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229B1 -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229B1
KR100922229B1 KR1020090036188A KR20090036188A KR100922229B1 KR 100922229 B1 KR100922229 B1 KR 100922229B1 KR 1020090036188 A KR1020090036188 A KR 1020090036188A KR 20090036188 A KR20090036188 A KR 20090036188A KR 100922229 B1 KR100922229 B1 KR 10092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ard
building material
pillar
materi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준성
Original Assignee
시스컴인피니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컴인피니티(주) filed Critical 시스컴인피니티(주)
Priority to KR102009003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2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Abstract

PURPOSE: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a recycling function is provided to reduce the maintenance repair cost and remove a coating operation due to the rust. CONSTITUTION: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a recycling function comprises a post(110), a beam(120), and a finishing material board(130). An opened part is installed at the post. The both ends of the beam are fixed at the opened part of the post. The beam connects and supports two posts. The beam is installed to the top and bottom with having fixed interval. The finishing material board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s adjacent upward and downward. The finishing material board includes an upper fixed hardware(132) and a lower fixed hardware(131) in the inner side.

Description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Prefabricated Recyclable Building Material Assembly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본 발명은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이나 전시장 등의 벽체, 칸막이 또는 실내 벽체마감 등을 시공함에 있어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고 빠른 시공과 함께 해체 후에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ily assembled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construct a prefabricated wall, partition or interior wall finishing, such as building exterior walls or exhibition halls, and to recycle after disassembly with easy and quick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that can be easily recycled.

지금까지는 건물이나 전시장 등의 실내인테리어를 하기 위한 칸막이 설치 또는 벽체의 마감시공시 목재 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벽면 또는 칸막이의 설치지점 공간부에 설치한 다음 다양한 내장판을 덮어 못 등으로 부착 고정하고 있다.Until now, when installing partitions for indoor interiors such as buildings or exhibition halls, or connecting woods at regular intervals when finishing wall finishing, they are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wall or partition, and then fixed by attaching various interior plates with nails. Doing.

상기한 내장작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실내 구조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설계를 구상하는 한편 이 설계에 기초하여 내장재를 재단하여 운반 시공하는 등의 절차가 따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반 선행작업은 그만큼 내장재의 시공을 위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interior work, the interior structure is basically identified and the design according to it is envisaged, while the interior materials are cut and transported based on the design. Therefore, such preliminary work is causing a waste of manpower and time for the construction of interior materials.

특히 시공시 못 또는 타카못 등으로 상호 고정되므로 해체후에는 내장재로서의 사용이 전혀 불가능하여 경제적 손실과 함께 건축폐기물을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In particular, it is impossible to use as interior materials after dismantling because it is mutually fixed with nails or Taka nails, resulting in mass production of construction waste with economic loss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재활용을 할 수 있는 칸막이 설치구조가 있었으나, 종래의 경우 프레임에 마감재를 덧붙이고 고정볼트 또는 고정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갖음으로서, 고정에 따르는 작업이 번거롭고, 완공시 볼트나 너트가 마감재 표면에 노출되므로 세련되지 못한 이미지를 가지며 외적인 면에서 질적으로 떨어진다.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re was a partition installation structure that can be recycled in the past, but in the conventional case by adding a finishing material to the frame and having a structure for fixing using a fixing bolt or a fixing nut, it is cumbersome to follow the fixing work.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 bolts and nuts ar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nish, resulting in an unsophisticated image and falling in quality from the outside.

또한, 종래의 칸막이 설치구조는 사각형의 스틸 파이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많은 파이프 조각을 용접하여 정밀도가 떨어지며, 스틸 파이프이므로 녹이 슬기 쉬워 도장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며, 스틸이라 무게가 무겁고 설치 및 철거 시 많은 고정볼트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인건비가 많이 든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rtition installation structure is manufactured using a square steel pipe material, so that many pieces of pipe are welded to reduce accuracy, and because steel pipes are easily rusted, the painting work must be accompanied by necessity. And when the demolition has to do a lot of fixing bolt work takes a lot of time, labor costs a lot.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은 마감재로 아크릴판을 사용하는데, 아크릴판의 경우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워 2~3번 정도의 재사용은 가능하지만 아크릴판의 구매가격에 비해 재활용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고, 친환경면에서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system uses an acrylic plate as a finishing material, and the acrylic plate is easily scratched on the surface, and can be reused two or three times, but it is not effective in terms of recycling compared to the purchase price of the acrylic plate. There is a problem falling somewha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해체 후에도 다른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여 재활용이 매우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and can be installed in another place even after disassembly is very easy to recycle.

