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325B1 -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325B1
KR100925325B1 KR1020070120839A KR20070120839A KR100925325B1 KR 100925325 B1 KR100925325 B1 KR 100925325B1 KR 1020070120839 A KR1020070120839 A KR 1020070120839A KR 20070120839 A KR20070120839 A KR 20070120839A KR 100925325 B1 KR100925325 B1 KR 10092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fid tag
departure
moving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121A (ko
Inventor
강유성
김호원
정교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3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RFID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읽는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RFID, 휴대 단말기, 이동 경로, 이동 거리, 확인

Description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MOVEMENT PATH USING PORTABLE DEVICE HAVING RFID READER}
본 발명은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알려주는 이동 경로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88-03, 과제명: 안전한 RFID/USN을 위한 정보보호 기술 개발].
통상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 동물, 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 기술로서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과정의 정보를 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으며 전자태그,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무선 식별 등으로 불린다. 그리고, RFID는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리더(Reader)와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Tag)로 구 성되는데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리더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서 이 정보를 읽도록 한다.
그러므로, 어떤 사물이 현재 지점에서 특정 지점으로 이동했을 때 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RFID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종래 RFID 기술을 이용한 경로 제공 방법은 이동하는 사물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RFID 리더들의 위치로부터 유추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즉, 종래 RFID 기술을 이용한 경로 제공 방법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사물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값비싼 RFID 리더들로 구성된 RFID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RFID 리더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하여 RFID 기술과 별도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하고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다수의 RFID 리더들로 구성된 인프라에서는 RFID 태그의 이동에 따라 많은 RFID 리더들이 서버에서 이동 중인 RFID 태그 정보를 알려주기 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체 시스템 차원에서 보면 데이터 교환량이 급증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을 이용하면 이동 경로 제공과 더불어 이동 사물 또는 이동한 사람이 얼마만큼 이동했는지 그 거리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한데 종래 RFID 기술을 이용한 경로 제공 방법은 이동 거리 확인에 대한 기술 개발이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저렴하고 간편한 인프라 구축으로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RFID 태그 기술에서는 사물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이동하고, RFID 리더로 구성된 인프라에서 다수의 RFID 리더들이 RFID 태그를 읽기 때문에 RFID 태그 소유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이동 경로 및 위치를 추적당하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폰의 위치 추적 기능은 타인에 의해 위치 추적을 당하는 휴대폰의 소유자의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경우에만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저렴하면서도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와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 없는 수동형 RFID 태그로 구성된 RFID 인프라를 구축하고,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뿐만 아니라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이동 거리를 알려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의 이동 경로 확인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RFID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읽는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확인 방법은, RFID 태그들간의 거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읽는 RFID 리더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출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정보, 출발지, 출발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도착 신호, 도착 시간 및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태그 식별자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 계와, 상기 출발 시간, 상기 도착 시간, 상기 태그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RFID 태그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또는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거리 또는 상기 평균 속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읽는 RFID 리더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범위한 영역에서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확인 하기 위해서 저가의 수동형 RFID 태그를 신호등 또는 교통 표지판에 부착시켜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별도의 RFID 리더 또는 값비싼 센서의 추가적인 설치 및 유지 비용도 필요없고 기존 설비의 원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저렴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가 이동 중에 읽은 RFID 태그 식별자를 매번 서버에 전달하지 않고, 내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최종 도착지에서 저장된 RFID 태그 식별자를 한꺼번에 서버에 전달하기 때문에 매번 전달하는 것에 비해 통신 채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만 출발 버튼을 눌러서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 확인 기능을 시작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제어 권한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이동 경로 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100)은 RFID 태그(110-1~110-n), 휴대 단말기(120), 이동 통신망(13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를 포함한다.
