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311B1 -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311B1
KR100926311B1 KR1020070129732A KR20070129732A KR100926311B1 KR 100926311 B1 KR100926311 B1 KR 100926311B1 KR 1020070129732 A KR1020070129732 A KR 1020070129732A KR 20070129732 A KR20070129732 A KR 20070129732A KR 100926311 B1 KR100926311 B1 KR 10092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tourmaline
zeolite
skin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463A (ko
Inventor
김승자
고광채
Original Assignee
김승자
고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자, 고광채 filed Critical 김승자
Priority to KR102007012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3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마스크를 성형함에 있어 실리콘 이외에도, 마이크로 크기의 분말 하나하나가 전기적 특성을 발휘함으로써 피부에 있는 체온을 이용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토르마린과, 나노 크기의 세공이 무수히 존재하고 세공 속에는 물 분자가 가득 채워지며 체온에 의하여 열이 가해지면 물 분자가 증발하여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하며 피부를 확장하고 피부 세포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원적외선의 에너지가 피부 깊숙이 방사되도록 시너지 효과를 갖는 제오라이트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할 때 안면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모세혈관을 확장하며, 각종 노폐물을 배출시켜 신진 대사를 촉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할 때, 실리콘 88%,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4%의 비율로 콤파운드하여 마스크를 성형하고, 마스크는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이마의 주름을 주로 제거하는 상부 마스크 혹은 턱과 목의 주름을 주로 제거하는 하부 마스크로 구분하여 성형하거나 얼굴 전면을 커버하는 전체 마스크로 성형할 수 있다.
마스크, 토르마린, 제오라이트, 밀링, 실리콘

Description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sk,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equipment}
본 발명은 얼굴 피부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얼굴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며, 세균의 기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음이온을 생성하는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가 배합된 실리콘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리콘 성형물을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이마의 주름을 주로 제거할 목적의 상부 마스크 혹은 턱과 목의 주름을 주로 제거할 목적의 하부 마스크로 구분하여 성형되는 미용 마스크 그리고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화장품이나 마사지용 크림 등의 기능성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이를 전문으로 하는 마사지 전문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업체들의 관리방식은 주름살 제거 및 피부관리용 영양크림이나 기능성오일 등을 안면부에 적당히 도포한 후 일회용 마스크를 일정시간 착용케 하여 마사지 효과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1011호에 개시된 미용 마사지 마스크에 의하면, 내부에 다수개의 진동모터와, 열선을 구비함으로써, 옥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피부 깊이 유도하고 얼굴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과열에 의한 화상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750호에 개시된 미용 마스크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실리콘에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르마린을 혼합하여 구성하고는 있으나, 토르마린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만으로는 노폐물로 가득하여 모공이 막히고 각질층이 두꺼워서 모세혈관을 쉽게 열어주지 못하고,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기능이 전혀 없으며, 단지 방출된 원적외선은 피부 근처에서만 겉돌기 때문에, 피부의 산소 공급과 신진 대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는 얼굴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이마나 목을 집중적으로 마사지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을 부분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상부 혹은 하부로 구분되는 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모공과 모세혈관 깊이 침투할 수 있도록, 토르마린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피부 세포로 안내하는 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리콘에 토르마린을 배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얼굴 피부에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미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적어도 이마와 코를 커버하는 상부 마스크와, 적어도 턱과 목을 커버하는 하부 마스크이다.
상기 마스크의 배면에는, 상기 원적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인트에 의한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배합물에 원적외선이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피부 세포를 활성화하는 제오라이트가 더 첨가된다.