또한, 스틸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녹이 스는 문제점으로 인해 도장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유지보수비 절감이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만 용접함으로 정밀도 측면에서도 우수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steel pipe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iodically perform painting work due to rust,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and only partially welded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with excellent precision. have.

또한, 스틸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도장작업이 필수적이지 않고, 고정볼트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because it is made of light weight material without using steel pipe, and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painting work and fixing bolts are unnecessary, so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ssembly.

또한,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인건비 절감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는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is easy and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that is excellent in reducing labor cos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개구된 부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두 개의 기둥을 연결지지하도록 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보와,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보와 보 사이에 설치 되며, 상부의 보에 고정되는 상단 고정철물과 하부의 보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철물이 내측에 구비되는 마감재 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재 보드는 소정 길이의 유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단 고정철물을 상부의 보에 먼저 끼운 후 상기 하단 고정철물을 하부의 보에 고정시킴으로써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has a 'c' shaped cross-section opening, the pillars are installed so that the opened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pillar To support the two columns,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 and the beam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stalled between the beam and the adjacent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fixed hardware fixed to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fixed to the lower beam The hardware is made of a finishing board is provided on the inside, the finishing boar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gap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fixing hardware is first inserted into the upper beam, and then the lower fixing steel is fixed to the lower beam There is provided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that can be easily recycl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는 'H'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단 고정철물은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단 고정철물은 하방이 개구된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has a 'H' cross-sectional shape, the upper fixing steel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 shape of the upper opening, the lower fixing steel has a '┌┐' shape of the lower opening.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여기서, 상기 보는 가로빔을 중심으로 상단의 플렌지가 하단의 플렌지 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단 고정철물은 상기 마감재 보드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의 길이가 고정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flange is formed around the horizontal beam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lower flange, the lower fixing hardware may be formed with a length of the free end that is not fixed to the finisher boar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ed end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개방된 입구를 서로 반대편으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연장설치가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s are installed so that the open inlet is opposed to each other, and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ans, it is possible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기둥을 고정설치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by fixing the columns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eam,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install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보드의 하단부에는 걸레받이가 더 설치되며, 상기 걸레받이의 내측면에는 고정철물이 고정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finisher board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p base, the fixing side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p base.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마감재 보드를 상하좌우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이나 문양이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he finishing material board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appea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 마감재 보드, 고정철물은 라운딩되게 형성되어 라운딩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the finishing board, the fixing hardware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form a rounding wal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철물은 상기 마감재 보드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보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ixing steel is further formed with an extensio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free end is not fixed to the finish board, the extension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ans from the beam.

또한, 상기 기둥의 측면에 다른 기둥의 배면을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기둥에 마감재 보드를 설치함으로써, 마감재 보드를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fixing the back surface of the other pillar to the side of the pillar by the fixing means, by installing the finish board on the fixed pillar,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inish board at a right angle.

본 발명에 있어서, 사각형 단면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을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4면에 각각 상기 기둥의 배면을 설치함으로써, '┼'자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fram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y installing the frame in the center, by installing the rear surface of the pillar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frame,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the '┼' shap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몰딩부는 외측면에 라운딩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직각으로 설치되는 2개의 기둥을 연결하도록 코너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olding part fixed to the pillar by the fixing means, the molding part may be formed by forming a round on the outer surface, it is installed in the corner to connect two pillars are installed at right angles It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몰딩부의 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고, 몰딩부의 외면에는 상기 조명등에서 방출하는 빛이 투과하도록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ing lamp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lding part, and a transparent plate or a translucent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part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lamp pass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보는 구조용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제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and the beam structural aluminum material can be extruded and produce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칸막이 또는 벽체 마감시공 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해체 후에도 다른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재활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ior partition or wall finishing construction can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can be installed in another place after disassembly there is an effect that is very easy to recycle.

또한, 스틸을 사용하지 않아 유지보수에 따르는 재료비 절감이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만 용접함으로 정밀도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according to maintenance by not using steel, an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in terms of precision by welding only partially.

또한, 스틸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도장작업이 필수적이지 않고, 고정볼트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 절감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because it is made of light weight material without using steel pipe, and painting work is not necessary, and work such as fixing bolt is unnecessary, so that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and labor cost can be reduced. There is also an excellent effect.

또한, 완공 시 심플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창출하며 면 분할의 디자인으로서 현대적 감각이 느껴지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creates a simple and sophisticated image upon completion and feels a modern sense as the design of the cotton segmentation can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이하,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마감재 보드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nish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10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두 개의 기둥을 연결지지하는 보(120)와, 상기 보(120)에 설치되는 마감재 보드(130)를 구비한다.Building material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umn 110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eam 120 is fixed to both ends to the pillar 110 is connected to support the two pillars, and the beam 120 It has a finisher board 130 that is installed on.

