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311B1 - 휴즈 - Google Patents

휴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311B1
KR100925311B1 KR1020020031043A KR20020031043A KR100925311B1 KR 100925311 B1 KR100925311 B1 KR 100925311B1 KR 1020020031043 A KR1020020031043 A KR 1020020031043A KR 20020031043 A KR20020031043 A KR 20020031043A KR 100925311 B1 KR100925311 B1 KR 10092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member assembly
fuse member
delete delete
fu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814A (ko
Inventor
바린더케이. 칼라
케이스에이. 스팔딩
코나드엠. 리이더
Original Assignee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filed Critical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9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4Surface mounted f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7Fuse making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즈에 관한 것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휴즈본체는 제 1끝과, 제 2끝 및, 휴즈부재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뻗어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이 구멍은 제 1단면적을 갖는 이격부와, 제 2단면적을 갖는 위치선정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단면적은 제 2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어, 상기 위치선정부는 휴즈부재조립체를 수용하는 용기를 제공하면서, 상기 휴즈부재가 이격부내에서 대체로 중심에 있게 한다.

Description

휴즈{Fuse element}
도 1은 휴즈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휴즈본체를 사용하는 휴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전기휴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한 과잉전류의 상태동안 전기회로를 개방시키는 밀폐된 휴즈부재를 구비한 휴즈에 관한 것이다.
휴즈는 전기회로에 경제적으로 큰 손상을 주지 않게 하는 과전류용 보호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휴즈단자들은 전기회로에 배치된 전기부품 또는 이들 부품의 조합과 전원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가용성 링크나 부재, 또는 휴즈부재조립체가 이들 휴즈단자들 사이에 연결되어, 휴즈를 통하는 전류가 소정의 한도를 넘어서면 상기 가용성 부재가 녹게 되고 휴즈를 통하 는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개방시켜 전기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휴즈부재 또는 조립체는 단자들 사이에 뻗어 있는 부전도성 하우징 또는 본체내에 밀폐되어 있다. 통상, 휴즈본체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대체로 균일한 구멍을 갖추며, 휴즈의 조립동안 휴즈부재 또는 조립체가 이 휴즈본체의 구멍내에 넣어지면 상기 휴즈부재는 구멍에 대해 중심에 있지 않게, 즉 휴즈본체의 일부에 너무 가까이 있게 될 수 있다. 전류가 휴즈부재 또는 조립체를 통해 흐를 때, 휴즈부재에 아주 가까이 있는 휴즈본체의 부분이 휴즈부재로부터 열을 흡수하여서, 휴즈부재의 개방에 다른 방식으로 기여하게 된다. 이 효과는 막대한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높은 과전류값에서는 무시해도 좋지만, 휴즈본체로의 열손실이 비교적 적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비교적 약한 과전류상태에서 개방하도록 된 휴즈부재의 작동상의 신뢰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이는 특히 휴즈부재의 가장 데워진 부부분들이 휴즈의 조립 후에 휴즈본체의 일부와 접촉하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일부 종래의 휴즈들은 휴즈본체내에 휴즈부재를 적절히 위치시키는 기구를 사용한다. 예컨대, 어느 유형의 휴즈에서는, 휴즈부재가 휴즈본체의 측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휴즈본체의 각 끝에 와셔를 사용한다. 다른 유형의 휴즈에서는, 휴즈부재가 휴즈단부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넣어지고 이 단부에 납땜되어, 이 단부가 상기 본체에 부착될 때 휴즈본체내에 휴즈부재를 바르게 위치시키게 되어 있다. 