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824B1 -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824B1
KR100926824B1 KR1020080103460A KR20080103460A KR100926824B1 KR 100926824 B1 KR100926824 B1 KR 100926824B1 KR 1020080103460 A KR1020080103460 A KR 1020080103460A KR 20080103460 A KR20080103460 A KR 20080103460A KR 100926824 B1 KR100926824 B1 KR 100926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sertion hole
glass
bind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애
Original Assignee
(주)삼진창호글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창호글라스텍 filed Critical (주)삼진창호글라스텍
Priority to KR102008010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스페이서와 결합되어 한쌍의 유리사이에 설치되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있어서, 정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삽입공과 연결된 배출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일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결속부재의 내부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공을 개방하고 가스주입노즐이 인출되는 경우 삽입공을 차폐하는 개폐부를 설치함으로써 내부로 주입된 가스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의 충전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층유리, 스페이서, 리브, 개폐부, 노즐

Description

복층유리용 결속부재{Coupling for pair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속부재의 내부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공을 개방하고 가스주입노즐이 인출되는 경우 삽입공을 차폐하는 개폐부를 설치함으로써 내부로 주입된 가스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의 충전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복층유리의 내부로 가스를 균일하게 분배유입하기 위해 가스를 몸체의 공간부로 주입하는 경우 몸체의 공간부가 협소하여 공간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2장 이상의 유리를 밀폐된 상태로 상호 긴밀하게 결합된 것으로 각 유리 사이공간의 공기층이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단일 창문에 비해 방음, 방풍 및 방열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이때, 복층유리 내에 아르곤이나 헬륨, 클립톤 또는 SF6등의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공기층보다 방음, 방풍 및 방열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결속부재에 의해 사각 테 두리 형상으로 결합된 스페이서를 제1 유리 및 제2 유리가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접착제로 고정, 부착한 후 제1 유리와 제2 유리 및 스페이서 사이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제조한다. 이때, 가스주입은 제1 유리 또는 제2 유리 중 어느하나를 접착하기 전에 그 일측을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가스를 주입한 후 주입된 가스의 배출을 막기 위해 재빠르게 덮어 부착고정한다.
그러나, 상기한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가스의 배출을 막기 위해 유리부재를 재빠르게 부착고정함으로써 유리부재가 스페이서상에 비뚤어지게 부착될 우려가 있었으며, 재빠르게 덮는다 하여도 가스의 배출이 불가피하여 완성된 복층유리에 주입되는 가스는 대략 50~60%정도만 충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한 공개특허 2002-82948호 "복층유리 및 이 복층유리의 가스주입 방법"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공개특허 2002-82948에 따른 복층유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특허 2002-82948호는 평판형상의 제1 유리부재(110) 및 제2 유리부재(120)와, 제1 유리부재(110) 및 제2 유리부재(120)의 내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130)와, 각 스페이서(130)를 연결하기 위해 대략 직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부에 통공(131)이 형성된 결속부재(130) 및 결속부재(130)의 통공(131)에 삽입되는 막음부(141)와 파지부(142)가 일체로 형성된 밀폐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복층유리(100)는 복수개의 결속부재(130) 중 어느 하나의 통 공(131)을 통해 가스를 주입하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통공(131)을 통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공기가 배출되는 통공(131)부근에 가스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통공(131)으로 가스가 배출되면 가스감지센서(미도시)에서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의 주입을 중단하고, 각 통공에 막음캡을 삽입함으로써 가스의 충진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층유리(100) 또한 결속부재(130)의 통공(131)을 통해 가스를 주입한 후 밀폐캡(140)을 통공(131)에 삽입해야 함으로써 밀폐캡을 각 결속부재(130)의 통공(131)에 삽입해야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복층유리(100)를 설치하기 위해 통공(131)에 삽입된 밀폐캡(140)의 파지부(142)를 파손함으로써 복층유리(100)에 가스를 재충전해야 하는 경우 통공(131)을 막은 밀폐캡(140)을 인출하지 못하여 가스의 재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 있었다.
