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223B1 -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223B1
KR100922223B1 KR1020080117232A KR20080117232A KR100922223B1 KR 100922223 B1 KR100922223 B1 KR 100922223B1 KR 1020080117232 A KR1020080117232 A KR 1020080117232A KR 20080117232 A KR20080117232 A KR 20080117232A KR 100922223 B1 KR100922223 B1 KR 10092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asing
color
light source
fib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천수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정천수
홍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천수, 홍성민 filed Critical 정천수
Priority to KR102008011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out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섬유다발(60)의 광섬유(62)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각각의 광섬유를 수중에서 부상시키도록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며 식물모양을 포함한 임의의 모양을 표현한 부력원반(65)이 설치되거나. 부력 패널(80) 상에서 광섬유다발(60)의 광섬유(62) 각각의 타단에 상기 각각의 광섬유를 수중에서 부상시키도록 광섬유(62)를 수납하는 관 형상을 가진 플로우팅튜브(66)와, 상기 플로우팅튜브(66)의 개방된 상단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우팅 튜브의 상단에 빛의 굴절을 위한 공기를 유입할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플로우팅튜브(66)의 상단에 결합된 방수튜브(67)가 설치되어서,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로부터 발산되는 3원색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고, 식물 모양을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빛을 수면 위에 연출할 수 있다.
광섬유, 조경, LED, 광원, 리플렉터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A light device supplying full-color using optical fiber}
본 발명은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부피가 작으면서도 다양한 색상의 빛을 외부로 표현할 수 있는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중심부에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 부분에 굴절률이 낮은 유리가 사용되어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한 광학적 섬유이다. 전반사란 광학적으로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빛이 진행할 때, 특정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으로 소한 매질을 향하여 입사한 빛이 굴절하지 않고 100% 반사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광섬유는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때 손실률을 낮추는 것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도 있으나, 주로 투명도가 좋은 유리로 만들어진다. 그 구조는 보통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부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 피복을 1∼2차례 입힌다. 보호피복을 제외한 전체 크기는 지름 백∼수백μm(1μm은 1/1000mm)로 되고, 코어 부분의 굴절률이 클래딩의 굴절률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빛이 코어 부분에 집속되어 잘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섬유는 갖고 있는 많은 장점 때문에 전기, 전자, 통신분야, 의료분야, 광학분야 등에 널리 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의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의 빛의 전도가 가능하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장식용으로도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조경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광섬유를 조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빛을 발산하기 위한 광원장치가 있어야만 하고, 상기 광원장치에 광섬유를 연결하여 광원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이 광섬유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으로 전도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다양한 색상의 빛을 구현할 수 있도록 칼라를 변환시켜주는 추가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광원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종류 색상의 빛만을 일방향으로 발산하는 램프(1)와, 상기 램프(1)의 주변을 회전하고 다양한 색상의 칼라스티커(2a)가 부착되어 램프(1)로부터 발산되는 단색광을 다양한 칼라의 빛으로 변환시키는 칼라필터(2)와, 상기 칼라필터(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와, 상기 램프(1)와 칼라필터(2) 및 회전모터(3)를 수납하는 케이스(4)와, 상기 케이스(4)에 연결되어 칼라필터(2)를 통과한 특정색상 의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섬유다발(5)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경용 광원장치는 상호 연결되어야만 다양한 색상의 빛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모터와 램프 및 칼라필터가 필수적이고, 따라서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는 그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모터 및 램프와 같은 기구들은 많은 전력을 사용하므로 소비전력을 상승시켜 조경유지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의 끝단에 부력원반이 설치되거나, 부력패널의 플로우팅튜브의 상단에 방수튜브가 결합되어서,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로부터 발산되는 3원색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고, 식물 모양을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빛을 수면 위에 연출할 수 있는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러필터 및 회전모터와 같은 기계식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그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램프 대신 LED를 사용하여 소비전력을 낮춤으로써 조경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는 광섬유다발을 통하여 발산되는 다양한 빛의 색상과 발산형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컨트롤러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몰딩처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표현 형태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각각의 LED를 작동시키는 칼라변환기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칼라변환수단과; 하면에 방열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칼라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가 원형으로 배치된 중앙에 백색LED가 설치되어, 칼라변환기의 동작에 따라 특정색상을 발산하는 LED광원부와; 상기 LED광원부가 하측에 삽입되어 LED광원부로부터 발산된 빛을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리플렉터와; 일단이 상기 리플렉터에 끼움되어 