또 다른 유형의 공지된 휴즈에서는, 브리지가 휴즈본체내에 사용되어 휴즈부재를 지지하면서 휴즈부재가 휴즈본체의 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술된 구조는 휴즈부재를 휴즈본체의 내부로부터 분리하는 데에는 성공하였지만, 상기 본체내에 휴즈부재를 알맞게 위치시키는 것은 추가적인 부품에 의해서만 성취되었는데, 이는 추가조립단계와 재료비용을 더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휴즈본체는 제 1끝과, 제 2끝 및, 휴즈부재 또는 휴즈부재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뻗어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이 구멍은 제 1단면적을 갖는 이격부와, 제 2단면적을 갖는 위치선정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 1단면적은 제 2단면적보다 크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체로 원통형인 구멍이 대체로 직사각형인 휴즈본체를 통해 뻗어 있다. 상기 이격부는 제 1길이부에 걸쳐 뻗어 있고, 상기 위치선정부는 제 1길이부보다 짧은 제 2길이부에 걸쳐 뻗어 있다. 상기 이격부와 위치선정부의 중간에는 안내부가 위치되는데, 이는 이격부와 위치선정부의 단면적들 중간의 또는 이들 사이의 단면적을 갖게 되어, 휴즈부재조립체를 휴즈본체의 구멍으로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위치선정부는 휴즈부재조립체를 수용하면서, 휴즈부재가 대체로 이격부내의 중심에 있게 하여 휴즈부재조립체의 가장 데워진 부분과 과전류상태에서 휴즈부재조립체의 작동을 나쁘게 할 수 있는 휴즈본체의 내부면과의 사이에 여유공간을 창출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휴즈부재의 가장 데워진 부분은 휴즈본체의 구멍내부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휴즈의 작동이 아주 약한 누전일지라도 확보되게 된다.
이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휴즈부재조립체(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하는 휴즈본체(10)의 한끝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 휴즈본체내에서 휴즈부재의 가장 데워진 부분이 휴즈본체(10)의 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약한 과전류가 가해졌을 때 신뢰할 수 있는 휴즈작동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휴즈본체(10)는 휴즈본체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휴즈부재에서 비교적 적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약한 과전류의 수준에서, 휴즈작동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휴즈본체는 알려진 부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서,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인 끝면(12)과, 직사각형의 휴즈본체(10)를 형성하도록 이 끝면(12)에 대체로 직각으로 뻗은 측면들(14)을 구비한다. 대체로 원형인 구멍(16)이 휴즈본체(10)를 통해 뻗어 있으면서 측면들(14) 사이에서 대체로 중심에 있다. 아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 구멍(16)은 제 1직경을 갖는 제 1부 또는 위치선정부(18)와, 이 위치선정부(18)의 직경보다 큰 제 2직경을 갖는 제 2부 또는 이격부(20) 및, 상기 위치선정부(18)와 이격부(20) 중간에 위치되고서 상기 구멍의 위치선정부(18)와 이격부(20)의 직경들 사이에서 변화하는 직경을 갖는 제 3부 또는 안내부(22)를 구비한다. 이 안내부(22)는, 그 안에서 휴즈부재가 이격부(20)의 내벽에 이격되어 대략 중심위치에 유지되는 위치선정부(18)내에 휴즈부재가 용이하게 넣어질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휴즈부재의 가장 데워진 부분이 휴즈본체의 구멍(16)의 내부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아주 약한 누전일지라도 신뢰할 수 있는 휴즈작동이 확보되게 된다.
한 실시예에서, 휴즈본체(10)는 대략 0.1인치(2.54mm)의 정사각형으로, 즉 휴즈본체(10)의 각 측면(14)이 대략 0.1인치의 폭(W)을 갖는다. 위치선정부(18)와 이격부(20)의 크기는 아래에 설명된 바람직한 휴즈링크 또는 휴즈부재를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장점은, 정사각형의 끝면(12)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 직사각형의 휴즈본체(10)의 대신에, 예컨대 원통형 또는 관형상의 본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의 휴즈본체(10)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성취될 수 있다. 또한, 휴즈본체(10)내에 위치되는 휴즈부재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휴즈본체(10)에 걸쳐 비원형인 구멍을 갖는 다른 실시예에서 성취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휴즈본체(10)는 예컨대 미국, 콜로라도주, 골든에 주소를 둔 쿠어스텍, 인크.(CoorsTek, Inc.)사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AZ-25(알루미나 지르코니아)복합재료와 같은 공학적인 세라믹재료로 제조되며, 다음의 예시적인 성질을 갖는다.
