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493B1 -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493B1
KR100925493B1 KR1020070134137A KR20070134137A KR100925493B1 KR 100925493 B1 KR100925493 B1 KR 100925493B1 KR 1020070134137 A KR1020070134137 A KR 1020070134137A KR 20070134137 A KR20070134137 A KR 20070134137A KR 100925493 B1 KR100925493 B1 KR 10092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ommunication session
terminal
service nod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543A (ko
Inventor
유태완
인민교
이승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4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IP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두 단말간에 통신 세션을 수행하고, 통신 세션의 수행 중에 일측 단말에서의 IP 주소 변경이 요구될 때 두 단말에 IP 인터페이스를 각각 제공하는 두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을 위한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로 매핑시키며, 두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에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고, 각 서비스 노드와 대응하는 각 단말간의 통신 세션에 IP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접속(access)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들에서, 통신 중인 접속 도메인에서 다른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IP 주소까지 변경되어 발생하는 통신 세션의 끊어짐을 IP 분리박스를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IP 분리 박스를 이용하여 단말 입장에서는 아무런 변경없이 통신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차세대 통신망, IP 분리박스, 다중 접속 도메인, 멀티호밍, 이동성, 식별자(Identifier), 세션 유지 관리

Description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 IN NETWORKING BASED IP ADDRESS}
본 발명은 차세대 네트워킹망에서 단말들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변경과 상관없이 통신 중인 단말 간의 세션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P10-027, 과제명: IPv6 이동성 자원 차세대 네트워크 표준개발].
앞으로의 네트워크는 IP를 중심으로 다양한 액세스(access) 기술들을 통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와 같은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는 IP는 IPv6가 될 것이며 실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소형화 및 이동성을 지니고 있어, 이와 같이 통합된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앞으로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들은 다중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단말은 서로 다른 액세스 기술들을 대표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망의 연결성과 리던던시(redundancy)를 위해 멀티호밍(Multihoming) 환경이 보편화 되는데, 이러한 환경 속에서 단말은 다중의 IP 주소를 획득하게 되고, 이 모든 주소는 통신 중에 자유스럽게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IP 주소는 네트워크 위치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전송(Transport) 계층에서도 사용되어, 멀티호밍 또는 이동성 환경에서 IP 주소가 변경되면 모든 통신 역시 끊어지는 문제점들을 여전히 지니게 된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의 이동성을 위해서는 Mobile IPv6 와 NEMO basic support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멀티호밍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SHIM6(Site multihoming by IPv6 Intermediation) 프로토콜을 현재 표준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근본적으로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Foreign network)로 이동하거나, 다른 통신 경로로의 변경을 하기 위해 IP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 전송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에게 투명성(Transparency)를 제공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동성 프로토콜의 경우 자주 발생하는 단말의 지역적 이동성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해 NetLMM(Network Local Mobility Management)프로토콜이 별도로 표준화 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NEMO basic support 프로토콜의 경우, Mobile IPv6의 문제점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특히 단말의 멀티호밍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멀티호밍 프로토콜인 SHIM6의 경우 단말에 새로운 서브 레이어(sub layer)를 심는 것으로, 단말에 이동성 그리고 멀티호밍을 위해 각 단말마다 추가 기능을 탑재해야 하는 큰 단점을 지니며, 이와 동시에 단말 솔루션이기 때문에, 멀티호밍의 장점인 트래픽 엔지니어링(traffic engineering)을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차세대망에서 IP의 변경과 상관없이 통신 중인 세션을 유지할 수 있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세대망에서 단말 또는 망의 멀티호밍 상황으로 인해 획득한 다중 IP 주소를 한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P 분리박스를 이용하여 통신 중인 단말들의 IP 주소가 바뀌는 상황에서도 통신 세션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세대망에서 통신 세션이 연결된 단말 중 특정 단말이 현재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여 