안내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섬유다발과; 상기 광섬유다발을 상기 리플렉터 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광섬유다발이 삽입되는 소켓과; 상기 광섬유다발 상에 설치되어 광섬유다발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전후면 상단에 각각 요홈부와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전후면 하단에 상기 케이싱의 요홈부 및 돌기부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부 및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다발의 광섬유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각각의 광섬유를 수중에서 부상시키도록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며 식물모양을 포함한 임의의 모양을 표현한 부력원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는 광섬유다발을 통하여 발산되는 다양한 빛의 색상과 발산형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컨트롤러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몰딩처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표현 형태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각각의 LED를 작동시키는 칼라변환기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칼라변환수단과; 하면에 방열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칼라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가 원형으로 배치된 중앙에 백색LED가 설치되어, 칼라변환기의 동작에 따라 특정색상을 발산하는 LED광원부와; 상기 LED광원부가 하측에 삽입되어 LED광원부로부터 발산된 빛을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섬유다발을 상기 리플렉터 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광섬유다발이 삽입되는 소켓과; 일단이 상기 리플렉터에 끼움되어 안내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섬유다발과; 상기 광섬유다발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광섬유다발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칼라변환수단의 케이싱은 전후면 상단에 각각 요홈부와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전후면 하단에 상기 케이싱의 요홈부 및 돌기부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부 및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 패널에는 상기 광섬유다발의 광섬유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각각의 광섬유를 수중에서 부상시키도록 광섬유를 수납하는 관 형상을 가진 플로우팅튜브와, 상기 플로우팅튜브의 개방된 상단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우팅 튜브의 상단에 빛의 굴절을 위한 공기를 유입할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플로우팅튜브의 상단에 결합된 방수튜브가 설치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LED광원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방열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의 집속관과; 상기 집속관의 내주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제1테이퍼면과; 상기 제1테이퍼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제2테이퍼면;으로 구성되고,
삭제
상기 광섬유다발은 상기 리플렉터의 집속관에 끼움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일단이 끼움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광섬유와;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 중 일정 개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광섬유홀더;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는 광섬유의 끝단에 부력원반이 설치되거나, 부력패널의 플로우팅튜브의 상단에 방수튜브가 결합되어서,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로부터 발산되는 3원색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고, 식물 모양을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빛을 수면 위에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로부터 발산되는 3원색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함으로써, 종래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컬러필터나 이 컬러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낮춤으로써 조경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 외에 백색LED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로부터 발산되는 원색의 빛을 부드럽게 중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플렉터에 제1테이퍼면이 구비되어, LED로부터 발산된 각각의 원색광들이 제1테이퍼면에 부딪혀 혼합되므로 좀 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를 일정 개수씩 고정시키는 광섬유홀더가 설치되므로, 굵기가 얇은 광섬유가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섬유끼리 서로 마찰을 일으켜 그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칼라변환기가 케이싱 내부에 몰딩처리되어 물이 칼라변환기에 합선을 유발할 염려가 없고, 부력패널이 광섬유다발에 설치되므로 광섬유가 수중에서 빛을 발산하고 이 빛은 물에 반사되어 공기중으로 발산되므로, 은은한 수중조경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LED광원부와 리플렉터 및 광섬유다발의 연결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 치의 LED광원부와 리플렉터 및 광섬유다발의 연결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수중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는 파워서플라이(10)와, 컨트롤러(20)와, 칼라변환수단(30)과, LED광원부(40)와, 리플렉터(50)와, 광섬유다발(60) 및 부력패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10)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서 상기 컨트롤러(20)와 칼라변환기(32) 및 LED광원부(4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파워서플라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파워서플라이(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컨트롤러(20)에는 상기 광섬유다발(60)을 통하여 발산될 수 있는 빛의 색상이나 발산형태를 다양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LED에서만 빛이 방출되도록 하여 단색광만을 광섬유다발(60)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시키거나, 한 가지 색상의 단색광이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쩍거리거나, 일정 블록의 빛이 좌우에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흘러가거나, 특정 색상의 빛이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누적되면서 흘러가거나, 광섬유다발(60) 전체를 한 단위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빛의 색상이 변화되거나, 다양한 색상의 빛이 연속적으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흘러가거나,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바뀌어 가면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흘러가게 하는 등 여러 가지 모드의 빛의 표현 형태를 사전에 컨트롤러(20)에 프로그램으로 입력시킨 다.
