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80B1 -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80B1
KR100921280B1 KR1020080087373A KR20080087373A KR100921280B1 KR 100921280 B1 KR100921280 B1 KR 100921280B1 KR 1020080087373 A KR1020080087373 A KR 1020080087373A KR 20080087373 A KR20080087373 A KR 20080087373A KR 100921280 B1 KR100921280 B1 KR 10092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hamber
push rod
sensor
brak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00)가 마련된 브레이크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를 두부분으로 나누는 격벽(500)과; 상기 격벽(500)을 상기 공기유입구(400)가 위치된 챔버(100) 부분으로 밀도록 복원탄성체(300)에 의하여 지지되는 푸시로드(200)와;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를 관통하는 관통공 둘레에 마련된 감지센서(610)와; 상기 푸시로드(200)에 마련된 제 1 저항값을 가진 제 1 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공기유입구(400)로 압축공기가 유입됨에 따라서 격벽(500)과 푸시로드(200)가 이동되고,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의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610)가 제 1 부재(6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에 이상 유무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브레이크 오작동 시에 나타나는 제동거리 증대로 인한 사고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Description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Brake Chamber And Disorder Detecting Device For Brake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공압식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력이 우수하고 고장이 적으며 취급이 간편한 공압식 브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압식 브레이크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챔버가 고장인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공압식 브레이크 챔버(10)에는 상기 챔버(10)를 관통하는 푸시로드(20)와, 상기 푸시로드(20)를 챔버(10) 내에서 이동시키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0)와, 상기 공기유입구(4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푸시로드(20)(Push Rod)와 함께 이동되는 격막(50)(diaphragm)과, 상기 이동된 푸시로드(20)와 격막(5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탄성체(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20)에는 경고표식(60)이 마련되어 브레이크 챔버(10)의 고장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 공압식 브레이크 챔버(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대형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과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도 1의 (b)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40)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챔버(10)와 격막(50) 사이로 유입되기 시작하여 챔버(10)와 격막(50) 사이를 벌리다가 도 1의 (c)와 같은 위치가 되면 유입을 멈춘다.
그리고 브레이크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푸시로드(20)의 이동거리(Stroke)가 커지면 챔버(10) 성능이 떨어져 제동거리가 멀어질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경고표식(60)은 도 2와 같이 압축공기가 푸시로드(20)를 정상범위 이상 밀 경우에 챔버(10) 외부로 노출되어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시스템상에 문제가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기적으로 상기 경고표식(60)을 확인하여 브레이크 시스템 상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운전자가 정기적으로 상기 경고표식(60)의 노출여부 등을 확인하지 않는다면 브레이크 시스템에 고장이 있더라도 계속적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어 제동시 제동거리가 길어져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중 상기 복원탄성체(30)가 부러지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놓아도 푸시로드(20)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게 되어 제동이 해제되지 않고, 이 상태에서 계속 차량을 운행한다면 브레이크 마찰열로 인해 주위의 온도가 높아져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타이어가 열로 파손된다.