상기 기둥(110)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The pillar 11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 shape of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the opened portion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또한, 상기 보(120)는 상기 기둥(110)의 개구된 부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두 개의 기둥(110)을 연결지지하도록 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beam 120 is fixed to both ends in the open portion of the column 110 to support the two pillars 110,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과 보(120)는 구조용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금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illar 110 and the beam 120 is made of a structural aluminum material in an extrusion mold.

이와 같이, 구조용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스틸보다 가벼워 취급 시 다루기가 용이하고, 현장에서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시간 단축과 인건비가 절약될 수 있다. In this way, by using a structural aluminum material, it is lighter than steel, easy to handle when handling, and easy to install in the field can be reduced installation time and labor costs.

또한, 구조용 알루미늄이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녹슬지 않는 자재라 반영구적이며,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친환경 시스템이다. In addition, because it is structural aluminum, it is durable, anti-rust material, semi-permanent, and maintenance-free.

또한, 상기 기둥(110)과 보(120)는 압출금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금형으로 인해 정밀도를 높이고, 외관이 미려하여 도장작업이 불필요하다. In addition, the pillar 110 and the beam 120 is produced by the extrusion mold, thereby increasing the precision due to the mol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no painting work is required.

또한, 다양한 규격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hanged to a variety of specifications and various shapes.

한편, 상기 마감재 보드(130)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보(120)와 보(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의 보(120)에 고정되는 상단 고정철물(131)과 하부의 보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철물(132)이 내측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nish board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 120 and the beam 120 adjac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upper fixing hardware 131 is fixed to the upper beam 120 and the lower fixed to the lower beam Fixing hardware 132 is provided on the inside.

이와 같은 상기 마감재 보드(130)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유격(160)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마감재 보드(130)를 설치하 는 구조에 따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감재 보드(130)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상단 고정철물(131)을 상부의 보(120)에 먼저 끼운 후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을 하부의 보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The finish board 13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clearance 160 of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ure 3b, which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finish board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stall the finish board 130, the upper fixing hardware 131 is first inserted into the upper beam 120, and then the lower fixing hardware 132 is fixed to the lower beam.

여기서, 상기 보(120)는 'H'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단 고정철물(131)은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은 하방이 개구된 '┌┐'형태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Here, the beam 12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 the upper fixing hardware 131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 shape is opened upward, the lower fixing steel 132 is downward It has an open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orm of '┌┐'.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 보드(130)의 상단 고정철물(131)이 상부의 보(120)의 하단 플렌지(123)에 끼워지도록 먼저, 상기 마감재 보드(130)를 경사진 방향으로 위로 들러올려 상기 상단 고정철물(131)을 상부의 보(120)의 하단 플렌지(123)에 끼운 후(도 3a에서 화살표① 방향), 마감재 보드(130)를 보(120) 측으로 밀어넣고(도 3a에서 화살표② 방향), 마감재 보드(130)를 하방향으로 내려(도 3a에서 화살표③ 방향)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을 하부의 보(120)의 상단 플렌지(122)에 끼우면 상기 마감재 보드(130)가 설치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A, the finish board 130 is inclined first so that the upper fixing hardware 131 of the finish board 130 is fitted to the bottom flange 123 of the upper beam 120. Lift up in the direction to insert the upper fixing hardware 131 into the lower flange 123 of the upper beam 1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in Figure 3a), then push the finisher board 130 to the beam 120 side. (In the direction of arrow ② in Figure 3a), lower the finishing material board 130 (in the direction of arrow ③ in Figure 3a) when the lower fixing hardware 1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flange 122 of the lower beam 120, Finishing board 130 is to be installed.

여기서, 상기 보(120)는 가로빔(121)을 중심으로 상단의 플렌지(122)가 하단의 플렌지(123) 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eam 12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upper flange 122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lower flange 123 around the horizontal beam 121.

또한,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은 상기 마감재 보드(130)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132a)의 길이가 고정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iron 132 is preferably formed with a length of the free end 132a that is not fixed to the finish board 13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end.

이와 같이 상기 보(120)의 상단 플렌지(122)가 하단 플렌지(123)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의 자유단(132a)의 길이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을 보(120)의 상단 플렌지(122)에 끼우는 작업이 쉽게 이 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lange 122 of the beam 12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ower flange 123, and the length of the free end 132a of the lower fixing steel 132 is shorter, thereby lowering the lower fixing steel 132. ) Can be easily fitted to the upper flange 122 of the beam (120).

