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962B1 -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962B1
KR100717962B1 KR1020050064109A KR20050064109A KR100717962B1 KR 100717962 B1 KR100717962 B1 KR 100717962B1 KR 1020050064109 A KR1020050064109 A KR 1020050064109A KR 20050064109 A KR20050064109 A KR 20050064109A KR 100717962 B1 KR100717962 B1 KR 10071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ata
network system
wireless network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102A (ko
Inventor
김호년
이재용
양승운
유준재
원광호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6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962B1/ko
Priority to US11/312,463 priority patent/US20070014268A1/en
Publication of KR2007000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의 모드를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인지 긴급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c) 긴급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일반 데이터인 경우: (d-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d-2)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부터 CTS 패킷을 수신받는 단계와; (f)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d-1)에서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지 않거나,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C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타임아웃(time out) 값을 가지는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h)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는 노드들로부터 RTS 패킷을 수신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i)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으면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에게로 CTS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이 종료되면 단계 (g)로 점프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고 상기 타임아웃 값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단계와; (k) 상기 제1 노드의 모드를 슬리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각 노드에 있어서 노드의 버퍼를 임계값과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긴급 데이터의 우선 전송을 보장하며 특정 노드에 의한 전송 매체의 독점적 사용을 방지하고 패킷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 센서 노드들에 대한 최적의 전원 관리와 타이머를 이용한 효율적인 에너지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응용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센서 네트워크, MAC, RTS, CTS, 긴급 데이터, 패킷, 임계값, 에너지 효율, 패킷 지연, 우선순위, 버퍼, 제어, 데이터 통신

Description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기록 매체{METHOD OF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HAVING MANY NODES AND SENSOR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의 타입 아웃 값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트래픽에 대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트래픽에 대한 임계값의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한 데이터에 대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E-RTS(Emergency-RTS)와 E-CTS(Emergency-CTS)와 B-RTS(Booking-R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E-RTS와 E-CTS와 B-RTS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각 노드에 있어서 노드의 버퍼를 임계값과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긴급 데이터의 우선 전송을 보장하며 특정 노드에 의한 전송 매체의 독점적 사용을 방지하고 패킷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적인 인프라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는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센싱 또 는 컴퓨팅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와는 달리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므로 최소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전달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여러 계층 가운데 데이터의 에러 및 흐름을 제어하고 자원을 관리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MAC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기존의 MANET(Mobile Ad-hoc Network) 또는 IEEE 802.11과 같은 구성의 MAC 프로토콜을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경우 패킷 충돌(collision), 오버히어링(overhearing), 제어 패킷 오버헤드(overhead), 아이들 리스닝(idle listening)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 특화된 MAC 프로토콜 구조가 개발되었다.
우선 S-MAC(Sensor MAC) 프로토콜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장 큰 에너지 낭비 요소인 아이들 리스닝을 줄이기 위해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적용하여 각 센서 노드를 주기적으로 슬리핑(sleeping)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리핑 모드로의 주기적인 전환을 통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경쟁(contention) 기반의 스케줄링(scheduling)을 사용하여 확장성을 개선하며 패킷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T-MAC(Timeout-MAC)은 S-MAC과 같은 경쟁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이다. S-MAC에서는 활성(active)/슬리핑 듀티 사이클을 적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듀티 사이클은 고정된 형태로 적용되므로 트래픽 환경 변화에 대해 대응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너지 절감 효율이 감 소한다. 따라서 유동적인 듀티 사이클을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마지막으로 송수신한 이후 듀티 사이클 적용을 위한 타이머를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트래픽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에너지 절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S-MAC이나 T-MAC과 같은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에너지 효율성 측면으로는, 고정적인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는 S-MAC은 종래의 무선 MAC 프로토콜보다는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만,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센싱하는 데이터의 양이 극히 적은 경우 불필요한 아이들 리스닝을 수행하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S-MAC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T-MAC에서는 유동적인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므로 네트워크의 트래픽 환경이 적은 경우에 타이머를 동작하여 불필요한 아이들 리스닝 시간을 줄이게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안을 채택하였으나,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별도의 타이머를 설정하므로 그만큼의 시간 동안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매우 많은 환경에 대해서는 듀티 사이클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기 어렵다.