IP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로컬 IP 분리박스에서는 기존 연결중인 통신 세션에 사용되었던 IP 주소를 통신의 식별 자(Identifier)로 삼고, 변경된 IP 주소를 매핑(mapping)하여, 데이터 헤더에 새로운 IP 주소를 써주게 되고, 원격 IP 분리 박스는 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래 통신 세션 식별자 IP 주소로 변경하여 원격 단말에게 전송하여, 통신 세션을 유지할 수 있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두 단말간에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세션의 수행 중에 일측 단말에서의 IP 주소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두 단말에 IP 인터페이스를 각각 제공하는 두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을 위한 상기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로 매핑시키는 과정과, 상기 두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에 상기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고, 각 서비스 노드와 대응하는 각 단말간의 통신 세션에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원격지의 두 단말간에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세션의 수행 중에 일측 단말에서의 IP 주소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일측 단말에 대응하는 일측 서비스 노드에서의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로 매핑시키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IP 주소를 타측 단말에 대응하는 타측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와의 통신 세션을 위한 새로운 IP 주소로 매핑시키는 과정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고, 각 단말과 대응하는 각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시스템은, IP 주소에 기반하여 접속 단말에 통신 세션 을 제공하며, 상기 접속 단말에서의 IP 주소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로 매핑시킨 후 상기 새로운 IP 주소를 타측 단말의 대응 서비스 노드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대응 서비스 노드와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고, 상기 접속 단말과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 노드와, 상기 새로운 IP 주소가 수신될 때 이를 매핑시키며, 상기 서비스 노드와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고, 자신으로의 접속 단말과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IP 주소를 사용하는 상기 대응 서비스 노드와, 상기 IP 주소 또는 새로운 IP 주소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노드와 대응 서비스 노드간의 IP 코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접속(access)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들에서, 통신 중인 접속 도메인에서 다른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IP 주소까지 변경되어 발생하는 통신 세션의 끊어짐을 IP 분리박스를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IP 분리 박스를 이용하여 단말 입장에서는 아무런 변경 없이 통신 세션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중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은 각각의 접속 도메인에 따로 또는 동시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망 관리 차원에서 여러 ISP를 통한 연결성을 유지하는 멀티호밍 환경으로 인해 서로 다른 IP 주소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한 단말이 획득한 다중의 IP 주소들은 모두 한 단말에 속해 있으므로, 서비스를 위한 응용에서 모두 사용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IP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는 단말의 위치를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의 식별의 의미까지 지니고 있다. 즉 통신이 이루어질 때 각 단말들 간의 단대단(end-to-end) 세션을 관리하는 최초의 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IP 주소는 포트(port)와 함께 응용을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IP 주소의 중복으로 인해, 한 통신 세션에는 한 IP 주소만 쓰이는 제약이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성 프로토콜들이 존재하나, 이동성 프로토콜들을 단말에 탑재하기에는 너무 큰 코드 양과 함께, 실제 운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인 메커니즘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세대 통신망에서 IP의 변경과 상관없이 통신 중인 세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IP 분리박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두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도중 멀티호밍 환경 또는 이동성으로 인해 IP 주소가 바뀌었을 때 지속적으로 통신 세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IP 분리박스는 자신이 관리하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의 패킷을 처리한다. 특히 처음 통신을 맺기 위해 처리되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메시지를 받으면서 단말에 대한 상태를 생성하며, 통신 중인 단말들끼리의 사용 가능한 IP 주소들을 알기 위해 원격 IP 분리박스와도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이 발생한다. 이러한 IP 분리 박스는 처음 통신이 시도 되었을 때 사용되는 IP 주소를 그 통신 세션의 식별자로 삼고, 나중에 멀티호밍 또는 이동성으로 인해 IP 주소가 변경될 때는 이 통신 세션의 식별자 대신 변경된 IP 주소를 직접 바꿔 써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바꾸어진 IP 주소를 탑재한 패킷을 받은 원격 IP 분리 박스는 반대로 이 IP 주소를 처음 선택하였던 통신 세션 식별자로 바꾸어 원격 단말에게 전달해준다. 결과적으로 통신 중인 두 단말은 IP 주소가 바뀌는 상황에서도 통신 세션이 지속되게 된다.