RFID 태그(110-1~110-n)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설치되며, 각 RFID 태그(110-1~110-n)마다 각기 다른 RFID 태그 식별자가 포함된다. 일례로 RFID 태그(110-1~110-n)는 수동형 RFID 태그들로서 상기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각 지점에 설치된 신호등 또는 교통 표지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수동형 RFID 태그는 부착 비용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설치, 유지 비용이 필요 없으며, 기존 설비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현실적인 인프라 구축 방안으로 이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를 읽는 RFID 리더(121)를 가진다. 즉, 휴대 단말기(120)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110-1~110-n)에 포함된 제1 태그 식별자 내지 제n 태그 식별자를 읽는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출발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출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발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에 대한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즉,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발 버튼이 눌려지면, RFID 리더(121)를 통해 상기 출발지의 RFID 태그 식별자를 읽고, 상기 출발지의 RFID 태그 식별자를 저장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발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사용자의 출발을 알리기 위한 출발 신호를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RFID 리더(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110-1~110-n)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를 읽어서 순서대로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도착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착 버튼이 눌려지면, 최종 목적지 도착을 알리기 위한 도착 신호 및 상기 저장된 RFID 태그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출발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20)의 번호, 출발지 및 출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도착 신호 및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수신하고, 도착 시간 및 상기 RFID 태그 식별자에 따른 이동 경로를 데이터베이스(141)에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RFID 태그(110-1~110-n)간의 거리를 사전에 데이터베이스(141)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 상기 출발 시간 또는 상기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계산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인 이동 거리를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에 의해 식별된 RFID 태그(110-1~110-n)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착할 때 걸린 시간인 소요 시간을 상기 출발 시간과 상기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평균 속도를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2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평균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평균 속도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거리 또는 상기 평균 속도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100)은 저렴하면서도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와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 없는 수동형 RFID 태그로 구성된 RFID 인프라를 구축하고, RFID 리더(121)를 가진 휴대 단말기(12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뿐만 아니라 RFID 리더(121)를 가진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이동 거리를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01지점은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의 출발지이고, 102지점은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의 목적지이다.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두 가지인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경로는 상기 사용자가 101지점에서 출발하여 111지점, 113지점, 115지점, 116지점을 거쳐 102지점에 도착한 경우이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사용자가 101지점에서 출발하여 111지점, 112지점, 114지점, 116지점을 거쳐 102지점에 도착한 경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 확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출발지인 101지점에서 택시를 타고 출 발할 때 휴대 단말기(120)에 구비된 출발 버튼을 누른다. 단계(S30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발 버튼을 입력 받는다. 즉, 단계(S30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발 버튼을 입력 받으면,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 확인 기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단계(S31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출발지인 101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1) 식별자를 읽어 저장한다. 일례로 RFID 태그(110-1)은 상기 출발지인 101지점의 A건물 앞에 위치한 도로 표지판에 부착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출발 버튼을 입력 받으면, 상기 사용자가 출발지에서 출발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출발 신호를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 전송한다. 상기 출발 신호는 휴대 단말기(120)의 정보, 출발지 정보 및 출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휴대 단말기(120)의 정보는 휴대 단말기(120)의 번호로 '010-1234-5678'일 수 있으며,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출발지인 101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1) 식별자일 수 있으며, 상기 출발 시간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발 버튼이 눌려진 시간 정보일 수 있다.
단계(S33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출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120)의 정보, 출발지 정보 및 출발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단계(S34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각 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2~110-8) 식별자들을 읽어서 순서대로 저장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인 101지점에서 출발하여 111지점, 113지점, 115지점, 116지점을 거쳐 목적지인 102지점에 도착하는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단계(S34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각 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2, 110-4, 110-6, 110-7, 110-8) 식별자들을 읽어서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인 101지점에서 출발하여 111지점, 112지점, 114지점, 116지점을 거쳐 목적지인 102지점에 도착하는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단계(S34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각 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2, 110-3, 110-5, 110-7, 110-8) 식별자들을 읽어서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인 102지점에 도착하면, 휴대 단말기(120)에 구비된 도착 버튼을 누른다. 단계(S35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착 버튼을 입력 받다.
단계(S36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도착 버튼을 입력 받으면,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도착 신호 및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저장된 RFID 태그(110-2~110-8)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 전송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단계(S36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도착 신호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따라 저장된 RFID 태그(110-1, 110-2, 110-4, 110-6, 110-7, 110-8)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단계(S36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도착 신호 및 상기 제2 이동 경로에 따라 저장된 RFID 태그(110-1, 110-2, 110-3, 110-5, 110-7, 110-8) 식별자들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37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도착 신호, 도착 시간 및 RFID 태그(110-1~110-8) 식별자들에 따른 이동 경로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41)에 기록한다. 또한 단계(S37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계산하여 그 값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41)에 기록한다.
도 4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이동 경로와 연관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휴대 단말기 번호, 출발지, 출발 시간, 도착지, 도착시간, 이동 경로,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데이터베이스(141)에 기록한다. 일례로 상기 휴대 단말기 번호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010-1234-5678'와 같이 휴대폰 번호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출발지는 101지점이고, 상기 출발 시간은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발 버튼을 누른 시간이며,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출발 시간은 '2007.10.26. 18:25:27'이고, 상기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출발 시간은 '2007.10.27. 18:20:00'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착지는 102지점이며, 상기 도착 시간은 상기 도착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착 버튼을 누른 시간이며,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도착 시간은 '2007.10.26. 18:35:27'이고, 상기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도착 시간은 '2007.10.17. 18:29:30'일 수 있다.