또한,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의 자유단(132a)은 마감재 보드(13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내측면에 모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ee end 132a of the lower fixing steel 132 is preferably chamfered on the inner surfac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finish board 130.

이와 같이 설치된 마감재 보드(130)는 상기 보(120)의 하단 플렌지(123)에 상기 상단 고정철물(131)이 끼워져 있고, 상기 보(120)의 상단 플렌지(122)에 상기 하단 고정철물(132)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마감재 보드(130)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마감재 보드(130)를 해체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마감재 보드(130)의 설치방법과 역순으로 하면 된다. The finishing board 13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fitted with the upper fixing iron 131 to the lower flange 123 of the beam 120, the lower fixing steel 132 to the upper flange 122 of the beam 120. ) Is maintained so th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nisher board 130 can be stably maintained. When dismantling the finisher board 130,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finisher board 130 may be reversed.

즉, 상기 마감재 보드(13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보(120)의 상단 플렌지(122)와 하단 고정철물(132) 간의 결합을 해제한 후 마감재 보드(130)의 하단부를 외부로 이동시키고나서, 마감재 보드(130)를 경사진 방향으로 내려 상기 보(120)의 하단 플렌지(123)와 상단 고정철물(131) 간의 결합을 해제킴으로써, 마감재 보드(130)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by lifting the finisher board 130 upwards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flange 122 and the lower fixing hardware 132 of the beam 120 and then move the lower end of the finisher board 130 to the outside Then, by lowering the finish board 130 in an inclined direction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lower flange 123 and the upper fixing hardware 131 of the beam 120, disassembly of the finish board 130 can be easily made. have.

상기 마감재 보드(130)는 표면의 디자인 등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하이테크 느낌의 마감부터 내츄럴 느낌의 마감까지 표현이 가능하고,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감재 보드(130)의 해체가 매우 용이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비용이 절감된다. The finish board 130 can produce a variety of surface design, etc., can be expressed from a high-tech finish to a natural feel finish,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assembly of the finish board 130 is very easy Recyclable, eco-friendly and cost-effective.

또한, 본 발명의 기둥(110)은 'ㄷ'자형이고, 보(120)는 'H'자 형태라 휨이나 꺽어짐에 강하고, 압출로 제작하므로 가공시 제작이 간편하고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illa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shaped, the beam 120 is a' H 'shape is strong in bending and bending, it is produced by extrusion, so the manufacturing is easy during manufacturing and has the advantage of high precision. .

또한, 마감재 보드(130)의 고정철물(131)(132)도 상기 기둥(110)이나 보(120)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동일한 장점이 있고, 마감재 보드(130) 변형 및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hardware 131, 132 of the finish board 130 also has the same advantages by manufacturing the pillar 110 or beam 120 in the same way, preventing the finish board 130 deformation and damage Play a role.

또한, 상기 마감재 보드(130)는 일반적인 목재 이외에도 유리 소재도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nish board 130 may be used as a glass material in addition to the general wood.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110)은 결합을 위한 볼트구멍 및 전선 등의 배선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설치되는 보(120)에도 볼트구멍 및 전선 등의 배선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pillar 110 may be formed with holes for wiring such as bolt holes and wires for coupling, wires such as bolt holes and wires in the beam 120 installed on the top A hole for the can be formed.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조립단계를 도시한 조립공정도로서, 먼저 상기 기둥(11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4A to 4C are assembly process diagrams illustrating the assembling step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illars 11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때, 기둥(110)을 좌우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둥(110)의 개방된 입구를 서로 반대편으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연장설치가 가능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nstall the pillars 110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open inlets of the pillars 110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and fixed by separate fixing means, so that the pillars 110 can be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반적인 볼트,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외에도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fixing means may use a general bolt, nut, other than that of course can be used.

이후, 상기 보(120)를 기둥(110)에 설치하여 양측의 기둥(110)을 연결시킨다. Thereafter, the beam 120 is installed on the pillar 110 to connect the pillars 110 on both sides.

이때, 상기 보(120)는 용접에 의해서 상기 기둥(1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120)가 상기 기둥(110)의 개구된 부분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므로,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볼트 머리 등이 외면에 돌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beam 12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pillar 110 by welding. This is because both ends of the beam 1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pillar 110,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a fixing means such as a bolt is used, that is, the bolt head or the like may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It is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it can.

그러나, 상기 보(1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용접 이외에도 다른 방법에 의해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However, in installing the beam 120, it can be by other methods in addition to welding,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is.