또한 우선순위(priority) 측면으로는, 센서 네트워크의 목적이 이벤트를 센싱, 즉 감지하여 이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센싱되는 데이터 중에서 긴급을 요하는 데이터가 일반적인 데이터보다 우선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며 이처럼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노드에게 우선적으로 전송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MAC 구조에서는 이러한 우선순위에 대한 고려가 없다.
또한 공정성(fairness) 측면으로는, 센서 네트워크는 많은 노드가 설치되나 이중에서 임의의 노드가 전송 매체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게 된다면 다른 노드는 공정성 측면에서 취약하게 되며, 또한 임의 노드의 에너지 소모는 다른 노드보다 커지므로 네트워크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패킷 지연(delay) 측면으로는, 고정된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는 경우 버스트(burst)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면 설정된 리스닝(listening) 구간(period) 동안에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전체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패킷 처리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 구조로서,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긴급 데이터의 우선 전송을 보장하며 특정 노드에 의한 전송 매체의 독점적 사용을 방지하고 패킷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MAC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각 노드에 있어서 노드의 버퍼를 임계값과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긴급 데이터의 우선 전송을 보장하며 특정 노드에 의한 전송 매체의 독점적 사용을 방지하고 패킷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의 모드를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인지 긴급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c) 긴급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일반 데이터인 경우: (d-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d-2)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부터 CTS 패킷을 수신받는 단계와; (f)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d-1)에서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지 않거나,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C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타임아웃(time out) 값을 가지는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h)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는 노드들로부터 RTS 패킷을 수신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i)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으면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에게로 CTS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이 종료되면 단계 (g)로 점프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고 상기 타임아웃 값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단계와; (k) 상기 제1 노드의 모드를 슬리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상기 타임아웃 값은 경쟁 구간(contention interval)에 RTS 패킷의 전파(propagation) 시간보다는 크고 RTS 패킷의 전송 시간보다는 작은 시간값을 더한 시간만큼의 타임아웃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경우 작아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긴급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매우 작은 값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에서 E-RTS(emergency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노드로부터 E-CTS(emergency CTS)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RTS 및 상기 E-CTS 패킷은 종래의 RTS 및 CTS 패킷 구조의 서브타입(subtype)을 다르게 하여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3 노드로 상기 E-RTS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를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4 노드로 B-RTS(booking RST)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노드를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a)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의 모드를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과; (b)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인지 긴급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기능과; (c) 긴급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과; (d) 일반 데이터인 경우: (d-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기능과, (d-2)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과; (e)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부터 CTS 패킷을 수신받는 기능과; (f)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과; (g) 상기 기능 (d-1)에서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지 않거나, 상기 기능 (e)에서 상기 C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 (f)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타임아웃 값을 가지는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기능과; (h)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는 노드들로부터 RTS 패킷을 수신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과; (i) 상기 기능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으면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에게로 CTS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이 종료되면 기능 (g)로 점프하는 기능과; (j) 상기 기능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고 상기 타임아웃 값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기능과; (k) 상기 제1 노드의 모드를 슬리프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상기 타임아웃 값은 경쟁 구간에 RTS 패킷의 전파 시간보다는 크고 RTS 패킷의 전송 시간보다는 작은 시간값을 더한 시간만큼의 타임아웃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경우 작아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능 (c)는, (c-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 다 큰지 확인하는 기능과, (c-2)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긴급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매우 작은 값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에서 E-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2 노드로부터 E-CTS 패킷을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E-RTS 및 상기 E-CTS 패킷은 종래의 RTS 및 CTS 패킷 구조의 서브타입을 다르게 하여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3 노드로 상기 E-RTS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를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 로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4 노드로 B-RTS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4 노드를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은 제한된 에너지로 동작되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다양한 트래픽 환경에 따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우선 각 센서 노드의 버퍼에 임계값을 적용하고, 긴급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보장하며, 효율적인 타이머를 이용한 스케줄링 및 개선된 제어 신호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우선 일반적인 센싱 데이터(normal sensing data)는 일반적인 관심 대상 이 벤트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긴급한 센싱 데이터(emergency sensing data)는 어떤 이벤트에 의해서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수행되는 작업들이 해당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센싱 데이터와 긴급한 센싱 데이터에 대해서는 각각 일반적인 임계값(normal threshold value)과 긴급한 임계값(emergency threshold value)이 각각 적용된다.