일례로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이동 경로는 '101(A 건물앞) - 111(B 4거리) - 113(C 아파트) - 115(D 3거리) - 116(E 4거리) - 102(F 아파트)'일 수 있다.
일례로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101(A 건물앞) - 111(B 4거리) - 112(G 3거리) - 114(H 백화점) - 116(E 4거리) - 102(F 아파트)'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각 RFID 태그간의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각 RFID 태그간의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지점에 RFID 태그(110-1~110-8)를 부착하여 인프라를 구축할 당시 측정된 거리로서 데이터베이스(141)에 기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례로 101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1)와 111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2)간의 거리는 2km이고, 111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2) 와 112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3)간의 거리는 0.5km일 수 있다. 일례로 111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2)와 113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4)간의 거리는 2km이고, 112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3)와 114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5)간의 거리는 3km일 수 있다. 일례로 113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4)와 115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6)간의 거리는 1km이고, 114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5)와 116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7)간의 거리는 2km일 수 있다. 일례로 115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6)와 116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7)간의 거리는 3km이고, 116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7)와 102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110-8)간의 거리는 2km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포함된 각 RFID 태그(예를 들어, 110-1, 110-2, 110-4, 110-6, 110-7, 110-8)간의 거리를 합산(2km + 2km + 1km + 3km + 2km)하여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이동 거리를 '10km'로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제2 이동 경로에 포함된 각 RFID 태그(예를 들어, 110-1, 110-2, 110-3, 110-5, 110-7, 110-8)간의 거리를 합산(2km + 0.5km + 3km + 2km + 2km)하여 상기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이동 거리를 '9.5km'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경로에 따른 출발 시간 및 이동 경로에 따른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데이터베이 스 서버(140)는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출발 시간(예를 들어, 2007.10.26. 18:25:27) 및 제1 도착 시간(예를 들어, 2007.10.26. 18:35:27)을 이용하여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소요 시간을 '10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출발 시간(예를 들어, 2007.10.27. 18:20:00) 및 제2 도착 시간(예를 들어, 2007.10.27. 18:29:30)을 이용하여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소요 시간을 '9분 30초'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따른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제1 이동 경로(210)로 이동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제1 이동 거리(10km)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10분)을 이용하여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평균 속도를 '60km/h'로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제2 이동 경로(220)로 이동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상기 제2 이동 거리(9.5km) 및 상기 제2 소요 시간(9분 30초)을 이용하여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평균 속도를 '60km/h'로 계산할 수 있다.
단계(S38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정보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단계(S38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한 제1 이동 경로 정보(101(A 건물앞) - 111(B 4거리) - 113(C 아파트) - 115(D 3거리) - 116(E 4거리) - 102(F 아파트))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단계(S39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한 제2 이동 경로 정보(101(A 건물앞) - 111(B 4거리) - 112(G 3거리) - 114(H 백화점) - 116(E 4거리) - 102(F 아파트))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8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평균 속도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단계(S38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따른 제1 이동 거리(10km) 및 제1 평균 속도(60km/h)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 경우, 단계(S380)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경로에 따른 제2 이동 거리(9.5km) 및 제2 평균 속도(60km/h)를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390)에서 휴대 단말기(12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40)로부터 전송된 이동 경로, 이동 거리 및 평균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된 이동 경로, 이동 거리 및 평균 속도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 확인 방법은 저렴하면서도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와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 없는 수동형 RFID 태그로 구성된 RFID 인프라를 구축하고, RFID 리더(121)를 가진 휴대 단말기(12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 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 확인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뿐만 아니라 RFID 리더(121)를 가진 휴대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이동 거리 및 평균 속도를 알려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 확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이동 경로와 연관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110-n: RFID 태그
120: 휴대 단말기 121: RFID 리더
130: 이동 통신망
140: 데이터베이스 서버 141: 데이터베이스

Claims (21)

  1. 휴대 단말기의 RFID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 식별자를 읽는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RFID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 식별자를 읽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 버튼을 입력 받으면,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출발지의 RFID 태그 식별자를 읽고, 상기 출발지의 RFID 태그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읽은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도착 버튼을 입력 받으면, 도착 신호 및 상기 저장된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RFID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 식별자를 읽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 버튼을 입력 받으면, 출발 신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출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의 정보, 출발지 정보 및 출발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도착 신호를 수신하면, 목적지의 도착 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 식별자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한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한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 정보에 따라 미리 측정된 RFID 태그 부착 지점간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발지로부터 출발한 출발 시간 및 상기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이동 거리 및 평균 속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확인 방법.