이와 같이, 기둥(110)과 보(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프레임이 완성되는데, 여기에 상기 마감재 보드(130)를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이 완성되어 칸막이나 벽체로 이용이 가능하다.As such,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pillar 110 and the beam 120 is completed, the frame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fixing the finish board 13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ssembly is completed and can be used as a partition or wal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는 좌우방향 뿐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연장설치가 가능하다. 즉, 상기 보(120)를 상하방향으로 양분하여 보(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기둥(110)을 고정설치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가 가능하다.Such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by dividing the beam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illars 110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eam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beam 120 may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마감재 보드(130)의 하단부에 걸레받이(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140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nish board 130.

상기 걸레받이(140)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감재 보드(1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고정철물(141)(142)이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구조는 상기 마감재 보드(13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40 may be fixed to the fixing hardware (141, 142)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nish board 130,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finish board 130,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상기 걸레받이(140)의 내부 공간에 전선이나 전화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걸레받이(140)에는 전선 콘센트(143)나 전화선 콘센트(144)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outlet 143 or a telephone line outlet 144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plate 140 so as to wire an electric wire or a telephone line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late 140.

또한,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 시한 정면도로서, 복수개의 상기 마감재 보드(230)를 상하좌우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이나 문양이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5A to 5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he finishing material boards 230 in a vertical direction, various patterns or patterns may be formed. .

즉, 마감재 보드(230)의 외면에 문양이나 패턴을 나타낼 수 있는 홈 등을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하고 이를 상하좌우로 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벽체마감을 할 수 있으며,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형성한 마감재 보드(230)를 설치함으로써, 외관을 매우 미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groove or the like that can represent a pattern or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 board 230 in a variety of patterns and by installing them in combination with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finishing the wall in a rectangular shape of various sizes as shown in Figure 5a As shown in FIG. 5B, by installing the finish board 230 in which diamond-shaped grooves are formed, the appearance can be expressed very aesthetical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라운드 벽체를 이루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forming a round wall as another embodiment of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보(320), 마감재 보드(330), 고정철물(331), 걸레받이(340)을 라운딩되게 형성하여 라운딩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form a rounding wall by forming the beam 320, the finish board 330, the fixing hardware 331, the base plate 340 to be rounded.

이 경우, 상기 마감재 보드(330)의 설치구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nish board 33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간판 거치대가 설치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7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 holder is insta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감재 보드의 외면에 별도의 간판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간판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440)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440)에 간판(450)을 고정시킴으로써, 전시장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As such, a separate signage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by installing a cradle 440 to mount the signage and fixing the signage 450 to the cradle 440, the exhibition hall It can be utilized in the back.

상기 거치대(440)와 간판(450)의 설치는 통상적인 구조에 의하여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Installation of the cradle 440 and the signboard 450 can be made by a conventiona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축 및 인테리어 벽면을 이루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constituting the building and interior wall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의 벽면(550)이 구비된 상태에서 인테리어 마감을 위한 벽체 시공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기둥(510), 보(520), 마감재 보드(5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8 is generally used as a wall construction for interior finishing in a state where a wall 550 such as concrete is provided, such as a pillar 510, a beam 520, a finishing board 530. Since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마감재 보드(530)에 설치되는 상단 고정철물(531)은 상기 마감재 보드(530)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531a))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531b)가 더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upper fixing hardware 531 installed on the finisher board 53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xtension part 531b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urther formed at a free end 531a not fixed to the finisher board 530. Has

상기 연장부(531b)는 상기 보(520)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531b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separate from the beam 520.

여기서, 고정수단은 볼트(540)가 사용가능하다.Here, the fixing means may be a bolt 540 is us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상단 고정철물(531)이 절곡된 연장부(531b)를 갖고, 볼트(540)에 의하여 보(520)와 고정됨으로써, 강도면에서 우수하며,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xtension portion 531b, the upper fixing steel 531 is bent, and is fixed with the beam 520 by the bolt 540, excellent in terms of strength, more stable There is a supportable advantage.

또한, 외부 건축물에 마감을 위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마감재 보드(530)가 비나 눈, 습기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목재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습기에 강한 소재 예를 들면, 방부처리가 된 목재, 금속판, 알루미늄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installed for finishing in an external building, since the finish board 530 may be exposed to rain, snow, and moisture, it is not preferable to use general wood, and moisture resistant material,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use wood, metal plate, aluminum plate and the like.