밀도 3.82 gms/cc
휨강도(MOR) (20℃) 172 MPa
압축강도 (20℃) 2310 Mpa
경도 75 GPa
열전도성 (20℃) 13.0 W/m K
최대사용온도 1400 ℃
절연상수 (1Mhz 20℃) 9.8
이와 같이, 휴즈본체(10)는 특히 원거리통신용으로 적합하게 될 수 있으며, 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10mm X 2.77mm X 2.77mm인 작은 용기의 휴즈본체임에도 불구 하고, 예컨대 교류 600볼트에서 60A의 전류를 단속하도록 적당한 휴즈본체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휴즈본체(10)내에 휴즈부재를 알맞게 위치시킴으로써 약한 과전류의 수준에서 휴즈부재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이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즈본체(10)가 보다 높은 전류수준에서도 안전하게 휴즈작동을 견딜 수 있다. 유사한 성질을 갖는 다른 공지의 재료가 AZ-25 복합재료의 대신에 주어진 용도를 위해 충분한 휴즈이행성능을 제공하도록 다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테아타이트와, 알루미나, 코오디어라이트, 열경화성수지 및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다른 공지된 부전도성 또는 절연재료가 휴즈본체(10)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휴즈본체(10)의 제조를 위한 재료는 선택된 휴즈의 용도에 대하여 이 휴즈본체(10)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휴즈부재의 정격에 따라 선택된다. 휴즈본체(10)의 제조를 위한 재료는 균열이나 다른 파손없이 작동온도와 환경을 견디어내야 한다.
도 2는 휴즈본체(10)의 각 반대끝에 위치된 제 1끝면(12)에서 제 2끝면(24)까지 뻗어 있는 구멍(16)을 도시한 휴즈본체(10)의 단면도이다. 상기 구멍(16)은 휴즈본체의 측면(14)에 평행하고서 대략 이들 사이의 중심에 있는 길이방향 축(26) 주위의 휴즈본체(1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다.
구멍의 이격부(20)는 제 1끝면(12)에서부터 구멍의 안내부(22)의 제 1끝(28)까지 뻗어 있고, 구멍의 위치선정부(18)는 상기 구멍의 안내부(22)의 제 2끝(30)에서 휴즈본체(10)의 제 2끝면(24)으로 뻗어 있다. 구멍의 각 부분들(18,20,22)은 서로 유체가 연통될 수 있게 하여서, 휴즈본체(10)에 걸쳐 연속적으로 뻗어 있는 구 멍(16)을 형성한다. 이격부(20)의 직경(D1)이 위치선정부(18)의 직경(D2)보다 크게 되어서, 안내부(22)는 제 1끝(28)에서의 직경(D1)과 제 2끝(30)에서의 직경(D2)을 갖는 원추형상으로 된다. 즉, 안내부(22)는 이격부(20)와 위치선정부(18) 사이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다시 말하면 제 1끝(28)에서 제 2끝(30)으로 구멍의 길이방향 축(26)쪽으로 경사진 내부면(32)을 구비한다. 따라서, 안내부(22)의 단면적은 이격부(20)와 일치하는 제 1끝(28)에서부터 위치선정부(18)와 일치하는 제 2끝(30)으로 감소한다. 대조적으로, 이격부(20)와 위치선정부(18) 각각은 대체로 일정한 단면적 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체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덧붙여, 이격부(20)는 제 1길이부(LC)에 걸쳐 뻗어 있고, 위치선정부(18)는 제 1길이부(LC)보다 길이가 짧은 제 2길이부(LP)에 걸쳐 뻗어 있으며, 안내부(22)는 제 1 길이부(LC)나 제 2길이부(LP)보다 짧은 제3 길이부(LG)에 걸쳐 뻗어 있다. 따라서, 안내부(22)는 휴즈본체의 끝면들(12,24)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이격부(20)는 선택된 휴즈부재(도 2에 도시되지 않음)가 그 안에서 개방될 때 휴즈본체가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두께(T)를 갖는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휴즈본체(10)의 공칭치수는 다음과 같다. 특정한 치수가 한 실시예를 위해 제공되었지만, 휴즈본체(10)의 치수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D1 0.063in (1.60mm)