IP 분리 박스는 통신세션의 관리뿐만 아니라, 통신 중인 단말의 다중 주소에 관한 검사, 현재 사용 중인 경로의 문제 발견, 그리고 원격 단말의 정보까지도 유지 관리한다. 이에 IP 분리박스는 멀티호밍 또는 이동성으로 인해 처음 통신세션을 맺은 식별자 IP 주소가 바뀌었을 경우, 기존 식별자 IP 주소를 로케이터 주소로 설정하고, 단말이 변경한 IP주소를 새로운 식별자 주소로 설정한다. 이후, IP 분리 박스에서는 식별자 주소와 로케이터 주소를 매핑하고 실제 데이터 패킷 헤더를 로케이터 주소로 바꾸어 작성하여 각 단대단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단말은 로컬 단말의 IP가 바뀐 것을 전혀 인식하지 않으며, 로컬 단말은 기존 통신 세션의 끊김 없 이, 원격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박스를 포함하는 차세대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세대 망에서 IP 코어 네트워크(100)를 중심으로 단말과 단말 간의 통신 세션 및 통신 세션에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identifier) 정보와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조로서, IP 코어 네트워크(100)를 중심으로 IP 코어 네트워크(100)에 로컬 단말(114) 및 원격 단말(116)이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화 및 랜, 광 랜을 이용한 유선 접속,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접속 등의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102, 104)들이 연결된 형태로 되어있다. 여기서 IP 코어 네트워크(100)와 접속 네트워크(102, 104)들은 IP 네트워크로 통칭할 수 있다.
로컬 단말(114) 및 원격 단말(116)은 가입자 구내망(CPN: Customer Premises Network)(110, 112)를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102, 104)에 접속하고, 접속 네트워크(102, 104)를 통하여 IP 코어 네트워크(100)에 연동되어, 다른 단말과의 통신 세션을 수행한다.
따라서 로컬 단말(114) 및 원격 단말(116)은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102, 104)로 인해 멀티호밍 환경에 놓여 있으며, 이동성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다중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은 각각의 접속 도메인에 따로 또는 동시에 접속할 수 있으며, 망 관리 차원에서 여러 ISP를 통한 연결성을 유지하는 멀티호밍 환경으로 인해 서로 다른 IP 주소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단말 간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IP 주소를 사용하는데, IP 주소는 통신을 맺기 위한 식별자와 함께 실제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러나 차세대 망에서는 통신 중인 단말의 IP 주소가 변경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며, 기존 IP 통신에서는 IP 주소가 바뀌면 모든 통신 세션이 끊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통신 중인 단말들의 IP 주소가 변경되어도 세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IP 분리박스(106, 108)를 이용한다. 한편, IP 분리박스(106, 108)는 서비스 노드라 칭할 수 있다.
IP 분리박스(106, 108)는 접속 네트워크(102, 104)와 CPN(110, 112) 사이에 위치하여 로컬 단말(114) 및 원격 단말(116) 간에 생성되는 데이터 패킷들은 모두 각각의 단말들(114, 116)을 관장하는 IP 분리박스(106, 108)를 통해 전송 된다.
로컬 단말(114)에서 처음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다중 인터페이스를 가진 로컬 단말(114)이 현재 여러 접속 기술 도메인에 접속할 수 있는 상황에 있으며, 이러한 멀티호밍 환경에서 다른 위치에 있는 원격 단말(116)과 통신을 시도하게 된다. 이때 로컬 단말(114)은 원격 단말(116)의 IP 주소를 알기 위한 DNS(domain name system) 쿼리를 시도하게 되고, DNS는 원격 단말(116)에 해당되는 IP 주소를 넘겨준다.
이러한 FQDN(Fully Qualify Domain Name)을 위한 데이터 전송은 모두 각각 접속 네트워크(102, 104) 앞에 위치한 IP 분리박스(106, 108)를 통해 지나가게 되고, IP 분리박스(106, 108)는 FQDN을 요청한 지역 단말의 상태를 저장하는 상태 정보 테이블을 생성 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분리박스에 저장되는 단말 상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처음 FQDN 메시지를 보낸 로컬 단말(114)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로컬 단말(114)에 대해 통신 세션 별로 관리를 시작하며, 로컬 단말(114)이 가진 다른 주소들의 상태와 함께 그 주소를 통한 RTT(Round Trip Time)까지 정기적으로 체크한다. 