앰블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나머지 연속된 짧은 프리앰블들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 수 있다.
수신 대상 노드가 아니라면(S444) 긴 프리앰블의 남은 구간, 즉 그 수신된 짧은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긴 프리앰블의 잔량만큼의 시간과 데이터 길이에 기재된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 즉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길이를 합한 길이만큼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S447)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5의 구성 단계들은 도 4b의 제432단계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즉 이미 송신 노드가 자신의 LPL 동작을 수행하여 채널에 유효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였고,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송신 노드가 다른 노드들에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을 감소시키 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짧은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긴 프리앰블을 생성한다.(S510) 여기서 짧은 프리앰블은 상기의 내용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자신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긴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송신 노드는 긴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한다. (S5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6의 구성 단계들은 도 4a의 제420단계와 도 4c의 구성 단계들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즉 이미 수신 노드가 자신의 LPL 동작을 수행하여 채널에 유효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대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비동기 방식으로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 포함된 수신 노드가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다.(S610)
상기 과정에서 유효한 신호가 감지되면 수신 노드는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 포함된 상기 유효한 신호를 송신한 송신 노드로부터 송신된 짧은 프리앰블을 수신한다.(S620)
상기 과정에서 수신이 성공하면 수신 노드는 상기 수신된 짧은 프리앰블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송신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짧은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수신된 짧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긴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한다.(S630)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의 송신 방법과 수신 방법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은 어떤 하나의 노드, 예를 들면 송신 노드가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노드 예를 들면, 수신 노드가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수행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센서 네트워크 또한 상기 도 4 내지 도 6의 기능을 구현하는 센서 노드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이 센서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Berkeley MAC에 따른 센서 노드(Sensor node)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B-MAC+에 따른 센서 노드(Sensor node)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서 노드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내의 하나의 센서 노드의 데이터송수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구성 단계 중 하나의 센서 노드의 송신 모드의 동작 단계(S430)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구성 단계 중 하나의 센서 노드의 수신 모드의 동작 단계(S440)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 감소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9)

  1. 비동기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깨어나 채널이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송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 각각은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자신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리앰블의 길이는
    상기 일정한 시간 간격과 하나의 제1 프리앰블의 길이와 상기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시간 길이의 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다음의 저전력 수신 시점까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 각각은
    비트 동기를 맞추기 위한 프리앰블, 바이트 단위의 유효한 정보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시작 프레임 구분자(Start Frame Delimiter)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은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7. 비동기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깨어나 채널이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 포함된 수신 노드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유효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 포함된 상기 유효한 신호를 송신한 송신 노드로부터 송신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리앰블의 길이는
    상기 일정한 시간 간격과 하나의 제1 프리앰블의 길이와 상기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시간 길이의 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에 상기 수신 노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 시간 이후에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다음의 저전력 수신 시점까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정해진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의 유효시간이 만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 유효시간이 만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에 상기 수신 노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가 포함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노드가 포함되었음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과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을 합산한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노드의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앰블은
    비트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제1 프리앰블, 바이트 단위의 유효한 정보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시작 프레임 구분자(Start Frame Delimiter)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2. 삭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은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5. 비동기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깨어나 채널이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송신 노드가 다른 노드들에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노드가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 수신 노드가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리앰블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된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노드가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리앰블의 길이는
    상기 일정한 간격과 하나의 제1 프리앰블의 길이와 상기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시간 길이의 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가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송신 노드가 자신의 다음의 저전력 수신 시점까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노드가 비활 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 시간 이후에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다시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8. 비동기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깨어나 채널이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저전력 수신(Low Power Listening)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노드들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 중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다른 노드들에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프리앰블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하는 송신 노드; 및
    저전력 수신에 의한 활성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유효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된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상기 수신된 제1 프리앰블의 시간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잔량, 상기 송신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비활성화 상태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리앰블의 길이는
    상기 일정한 간격과 하나의 제1 프리앰블의 길이와 상기 저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시간 길이의 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방식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드들은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방식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70106213A 2007-10-22 2007-10-22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92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213A KR100927600B1 (ko) 2007-10-22 2007-10-22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2/149,255 US8089909B2 (en) 2007-10-22 2008-04-29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sensor network for reducing overhearing of sensor n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213A KR100927600B1 (ko) 2007-10-22 2007-10-22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26A KR20090040726A (ko) 2009-04-27
KR100927600B1 true KR100927600B1 (ko) 2009-11-23