D2 0.052in (1.32mm)
LC 0.248in (6.30mm)
LP 0.070in (1.78mm)
LG 0.030in (0.76mm)
T 0.016in (0.41mm)
직경(D1)은 휴즈본체(10)와 함께 사용되는 휴즈부재조립체의 외부크기보다 크게 되도록 선택되어, 휴즈부재조립체가 비교적 쉽게 휴즈본체의 이격부(20)내로 넣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직경(D2)은 휴즈부재조립체의 외부크기에 대체로 같은 공간에 걸치는, 즉 그 보다 다소 크거나 거의 같게 되도록 선택되어서, 휴즈부재조립체가 위치선정부(18)내로 넣어질 때 휴즈부재조립체의 측방향이동, 즉 구멍의 길이방향 축(26)에 가로지르는 운동을 대체로 방지하게 된다. 휴즈부재(도 2에 도시되지 않음)가 제 1끝면(12)에서 휴즈본체의 구멍(16)으로 넣어질 때, 휴즈부재는 구멍의 안내부(22)의 내부면(32)과 접촉하여 구멍의 위치선정부(18)로 휴즈부재를 중심쪽으로 유도한다. 위치선정부(18)는 휴즈부재조립체를 위한 용기를 형성하여, 휴즈본체(10)내에 휴즈본체조립체의 알맞은 위치선정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휴즈부재는 어느 한쪽의 끝면(12,24)으로부터 넣어질 수 있으면서, 휴즈본체의 구멍(16)내에 휴즈부재의 알맞은 위치선정을 성취하게 된다.
도 3은 휴즈본체(10;도 1과 도 2에 도시된)와 이 휴즈본체의 구멍(16)내에 위치된 휴즈부재조립체(42)를 구비하는 예시적인 휴즈(4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휴즈부재조립체(4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면서 부전도성이거나 절연성인 코일틀 또는 코어(44)와, 이 코어(44)의 반대쪽 끝들(48,50) 사이에 서 코어(44) 주위로 감겨진 나선형 휴즈부재(46)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코어(44)가 세라믹실로 제조되고, 휴즈부재(46)는 이 휴즈부재가 특정한 과전류값이 발생할 때 녹거나, 분열되거나, 분리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개방되어 휴즈(40)를 통하는 전기회로를 차단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되면서, 알려진 전도성 재료의 와이어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섬유유리와 같은 다른 공지된 부전도성 재료가 코어(44)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며, 다른 공지된 휴즈링크구조가 전술된 와이어 휴즈부재(46)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끝캡(52,54)이 휴즈부재조립체(42)의 반대쪽 끝들(48,50)에 고정되고, 납땜부(56)가 휴즈부재조립체(42)와 끝캡(52,54)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끝캡(52,54)은 휴즈(40)의 표면장착을 위해 휴즈본체의 끝면(12,24)에 고정된 얇고 편평한 판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끝캡(52,54)은 와이어 도선과, 블레이드형 단자연결부 및, 그 밖의 표면장착으로 설치되지 않는 유사한 것을 구비한다.
끝캡들(52,54)이 전압이 가해진 전기회로에 연결되면, 전기회로는 휴즈(40)를 통해, 특히 휴즈본체의 끝들(12,24)과 끝캡들(52,54) 사이로 뻗은 휴즈부재(46)를 통해 형성된다. 휴즈부재(46)를 통과하는 전류는 휴즈부재(46)를 가열하고, 전류가 휴즈부재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양에 도달하면, 충분한 열이 상기 휴즈부재(46)에 발생되어 전형적으로 대부분의 열이 발생되는 가용성인 휴즈부재(46)의 중심근처의 위치에서 녹거나, 분열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휴즈부재(46)가 분리되게 하여 휴즈(40)를 통하는 전기회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그러므 로, 휴즈(40)에 연결된 전기회로는 차단되어, 손해를 입히는 누전으로부터 보호된다.