상기 마스크는, 액상 혹은 겔상의 실리콘 고무에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 분말이 배합되어 콤파운드되고,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토르마린의 상대적 조성비는 적어도 6% 이상 함유되고, 10%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적어도 3% 이상 함유되고, 5%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상기 3개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실리콘 88%,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4%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얼굴 피부에 혈액순환과 세포활동을 촉진하는 원적외선 혹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미용 마스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성형턱이 형성되는 상부 모듈과, 상면에는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성형턱이 형성되는 하부 모듈과, 상기 상,하부 모듈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 성형턱이 일치하도록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의 상대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핀 및 홀과 상기 상부 모듈의 측방에 구비되어 하부 모듈에 대하여 상부 모듈을 오픈하거나 크로즈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액상 혹은 겔상의 실리콘 고무와 제오라이트 분말을 배합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1차 콤파운드 단계와, 상기 반죽물에 토르마린 분말을 배합하여 최종 반죽물을 형성하는 2차 콤파운드 단계와, 상기 최종 반죽물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콤파운드 단계는,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 합을 100으로 볼 때, 실리콘 86% 내지 90%와 제오라이트 3% 내지 5%를 배합하고, 이를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서 밀링하여 반죽물을 스프레드하고, 상기 2차 콤파운드 단계는,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 밀링되는 상기 실리콘과 제오라이트의 반죽물에 6% 내지 10%의 토르마린의 분말을 스프링클하며, 상기 마스크를 성형하는 단계는, 2차 콤파운드되고 스프레드된 최종 반죽물을 원하는 크기로 절취하여 압착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유분 혹은 피지의 과다 분비로 인하여 노폐물이 각질로 적층되는 얼굴 피부에도 혈액순환을 빠른 속도로 촉진하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러 고민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토르마린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세포 깊이 침투하기 때문에, 피부의 각종 바이러스나 염증과 같이 화장품이나 외부 환경으로 손상된 피부를 재생해줌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진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미용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미 용 마스크(100, 110)는, 실리콘을 주원료로 하고, 실리콘 이외에도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토르마린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0.06㎃의 전기를 발생하는 물질로, 영구적인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음이온의 계면 활성효과도 있고, 온도가 10℃ 높아지면 그 효과는 배가된다. 또한, 미세한 분말이어도 그 성질은 바뀌지 않으며, 분말 하나하나가 전기적 특성을 발휘함으로써 피부에 있는 체온을 이용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한다. 특히, 토르마린은 대기 중의 수분과 접촉할 때 더욱 효과가 극대화되고, 토르마린의 마이너스 전극에 축적된 전자는 수분과 접촉하는 순간에 방전되며, 수분은 수소 이온과 수산 이온으로 전기분해된다. 이때, 수소 이온은 토르마린이 방출한 전자와 결합하여 수소 원자가 되어 방출된다. 반면에 수산 이온은 물 분자와 결합하여 계면 활성물질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이 바로 음이온이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장석류 광물의 일종으로서, 나노 크기의 세공이 무수히 존재하며, 그 세공 속에는 보통 물 분자들이 가득 채워져 있고, 일정한 열이 가해지면 내포된 물 분자는 증발하여 수증기를 발산한다. 특히, 제오라이트는 흡착력과 화학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나 수분 외의 다른 물질, 예를 들면 가스 등을 20배까지 흡수, 흡착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특이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하여 방사하는 한편 피부 세포에 신선한 산소를 빠른 속도로 공급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상기 3개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실리콘 86% 내지 90%, 토르마린 6% 내지 10%, 제오라이트 3% 내지 5%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르마린의 배합비가 10%를 초과하면 토르마린의 인체에 대한 반응성이 커져서 명현 반응의 정도가 심해지며, 만약 토르마린의 배합비가 20%를 넘어서면 토르마린이 인체에 급격하게 반응하여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을 느끼게 하는 명현 반응이 급격하게 야기된다. 반대로, 토르마린의 배합비가 6% 미만이면, 토르마린 첨가의 효과가 크지 않아 인체에 유용한 반응을 제대로 일으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오라이트의 배합비가 5%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오라이트가 토르마린의 움직임을 크게 자극하여 여왕벌 효과가 야기되며, 특히 제오라이트의 배합비가 7% 이상이 되면, 토르마린의 움직임을 급격하에 자극하여 여왕벌 효과를 크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오라이트의 배합비가 3% 미만이면, 제오라이트의 토르마린 자극 효과가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을 기준으로 하여 토르마린이나 제오라이트의 혼합비를 포함하여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합비율은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함량을 100으로 할 때, 그 상대적인 함량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자가 반복되는 실험을 통해 최적의 조성비를 찾기 위하여 결정된 것으로, 그 상한이나 하한에 어떤 특별한 제한을 두고자 함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최적의 비율로서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비율이다.