이와 반대로, 원격 단말(116) 앞에 위치한 IP 분리박스(108)도 역시 원격 단말(116)에 대한 세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이와 같이 단말 간 통신 세션이 맺어지면, 각각 양 단에 위치한 IP 분리 박스(106, 108)의 상태 정보는 자신이 관리하는 로컬 정보만을 가진 상태가 되고, 이후 로컬 단말(114)과 원격 단말(116)사이에 위치한 IP 분리 박스(106, 108)는 각각 자신이 관리중인 로컬 단말(114) 또는 원격 단말(116)의 정보를 서로 주고받게 되어, 최종적으로 로컬 단말뿐만 아니라 원격 단말의 정보까지 작성된 상태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로컬 및 원격 단말의 상태정보는 한 통신 세션을 기준으로 생성되며, 약 1초 간격으로 업데이트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IP 분리박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제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로 인한 멀티호밍 환경에서 IP 분리박스(106, 108)에 의해 처리되는 통신 세션과 실제 데이터 전송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로컬 단말(114)과 원격 단말(116) 간의 단대단 통신은 실제 처음 통신 세션을 맺기 위해 선택한 IP 주소(식별자)를 이용하여 맺어지게 되고, 접속 네트워크의 변화로 인한 IP 주소 변경 또는 단말의 로컬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IP 주소 변경 시에는 IP 분리박스(106, 108)에서의 직접적인 패킷의 재작성에 의해 실제 통신되는 경로는 바뀔 수 있으나,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 중인 세션은 끊어지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IP 분리박스가 유지하는 정보 중 다중으로 획득된 IP 주소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단말이 멀티호밍 환경으로 인해 획득할 수 있는 주소들은 각각 IP 분리박스에 의해서 관리되며, 각각의 상태를 갖게 된다. 즉, 획득된 주소들은 유효한지 평가하기 위해 IP 분리박스에 의해 검사되며, IP분리박스의 검사 결과 그 주소로의 경로가 유효하면 액티브(active) 상태(402)에 있는 것이다. 그 주소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는 아이들(idle) 상태(406)의 주소로 설정한다. 액티브 상태(402)의 주소는 처음 통신 세션을 맺었을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된 주소는 식별자(identifier) 상태(400)로 결정된다.
이때, 한번 식별자 상태(400)로 결정된 주소는 그 통신 세션이 끝날 때까지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식별자 상태(400)로 결정된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경로가 된다면, IP 분리박스에서는 액티브 상태(402)의 주소들 중에서 로케이터(locator) 상태(404) 주소를 설정한다. 로케이터 상태(404)의 주소는 액티브 상태(402)의 주소들 가운데 가장 성능이 좋은 IP 주소가 선택된다.
이때, 가장 성능이 좋은 IP주소는, 먼저 로컬 단말의 IP 주소들에게 간단한 에코(echo) 메시지 전송 후 RTT를 체크하여 상태 정보에 업데이트 하고, 원격 단말의 IP 주소에도 같은 검사를 수행하여, 짧은 RTT를 갖는 주소를 우선순위로 선택하는 것이다. 그 이후 IP 분리박스는 식별자 상태(400)와 로케이터 상태(404) 주소의 매핑을 시작하고, 원격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 헤더의 식별자 상태(400) 주소를 로케이터 상태(404) 주소로 바꾸어준다.
이후, 원격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원격 IP분리박스는 이미 IP 분리박스로부터 업데이트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해둔 상태이므로, 원격 IP분리박스는 로컬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 헤더에 식별자로 포함된 로케이터 상태(404) 주소를 기존의 식별자 상태(400) 주소로 다시 바꾸어 원격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원격 단말은 로컬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별다른 이상 없이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IP분리 박스는 로컬 단말의 기존 식별자 주소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액티브한 주소들 중 성능 또는 정책에 의해 실제 전송될 IP 주소를 선택하여 로케이터 상태(404)로 설정하고, 식별자 상태(400)와, 로케이터 상태(404) 주소의 매핑 상태를 업데이트 한다.
이후, IP 분리박스는 로컬 단말로부터 받은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식별자 상태 주소에서 로케이터 상태 주소로 바꾸어 전송한다. 이때 매핑 상황 정보는 원격 IP 분리박스에도 전송함으로써, 원격 IP분리박스에서는 IP분리박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소스 주소를 기존의 식별자 상태 주소로 변경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처음 단대단 통신이 맺어진 상황에서 각각 IP 분리박스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음 통신을 시작한 로컬 단말(114)과 원격 단말(116)은 각각 IP 분리박스(106, 108)에 의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로컬 단말(114)의 IP 분리박스(106)는 현재 연결된 통신세션에 대해 로컬 단말(114)이 가지고 있는 PA1::a, PB1::a, 그리고 PC1::a의 액티브 상태 주소 중 PA1::a를 이용하여 원격 단말(116)과 통신세션을 맺었기 때문에 PA1::a를 식별자 상태 주소로 설정한다. 원격 단말(116)의 IP 분리박스(108)는 PD1::b와 PE1::b의 액티브 상태 주소 중 통신 세션 연결중인 PE1::b를 액티브 세션으로 설정한다.