데이터를 이처럼 두 가지로 분리한 목적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이뤄지는 작업은 관심 대상의 이벤트에 대해서 감시하고,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센싱된 데이터가 일반적인 경우 버퍼의 임계값을 일반적인 데이터에 적합하게 설정하여 데이터를 누적하여 전송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긴급한 데이터의 경우 긴급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신속한 데이터 전송을 통해 그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지원 가능한 응용 분야는 매우 많다. 이처럼 많은 응용 분야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형태 또한 다양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서 버퍼에 임계값을 적용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므로 다양한 트래픽 환경에서도 에너지 절감을 최적할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센서 네트워크 전체에서 각 노드가 활성 구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우선 슬리프 모드 동안에 센싱된 데이터가 버퍼에 누적되고 활성 모드에서 센싱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설정한 임계값을 넘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가진다. 전송 매체를 얻기 위해서는 IEEE802.11과 같은 경쟁 기반(contention-based) 기법을 적용받는다. 전송 매체를 얻게 된 노드에서 활성 모드가 시작되면, 즉 라디오 자원이 온(on) 상태로 되면(S110), 전송될 데이터가 긴급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긴급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ql)이 임계값(qth)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고(S125),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ql)이 임계값(qth)보다 크면 RTS(request to sent) 패킷을 센서 네트워크 내의 이웃 노드에 전송한다(S130).
또한 긴급 데이터인 경우에는 임계값과의 비교가 없이 RTS 패킷을 센서 네트워크 내의 이웃 노드에 전송한다(S130).
이후 센서 네트워크 내의 이웃 노드로부터 CTS(clear to send) 패킷을 수신받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135),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S140).
단계(S125)에서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ql)이 임계값(qth)보다 크지 않거나, 단계(S135)에서 CTS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단계(140)에서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이 종료된 후에는 타이머 동작을 시작한다(S150).
이 경우 이웃 노드로부터 RTS 패킷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55). RTS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라면 이웃 노드가 자신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것이므 로 이를 수신하기 위해서 CTS 패킷을 송신하고(S160), 단계(S140)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계(S155)에서 RTS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다면 타이머를 종료하고(S170), 슬리프 모드로 모드를 설정한다(S180).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각 노드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만큼의 에너지만을 사용하므로 최적의 에너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ql)이 임계값(qth) 기준을 넘지 못하는 경우나 임계값(qth) 기준을 넘었지만, 전송하고자 하는 이웃 노드가 슬리프 모드 상태인 경우 등의 이유로 CTS 패킷을 받지 못하면 미리 설정된 타이머를 동작시켜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의 타임 아웃(time out) 값(TE)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임 아웃 값(TE)은 노드가 슬리프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변경된 후 다시 슬리프 모드로 변경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즉 타임 아웃 값(TE) 만큼이 지나면 슬리프 모드로 변경된다.
도시되듯이 주기적인 듀티 사이클을 적용하는 기법에서 노드들은 경쟁을 통해서 전송 매체를 확보하게 된다. 기존의 방식에서 전송 매체를 확보하지 못한 노드는 자신의 듀티 사이클에 대해서 활성 구간 동안 아이들 리스닝을 수행하게 된 다. 그러나 자신이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지 않는 경우 타이머를 적용하여 주어진 활성 구간보다 일찍 슬리프 모드로 전환되면 불필요한 아이들 리스닝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타이머의 타임아웃 값(TE)은 도시되듯이 경쟁 구간 이후에 전송매체를 확보하지 못한 노드(NA)에 대해서 이웃 노드(NB)로부터 RTS 패킷이 전송되는 시점까지 설정하며, RTS 패킷을 수신하게 되면 자신은 CTS 패킷으로 응답하고 그렇지 않으면 슬리프로 전환한다. 따라서 필요한 타임아웃 값(TE)은 경쟁 구간에 RTS 패킷이 수신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경쟁 구간(contention interval)을 C라 하고, RTS 패킷의 길이를 R이라 하고, RTS 패킷의 전송 시간을 Tx라 하고, RTS 패킷의 전파(propagation) 시간을 Pt라 하고, β를 Pt < β << Tx인 값으로 설정하면, 타임아웃값(TE)= C + β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타임아웃값(TE)은 경쟁 구간에 전파 시간 보다는 크고 전송 시간보다는 작은 값을 더한 값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트래픽에 대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종래 S-MAC을 이용한 구조에서의 에너지 낭비가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 템에서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되듯이, 종래의 S-MAC을 이용한 구조는 센싱된 데이터가 매우 적거나 없는 경우 고정된 활성 구간은 에너지를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센싱된 데이터가 없어 송신을 못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아이들 리스닝과 같은 결과로 동작하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갑자기 대량의 데이터가 센싱된 경우, 즉 버스트(burst) 트래픽의 경우 고정된 구간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도 3b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센싱되는 데이터가 적은 경우 일정한 임계값을 넘을 때까지 버퍼링을 통해서 데이터를 누적하여 임계 기준값을 넘는 경우에 전송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데이터 또한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활성 구간이 연장되므로 효율적인 전송을 이룰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임계값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전체의 트래픽이 적은 경우 기존의 MAC 프로토콜보다 전송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센서 네트워크의 다양한 응용분야 중 네트워크의 높은 전송 성능(throughput)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 법을 사용하여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트래픽에 대한 임계값의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네트워크 트래픽이 작은 경우에는 일정한 프레임 동안에 누적된 데이터 양이 임계값(qth)보다 크지 않은 경우 현재의 임계값(qth)을 임계값(qth/λ)으로 감소시킨다(λ는 1보다 큰 수임). 즉 임계값을 축소함으로서 누적된 데이터의 전송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임의의 프레임 동안 현재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qth)보다 적은 양의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동안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임계값을 현재의 임계값보다 작게 조절하여 데이터 전송 지연을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각 프레임에서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임계값(qth)보다 항상 크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체 전송 성능은 기존의 MAC 프로토콜과 비슷한 성능을 나타 낼 것이다.