휴즈본체의 위치선정부(18)의 감소된 직경은, 휴즈부재조립체가 임의로 휴즈본체의 어느 한쪽 끝(12,24)에서 휴즈본체(10)로 넣어지더라도, 상기 휴즈부재조립체(42)와 휴즈본체의 이격부(20) 내부면 사이에 충분한 여유공간을 유지한다. 휴즈본체의 위치선정부(18)의 감소된 직경 때문에, 휴즈부재조립체(42)가 완전히 휴즈본체(10)에 넣어질 때 휴즈부재조립체는 휴즈본체(10)의 내부면에 대체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위치될 수 없으며, 휴즈본체(10)의 내부면과 코어(44)의 중심 근처에서 휴즈부재(46)의 최소분리가 확보된다. 이로써, 코어(44)의 중심 근처에서 휴즈부재(46)의 중심부에 위치된 휴즈부재(46)의 가장 데워진 부분은 휴즈본체(10)의 내부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고, 휴즈부재(46)는 비교적 약한 누전에서도 확실히 작동할 수 있게 된다.
휴즈본체(10)의 내부면과 휴즈부재(46)의 가장 데워진 부분의 최소분리는 휴즈부재조립체(42)의 외경이나, 휴즈본체의 위치선정부(18)의 내경, 또는 구멍(16)의 내경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비원통형 휴즈부재조립체와 휴즈본체(10)를 통하는 비원통형 구멍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대적인 휴즈부재조립체의 외부크기와 휴즈본체(10)의 내부크기는 마찬가지로 특정한 위치에서 휴즈본체의 내부면과 휴즈부재조립체의 알맞은 분리를 확보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휴즈본체의 위치선정부(18)와 안내부(22) 및 이격부(20)의 상대적인 길이는 제조공정동안 휴즈부재조립체가 휴즈본체(10)에 임의로 넣어질 때 휴즈본체(10)의 내부면과 휴즈부재조립체(42)의 최소분리를 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당해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휴즈부재조립체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휴즈부재나 휴즈링크가 끝캡들(52,54)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하나 이상의 협소부 또는 약한 지점을 갖춘 휴즈링크나 부재들이 전술되고 도시된 와이어 휴즈부재(4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되고 도시된 것처럼 나선형으로 뻗어 있는 휴즈부재(46) 보다는, 하나 이상의 휴즈부재나 링크가 끝캡들(52,54) 사이에서 선형으로 뻗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선형으로 뻗은 휴즈부재는 당해분야에서 공지된 것처럼 나선형으로 감겨진 휴즈부재와 평행하게 사용되어, 휴즈부재조립체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양하고 특정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지만,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이 청구범위의 정심과 범주내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조립단계와 추가재료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휴즈본체내에 휴즈부재를 접촉없이 알맞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서, 신뢰할 수 있는 휴즈의 작동이 아주 약한 누전일지라도 확보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끝과, 제 2끝 및, 이 사이를 뻗어 있는 구멍을 구비하는 휴즈본체로서, 상기 구멍은 제 1단면적을 갖는 이격부와, 제 2단면적을 갖는 위치선정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단면적은 제 2단면적과 상이하게 형성된 휴즈본체와;
    상기 구멍 안에서 상기 제1 끝에서 제2 끝 사이에 걸쳐 위치되고 상기 제 2단면적과 같은 공간에 걸친 외부크기를 갖는 휴즈부재조립체로서, 휴즈부재조립체는 상기 제 1단면적내에서 중심에 위치되어서, 이격부내에서, 휴즈본체의 내부면과 휴즈부재 또는 휴즈부재조립체 사이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도록 된 휴즈부재조립체;
    상기 휴즈부재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즈본체의 상기 제1 끝에에 고정된 제1 끝캡; 및
    상기 휴즈부재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즈본체의 상기 제2 끝에에 고정된 제2 끝캡;을 구비하는 휴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본체는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제조되는 휴즈.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본체는 직사각형인 휴즈.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원형인 휴즈.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본체는 위치선정부와 이격부의 중간에 안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휴즈.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부재조립체는 제 1끝과 제 2끝 및 중앙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휴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휴즈부재조립체는 상기 구멍에 안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즈부재의 중앙부가 상기 이격부내에 위치되는 휴즈.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제 1길이부에 걸쳐 뻗어 있고, 상기 위치선정부는 제 2길이부에 걸쳐 뻗어 있되, 상기 제 1길이부는 제 2길이부보다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휴즈.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와 상기 위치선정부 사이에 안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제 3길이부에 대해 뻗어 있되, 이 제 3길이부는 상기 제 1길이부보다 짧게 되어 있는 휴즈.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길이부는 상기 제 2길이부보다 짧게 되어 있는 휴즈.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끝캡은 상기 휴즈의 표면장착을 위한 편평한 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즈.