<실험예 1>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를, 상기 3개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실리콘 88%,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4%에서 배합하였다. 우선,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토르마린의 입자를 30㎛ 내지 60㎛의 크기로 분쇄한다.
우선,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토르마린의 입자를 30㎛ 내지 60㎛의 크기로 분쇄한다.
상기 토르마린의 결정은 미약 전류를 계속 발생시키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과 작용하여 물 분자를 전기분해하고, 물 분자를 수소 이온(H+)과 수산 이온(OH-)로 분리시켜 음이온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본 실험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방출 정도를 실험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험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로 5㎛ 내지 20㎛의 파장대에서 원적외선의 방사율을 측정한 것이고, 온도 조건은 사람의 체온보다 작은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 체적당 음이온 수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Figure 112007089604121-pat00001
(표 2)
Figure 112007089604121-pat00002
(표 1)에 의하면, 토르마린의 함유량이 8%에서 방사율과 방사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토르마린을 그 이상 증가하더라도 방사율과 방사에너지의 증가 속도가 작아지면서 오히려, 방사온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명현반응 등 부작용을 초래한다. (표 2)에 의하면, 음이온 방출 수의 경우에도 토르마린이 6%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8%에서 그 증가 속도가 현저하며, 보통, 숲 속에서 인체에 상쾌하게 느껴지는 공기 1cc당 음이온의 분포량을 1,000 내지 2,000개 수준으로 볼 때, 그 효과가 현저하다고 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양이온 교환능력에 의하여 피부의 살균, 탈취 및 항균작용을 수행하게 되는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오라이트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양이온치환능력은 점차 증가하지만, 5% 내지 6% 이상이 되면, 양이온 치환능력이 둔화되면서, 다른 한편으로 마스크의 성형이 곤란하고 토르마린의 음이온 발생효과를 저해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표 3)
Figure 112007089604121-pat00003
본 발명의 마스크는,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성형 된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장시간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부 마스크(100)와 하부 마스크(110)로 분리하여 구성된다.
이마와 코는 주로 햇빛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특히 이마는 주름이 가장 많이 생기는 곳으로 집중적으로 보호되지 않으면 각질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부 마스크(100)는 이마와 코에 원적외선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마스크(100)는 적어도 이마와 코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턱과 목 사이에는 체지방이 집중되어 있으며, 목에는 이마 다음으로 주름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하부 마스크(110)는 턱과 목에 원적외선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마스크(110)는 적어도 턱과 목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마스크(100) 혹은 하부 마스크(110)의 측면에는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밴드를 연결하도록 좌우 한 쌍의 밴드홀(도면부호 없음)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부 마스크(100)와 하부 마스크(110)로 분리하여 구성하게 되면,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착용하여도 불편하지 않으며, 예컨대 상부 마스크(100)를 착용하고도 식사 등을 할 수 있고, 하부 마스크(110)를 착용하고도 독서나 TV를 시청할 수 있어 마스크 팩을 하고 항상 누워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진다.