상기 칼라변환수단(30)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칼라변환기(32)와, 상기 케이싱(31)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는 덮개(33)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31)은 물속에 설치되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이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고, 전후면 상단에 각각 요홈부(31a)와 돌기부(31b)가 형성된다.
상기 칼라변환기(32)는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 몰딩처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이러한 칼라변환기(32)는 많은 전기회로들이 집적되어 있고 수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몰딩처리를 하지 않으면 물에 의하여 합선이 되므로 몰딩처리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칼라변환기(32)는 사용자가 컨트롤러(20)에 입력된 특정모드의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면 칼라변환기(32)는 상기의 예와 같은 다양한 표현 형태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각각의 LED를 작동시킨다.
상기 덮개(33)는 케이싱(31) 내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케이싱(31)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전후면 하단에 상기 케이싱(31)의 요홈부(31a) 및 돌기부(31b)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부(33a) 및 요홈부(33b)가 형성된다. 즉, 덮개(33)에 형성된 돌기부(33a)는 케이싱(31)에 형성된 요홈부(31a)에 끼움되고, 덮개(33)에 형성된 요홈부(33b)에는 케이싱(31)에 형성된 돌기부(33b)가 끼움되어 물이 케이싱(3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LED광원부(40)는 상기 칼라변환수단(30)의 덮개(33) 상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칼라변환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에는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가 원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그 중앙에는 백색LED가 배치된다. 이러한 LED광원부(40)는 칼라변환기(32)에 동작에 따라 특정색상을 발산한다. 즉, 칼라변환기(32)가 컨트롤러(2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LED광원부(40)에 설치된 각각의 LED를 작동시키면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빛을 발산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광원부(40)는 얇은 평판형태로 제조된 SMD 타입의 LED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LED광원부(40)의 하면, 즉 상기 칼라변환수단(30)의 상면에는 방열판(70)이 밀착되게 설치된다. LED광원부(40)는 발광과정에서 열을 발산하기 때문에 신속한 열의 제거를 위해서 방열판(70)을 설치한다. 상기 방열판(70)은 LED광원부(40)보다 더 넓은 평판형태로 제조하고 그 중심부에 LED광원부(40)를 설치하여 LED광원부(40)로부터 발생된 열의 발산을 좀 더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방열판(70)에 의하여 열이 발산되기도 하지만 칼라변환수단(30)의 덮개(33)도 방열판(70)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LED광원부(40)의 발광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리플렉터(50)는 상기 LED광원부(40)가 하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방열판(70)의 상면에 설치되어 LED광원부(40)로부터 발산된 빛을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리플렉터(50)는 상기 방열판(70)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에 일체로 연결된 집속관(52)과, 상기 집속관(5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테이퍼면(53)과, 상기 집속관(52)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테이퍼면(53)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테이퍼면(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51)는 상하단이 개방되고 높이가 낮은 환형(環形)으로 형성되며 상기 LED광원부(40)를 둘러싼다. 따라서, LED광원부(40)에 배치된 적색LED와 녹색LED와 청색LED 및 백색LED는 안착부(51)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집속관(52)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안착부(51)의 내주면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리플렉터(50)가 설치되었을 때 집속관(52)은 그 하단이 LED광원부(40)와 방열판(70)에 의하여 폐쇄되고 상단은 개방된다.