한편,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보(520)와 보 사이의 형성 된 공간에 방음을 위한 방음재 등을 충진시켜 설치함으로써, 방음의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ed for the interior, by filling the soundproof material for the soundproof, etc.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eam 520 and the beam, it can be made to have the effect of sound insula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둥근 형태의 건물기둥에 조립된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b는 사각형태를 갖는 건물기둥에 조립된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ssembled to a building pillar of a round shap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to 10b is assembled to a building pillar having a rectangular shape It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도 9의 경우, 건축물에 설치된 건물기둥(650)이 둥근 형태를 갖는 경우에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서, 보, 마감재 보드(630), 고정철물, 걸레받이(640)을 상기 건물기둥(650)의 형태에 맞게 라운딩으로 형성하여 인테리어 마감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ure 9, it is possible to install when the building pillar 650 installed in the building has a round shape, the beam, the finishing board 630, the fixing hardware, the baseboard 640 in the form of the building pillar 650 It can be rounded to fit the interior finish.

또한, 사각형태의 건물기둥(750)에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기둥(710)의 측면에 다른 기둥(710)의 배면을 고정수단(740)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기둥에 마감재 보드(730)를 설치함으로써, 마감재 보드(730)를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uilding pillar 750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column 710 on the side of the column 710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ixing means 740 By fixing and by installing the finisher board 730 on the fixed pillar,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inisher board 730 at a right angle.

도 11은 파티션 구조로 설치되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installed in a partition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사각형 단면의 프레임(8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840)을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840)의 4면에 각각 상기 기둥(810)의 배면을 설치함으로써, '┼'자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frame 84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y installing the frame 840 in the center, and by installing the rear surface of the pillar 810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frame 840,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the form of 자 '.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가 가능한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는 건축물 실내에서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칸막이 공사를 가능케 한다.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installed in such a structure can be used as a partition in a building, and enables various types of partition construction.

도 12는 양단에 몰딩부가 설치되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몰딩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in which molding parts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FIGS. 13A to 1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a m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910)에 고정수단(950)으로 고정되는 몰딩부(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illar 910 may further include a molding part 940 fixed to the fixing means 950.

상기 몰딩부(94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형상일 수 있으며, 도 1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면에 라운딩을 형성하여 몰딩부(940a)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각으로 설치되는 2개의 기둥을 연결하도록 직각면을 가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몰딩부(940b)를 코너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2, the molding part 94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3A, the molding part 940 may form a molding part 940a by forming a rounding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13B.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molding part 940b at a corner by forming a shape having a right angled surface to connect two pillars installed at right angles.

또한, 도 1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몰딩부(940c)의 내부에 조명등(960)을 설치하고, 몰딩부(940c)의 외면에는 상기 조명등(960)에서 방출하는 빛이 투과하도록 광투과판(97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광투과판(970)은 아크릴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C, a lighting lamp 960 is installed inside the molding part 940c, and a light transmitting plat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part 940c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lamp 960 is transmitted. 970 may be provid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plate 970 is preferably an acrylic plate, an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te or a translucent plate.

한편, 첨부한 도 14는 본 발명의 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엘이디 등의 광원(1124)을 보(1120)의 가로바 하측에 설치하고, 보(1120)의 하단 플렌지에 상기 광원(1124)에서 나오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1122)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Meanwhile,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light source 1124 such as an LED i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bar of the beam 1120, and the bottom flange of the beam 1120 is disposed above. The hole 1122 is formed to allow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24 to pass therethrough.

이와 같은 보(1120)를 기둥에 설치하여 마감재 보드를 설치한 경우, 상기 광원(1124)에서 나오는 광이 상기 홀(1122)을 통과한 후 상하측에 설치된 마감재 보드의 유격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의 미감을 살리고 조명으로 인해 분위기를 한층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inisher board is installed by installing the beam 1120 on a pilla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24 passes through the hole 1122 and then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ay of the finisher board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can be used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and to upgrade the atmosphere.

도 15는 본 발명의 상단 고정철물 및 하단 고정철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상단 고정철물(1131)에 마감재 보드의 상단면을 마감할 수 있는 연장부(1131c)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고정철물에는 마감재 보드의 하단면을 마감할 수 있는 연장부(도시안함)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fixing hardware and the lower fixing hard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ms an extension portion 1131c capable of finis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board on the upper fixing hardware 1131, The lower fixing hardware is formed by forming an extension (not shown) that can finis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ish board.