Family

ID=4056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213A KR100927600B1 (ko) 2007-10-22 2007-10-22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89909B2 (ko)
KR (1) KR100927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213B1 (ko) 2009-07-14 2011-10-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멀티 홉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9520B (zh) * 2008-08-11 2014-12-3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解决身体域网络介质访问控制协议的串音问题的技术
WO2010018518A1 (en) * 2008-08-11 2010-0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chniques for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peration modes in body area networks
JP5291194B2 (ja) * 2008-08-11 2013-09-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複数の共位置の身体領域ネットワークの調和のとれた共存をサポートする技法
JP5675772B2 (ja) * 2009-04-15 2015-02-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エネルギー効率の良い送信
US8879466B2 (en) * 2009-05-18 2014-11-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 node for using asynchronous MAC
KR101269550B1 (ko) * 2009-09-02 2013-07-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42600B1 (ko) * 2009-12-04 2011-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선형 센서 네트워크에서 저전력 매체 접근 제어 방법
WO2011080451A1 (fr) * 2009-12-14 2011-07-07 France Telecom Procede de transmission d'un signal de communication perfectionne
KR101653205B1 (ko) 2010-04-01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프리앰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RU2517311C1 (ru) * 2010-05-07 2014-05-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паке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граничителя начала кадра
US8774050B2 (en) * 2010-11-09 2014-07-08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wake-up time adjustment based on designated paths through a computer network
KR101781193B1 (ko) * 2010-12-21 2017-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망에서 노드들에게 시간 동기 전달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FR2971662B1 (fr) * 2011-02-10 2013-03-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ethode de communication asynchrone pour reseau de capteurs sans fil
US8876726B2 (en) * 2011-12-08 2014-11-04 Biosense Webster (Israel) Ltd. Prevention of incorrect catheter rotation
KR101941848B1 (ko) 2013-08-12 2019-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노드의 에너지 소비 감소를 위한 전송 노드, 수신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EP2962506B1 (en) * 2014-01-06 2017-07-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transmission
WO2017166262A1 (en) * 2016-04-01 2017-10-05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and sens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for transmission of plant state data
CN111315004B (zh) * 2020-02-14 2022-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系统、数据发送设备、数据接收设备
CN111431631B (zh) * 2020-03-23 2022-02-18 深圳和而泰数据资源与云技术有限公司 一种双向通信方法、接收设备、发送设备及通讯系统
CN111948729B (zh) * 2020-08-14 2023-05-23 河南理工大学 一种基于多模多节点的煤矿井下隐蔽火源探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623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용 매체접근제어에서의 수신 패킷의 버퍼링방법 및 버퍼링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3511B2 (en) * 1998-10-14 2006-09-05 Statsignal Ipc, Ll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providing remote monitoring of devices
KR100697828B1 (ko) 2005-07-11 2007-03-20 충청북도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저전력 트래픽 제어 방법
KR100717962B1 (ko) 2005-07-15 2007-05-14 전자부품연구원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0646824B1 (ko) 2005-10-14 2006-11-23 전자부품연구원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tdma기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21125B1 (ko) 2005-12-01 2008-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매체접근제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처리장치 간의버퍼관리 및 수신 인터럽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6385B1 (ko) 2005-12-21 2006-12-11 전자부품연구원 선형 구조를 가지는 실시간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신방법
KR100953565B1 (ko) * 2007-10-19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 센서 노드의매체 접근 제어 장치
KR101042600B1 (ko) * 2009-12-04 2011-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선형 센서 네트워크에서 저전력 매체 접근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623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용 매체접근제어에서의 수신 패킷의 버퍼링방법 및 버퍼링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 adaptive energy-efficient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SenSys'03, Nov. 5-7, 20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213B1 (ko) 2009-07-14 2011-10-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멀티 홉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89909B2 (en) 2012-01-03
KR20090040726A (ko) 2009-04-27
US20090103437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600B1 (ko)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EP3024289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233420B2 (en)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network using synchronous MAC protocol
US8014748B2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30638A1 (en) Adaptive sleeping and awakening protocol for an energy-efficient adhoc network
KR101182422B1 (ko) IEEE802.15.4-2006 비콘(Beacon)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운영시간 확장 방법 및 장치
KR20090090461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수명 연장 방법 및이를 위한 시스템
Harris III et al. When underwater acoustic nodes should sleep with one eye open: Idle-time power management in underwater sensor networks
US20090213830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86770A (ko) 트리 라우팅 기반 및 비컨 모드의 지그비 시스템에서데이터 충돌 방지 방법
KR20050104395A (ko)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US77833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leep mode to save power in a wireless mesh network
CN106888491B (zh) 一种基于相长干涉的无线传感器网络按需快速唤醒方法
US86703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 signal comprising preamble and a data frame
KR20090040127A (ko)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 센서 노드의매체 접근 제어 장치
EP1599976B1 (en) Power management in an ieee 802.11 ibss using an end of atim frame and a dynamically determine atim period
WO2007102115A1 (en) Device discovery in a low power wireless system
KR100885433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KR10113543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능동적 수면/활성 듀티 사이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EP2105037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tone and/or tone patterns to indicate the message typ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8810842B (zh) 一种无线传感器网络节点及用于该节点的mac协议方法
Lim et al. Medium access control with an energy-efficient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892321B1 (ko) 가변 듀티 사이클을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상의 통신 방법
KR101155626B1 (ko) 적응적 통신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센서노드
Murakami et al. Cluster–based Wake–up Control for Top–k Quer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