KR1020020031043A 2001-06-05 2002-06-03 휴즈 KR100925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74,453 2001-06-05
US09/874,453 US6774760B2 (en) 2001-06-05 2001-06-05 Fuse element positioning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14A KR20020092814A (ko) 2002-12-12
KR100925311B1 true KR100925311B1 (ko) 2009-11-04

Family

ID=2536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043A KR100925311B1 (ko) 2001-06-05 2002-06-03 휴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74760B2 (ko)
KR (1) KR100925311B1 (ko)
CN (1) CN100338712C (ko)
DE (1) DE10224945A1 (ko)
GB (1) GB2376817B (ko)
IL (1) IL150036A (ko)
MX (1) MXPA02005535A (ko)
TW (1) TWI2670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4760B2 (en) * 2001-06-05 2004-08-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element positioning body
DE10339441B3 (de) * 2003-08-25 2005-06-23 Wickmann-Werke Gmbh Röhrenschmelzsicherungsbauelement mit Endkappen mit hermetisch abdichtender Kunststoffdichtungskörpereinlage
US7172984B2 (en) * 2004-06-17 2007-02-06 Heany Industies, Inc. Fuse housing of targeted percentage tetragonal phase zirconia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109776B2 (en) * 2008-02-27 2012-02-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wo-material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US8576041B2 (en) * 2008-12-17 2013-11-0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adial fuse base and assembly
KR101038401B1 (ko) * 2009-04-21 2011-06-0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소형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013B1 (ko) * 2009-04-21 2011-08-2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US9224564B2 (en) * 2010-06-04 2015-12-29 Littelfuse, Inc. Fuse with counter-bore body
US8629750B2 (en) * 2010-09-20 2014-01-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ractional amp fuse and bridge element assembly therefor
JP5782285B2 (ja) * 2011-04-01 2015-09-24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温度ヒューズ
DE102012210292A1 (de) * 2012-06-19 2013-1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melzsicherungsanordn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117A (ja) * 1995-02-15 1996-08-30 Koa Corp ヒューズ
KR19980033931U (ko) * 1996-12-10 1998-09-05 임정빈 전자렌지용 고전압 퓨즈홀더
US5886612A (en) * 1997-10-20 1999-03-23 Littelfuse, Inc. Female fuse housing
KR100225631B1 (ko) * 1997-03-24 1999-10-15 윤종용 전자렌지용 고압퓨즈홀더
US6774760B2 (en) * 2001-06-05 2004-08-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element positioning bod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6423A (en) * 1919-03-07 1923-08-28 Nicholas J Conrad Primary cut-out
US3575682A (en) * 1969-09-15 1971-04-20 S & C Electric Co Expulsion fuse and condenser in a horizontally slidable drawer
US3699490A (en) * 1970-03-06 1972-10-17 Kuhiman Corp Fuse holder
US3629768A (en) * 1971-01-07 1971-12-21 S & C Electric Co Circuit interrupter with damper body to reduce speed of moving terminal having a cross slide latch
US3735315A (en) * 1971-10-15 1973-05-22 Stanger & Co Ltd Fuse links for dropout expulsion fuses
US3878497A (en) 1974-02-07 1975-04-15 Itt Fuse link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US4193053A (en) * 1978-01-30 1980-03-11 S & C Electric Company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rcing rod speed modifying means
US4467308A (en) * 1978-03-08 1984-08-21 San-O Industrial Co., Ltd. Fuse assembly
US4229723A (en) * 1979-04-04 1980-10-21 S&C Electric Company Diaphragm having a pattern of reduced thickness in a high voltage, circuit-interrupting device
US4253081A (en) * 1979-04-04 1981-02-24 S & C Electric Company Excessive overcurrent disabling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ing device
US4540969A (en) * 1983-08-23 1985-09-10 Hughes Aircraft Company Surface-metalized, bonded fuse with mechanically-stabilized end caps
NL8902572A (nl) * 1989-10-17 1991-05-16 Littelfuse Tracor Smeltveiligheid.