상기 마스크(100, 110)의 배면에는 상기 원적외선과 체온이 외부로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페인트에 의하여 코팅된다. 마스크의 두께는 10㎜ 내지 15㎜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100)를 성형하기 위한 모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분되어, 상부 모듈(210)과 하부 모듈(220)로 구성된다. 상부 모듈(210)의 저면에는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성형턱(212)이 형성된다. 하부 모듈(220)의 상면에는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성형턱(222)이 형성된다. 상,하부 모듈(210, 220)의 모서리에는 성형시 상,하부 성형턱(212, 222)이 일치하도록 상,하부 모듈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 핀(214)과 가이드 홀(22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부 모듈(210)의 측방에는 하부 모듈(220)에 대하여 상부 모듈(210)을 용이하게 오픈하고 크로즈할 수 있도록 손잡이(216)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의 1차 콤파운드 작업을 수행한다. 먼 저, 88%의 액상 실리콘 고무에 4%의 제오라이트 분말을 배합하여 반죽물(a)을 준비한다. 이때, 성형물이 탄력성과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유지하도록 경도는 20 내지 30 정도가 적당하고, 액상의 실리콘은 성형 후 고무 상태 혹은 겔 상태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링기(300)를 이용하여 실리콘과 제오라이트를 충분히 배합하며, 밀링기(300)는 로울러(310) 한 쌍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로울러(3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회전함으로써, 일측 로울러(310)에 반죽물이 넓게 스프레드된다. 한 쌍의 로울러(310) 사이에 반죽물(a)이 반복해서 밀링됨으로써 실리콘과 제오라이트의 배합은 균일해지고, 결합 정도가 강해진다. 이때, 밀링기(300)를 이용한 배합시 온도는 20℃ 내지 3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시 온도가 10℃ 이하이면 반죽물(a)이 버글거려 배합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게 되며, 배합시 온도가 50℃를 초과하게 되면 반죽물(a)이 딱딱하게 굳어 경도가 높아짐으로써 반죽이 곤란하고, 에너지 방출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의 2차 콤파운드 작업을 수행한다. 실리콘과 제오라이트의 반죽물(a)에 8%의 토르마린을 스프링클하게 배합하면서 반죽물을 다시 반죽한다. 실리콘과 제오라이트의 반죽물(a)은 일측 롤러(310)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 있고, 토르마린 분말을 펼쳐진 반죽물에 스프링클하면서 밀링기(300)를 계속하여 회전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로울러(310)의 압력에 의하여 토르마린이 반죽물에 다시 배합되며, 마찬가지로 최종 반죽물(b)은 일측 로울러에 넓게 펼쳐진 상태가 된다.
콤파운드 작업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로울러(310)에 넓게 스프레드 된 최종 반죽물(b)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절취하여 금형 작업을 준비한다. 나머지는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밀봉하여 잘 보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모듈(210)을 상방으로 오픈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파운드되고 적당한 두께와 크기로 절단된 반죽물(b)을 하부 모듈(220) 상에 적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6)를 이용하여 상부 모듈(210)을 크로즈하며, 프레스 기타 장치의 압력을 이용하여 압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b)은 상,하부 성형턱(212, 222)의 형상에 대응되게 성형 되며, 여분의 반죽물은 상,하부 성형턱 외부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성형턱에는 원하는 성형물만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마스크(100, 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마스크(100, 110)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에서는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4%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조성물을 조성한 반면, 본 <실험예 2>에서는 토르마린 6%, 제오라이트 3%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실험예 1>과 비교하여,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를 모두 기준치보다 적게 배합하였다.
<실험예 3>
본 <실험예 3>에서는 토르마린 10%, 제오라이트 5%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실험예 1>과 대비하여,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를 모두 기준치보다 많이 배합하였다.
<실험예 4>
본 <실험예 4>에서는 토르마린 6%, 제오라이트 5%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토르마린을 기준치보다 적게 배합가고, 반대로 제오라이트를 기준치보다 많이 배합하였다.
<실험예 5>
본 <실험예 5>에서는 토르마린 10%, 제오라이트 3%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토르마린을 기준치보다 많이 배합하고, 제오라이트를 기준치보다 적게 배합하였다.
<비교예 1>
본 <비교예 1>에서는 토르마린 0%, 제오라이트 4%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토르마린이 전혀 배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토르마린 관련 공정은 생략하였다.