이와 같이 임계값을 트래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송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수행하는 목적 가운데 일반적인 센싱 데이터 보다는 긴급을 요하는 이벤트에 대해서 싱크 노드로 빨리 전송하여 그 상황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한 데이터에 대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처럼 긴급을 요하는 데이터에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임계값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도 1의 단계(S1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노드가 각 활성 구간에서 자신의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 가운데 긴급한 데이터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긴급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임계 값(qth) 설정과 달리 긴급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매우 작은 임계값(Eth)을 설정하여 긴급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반 데이터 보다 전송 기회를 높게 설정하므로 데이터 지연을 최소화하여 우선순위를 보장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E-RTS와 E-CTS와 B-R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종래 기술에 따른 RTS 및 CTS를 사용한 긴급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E-RTS와 E-CTS와 B-RTS를 사용한 긴급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에서 센싱되는 자료를 기초로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환경 감시 등의 상황에서 적절하게 이뤄져야 한다. 예컨대 산불감시 시스템에서 산불이 예상되는 온도에 있는 데이터가 센싱되면 이러한 데이터는 일반적인 데이터에 비해서 데이터의 지연없이 전송되어야 한다.
도 6a에 도시되듯이 기존의 RTS/CTS 기법을 사용하면 데이터 전송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즉 노드(NA)에서 센싱된 데이터가 노드(NB, NC, ND)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면 각 노드에서는 전송을 위한 경쟁 구간과 RTS/CTS 패킷의 전송 및 수신에 따른 데이터 전송의 지연이 발생한다.
이에 비해서 도 6b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노드(NA)는 긴급한 데이터를 가지고 다른 노드들보다 먼저 전송할 기회를 가진다. 이러한 우선 전송을 위해서 노드(NA)는 긴급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의미로 E-RTS(Emergency RTS)를 노드(NB)에게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노드(NB)는 긴급한 데이터가 있음을 인지하고 노드(NA)에게로 이에 대한 수신을 위하여 E-CTS(Emergency CTS)를 전송한다. 노드(NC)는 긴급한 데이터 전송이 요구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노드(ND)로 데이터 전송을 예약하기 위해서 슬리프 모드에 있는 노드(ND)에 B-RTS(Booking RTS)를 전송하여 노드(ND)가 활성으로 변경되도록 시간을 예약한다. 노드(NC)와 노드(ND)는 자신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에 활성으로 변경되어 상위 노드들로부터 데이터를 빨리 수신하기 위해 상위 노드의 RTS 제어 패킷을 수신하지 않고, E-CTS를 전송하여 데이터 를 수신하므로 제어 패킷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E-RTS와 E-CTS와 B-RTS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종래 RTS 패킷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7b는 종래 CTS 패킷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7c는 E-RTS와 E-CTS와 B-RTS를 위한 서브타입의 지정 예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되듯이 종래의 RTS/CTS 패킷의 프레임 제어 부분에서 서브타입(subtype)은 4개의 비트로 구성되며 따라서 16개의 종류로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RTS는 1011, 종래의 CTS는 1100의 값으로 표현되는 2가지 종류만이 정의된다. 따라서 E-RTS, E-CTS, B-RTS(Booking RTS)를 종래의 RTS/CTS 패킷의 프레임 구조에서 추가 비트(bit) 사용 없이 서브타입 부분에 지정하여 확장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되듯이 예컨대 E-RTS의 서브타입을 "1110"으로 B-RTS의 서브타입을 "1111"로 지정할 수 있으며, 또한 E-CTS의 서브타입을 "1101"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각 노드에 있어서 노드의 버퍼를 임계값과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긴급 데이터의 우선 전송을 보장하며 특정 노드에 의한 전송 매체의 독점적 사용을 방지하고 패킷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 센서 노드들에 대한 최적의 전원 관리와 타이머를 이용한 효율적인 에너지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응용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3)

  1.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의 모드를 활성(active)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인지 긴급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c) 긴급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노드에서 RTS(request to send)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일반 데이터인 경우:
    (d-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d-2)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부터 CTS(clear to send) 패킷을 수신받는 단계와;
    (f)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d-1)에서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지 않거나,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C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타임아웃(time out) 값을 가지는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h)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는 노드들로부터 RTS 패킷을 수신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i)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으면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에게로 CTS 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이 종료되면 단계 (g)로 점프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고 상기 타임아웃 값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단계와;