또한, 가스를 주입하는 결속부재(130)의 통공(131)과, 공기를 배출하는 결속부재(130)의 통공(131)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므로 주입되는 가스가 복층유리(100)내부에 충전되기 전에 가스감지센서(미도시)에 가스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가스의 주입이 중단되어 복층유리내에 충진되는 가스의 충진량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부재의 내부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공을 개방하고 가스주입노즐이 인출되는 경우 삽입공을 차폐하는 개폐부를 설치함으로써 내부로 주입된 가스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의 충전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복층유리의 내부로 가스를 균일하게 분배유입하기 위해 가스를 몸체의 공간부로 주입하는 경우 몸체의 공간부가 협소하여 공간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가스배출공을 형성하고, 제1 가스배출공 사이에 제2 가스배출공을 형성하여 가스를 복층유리내에 균일하게 주입함으로써 가스의 충전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브 중 몸체와 결합되는 연결부근 후면에 몸체내부와 연통되는 보조배출공이 더 형성하여 복층 유리내 가스의 충진속도를 향상시키고 충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페이서와 결합되어 한쌍의 유리사이에 설치되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정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삽입공과 연결된 배출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일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한쌍의 유리사이에 가스를 주입 또는 유출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공을 개방하여 상기 몸체부의 공간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가스의 주입로를 제공하고, 상기 가스주입노즐이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여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가스의 주입로를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공은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1 가스배출공과, 상기 한쌍의 제1 가스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결속부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앙에 기밀상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초기 수축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고, 상기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면 상기 절개부가 이완되어 가스가 주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을 개방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연결부근 후면에 상기 몸체내부와 연통되는 보조배출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결속부재의 내부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공을 개방하고 가스주입노즐이 인출되는 경우 삽입공을 차폐하는 개폐부를 설치함으로써 내부로 주입된 가스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의 충전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복층유리의 내부로 가스를 균일하게 분배유입하기 위해 가스를 몸체의 공간부로 주입하는 경우 몸체의 공간부가 협소하여 공간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가스배출공을 형성하고, 제1 가스배출공 사이에 제2 가스배출공을 형성하여 가스를 복층유리내에 균일하게 주입함으로써 가스의 충전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브 중 몸체와 결합되는 연결부근 후면에 몸체내부와 연통되는 보조배출공이 더 형성하여 복층 유리내 가스의 충진속도를 향상시키고 충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층유리용 결속부재(1)는 몸체(10)와, 몸체(10)의 양측면에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리브(20) 및 몸체(10)의 내부 중 삽입공(11)과 배출공(12)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10)는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정면에 삽입공(11)이 형성되며, 후면에 복수개의 배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공(12)은 가스가 복층유리내에 균일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리브(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스배출공(12a) 및 제1 가스배출공(12a)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공(12b)을 포함한다.
리브(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양측면에 후방으로 한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몸체(10)방향으로 경사진 걸림턱(21)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리브(20)는 스페이서(110)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걸림턱(21)과 스페이서(110) 내부에 형성된 단턱(111)이 대응됨으로써 몸체(10)가 스페이서(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개폐부(30)는 일단부가 몸체(10)의 삽입공(11)에 삽입설치된 밸브체(31)와, 외주면 일측에 결속홈(32a)이 형성되고 밸브체(31)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몸체(10)의 내벽에 고정된 압박부(32) 및 압박부(32)의 결속홈(32a)에 결속된 링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층유리의 내부로 주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체(31)는 대략 '+'형상의 탄성체로 형성되고, 일단부에 삽입홈(31a)이 형성되며, 삽입홈(31a)으로부터 타단부까지 침형상의 절개부(31b)가 형성된다. 이때, 절개부(31b)는 초기 기밀하게 수축된 상태에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삽입 홈(31a)을 통해 가스주입노즐(n1)이 삽입되는 경우 가스주입노즐(n1)의 직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벌어지게된다.
압박부(32)는 밸브체(3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밸브체(31)의 절개부(31b)와 대응되는 밸브체(3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절개부(31b)의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일측이 몸체(10)의 내벽에 고정되어 밸브체(31)를 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압박부(32)는 밸브체(31)의 절개부(31b) 위치와 대응되는 외주면에 결속홈(32a)이 형성된다.