<비교예 2>
본 <비교예 2>에서는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0%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제오라이트가 전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제오라이트 관련 공정은 생략하였다.
<비교예 3>
본 <비교예 3>에서는 토르마린 3%, 제오라이트 4%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토르마린의 함량이 기준치보다 미달되었다.
<비교예 4>
본 <비교예 4>에서는 토르마린 15%, 제오라이트 4%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토르마린이 기준치보다 과도하게 초과하였다.
<비교예 5>
본 <비교예 5>에서는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1%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제오라이트의 함량이 기준치보다 미달되었다.
<비교예 6>
본 <비교예 6>에서는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7%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제오라이트가 기준치보다 과도하게 초과하였다.
<비교예 7>
본 <비교예 7>에서는 토르마린 3%, 제오라이트 1%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 모두가 기준치보다 함량 미달이었다.
<비교예 8>
본 <비교예 8>에서는 토르마린 15%, 제오라이트 7% 및 그 잔부를 실리콘으로 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조성하고, 동일한 공정 변수로 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마스크(100, 110)를 제조하였다. 즉,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가 모두 기준치보다 과도하게 초과하였다.
<평가 실험 1> - 상부 마스크의 얼굴 마사지 효과
상기 실험예 1~6, 비교예 1~8의 상부 마스크(100)를 모공이 넓어 노폐물이 많이 발생하고, 이마와 코 주위에 주름과 기미가 많다고 호소하는 10대부터 40대의 여성 각각 10명씩, 40명에게 12주 동안 하루 5시간 이상씩 착용하게 하여 피지 등 노폐물 저하와 주름살과 기미 제거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5점 만점법 으로 하였다.(0점:효과 없음, 1점:효과가 미약함, 2점:효과가 나타남, 3점:효과가 현저함, 4점:효과가 탁월함, 5점:주름살과 기미가 거의 제거됨), (표)에 나와 있는 숫자 중 "/"앞은 각 연령대의 평균 점수이며, "/" 뒤의 숫자는 실험을 끝까지 수행한 사람의 수이다.
(표 4)
토르말린 +제오라이트 10대 20대 30대 40대
제1실험예 (8%+4%) 4.5±0.3/10 4.35±0.5/10 4.68±0.4/10 4.67±0.3/10
제2실험예 (6%+3%) 3.5±0.8/9 3.83±0.1/9 3.61±0.7/9 3.83±0.1/9
제3실험예(10%+5%) 3.77±0.2/9 3.44±0.3/9 3.66±0.4/9 3.21±0.8/9
제4실험예 (6%+5%) 3.62±0.5/7 3.54±0.3/7 3.42±0.2/7 3.71±0.7/7
제5실험예 (10%+3%) 3.5±0.4/8 3.75±0.3/8 3.87±0.8/8 3.7±0.2/8
제1비교예 (0%+4%) 0.85±0.1/10 0.89±0.1/10 0.86±0.1/10 0.77±0.5/10
제2비교예 (8%+0%) 0.6±0.3/10 0.7±0.7/10 074±0.4/10 0.79±0.8/10
제3비교예 (3%+4%) 1.33±0.3/9 1.72±0.2/9 1.44±0.7/9 1.66±0.5/9
제4비교예 (15%+4%) 1.55±0.3/7 1.57±0.4/7 1.42±0.8/7 1.72±0.2/7
제5비교예 (8%+1%) 1.42±0.3/7 1.57±0.7/7 1.85±0.1/7 1.42±0.5/7
제6비교예 (8%+7%) 1.77±0.4/9 1.66±0.3/9 1.44±0.8/9 1.33±0.2/9
제7비교예 (3%+1%) 1.22±0.7/9 1.77±0.3/9 1.77±0.4/9 1.71±0.3/9
제8비교예 (15%+7%) 평가안됨 평가안됨 평가안됨 평가안됨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드시, 제1 실험예가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제 1 비교예와 제2 비교예는 토르말린과 제오라이트 중 어느 한 성분이 없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나왔다. 한편,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가 과량 또는 과소량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평가 정보가 나쁘게 나왔다.