    (k) 상기 제1 노드의 모드를 슬리프(sleep)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상기 타임아웃 값은 경쟁 구간(contention interval)에 RTS 패킷의 전파(propagation) 시간보다는 크고 RTS 패킷의 전송 시간보다는 작은 시간값을 더한 시간만큼의 타임아웃 값을 가지는 것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경우 작아질 수 있는 것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매우 작은 값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6.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에서 E-RTS(emergency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노드로부터 E-CTS(emergency CTS)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3 노드로 상기 E-RTS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RTS 및 상기 E-CTS 패킷은 종래의 RTS 및 CTS 패킷 구조의 서브타입(subtype)을 다르게 하여 구분되는 것인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를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4 노드로 B-RTS(booking RST)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노드를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2.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13.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a)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의 모드를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과;
    (b)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인지 긴급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기능과;
    (c) 긴급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과;
    (d) 일반 데이터인 경우:
    (d-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기능과,
    (d-2)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과;
    (e)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부터 CTS 패킷을 수신받는 기능과;
    (f)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과;
    (g) 상기 기능 (d-1)에서 상기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지 않거나, 상기 기능 (e)에서 상기 C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 (f)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타임아웃 값을 가지는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기능과;
    (h)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는 노드들로부터 RTS 패킷을 수신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과;
    (i) 상기 기능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으면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에게로 CTS 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RTS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이 종료되면 기능 (g)로 점프하는 기능과;
    (j) 상기 기능 (h)에서 상기 RTS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고 상기 타임아웃 값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기능과;
    (k) 상기 제1 노드의 모드를 슬리프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상기 타임아웃 값은 경쟁 구간에 RTS 패킷의 전파 시간보다는 크고 RTS 패킷의 전송 시간보다는 작은 시간값을 더한 시간만큼의 타임아웃 값을 가지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경우 작아질 수 있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c)는,
    (c-1)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기능과,
    (c-2) 상기 제1 노드의 버퍼에 누적된 긴급한 데이터의 양이 긴급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노드에서 RTS 패킷을 상기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매우 작은 값인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18.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1 노드에서 E-RTS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2 노드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2 노드로부터 E-CTS 패킷을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3 노드로 상기 E-RTS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E-RTS 및 상기 E-CTS 패킷은 종래의 RTS 및 CTS 패킷 구조의 서브타입을 다르게 하여 구분되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를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제4 노드로 B-RTS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노드를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활성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64109A 2005-07-15 2005-07-15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071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09A KR100717962B1 (ko) 2005-07-15 2005-07-15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11/312,463 US20070014268A1 (en) 2005-07-15 2005-12-21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nodes, sensor network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a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09A KR100717962B1 (ko) 2005-07-15 2005-07-15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02A KR20070009102A (ko) 2007-01-18
KR100717962B1 true KR100717962B1 (ko) 2007-05-14

Family

ID=3766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109A KR100717962B1 (ko) 2005-07-15 2005-07-15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14268A1 (ko)
KR (1) KR100717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13B1 (ko) 2017-09-07 2019-03-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통신 반경을 활용한 경계 노드 수면 시간 조절 기능을 갖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20210094211A (ko) * 2020-01-21 2021-07-29 타이아(주) 사물 인터넷 장치의 데이터 분산 전송을 이용한 자동화 설비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9876B1 (en) 2006-01-25 2010-11-23 Marvell International Ltd. Packet aggregation
US8892704B2 (en) * 2006-04-07 2014-11-18 The Mitre Corporaton Dynamic rule-based distributed network opera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918834B1 (ko) * 2007-07-23 2009-09-2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센서노드