US4952900A (en) * 1989-12-04 1990-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led seal for an expulsion fus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5214406A (en) * 1992-02-28 1993-05-25 Littelfuse, Inc. Surface mounted cartridge fuse
US5739740A (en) 1994-06-29 1998-04-14 Wickmann-Werke Gmbh Surface mounted fuse with end caps
JPH08138528A (ja) 1994-11-11 1996-05-31 Nippon Kouatsu Electric Co 電線ヒューズ
US6147585A (en) * 1997-01-30 2000-11-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ubminiature fuse and method for making a subminiature fuse
JP2001297686A (ja) 2000-04-12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の管ヒューズホルダー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117A (ja) * 1995-02-15 1996-08-30 Koa Corp ヒューズ
KR19980033931U (ko) * 1996-12-10 1998-09-05 임정빈 전자렌지용 고전압 퓨즈홀더
KR100225631B1 (ko) * 1997-03-24 1999-10-15 윤종용 전자렌지용 고압퓨즈홀더
US5886612A (en) * 1997-10-20 1999-03-23 Littelfuse, Inc. Female fuse housing
US6774760B2 (en) * 2001-06-05 2004-08-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element position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76817A (en) 2002-12-24
IL150036A0 (en) 2002-12-01
GB2376817B (en) 2005-04-13
IL150036A (en) 2006-08-01
CN100338712C (zh) 2007-09-19
KR20020092814A (ko) 2002-12-12
MXPA02005535A (es) 2004-07-16
US6774760B2 (en) 2004-08-10
CN1389889A (zh) 2003-01-08
TWI267098B (en) 2006-11-21
DE10224945A1 (de) 2002-12-12
US20020190837A1 (en) 2002-12-19
GB0212716D0 (en)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2529A (en) Subminiature fuse
KR101598778B1 (ko) 보호소자 및 이차전지장치
US6664886B2 (en) Fuse with fuse link coating
KR100925311B1 (ko) 휴즈
US7718308B2 (en) Temperature fuse and battery using the same
KR900008229B1 (ko) 시간 지연 퓨즈
US6614340B2 (en) Full-range high voltage current limiting fuse
US6778061B2 (en) Fuse
US6642833B2 (en) High-voltage current-limiting fuse
CN101483117A (zh) 提供过电流和热保护的熔断器
US5770994A (en) Fuse element for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US4988969A (en) Higher current carrying capacity 250V subminiature fuse
KR940008191B1 (ko) 고차단 초소형 퓨즈
JPH04233121A (ja) 遅延ヒューズ
US20030001716A1 (en) Fusible link
US4733325A (en) Electrical protective devices
KR20000075515A (ko) 외부 단락 장치를 갖는 가스 충전식 서지 프로텍터
US2914636A (en) Miniaturized high current-carrying capacity current-limiting fuses with built-in indicating plungers
US5485136A (en) Load break disconnecting device with solid arc suppression means
GB2293929A (en) Microchip fuse
CA1083646A (en) Gas evolving clamp for current limiting fuse
CA1140963A (en) Miniature electric fuse
USRE33137E (en) Subminiature fuse
US3755769A (en) Modularized fuse with precise gap
US6650223B1 (en) Electrical fus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