상기 제1테이퍼면(53)은 상기 집속관(52)의 내주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제1테이퍼면(53)은 하단이 상기 LED광원부(40)의 테두리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LED광원부(40)에 배치된 각각의 LED로부터 발산된 단색광들은 제1테이퍼면(53)에 부딪히면서 상기 집속관의 개방된 상단을 향하여 직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단색광들이 제1테이퍼면(53)에 부딪히면서 각각의 단색광들이 혼합되어 좀 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테이퍼면(54)은 상기 제1테이퍼면(53)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광섬유다발(60)은 상기 리플렉터(50)에 끼움되어 안내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광섬유다발(60)은 소켓(61)과, 복수개의 광섬유(62)와, 광섬유홀더(63)와, 수축튜브(64)와, 부력원반(65)과, 플로우팅튜브(66) 및 방수튜브(67)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61)은 상기 리플렉터(50)의 집속관(52)에 끼움되는 것으로 외주면 직경을 상기 집속관(52)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시켜, 집속관(52)에 소켓을 안정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소켓(61)의 외주면에 나선을 형성시키고 집속관(52)의 내주면에 나선을 형성시켜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소켓(61)이 집속관(52)으로부터 그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62)는 전반사원리를 이용하여 LED광원부(40)로부터 발산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소켓(61)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광섬유홀더(63)는 복수개의 광섬유(62) 중 일정 개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광섬유(6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광섬유는 다시 복수개의 광섬유홀더(63)에 의하여 각각 홀딩된다. 이렇게 광섬유홀더(63)를 설치하는 이유는 광섬유(62)의 굵기가 매우 얇아서 운반이나 사용 중에 서로 꼬이기 때문이다. 꼬이기 시작한 광섬유(62)는 서로 간에 마찰이 증가하여 그 표면이 훼손되는데, 바로 이러한 광섬유(62)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수축튜브(64)는 상기 소켓(61)과 광섬유(6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광섬유(62)를 원형으로 밀집되게 배치하고 그 외면을 강하게 압박하여 원 형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수축튜브(64)를 소켓(61)과 광섬유(62) 사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원형을 유지하는 수단이 끝나는 것은 아니고, 광섬유(62)와 수축튜브(64) 간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소켓(61)과 수축튜브(64) 간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광섬유(62)의 배치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광섬유가 소켓(6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력원반(65)은 상기 광섬유다발(60)의 광섬유(62)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광섬유(62)를 수중에서 부상시킨다. 즉, 광섬유(62)는 물보다 밀도가 높아서 물속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수면 가까운 곳의 수중에서 빛을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광섬유(62)를 물속으로 가라앉거나 물 표면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력원반(65)이 필요하다. 이 부력원반(65)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광섬유(62) 각각의 끝단을 연결하면 빛을 다양한 형태로 발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섬유(62)를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서 연꽃모양이라든지 나무모양과 같은 식물 모양을 포함한 임의의 모양 혹은 형태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팅튜브(66)는 상기 광섬유다발(60)의 광섬유(62) 타단에 접착제에 의하여 설치되어 상기 부력원반(65)과 마찬가지로 광섬유(62)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광섬유(62)가 수면 내의 일정한 깊이에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플로우팅튜브(66)는 복수개의 광섬유(62)를 수납하는 관 형태로 제조하고, 이것은 상기 부력패널(80)에 끼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로우팅튜브(66)와 부력원반(65)은 반드시 같이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플로우팅튜브(66)만을 광섬유에 설치할 수도 있고, 부력원반(65)만을 광섬유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플로우팅튜브(66)와 부력원반(65)을 혼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우팅튜브(66)의 상단에는 상단이 밀폐된 방수튜브(67)가 더 설치된다. 이 방수튜브(67)는 플로우팅튜브(66)의 개방된 상단에 접착제로 견고하게 밀착되게 설치되어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방수튜브(67)는 플로우팅튜브(66)에 설치할 때 그 상단을 기 플로우팅튜브(66)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방수튜브(67) 내부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광섬유(62)에서 발산되는 빛이 공기에 의하여 굴절을 하여 다양한 색상의 아름다운 빛이 물결과 어울린다.