KR100926291B1 (ko) * 2007-08-30 2009-11-1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 내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저장하는 저장 매체
KR100927600B1 (ko) 2007-10-22 2009-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노드의 오버히어링(overhearing) 감소를위한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930944B1 (ko) * 2007-12-07 2009-12-1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큐오에스를 보장하기 위한엠에이씨 프로토콜의 동작방법
GB2455771B (en) * 2007-12-20 2011-09-28 Thales Holdings Uk Pl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employing a node network
KR100922863B1 (ko) * 2007-12-27 2009-10-2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유 비콘 구간을 이용한 QoS 제공 방법
KR100942888B1 (ko) * 2008-01-10 2010-0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0930277B1 (ko) * 2008-04-29 2009-12-0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중 링크된 무선 센서네트워크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936130B1 (ko) * 2008-05-20 2010-0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JP5045558B2 (ja) * 2008-05-30 2012-10-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20090327074A1 (en) * 2008-06-30 2009-12-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spectrum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19419B1 (ko) * 2008-12-26 2011-03-07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유에스엔에서 버퍼 점유율을 기반한 동적 맥-프로토콜의 동작 방법
US8181044B2 (en) 2008-12-26 2012-05-15 Electronic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node in ad hoc network
US20100195585A1 (en) * 2009-02-04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among nodes for a data slo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2227065B1 (en) * 2009-03-04 2015-02-18 Fujitsu Limited Improvements to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EP2420024B1 (en) 2009-04-15 2013-06-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nergy efficient transmission in a network
US8547941B2 (en) * 2009-04-16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WLAN spectrum efficiency and reducing interference by flow control
JP2011029952A (ja) * 2009-07-27 2011-02-10 Renesas Electronics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通信方法
US8429316B1 (en) * 2009-07-31 2013-04-23 Marvell International Ltd. Switch low power state in a blade server system
JP5813640B2 (ja) * 2009-08-17 2015-11-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れに対する無線ネットワーク
WO2011022577A1 (en) * 2009-08-20 2011-02-24 Purdue Research Foundation Predictive duty cycle adaptation scheme for event-driven wireless sensor networks
US10826751B2 (en) 2009-12-28 2020-1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functional interconnections between application modules on resource nodes in a social web
US20120079092A1 (en) * 2009-12-28 2012-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data flows between user equipment nodes and clusters of networked resource nodes
US9237062B2 (en) 2009-12-28 2016-01-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data flows between networked resource nodes in a social web
US8996900B2 (en) 2010-02-04 2015-03-3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data propagation environments
KR101038097B1 (ko) * 2010-03-31 2011-06-01 전자부품연구원 멀티 노드 인식을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
US8295180B2 (en) * 2010-06-04 2012-10-23 Alcatel Lucent Quality of service aware rate throttling of delay tolerant traffic for energy efficient routing
US9026812B2 (en) 2010-06-29 2015-05-0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in a network environment
KR101042236B1 (ko) * 2010-12-07 2011-06-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연결시간 보장 무선 센서 통신 방법
US9058167B2 (en) * 2011-09-06 2015-06-16 Cisco Technology, Inc. Power conservation in a distributed digital video recorder/content delivery network system
US20130132745A1 (en) 2011-11-22 2013-05-2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enabled wake for networks
US9998945B2 (en) * 2011-11-30 2018-06-12 Shailesh Patil Methods and apparatus to change peer discovery transmission frequency based on congestion in peer-to-peer networks
US9141169B2 (en) 2012-01-20 2015-09-2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conserve power in an access network without loss of service quality
CN103369691B (zh) * 2012-03-26 2019-0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数据碰撞避免的方法、接入点和站点
CN104813639B (zh) 2012-10-01 2017-05-17 Abb研究有限公司 用于对工业无线网络中的分组的发送区分优先次序的方法及装置
CN103402262B (zh) * 2013-07-22 2016-01-13 西安电子科技大学 线型无线传感器网络汇聚方法
US9958924B2 (en) 2013-08-28 2018-05-01 Cisco Technology, Inc. Configuration of energy savings
US10045369B2 (en) 2014-06-09 2018-08-07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multi-user downlink transmission
US20150359001A1 (en) * 2014-06-09 2015-12-10 Qinghua Li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imultaneous poll responses
US10235516B2 (en) 2016-05-10 2019-03-1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authenticating a networked endpoint using a physical (power) challenge
CN106128062B (zh) * 2016-06-24 2019-03-15 安徽容知日新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监测数据传输的方法、传感器、采集站及系统