이와 같은 경우, 마감재 보드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금속재질의 상단 고절철물 및 하단 고정철물의 연장부가 설치됨으로써, 마감재 보드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가 용이하며, 강도면에서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etal material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nishing boar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nishing board ar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in terms of strength. A synergistic effect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는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축 외장공사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시중에서 사용하는 기준의 공사보다 시공이 빠르고 용이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 Such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yclable and can be applied to a building exterior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is faster and easier than the standard construction used in the market to reduce costs and easy to maintain and repair.

국내시장에는 아직도 노후 건물이 많아 리모델링 시장의 수요가 많으며 환경적으로도 리모델링의 인식이 늘어나고 있고, 신규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향후 이용가능성은 많다.There are still many old buildings in the domestic market, so there is a great demand in the remodeling market, and the awareness of remodeling is increasing in the environment.

또한, 인테리어 분야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실내 공간 어느 곳에서나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간 절약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하여 변화를 손쉽게 줄 수 있으며 마감재 보드 등의 일부가 손상이 있더라도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고, 퀄리티가 높아 사용자의 만족도를 놓이며, 장소 이전으로 철거 시라도 철거가 용이하여 부담스럽지 않으며 산업쓰레기가 발생하지 않아 깨끗한 원상복구가 가능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In addition, it can be recycled in the interior area, so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ywhere in the interior space, saving time and reducing costs, and easy to maintain and manage, making changes easier, even if some of the finishing boards are damaged. Partial replacement is possible, high quality puts user's satisfaction, and even when dismantling to a place, it is easy to dismantle and it is not burdensome.

또한, 현재 전시장 환경은 일회성인 목공 부스 구조와 재활용 부스의 비율이 7:3 정도이며 환경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일회성보다는 친환경적인 재활용을 사용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나 각 산하단체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재활용을 시도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날로 재활용 비율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전국에 위치하고 있는 전시장에서 수많은 전시행사에 활용될 경우 본 발명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높다고 하겠다. In addition, the exhibition environment has a ratio of one-time woodworking booth structure and recycling booth ratio of 7: 3, and environmentally and policy-friendly policies are being used rather than one-time recycling, and the government and its affiliates recognize the importance. The recycling rate is increasing and the environment is inevitably increased. Therefore, when used in numerous exhibition events in exhibition halls located throughout the country,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마감재 보드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nish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조립단계를 도시한 조립공정도,4A to 4C are assembly process diagrams illustrating the assembling step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5a to 5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라운드 벽체를 이루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forming a round wall as another embodiment of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간판 거치대가 설치된 정면도 및 측면도,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with a sign holder is install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축 및 인테리어 벽면을 이루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constituting the building and interior wall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둥근 형태의 건물기둥에 조립된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9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ssembled to a building pillar of a round shap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도 10b는 사각 형태의 건물기둥에 조립된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10a to 10b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assembled to a building pillar of a square shape,

도 11은 파티션 구조로 설치되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installed in a partition structure,

도 12는 양단에 몰딩부가 설치되는 건축자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material assembly in which molding parts are installed at both ends;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몰딩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13A to 1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a m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상단 고정철물 및 하단 고정철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fixing hardware and the lower fixing hard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건축자재 어셈블리 110 : 기둥100: building material assembly 110: pillar

120 : 보 121 : 가로빔120: beam 121: horizontal beam

122 : 상단 플렌지 123 : 하단 플렌지122: upper flange 123: lower flange

130 : 마감재 보드 131 : 상단 고정철물130: finish board 131: top fixing hardware

132 : 하단 고정철물 140 : 걸레받이132: lower fixing hardware 140: mop

Claims (19)