상기 부력패널(80)은 상기 플로우팅튜브(66) 또는 상기 광섬유홀더(63)가 끼움되고, 상기 광섬유(62)가 수면 아래 일정 깊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반잠수형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물과 비슷한 밀도의 재질로 제작하여 물 속 일정깊이에 부력패널(80)을 설치하였을 때 설치깊이를 그대로 유지한 채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수면 위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풀컬러 광원장치의 모습을 보인 일부절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LED광원부와 리플렉터 및 광섬유다발의 연결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LED광원부와 리플렉터 및 광섬유다발의 연결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수중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파워서플라이 20: 컨트롤러
30: 칼라변환기 40: LED광원부
50: 리플렉터 60: 광섬유다발
70: 방열판

Claims (8)

  1. 광섬유다발(60)을 통하여 발산되는 다양한 빛의 색상과 발산형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컨트롤러(20)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 내부에 몰딩처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표현 형태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각각의 LED를 작동시키는 칼라변환기(32) 및 상기 케이싱(31)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33)로 이루어진 칼라변환수단(30)과;
    하면에 방열판(70)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33)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칼라변환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가 원형으로 배치된 중앙에 백색LED가 설치되어, 칼라변환기(32)의 동작에 따라 특정색상을 발산하는 LED광원부(40)와;
    상기 LED광원부(40)가 하측에 삽입되어 LED광원부(40)로부터 발산된 빛을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리플렉터(50)와;
    일단이 상기 리플렉터(50)에 끼움되어 안내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섬유다발(60)과;
    상기 광섬유다발(60)을 상기 리플렉터(50) 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광섬유다발(60)이 삽입되는 소켓(61)과;
    상기 광섬유다발(60)상에 설치되어 광섬유다발(6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패널(8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31)은 전후면 상단에 상기 케이싱 내부를 방수시키도록 각각 요홈부(31a)와 돌기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33)는 전후면 하단에 상기 케이싱 내부를 방수시키도록 상기 케이싱(31)의 요홈부(31a) 및 돌기부(31b)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부(33a) 및 요홈부(33b)가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다발(60)의 광섬유(62)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각각의 광섬유를 수중에서 부상시키도록 식물모양을 포함한 임의의 모양을 표현한 부력원반(6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광섬유다발(60)을 통하여 발산되는 다양한 빛의 색상과 발산형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컨트롤러(20)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 내부에 몰딩처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표현 형태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각각의 LED를 작동시키는 칼라변환기(32) 및 상기 케이싱(31)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33)로 이루어진 칼라변환수단(30)과;
    하면에 방열판(70)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33)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칼라변환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가 원형으로 배치된 중앙에 백색LED가 설치되어, 칼라변환기(32)의 동작에 따라 특정색상을 발산하는 LED광원부(40)와;
    상기 LED광원부(40)가 하측에 삽입되어 LED광원부(40)로부터 발산된 빛을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리플렉터(50)와;
    일단이 상기 리플렉터(50)에 끼움되어 안내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섬유다발(60)과;
    상기 광섬유다발(60)을 상기 리플렉터(50) 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광섬유다발(60)이 삽입되는 소켓(61)과;
    상기 광섬유다발(60)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광섬유다발(6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패널(80)로 구성되며,
    상기 칼라변환수단(30)의 케이싱(31)은 전후면 상단에 각각 요홈부(31a)와 돌기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33)는 전후면 하단에 상기 케이싱(31)의 요홈부(31a) 및 돌기부(31b)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부(33a) 및 요홈부(33b)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 패널(80)에는 상기 광섬유다발(60)의 광섬유(62)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각각의 광섬유를 수중에서 부상시키도록 광섬유(62)를 수납하는 관 형상을 가진 플로우팅튜브(66)와,
    상기 플로우팅튜브(66)의 개방된 상단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우팅 튜브의 상단에 빛의 굴절을 위한 공기를 유입할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플로우팅튜브(66)의 상단에 결합된 방수튜브(6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수중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KR1020080117232A 2008-11-25 2008-11-25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KR10092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232A KR100922223B1 (ko) 2008-11-25 2008-11-25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232A KR100922223B1 (ko) 2008-11-25 2008-11-25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223B1 true KR100922223B1 (ko) 2009-10-23