이때, 로컬 단말(114)과 원격 단말(116) 간의 실제 데이터 통신은 각각의 식별자 상태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 IP 주소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로컬 단말(114)은 PA1::a 주소로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500)를 통해 IP 코어 네트워크(100)와 연동되고, 원격 단말(116)은 PE1::b 주소로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502)를 통해 IP 코어 네트워크(100)와 연동되어 서로 간에 통신 세션을 이루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세션이 맺어진 뒤, 처음 사용되었던 IP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때 IP 분리박스의 상태 변화 및 데이터 전송 경로의 변경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은 상황에서 로컬 단말(114)의 식별자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 접속 네트워크(500)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로컬 단말(114)의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IP 분리박스(106)는 주기적인 상태정보 관리를 통해 이 문제를 발견하고, 다른 액티브 상태의 IP 주소 중 가장 성능이 좋은 주소하나(PB1::a)를 선택하여 로케이터 상태 주소로 설정한다.
이후 원격 단말(116)로부터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는 PB1::a 주소로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600)로 향하게 되며, IP 분리박스(106)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 자를 PB1::a에서 PA1::a 주소로 변경한 후, 식별자가 PA1::a 주소로 변경된 데이터를 로컬 단말(114)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로컬 단말(114)이 PA1::a 주소를 식별자로 하는 데이터를 원격 단말(116)로 전송하는 경우, IP 분리박스(106)에서는 수신한 데이터의 패킷 헤더에서 식별자를 PA1::a에서 PB1::a 주소로 변경하여 원격 단말(116)로 전송한다.
이후, 원격 단말(116)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원격 IP 분리박스(108)에서는 로컬 단말(114)의 식별자 주소를 PB1::a에서 PA1::a 주소로 변경한 후, 원격 단말(116)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차세대 통신망에서 각 사용자 네트워크 안에 IP 분리박스를 위치시킨다면, 통신 세션 중에 IP 주소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이동성 프로토콜과 함께 동작하여 좀 더 효율적인 성능을 발휘 할 수 있으며, 특히 단말에는 아무런 변경 또는 설치 없이 세션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정책에 의한 경로의 변경, 내부 네트워크의 보호 등 다양한 확장성을 지니게 되며, 쉽게 적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 통신망에서 IP의 변경과 상관없이 통신 중인 세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IP 분리박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두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도중 멀티호밍 환경 또는 이동성으로 인해 IP 주소가 바뀌었을 때 지속적으로 통신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박스를 포함하는 차세대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분리박스에 저장되는 단말 상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IP 분리박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IP 분리박스가 유지하는 정보 중 다중으로 획득된 IP 주소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처음 단대단 통신이 맺어진 상황에서 각각 IP 분리박스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세션이 맺어진 뒤, 처음 사용되었던 IP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때 IP 분리박스의 상태 변화 및 데이터 전송 경로의 변경 절차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IP 코어 네트워크 102, 104 : 접속 네트워크
106 : IP 분리박스 108 : 원격 IP 분리박스
114 : 로컬 단말 116 : 원격 단말

Claims (8)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두 단말간에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세션의 수행 중에 상기 두 단말 중 일측 단말에서의 IP 주소인 제1 IP주소의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두 단말에 IP 인터페이스를 각각 제공하는 일측 서비스 노드 및 타측 서비스 노드 간의 통신 세션을 위한 상기 제1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인 제2 IP주소로 매핑시키는 과정과,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 및 타측 서비스 노드 간의 통신 세션에 상기 제2 IP 주소를 사용하고, 각 서비스 노드와 대응하는 각 단말간의 통신 세션에 상기 제 1 IP 주소를 사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IP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에서 통신 중인 상기 일측 단말의 IP 주소 상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일측 단말의 IP 주소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며 관리하는 과정과,
    상기 타측 서비스 노드로부터 타측 단말의 IP주소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에서 상기 제2 새로운 IP 주소가 식별자로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의 헤더 식별자를 상기 제1 IP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일측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4. IP 주소를 사용하여 원격지의 두 단말간에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세션의 수행 중에 상기 두 단말 중 일측 단말에서의 IP 주소인 제1 IP주소의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일측 단말에 대응하는 일측 서비스 노드에서의 상기 제1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인 제2 IP 주소로 매핑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 IP 주소를 상기 두 단말 중 타측 단말에 대응하는 타측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와의 통신 세션을 위한 상기 제2 IP 주소로 매핑시키는 과정과,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 및 타측 서비스 노드 간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제2 IP 주소를 사용하고, 각 단말과 대응하는 각 서비스 노드간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제1 IP 주소를 사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IP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5. IP 주소에 기반하여 접속 단말인 일측 단말에 통신 세션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 단말에서의 IP 주소인 제1 IP 주소의 변경이 요구될 때 상기 제1 IP 주소를 새로운 IP 주소인 제2 IP주소로 매핑시킨 후, 상기 제2 IP 주소를 타측 서비스 노드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타측 서비스 노드와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제2 IP 주소를 사용하고, 상기 일측 단말과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제1 IP 주소를 사용하는 일측 서비스 노드와,