상기 (표 4)에서 <비교예 8>의 경우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신체 반응이 급격하게 나타나서 사용자들이 거부감을 표시하였기 때문에, 평가가 되지 않았다.
다음은 주름살과 기미가 현저하게 제거되는 기간에 대한 평균 기간에 대한 결과이며 표 5에 정리하였다. (표5)에 나와있는 숫자 중 "/"앞은 걸린 기간이고, "/" 뒤의 숫자는 실험을 끝까지 수행한 사람의 수이다. 이때, 상기 숫자는 반올림하여 자연수로 하였다.
(표 5)
토르마린 + 제오라이트 함량 10대 20대 30대 40대
8%+4% 7일/10 5일/10 8일/10 10일/10
6%+3% 18일/9 20일/9 21일/9 22일/9
10%+5% 8일/9 10일/9 9일/9 9일/9
6%+5% 11일/7 12일/7 11일/7 14일/7
10%+3% 20일/7 22일/7 22일/7 19일/7
<실험 평가 2> - 하부 마스크에 의한 얼굴 마사지 효과
상기 실험예 1~6, 비교예 1~8의 하부 마스크(110)를 모공이 넓어 노폐물이 많이 발생하고, 턱과 목 주위에 주름과 기미가 많다고 호소하는 10대부터 40대의 여성 각각 10명씩, 40명에게 12주 동안 하루 5시간 이상씩 착용하게 하여 피지 등 노폐물 저하와 주름살과 기미 제거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5점 만점법으로 하였다.(0점:효과 없음, 1점:효과가 미약함, 2점:효과가 나타남, 3점:효과가 현저함, 4점:효과가 탁월함, 5점:주름과 기미가 거의 제거됨) (표 5)에 나와 있는 숫자 중 "/"앞은 각 연령대의 평균 점수이며, "/" 뒤의 숫자는 실험을 끝까지 수행한 사람의 수이다.
(표 6)
토르말린 +제오라이트 10대 20대 30대 40대
제1실험예 (8%+4%) 4.3±0.3/10 4.35±0.3/10 4.68±0.2/10 4.67±0.3/10
제2실험예 (6%+3%) 3.3±0.7/9 3.73±0.6/9 3.61±0.7/9 3.73±0.6/9
제3실험예 (10%+5%) 3.77±0.2/9 3.24±0.3/9 3.66±0.2/9 3.21±0.7/9
제4실험예 (6%+5%) 3.62±00.3/7 3.34±0.3/7 3.22±0.2/7 3.71±0.7/7
제5실험예 (10%+3%) 3.3±0.2/8 3.75±0.3/8 3.77±0.7/8 3.7±0.2/8
제1비교예 (0%+4%) 0.75±0.6/10 0.79±0.6/10 0.76±0.6/10 0.77±00.3/10
제2비교예 (8%+0%) 0.6±0.3/10 0.7±0.7/10 0.74±0.2/10 0.79±0.7/10
제3비교예 (3%+4%) 1.33±0.3/9 1.72±0.2/9 1.24±0.7/9 1.66±00.3/9
제4비교예 (15%+4%) 1.35±0.3/7 1.37±0.2/7 1.22±0.7/7 1.72±0.2/7
제5비교예 (8%+1%) 1.22±0.3/7 1.37±0.7/7 1.75±0.6.6 1.22±00.3/7
제6비교예 (8%+7%) 1.77±0.2/9 1.66±0.3/9 1.24±0.7/9 1.33±0.2/9
제7비교예 (3%+1%) 1.22±0.7/9 1.77±0.3/9 1.77±0.2/9 1.71±0.3/9
제8비교예 (15%+7%) 평가안됨 평가안됨 평가안됨 평가안됨
상기 (표 6)에서 <비교예 8>의 경우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신체 반응이 급격하게 나타나서 사용자들이 거부감을 표시하였기 때문에, 평가가 되지 않았다.