삭제delete 일측이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기둥;A pilla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n open side at one side and having an opened portion facing each other; 'H'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의 개구된 부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두 개의 기둥을 연결지지하도록 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보;A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H',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pillar to support two pillars,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보와 보 사이에 설치되며,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단면형상으로서 상부의 보에 고정되는 상단 고정철물과, 하방이 개구된 '┌┐'형태의 단면형상으로서 하부의 보에 고정되는 하단 고정철물이 내측에 구비되는 마감재 보드;로 이루어지며, It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has a cross section shape of '└┘' shape with an upper opening, and a top fixed hardware fixed to the upper beam, and a cross section shape of '┌┐' shape with a downward opening. The bottom of the fixing steel which is fixed to the beam of the finishing material board is provided; 상기 마감재 보드는 소정 길이의 유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The finish boar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play of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상단 고정철물을 상부의 보에 먼저 끼운 후 상기 하단 고정철물을 하부의 보에 고정시킴으로써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Recycling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easy to install,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the upper fastening to the upper beam first and then fixing the lower fastening to the lower beam.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보는 가로빔을 중심으로 상단의 플렌지가 하단의 플렌지 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The upper flange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lower flang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eam, 상기 하단 고정철물은 상기 마감재 보드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의 길이가 고정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The lower fixed hardware is a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easy to re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free end is not fixed to the finish board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ed e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단 고정철물은 상기 마감재 보드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The upper fixing iron is further formed with an extensio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free end is not fixed to the finisher board,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보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The extension part is easy to recycle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to be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ans from the bea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둥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molding part fixed to the pillar by a fixing means, 상기 몰딩부의 내부에는 조명등이 설치되고, 몰딩부의 외면에는 상기 조명등에서 방출하는 빛이 투과하도록 광투과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An illumination lamp is installed inside the molding part, and a light transmit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part so as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am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보의 가로바 하측에 광원을 설치하고, 보의 하단 플렌지에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자재 어셈블리.A light source i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bar of the beam, and a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flange of the beam so tha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can pass. 삭제delete
KR1020090036188A 2009-04-24 2009-04-24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KR100922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188A KR100922229B1 (en) 2009-04-24 2009-04-24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188A KR100922229B1 (en) 2009-04-24 2009-04-24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921A Division KR100976431B1 (en) 2009-08-19 2009-08-19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229B1 true KR100922229B1 (en) 2009-10-20

Family

ID=4156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188A KR100922229B1 (en) 2009-04-24 2009-04-24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22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634A (en) * 2016-03-16 2016-06-01 唐进丰 Light connection joint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wallboard side frames
CN112832406A (en) * 2021-01-06 2021-05-25 重庆心乐璟科技有限公司 Assembled wall body and beam column and nested structure thereof
CN113027003A (en) * 2021-03-10 2021-06-25 朱翠华 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light porous partition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258Y1 (en) * 1997-04-10 2000-03-02 김용운 Sectional partition
KR200271969Y1 (en) * 2001-12-11 2002-04-13 윤종훈 assembling structure of a partition
JP2003193594A (en) * 2001-12-28 2003-07-09 Lion Office Products Corp Panel board fixture for partition panel and partition panel using it
KR20080074297A (en) * 2007-02-08 2008-08-13 광건티앤씨(주) Wash board for part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258Y1 (en) * 1997-04-10 2000-03-02 김용운 Sectional partition
KR200271969Y1 (en) * 2001-12-11 2002-04-13 윤종훈 assembling structure of a partition
JP2003193594A (en) * 2001-12-28 2003-07-09 Lion Office Products Corp Panel board fixture for partition panel and partition panel using it
KR20080074297A (en) * 2007-02-08 2008-08-13 광건티앤씨(주) Wash board for parti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634A (en) * 2016-03-16 2016-06-01 唐进丰 Light connection joint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wallboard side frames
CN105625634B (en) * 2016-03-16 2017-12-15 唐进丰 A kind of jointing and attachment structure of Light trabses frame
CN112832406A (en) * 2021-01-06 2021-05-25 重庆心乐璟科技有限公司 Assembled wall body and beam column and nested structure thereof
CN112832406B (en) * 2021-01-06 2022-08-19 浙江碳银互联网科技有限公司 Sleeving structure of assembled wall body and beam column
CN113027003A (en) * 2021-03-10 2021-06-25 朱翠华 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light porous partition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210177866U (en) Wall keel
WO2016101414A1 (en) Fence device capable of being quick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KR100922229B1 (en)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CN104727514A (en) Wooden facing hanging plate wall body
CN200992781Y (en) Indoor decorative column or beam
KR100976431B1 (en) Prefabricated building materials assembly with recycling function
KR101011782B1 (en) A aluminum plus molding and that of construction method
CN107268849A (en) Modularization environment protection wall board wall surface decoration system
CN207419804U (en) A kind of detachable floor support plate for building of module
KR20100104765A (en) A prefabbing shielding wall
KR20110133877A (en) A prefabricated partition
KR102485937B1 (en) Slab-connected partition wall of upper reinforcement structure
CN101158196A (en) Suspended ceiling structure for mobile house
KR100363524B1 (en)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CN211369337U (en) Aluminum alloy wall body and aluminum alloy building decoration structure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10622476U (en) Assembled fender
KR20110005685U (en) structure of fence handrail and window
CN217353128U (en) Self-adjusting ceiling system
KR200291526Y1 (en) The panel for concrete form
CN208455937U (en) A kind of metal wallboard
CN216157002U (en) Hanging plate wall based on travelling frame
CN216142311U (en) Hanging plate wall
KR200438491Y1 (en) A light box structure for decorating ceiling
CN217480567U (en) Interlocking suspended ce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