링부재(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박부(32)의 결속홈(32a)에 결속되어 압박부(32)가 절개부(31b)의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밸브체(31)의 외주면 가압하는 가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링부재(33)는 밸브체(31)의 절개부(31b)에 가스주입노즐(n1)의 삽입되는 경우 절개부(31b)가 벌어짐에 따라 절개부(31b)와 같이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의 금속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1)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결속부재(1)의 절개부(31b)는 초기 기밀하게 수축된 상태(a)에서 가스주입노즐(n1)이 삽입홈(31a)을 통해 억지삽입되면 가스주입노즐(n1)의 직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절개부(31b)로 억지삽입된 공기배출노즐(n2)로부터 가스가 분사되면 분사된 가스는 몸체(10)의 공간부(13)로 배출되어 제1 가스배출공(12a) 및 제2 가스배출공(12b)을 통해 한쌍의 유리부재 사이로 분배배출된다.(b)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결속부재(1)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페이서(110)가 사각테두리형상을 갖도록 사각형상의 각 모서리에 위치되고, 각 결속부재(1)의 리브(20)가 스페이서(110)의 일단부에 삽입된다. 이때, 리브(20)에 형성된 걸림턱(21)이 스페이서(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턱(111)과 대응되어 삽입되면서 스페이서(110)로부터 결속부재(1)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스페이서(110)와 결속부재(1)의 상하면에 제1 유리부재 및 제2 유리부재를 접착제에 의해 부착한 후 각 결속부재(1) 중 어느 하나의 결속부재(1)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주입노즐(n1)을 삽입하고, 다른 하나의 결속부재(1)에는 펌프(200)가 연결된 공기배출노즐(n2)을 삽입한다.
이에 공기배출노즐(n2)에서는 복층유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가스주입노즐(n1)에서는 가스 복층유리 내부에 가스를 주입한다. 이때, 주입되는 가스는 제1 가스배출공(12a) 및 제2 가스배출공(12b)의 방향에 따라 주입되는데 제1 가스배출공(12a)은 각 리브(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복층유리 내에 균일하게 가스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복층유리내에 가스의 충진이 완료되면 가스주입노즐(n1)과 공기배출노즐(n2)을 인출하는데 이에 대응되는 각 절개부(31b)는 압박부(32) 및 링부재(33)에 의해 초기 상태인 수축상태로 복귀하면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절개부(31b)의 기밀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압박부(32) 및 링체(33)를 사용하였으나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삽입홈(30'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절개부(30'b)가 형성된 밸브체(30')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밸브체는 탄성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 실시예와 달리 일단부에 삽입공(31'')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측이 절개된 반구형상의 차폐막(32'')이 형성된 탄성체(30'')를 포함한다. 이때, 삽입공(31'')이 형성된 탄성체(30'')의 일단부는 몸체(10)의 삽입공(11)에 삽입설치된다.
이러한 도7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1)는 초기 차폐막(32'')이 삽입공(31'')을 차폐한 상태(a)에서 가스주입노즐(n1)이 탄성체(30'')의 삽입공(31'')을 통해 삽입되면 가스주입노즐(n1)이 선단부가 차폐막(32'')을 밀면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차폐막(32'')이 삽입공(31'')을 개방하게 된다.