다음은 주름살과 기미의 제거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기간에 대한 평균 기간에 대한 결과이며, 표 7에 정리하였다. (표 7)에 나와있는 숫자 중 "/"앞은 걸린 기간이고, "/" 뒤의 숫자는 실험을 끝까지 수행한 사람의 수이다.
(표 7)
토르마린 + 제오라이트 함량 10대 20대 30대 40대
8%+4% 5일/10 7일/10 9일/10 11일/10
6%+3% 19일/9 20일/9 18일/9 22일/9
10%+5% 12일/9 11일/9 14일/9 13일/9
6%+5% 13일/7 15일/7 16일/7 14일/7
10%+3% 21일/7 23일/7 25일/7 29일/7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드시, 제1 실험예가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제 1 비교예와 제2 비교예는 토르말린과 제오라이트 중 어느 한 성분이 없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나왔다. 한편, 표 7의 실험예 2 및 5에서도 알 수 있듯이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가 과량 또는 과소량 함유 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간 면에서 평가 정보가 상대적으로 길게 나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는 마사지로 인한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이고, 주름살은 물론이고 기미나 죽은깨를 없애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 졌다. 특히 노폐물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데, 이는 피부에 생식하는 세균 등의 번식을 막거나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함으로써 피부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용 마스크를 성형함에 있어 실리콘 이외에도, 자기 몸에 무려 330배나 되는 에너지를 방출하는 전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마이크로 크기의 분말 하나하나에서도 피부에 있는 체온을 이용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토르마린이 더 배합되고, 토르마린에서 방출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피부 세포 깊이 침투하지 못하고 피부 주변에서만 겉돌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체온에 의하여 열이 가해지면 나노 크기의 세공 속의 물 분자가 증발하여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하고 피부를 확장하며 피부 세포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피부 깊숙이 안내하는 제오라이트가 더 배합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용 마스크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용 마스크 제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콤파운드를 위한 밀링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 미용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 마스크 110: 하부 마스크
210: 상부 모듈 212: 상부 성형턱
214: 가이드 핀 216: 손잡이
220: 하부 모듈 222: 하부 성형턱
224: 가이드 홀 300: 밀링기
310: 로울러

Claims (13)

  1. 실리콘에 토르마린을 배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얼굴 피부에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미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적어도 이마와 코를 커버하는 상부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2. 실리콘에 토르마린을 배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얼굴 피부에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미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적어도 턱과 목을 커버하는 하부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배면에는, 상기 원적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인트에 의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에 원적외선이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피부 세포를 활성화하는 제오라이트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액상 혹은 겔상의 실리콘 고무에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 분말이 배합되어 콤파운드되고,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토르마린의 상대적 조성비는 적어도 6% 이상 함유되고,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적어도 3% 이상 함유되고, 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상기 3개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실리콘 88%, 토르마린 8%, 제오라이트 4%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8. 얼굴 피부에 혈액순환과 세포활동을 촉진하는 원적외선 혹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미용 마스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성형턱이 형성되는 상부 모듈;
    상면에는 얼굴의 형상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성형턱이 형성되는 하부 모듈;
    상기 상,하부 모듈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 성형턱이 일치하도록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의 상대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핀 및 홀;
    상기 상부 모듈의 측방에 구비되어 하부 모듈에 대하여 상부 모듈을 오픈하거나 크로즈하는 한 쌍의 손잡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스크 제조장치.
  9. 액상 혹은 겔상의 실리콘 고무와 제오라이트 분말을 배합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1차 콤파운드 단계;
    상기 반죽물에 토르마린 분말을 배합하여 최종 반죽물을 형성하는 2차 콤파운드 단계;
    상기 최종 반죽물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콤파운드 단계는, 실리콘,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 합을 100으로 볼 때, 실리콘 86% 내지 90%와 제오라이트 3% 내지 5%를 배합하고, 이를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서 밀링하여 반죽물을 스프레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콤파운드 단계는,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 밀링되는 상기 실리콘과 제오라이트의 반죽물에 6% 내지 10%의 토르마린의 분말을 스프링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의 온도는 20℃ 내지 3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를 성형하는 단계는, 2차 콤파운드되고 스프레드된 최종 반죽물을 원하는 크기로 절취하여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방법.