Family

ID=4156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232A KR100922223B1 (ko) 2008-11-25 2008-11-25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28B1 (ko) 2010-06-09 2010-09-10 (주)대신엘이디 광섬유를 이용한 경관조명용 led 조명등
KR101251925B1 (ko) * 2011-04-01 2013-04-08 정천수 장식바닥블록
KR20170093150A (ko) * 2014-12-02 2017-08-14 인뷰이티 인코퍼레이티드 광학 입력부를 조명 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405284A (zh) * 2023-12-15 2024-01-16 南京中鑫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套管注油孔堵头组件的压力预警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45Y1 (ko) * 2002-05-27 2002-09-05 정천수 광섬유용 풀컬러 광원장치
JP2004299207A (ja) * 2003-03-31 2004-10-28 Kukan Design Works:Kk 水中光飾装置
KR200416958Y1 (ko) * 2006-03-08 2006-05-23 김영포 분수대용 엘이디 수중 조명장치
KR100784352B1 (ko) * 2006-06-28 2007-12-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광섬유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45Y1 (ko) * 2002-05-27 2002-09-05 정천수 광섬유용 풀컬러 광원장치
JP2004299207A (ja) * 2003-03-31 2004-10-28 Kukan Design Works:Kk 水中光飾装置
KR200416958Y1 (ko) * 2006-03-08 2006-05-23 김영포 분수대용 엘이디 수중 조명장치
KR100784352B1 (ko) * 2006-06-28 2007-12-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광섬유 조명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28B1 (ko) 2010-06-09 2010-09-10 (주)대신엘이디 광섬유를 이용한 경관조명용 led 조명등
KR101251925B1 (ko) * 2011-04-01 2013-04-08 정천수 장식바닥블록
KR20170093150A (ko) * 2014-12-02 2017-08-14 인뷰이티 인코퍼레이티드 광학 입력부를 조명 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351004B2 (en) 2014-12-02 2022-06-07 Invu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optical input to an illumination device
KR102475203B1 (ko) * 2014-12-02 2022-12-07 인뷰이티 인코퍼레이티드 광학 입력부를 조명 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89947B2 (en) 2014-12-02 2023-02-28 Invu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optical input to an illumination device
US11819368B2 (en) 2014-12-02 2023-11-21 Invu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optical input to an illumination device
CN117405284A (zh) * 2023-12-15 2024-01-16 南京中鑫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套管注油孔堵头组件的压力预警方法及系统
CN117405284B (zh) * 2023-12-15 2024-03-01 南京中鑫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套管注油孔堵头组件的压力预警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236B2 (en) Underwater lamp
US9097824B2 (en) Light mixing module, and a luminaire comprising such a light mixing module
TWI662304B (zh) 用於固化光纖之合成橢圓反射器
US20130083555A1 (en) Lightung module and illuminant decice having the same
KR101440476B1 (ko) 광학소자 및 상기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발광장치
KR100922223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조경용 풀컬러 광원장치
US11815257B1 (en) Underwater lights with port windows including lens features for providing tailored output beams
KR20140097346A (ko) 필라멘트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led 램프 상의 측면 발광 가이드파이프 기술
US20140355292A1 (en) Fiber Optic Filament Lamp
KR100784352B1 (ko) 광섬유 조명장치
KR20120027047A (ko) 효율적인 광 방출 디바이스 및 그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US7837345B2 (en) Aquat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298576B1 (ko) 광반사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EP2863118B1 (en) Lighting apparatus
US855649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quantum dot lighting solutions
CN107110478B (zh) 具有3d散射元件和带有凸形输出表面的光学提取器的照明装置
US9897281B2 (en) Optical module and light source
KR101131462B1 (ko) 광섬유와 발광다이오드 기반 장식타일
EP2980472A1 (en) A ligh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15022975A (ja) 水中照明装置
TW201533378A (zh) 燈管裝置
KR20120122168A (ko) 조명 모듈
KR101827709B1 (ko) 조명 모듈
US20220162541A1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photosynthetic organism-growing medium
KR101270212B1 (ko) 반사면 높이가 낮은 엘이디 조명렌즈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