  11. RFID 태그들간의 거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읽는 RFID 리더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출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정보, 출발지, 출발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도착 신호, 도착 시간 및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태그 식별자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출발 시간, 상기 도착 시간, 상기 태그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RFID 태그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또는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거리 또는 상기 평균 속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경로 확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또는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RFID 태그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RFID 태그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출발 시간과 상기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경로 확인 방법.
  13.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설치된 RFID 태그로부터 RFID 태그 식별자를 읽는 RFID 리더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RFID 태그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출발 버튼 또는 도착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발 버튼을 입력 받으면, 상기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출발한 출발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에 따라 각 지점에 부착된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읽고, 상기 읽은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순서대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착 버튼을 입력 받으면, 도착 신호 및 상기 저장된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발 버튼을 입력 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출발을 알리기 위한 출발 신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출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번호, 출발지 및 출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도착 신호 및 상기 전송된 RFID 태그 식별자들을 수신하고, 도착 시간 및 상기 수신된 RFID 태그 식별자들에 따른 이동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동 거리, 소요 시간 및 평균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이동 경로, 이동 거리 및 평균 속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각 지점에 설치된 신호등 또는 교통 표지판에 부착되는 이동 경로 확인 시스템.
KR1020070120839A 2007-11-26 2007-11-26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092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839A KR100925325B1 (ko) 2007-11-26 2007-11-26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839A KR100925325B1 (ko) 2007-11-26 2007-11-26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121A KR20090054121A (ko) 2009-05-29
KR100925325B1 true KR100925325B1 (ko) 2009-11-04

Family

ID=4086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839A KR100925325B1 (ko) 2007-11-26 2007-11-26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880B1 (ko) * 2012-01-26 2013-10-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단말기에서 rfid 태그의 순차 추정 방법
KR101686215B1 (ko) * 2014-09-29 2016-12-13 장광영 웹링크 기반의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247A (ko) * 2004-02-18 2005-08-2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Rfid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060092020A (ko) * 2005-02-17 2006-08-22 정은영 Rf 태그를 이용한 위치 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3380A (ko) * 2005-03-26 2006-09-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07643A (ko) * 2005-04-11 2006-10-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247A (ko) * 2004-02-18 2005-08-2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Rfid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060092020A (ko) * 2005-02-17 2006-08-22 정은영 Rf 태그를 이용한 위치 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3380A (ko) * 2005-03-26 2006-09-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07643A (ko) * 2005-04-11 2006-10-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121A (ko) 200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tar et al. Integration of Smart Phone and IOT for development of smar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N101197077B (zh) 一种汽车行驶路线分析、统计方法
CN103795802A (zh) 基于位置的嵌入式wifi网络广告系统和方法
CN103200238A (zh) 地理围栏的智能网络信息系统
CN100498231C (zh) 路径规划系统及方法
CN101933345A (zh) 用于通信和行进跟踪的装置
KR20100058123A (ko)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495856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手机用户类型标记方法
CN103886404A (zh) 一种基于rfid技术的旅游指导服务系统
Anu et al. An RFID based system for bus location tracking and display
KR101546875B1 (ko) 특정 공간 내에서 위치 검색 및 소셜 네트워크 그룹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rfid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5325B1 (ko) Rfid 리더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확인 방법 및 시스템
CN101795466A (zh) 无线微功率网络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Koshak et al. Integrating RFID and GIS to support urban transportation management and planning of Hajj
AU2004279271A1 (en) A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presence of animals
JP2009245213A (ja) 集客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10041833A (ko) 양방향 통신을 사용한 도로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Fikri et al. A smartphone-based system for traffic congestion control using RFID tags
KR101675164B1 (ko) 이동 가능한 실시간 위치 확인/추적 시스템
JP2012076582A (ja) 列車位置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119440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3차원 위치인식시스템 및 그위치인식방법
CN202535538U (zh) 定位人所在地理位置并带有本地信息推送功能的系统
CN101795467A (zh) 无线微功率网络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CN103313189A (zh) 适用于无线局域网接入点上的无线服务系统和应用方法
CN102375961A (zh) 车站人员定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