KR1020070129732A 2007-12-13 2007-12-13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2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732A KR100926311B1 (ko) 2007-12-13 2007-12-13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732A KR100926311B1 (ko) 2007-12-13 2007-12-13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63A KR20090062463A (ko) 2009-06-17
KR100926311B1 true KR100926311B1 (ko) 2009-11-12

Family

ID=4099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732A KR100926311B1 (ko) 2007-12-13 2007-12-13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8793A (zh) * 2012-02-28 2012-07-18 千乐善 脸部美容器
KR101724262B1 (ko) 2016-10-13 2017-04-07 주식회사 웰니스 마스크팩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96B1 (ko) * 2011-08-29 2012-04-13 양성식 마스크 팩 제조 및 포장시스템
CN104622715A (zh) * 2015-01-07 2015-05-20 杨小毛 一种硅胶面膜
KR102409234B1 (ko) * 2015-12-14 2022-06-15 주식회사 제닉 미용 팩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933A (ja) 1998-01-13 1999-07-27 Shinko Silk:Kk 美顔用マスクの装着補助具
KR200378451Y1 (ko) 2004-10-06 2005-03-11 (주)이사금 코리아 마스크팩
KR200399928Y1 (ko) 2005-08-12 2005-11-01 김충선 팩 화장용 마스크
KR200416533Y1 (ko) 2006-02-21 2006-05-16 이애라 피부미용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933A (ja) 1998-01-13 1999-07-27 Shinko Silk:Kk 美顔用マスクの装着補助具
KR200378451Y1 (ko) 2004-10-06 2005-03-11 (주)이사금 코리아 마스크팩
KR200399928Y1 (ko) 2005-08-12 2005-11-01 김충선 팩 화장용 마스크
KR200416533Y1 (ko) 2006-02-21 2006-05-16 이애라 피부미용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8793A (zh) * 2012-02-28 2012-07-18 千乐善 脸部美容器
KR101724262B1 (ko) 2016-10-13 2017-04-07 주식회사 웰니스 마스크팩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63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311B1 (ko) 미용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125052A (ko) 스킨 케어 장치
KR102197499B1 (ko) 미세전류 발생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073906B1 (ko) 미세전류 마스크팩
KR100962973B1 (k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미용방법
KR200400424Y1 (ko)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CN108042466A (zh) 一种抗炎杀菌、预防和治疗龋病的口腔护理组合物
KR101928548B1 (ko) 탈모완화용 샴푸
JP2006265105A (ja) 金粉末を含有するシート状美容パック
RU175719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ая маска с наполнителем
KR102213447B1 (ko) 탈모 및 두피 관리방법
CN106491493A (zh) 一种增白抗敏丝肽牙膏及其制备方法
KR100803654B1 (ko) 세안이 불필요한 원적외선 미용팩
KR20060081174A (ko) 결정성 무기광물을 함유하는 피부 마사지용 키트 및결정성 무기광물을 이용하는 피부 마사지 방법
KR10224414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근육의 피로 해소, 예방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977623B1 (ko) 여성용 라이너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52777B1 (ko)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KR102413394B1 (ko) 멍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재
JPS626A (ja) ゲルマニウム含有化粧品及び美容具
KR20220093821A (ko) 게르마늄 분말과 아파타이트가 배합된 미안용마스크 제조방법
KR100809488B1 (ko)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KR20090086051A (ko) Dds 메커니즘을 갖는 약초 필링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968279B1 (ko)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한 미용 마사지 팩의 제조방법
KR100549547B1 (ko) 황토 미용팩 조성물
KR20230063004A (ko) 원적외선 방사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