이후 가스주입작업이 완료되어 가스주입노즐(n1)을 인출하게 되면 차폐막(32'')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면서 삽입공(31'')을 차폐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 실시예와 달리 리브(20) 중 몸체(10)와 연결되는 연결부근 내부에 몸체(10)의 공간부(13)와 연통되는 연통로(20a)를 형성하고, 리브(20)의 후면에 연통로(20a)와 연통되는 보조 배출공(20b)을 더 형성한 것이다.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몸체(10)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가스가 복층유리 내부로 충진될 뿐 아니라 리브(20)에 형성된 보조 배출공(20b)을 통해 가스가 복층유리 내부로 추가 충진되므로 복층유리 내 가스가 충진되는 충진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가스의 충진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1은 공개특허 2002-82948에 따른 복층유리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전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 :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10 : 몸체
11 : 삽입공 12 : 배출공
12a : 제1 가스배출공 12b : 제2 가스배출공
20 : 리브 20a : 연통로
20b : 보조배출공 21 : 걸림턱
30 : 개폐부 31 : 밸브체
31a : 삽입홈 31b : 절개부
32 : 압박부 32a : 결속홈
33 : 링부재

Claims (7)

  1. 스페이서와 결합되어 한쌍의 유리사이에 설치되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정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삽입공과 연결된 배출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일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한쌍의 유리사이에 가스를 주입 또는 유출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에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공을 개방하여 상기 몸체부의 공간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가스의 주입로를 제공하고, 상기 가스주입노즐이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여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가스의 주입로를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공은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1 가스배출공과, 상기 한쌍의 제1 가스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결속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앙에 기밀상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초기 수축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을 차폐하고, 상기 가스주입노즐이 삽입되면 상기 절개부가 이완되어 가스가 주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을 개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연결부근 후면에 상기 몸체내부와 연통되는 보조배출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결속부재.
KR1020080103460A 2008-10-22 2008-10-22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KR10092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60A KR100926824B1 (ko) 2008-10-22 2008-10-22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60A KR100926824B1 (ko) 2008-10-22 2008-10-22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824B1 true KR100926824B1 (ko) 2009-11-12

Family

ID=4156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460A KR100926824B1 (ko) 2008-10-22 2008-10-22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52B1 (ko) * 2015-08-03 2016-02-16 주식회사 지오글라스 창호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36A (ko) * 1999-06-07 2001-01-05 고종택 장식용 봉제 공
KR20050120765A (ko) * 2003-03-17 2005-12-23 글로발 밸브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엘티디 스포츠 볼 밸브
KR200423738Y1 (ko) * 2006-05-17 2006-08-11 허영애 복층 유리의 스페이서 이음 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36A (ko) * 1999-06-07 2001-01-05 고종택 장식용 봉제 공
KR20050120765A (ko) * 2003-03-17 2005-12-23 글로발 밸브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엘티디 스포츠 볼 밸브
KR200423738Y1 (ko) * 2006-05-17 2006-08-11 허영애 복층 유리의 스페이서 이음 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52B1 (ko) * 2015-08-03 2016-02-16 주식회사 지오글라스 창호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1090B2 (ja) ガラス板のスペーサのコーナーコネクタ
KR100994235B1 (ko) 복층 유리
JP2009152211A (ja) 2次電池
JP4000566B2 (ja) 窓又は扉用の本体
KR100926824B1 (ko) 복층유리용 결속부재
KR20210086510A (ko) 파이프 없이 밀폐형 알루미늄 균열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5036354A (ja) 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及び複層ガラス窓
KR101379758B1 (ko)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7754A (ko) 이중단열 창호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09109B1 (ko) 축전지용 극주 실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8189B1 (ko) 복층유리 가스 주입용 이젝터와 스페이서 연결 블록 및 이들을 이용한 가스 주입 방법
KR101073060B1 (ko) 프레임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20120097057A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마감부재
KR101594574B1 (ko) 탄성마개를 구비한 복층유리 가스 주입용 스페이서 연결블록
KR101296391B1 (ko) 복층유리 가스주입용 이젝터 및 블록
KR200278474Y1 (ko) 잉크 프린터용 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구조
KR10139013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CN208474676U (zh) 用于感温探头的管塞
KR20030011017A (ko) 이중구조로 형성된 대롱형의 비닐밸브
KR200250724Y1 (ko) 이중구조로 형성된 대롱형의 비닐밸브
CN211782960U (zh) 一种防漏相变蓄能板
KR101484742B1 (ko) 복층유리 가스 주입용 연결 블록
CN109707291A (zh) 一种塑料复合板门边框及其制造方法
CN211058617U (zh) 一种防火玻璃
CN217354124U (zh) 一种中空玻璃用框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