한편, 상기 챔버(10)는 차량 아래 부분에 놓여있기 때문에 진흙 및 먼지로 오염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브레이크 시스템 상에 문제가 있어 상기 경고표식(60)이 챔버(10) 밖으로 돌출되어도 그 부분을 청소하기 전까지는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브레이크 시스템 상에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 하부에 있는 챔버(10)의 푸시로드(20)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해야 함으로 시간적으로 낭비가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 챔버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챔버의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00)가 마련된 브레이크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를 두부분으로 나누는 격벽(500)과;
상기 격벽(500)을 상기 공기유입구(400)가 위치된 챔버(100) 부분으로 밀도록 복원탄성체(300)에 의하여 지지되는 푸시로드(200)와;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를 관통하는 관통공 둘레에 마련된 감지센서(610)와;
상기 푸시로드(200)에 마련된 제 1 저항값을 가진 제 1 부재(6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공기유입구(400)로 압축공기가 유입됨에 따라서 격벽(500)과 푸시로드(200)가 이동되고,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의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610)가 제 1 부재(6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200)에는 푸시로드(200)의 종방향으로 상기 제 1 부재(620)에 이격되어 제 2 저항값을 가진 제 2 부재(630)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부재(620)와 제 2 부재(630) 사이에는 부도체인 이격부재(64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610)에는 상기 푸시로드(200) 방향으로 접촉부(614)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부재(620)에는 상기 접촉부(614)가 접하도록 오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챔버 장치의 감지센서(610)와 연결된 전자제어유닛(740)과;
상기 전자제어유닛(740)과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710)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페달압력센서(720);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740)과 연결된 경고램프(7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740)은 상기 페달압력센서(720)와 감지센서(610)에서 각각 전달된 정보를 비교하여 경고램프(750)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에 이상 유무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브레이크 오작동 시에 나타나는 제동거리 증대로 인한 사고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 및 승객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발생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중 회복력 상실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화재 및 타이어 열 파손을 사전에 정비를 통해 막을 수 있고, 브레이크 시스템 내부에 발생된 문제를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챔버 등의 각 부품 마모 및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가 있어 차량 유지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전자 및 정비사가 직접 육안으로 직접 브레이크 시스템 이상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정비시간을 최소화하여 정비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를 나타내는 간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챔버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는 공압식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101)와, 상기 브레이크 챔버 장치(101)의 감지센서(610)와 연결된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740)과, 상기 전자제어유닛(740)과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710)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페달압력센서(720)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740)과 연결된 경고램프(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페달(710)에는 에어탱크(700)와 연결밸브(730)가 연결되는데, 상기 에어탱크(700)에는 압축공기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밸브(730)는 페달(710) 작동시에 에어탱크(700)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챔버(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740)은 상기 페달압력센서(720)와 챔버 장치(101)의 감지센서(610)에서 각각 전달된 정보를 비교하여 경고램프(750)를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챔버 장치(101)는 공압식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에 마련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00)와, 상기 챔버(100)를 두부분으로 나누는 격벽(500)과, 상기 격벽(500)을 상기 공기유입구(400)가 위치된 챔버(100) 부분으로 밀도록 복원탄성체(300)에 의하여 지지되는 푸시로드(200)와,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를 관통하는 관통공 둘레에 마련된 감지센서(610)와, 상기 푸시로드(200)에 마련된 제 1 저항값을 가진 제 1 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원탄성체(300)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200)에는 푸시로드(200)의 종방향으로 원통형상인 상기 제 1 부재(620)에 이격되어 제 2 저항값을 가진 원통형상인 제 2 부재(630)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부재(620)와 제 2 부재(630) 사이에는 부도체인 링형상의 이격부재(640)가 제 1 부재(620)와 제 2 부재(630)를 이격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챔버(100)에 장착된 상기 감지센서(610)는 몸체(612)와, 상기 몸체(612)에 부착되어 상기 푸시로드(200) 방향으로 꺾여진 전기가 잘 통하는 2개의 접촉부(6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620)와 제 2 부재(630)에는 상기 접촉부(614)가 접하도록 각각 오목부가 마련되는데, 제 1 부재(620)에 마련된 제 1 오목부(622)와 제 2 부재(630)에 마련된 제 2 오목부(632)는 각각 푸시로드(200)의 장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상이고 전기가 통하는 상기 접촉부(614)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부재(620)와 제 2 부재(630)로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부재(620)의 제 1 저항값과 제 2 부재(630)의 제 2 저항값은 서로 상이하고, 제 1 부재(620)는 상기 접촉부(614)에서 통상 6mm 떨어진 위치에서 63mm 떨어진 위치까지 마련되고, 제 2 부재(630)는 상기 접촉부(614)에서 통상 63mm 떨어진 위치 이후에 마련된다.
한편, 푸시로드(200)(Push Rod)의 스트로크(Stroke)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L구간은 푸리스트로크(Free Stroke) 구간으로 상기 접촉부(614)에서 통상 6mm이하의 거리이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진동에 의해 푸시로드(200)가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스트로크로 이때는 상기 감지센서(610)의 접촉부(614)가 제 1 부재(620) 및 제 2 부재(630)와 접촉이 안 되므로 전기가 흐르지 않아 저항값은 무한대가 된다.