    상기 제2 IP 주소가 수신될 때 이를 매핑시키며,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와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제2 IP 주소를 사용하고, 접속 단말인 타측 단말과의 통신 세션으로 상기 제1 IP 주소를 사용하는 상기 타측 서비스 노드와,
    상기 제 1 IP 주소 또는 상기 제2 IP 주소에 기반하여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와 타측 서비스 노드 간의 IP 코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IP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는,
    통신 중인 일측 단말의 IP 주소 상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일측 단말의 IP 주소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타측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타측 단말의 IP주소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서비스 노드는,
    상기 타측 서비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IP 주소가 식별자로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의 헤더 식별자를 상기 제1 IP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일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IP 네트워크는,
    Mobile IPv6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시스템.
KR1020070134137A 2007-12-20 2007-12-20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KR10092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37A KR100925493B1 (ko) 2007-12-20 2007-12-20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37A KR100925493B1 (ko) 2007-12-20 2007-12-20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43A KR20090066543A (ko) 2009-06-24
KR100925493B1 true KR100925493B1 (ko) 2009-11-05

Family

ID=4099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137A KR100925493B1 (ko) 2007-12-20 2007-12-20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4299A (zh) * 2015-03-09 2016-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sctp连接重建立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215A (ko) * 2003-05-31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을 갖는 디바이스에 지속적인 홈 서비스를 지원하기위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77740A (ko) * 2004-01-28 2005-08-03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종단점 어드레스 변경
KR20060036097A (ko) * 2003-07-15 2006-04-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장치 식별자로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2298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gn에서의 이동성 확보/유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215A (ko) * 2003-05-31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을 갖는 디바이스에 지속적인 홈 서비스를 지원하기위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36097A (ko) * 2003-07-15 2006-04-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장치 식별자로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7740A (ko) * 2004-01-28 2005-08-03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종단점 어드레스 변경
KR20080052298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gn에서의 이동성 확보/유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43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5886B2 (ja)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間でデータ・パケットを通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14486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identity identifier and location separation
US8274986B2 (en) Packet communication method using node identifier and locator
CN101043411B (zh) 混合网络中实现移动vpn的方法及系统
US8743879B2 (en) Label switched routing to connect low power network domains
KR101240708B1 (ko) 6LoWPAN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US755824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4242194A (ja) Rpr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00073842A (ko) 위치자/식별자 분리 기반의 네트워크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그 방법
US8843588B2 (en) Methods, apparatuses,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ata structure for distributed storage of service provision-related information
CN101702718A (zh) 用户终端设备的管理方法及装置
EP1349323A1 (en) Source address selection system suitable for a multi-home environment
KR101381701B1 (ko) 데이터 메시지 처리 방법, 시스템 및 접속 서비스 노드
GB2409602A (en) Communicating between a management station and networks having duplicate IP addresses
JP2013504956A (ja) 新たなネットワークとインターネットとの相互通信の実現方法、システム及び通信端
WO2014056412A1 (zh) 一种报文发送的方法、路由器桥及系统
JP4662995B2 (ja) 移動体ipネットワーク内の少なくとも1つのローミングユーザ端末に向けたマルチキャスト同報通信システム
EP1849274A1 (en)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t least two private networks
KR100925493B1 (ko) Ip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의 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US20090147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of node using layer 2/layer 3 addresses
CN102457582B (zh) 一种实现主机设备间通信的方法和网络侧设备
KR100582254B1 (ko) 사설 ip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udp패킷 통신방법 및 시스템
JP4698571B2 (ja) Naptルータを介して接続された端末のハンドオフ方法及びシステム
McAuley et al. Name and address decoupling in support of dynamic networks
Francis IPNL Architecture and Protocol Descri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