JP2018011239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433180B2 (en) * 2016-12-22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edium sharing
JP6780579B2 (ja) * 2017-05-12 2020-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12152933B (zh) * 2019-06-27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流量的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881A (ko) * 2003-02-15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드 혹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 지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0140A9 (en) * 1997-02-06 2006-12-14 Mahany Ronald L LOWER POWER WIRELESS BEACONING NETWORK SUPPORTING PROXIMAL FORMATION, SEPARATION AND REFORM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AS TERMINALS MOVE IN AND OUT RANGE OF ONE ANOTHER
US6832251B1 (en) * 1999-10-06 2004-12-14 Sensor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ignal processing among internetworked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ensors (WINS)
EP1338125A2 (en) * 2000-11-03 2003-08-27 AT & T Corp. Tiered contention multiple access (tcma): a method for priority-based shared channel access
US20050074025A1 (en) * 2003-10-02 2005-04-07 Huai-Rong Shao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US7298716B2 (en) * 2003-11-06 2007-11-20 Lucent Technologies Inc. Clustering based load adaptive sleep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8682279B2 (en) * 2004-05-07 2014-03-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pporting emergency calls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60176169A1 (en) * 2004-12-17 2006-08-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for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7729285B2 (en) * 2005-03-22 2010-06-0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Energy-efficient network protocol and node device for sensor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881A (ko) * 2003-02-15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드 혹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 지원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13B1 (ko) 2017-09-07 2019-03-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통신 반경을 활용한 경계 노드 수면 시간 조절 기능을 갖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20210094211A (ko) * 2020-01-21 2021-07-29 타이아(주) 사물 인터넷 장치의 데이터 분산 전송을 이용한 자동화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334975B1 (ko) * 2020-01-21 2021-12-03 타이아(주) 사물 인터넷 장치의 데이터 분산 전송을 이용한 자동화 설비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4268A1 (en) 2007-01-18
KR20070009102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962B1 (ko)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기록 매체
Li et al. Real-time QoS support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Yahya et al. Energy efficient and QoS aware medium access contr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umar et al. A survey on scheduling algorithm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Durresi et al. Delay-energy aware routing protocol for sensor and actor networks
Nieberg et al. Collaborative algorithms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04336779A (ja) 高エネルギー効率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用の適応型スリーピングおよびウェイクアップ・プロトコル
Wang et al. Ds-mac: An energy efficient demand sleep mac protocol with low latency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ang et al. Adaptive resource control scheme to alleviate congestion in sensor networks
Sarang et al. Multi-priority based QoS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Al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surveillance applications–a comparative survey of mac protocols
Khan et al. Collision Free Mobility Adaptive (CFMA) MAC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Dhanaraj et al. A new energy efficient protocol for minimizing multi-hop lat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amara Wireless sensor network MAC energy-efficiency protocols: a survey
Rao et al. Self-adaptive implicit contention window adjustment mechanism for QoS optim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Rasheed et al. ECM-MAC: An efficient collision mitigation strategy in contention based MAC protocol
Ismail et al. MPEG-4 video transmission using distributed TDMA MAC protocol over IEEE 802.15. 4 wireless technology
KR101135517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 향상방법
Hamidi‐Alaoui et al. FM‐MAC: a fast‐mobility adaptive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Ghrab et al. Study of context-awareness efficiency applied to duty cycled wireless sensor networks
Kim et al. CA-MAC: Context adaptive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1582875A (zh) 直连路径中数据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Srivathsan et al. Minimizing lat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Zheng et al. An energy efficient and low latency MAC protocol for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Pang et al. A new optimization strategy for S-MAC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