그리고 M구간은 정상상태 스트로크(Normal Stroke) 구간으로 상기 접촉부(614)에서 통상 6mm초과 63mm 이하의 거리이며, 브레이크 시스템이 문제가 없을 때 푸시로드(200)가 움직일 수 있는 구간으로 감지센서(610)의 접촉부(614)가 제 1 부재(620)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가 흐르고 제 1 저항값이 전자제어유닛(740)에 전달된다.
N구간은 오버 스트로크(Over Stroke) 구간으로 상기 접촉부(614)에서 통상 63mm 초과한 거리이며, 브레이크 시스템이 문제가 있을 때 푸시로드(200)가 움직일 수 있는 구간으로 감지센서(610)의 접촉부(614)가 제 2 부재(630)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가 흐르고 제 2 저항값이 전자제어유닛(740)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상기 브레이크 챔버 장치(101)는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공기유입구(400)로 압축공기가 유입됨에 따라서 격벽(500)과 푸시로드(200)가 이동되고,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의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610)의 접촉부(614)가 제 1 부재(620)의 제 1 오목부(622)와 제 2 부재(630)의 제 2 오목부(632)와 차례로 연결되게 작용된다.
이를 통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이 오작동 될 경우를 상황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오작동 경우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밟아도 제동이 되지 않거나 챔버(100)의 스트로크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6에서 제 1 단계(S100)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밟음 단계와, 제 2 단계(S200)인 공압을 감지하는 단계와, 제 3 단계(S300)인 챔버(100) 스트로크 감지 단계와, 제 4 단계(S400)인 에어압력이 0.3kgf/㎠ 이상인데 챔버(100) 스트로크가 6mm 초과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제 5 단계(S500)인 경고등 점등 단계와, 제 6 단계(S600)인 챔버(100) 스트로크가 63mm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 7 단계(S700)인 경고등 미점등 단계로 나타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740)에서는 상기 제 1 단계(S100)를 통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밟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단계(S200)를 통하여 페달압력센서(720)에서 공압을 감지하며, 제 3 단계(S300)를 통하여 챔버(100)에 마련된 감지센서(610)에서 전달되는 저항 정보를 통하여 챔버(100)의 스트로크를 감지하고, 제 4 단계(S400)를 통하여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측정된 공압인 에어압력이 0.3kgf/㎠ 이상인데 제 3 단계(S300)에서 측정된 챔버(100) 스트로크가 6mm를 초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5 단계(S500)가 진행되어 상기 경고램프(750)에서 경고등을 점등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을 알리게 된다.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제 5 단계(S500)로 진행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 원인은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새는 구멍(Leaking)이 발생되었거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 등의 고장의 경우이다.
이를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면 도 5의 (a)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데, 도 5의 (b) 상태로 진행되지 않고 도 5의 (a)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 제동이 안 되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측정된 공압인 에어압력이 0.3kgf/㎠ 이상인데 제 3 단계(S300)에서 측정된 챔버(100) 스트로크가 6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 6 단계(S600)인 챔버(100)의 스트로크가 63mm 이하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63mm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제 5 단계(S500)가 진행되어 경고등이 점등되고, 63mm 이하인 경우에는 정상상태이므로 제 7 단계(S700)인 경고등 미점등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 6 단계(S600)를 거쳐 제 5 단계(S500)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계속 반복되는 제동으로 브레이크 드럼이 과열되어 제동시에 변형이 심해지면서 챔버(100)의 스트로크가 길어져서 제대로 된 브레이크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를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면 브레이크 제동전인 도 5의 (a)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도 5의 (b)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푸시로드(200)와 연결된 브레이크 드럼의 과열로 푸시로드(200)의 스트로크가 커지게 되어 도 5의 (c) 상태까지 진행된 경우이고, 이때 상기 감지센서(610)의 접촉부(614)는 제 2 부재(630)의 제 2 오목부(632)와 접촉되어 제 2 저항값을 전자제어장치에 전달하여 챔버(100)의 스트로크가 63mm초과인 것을 알려준다.
한편, 두 번째 오작동의 경우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놓아도 제동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를 도 7에서 설명하면 제 1-1 단계(S11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놓음 단계이고, 제 2 단계(S200)는 공압을 감지하는 단계이며, 제 3 단계(S300)는 챔버(100)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단계이고, 제 4-1 단계(S410)는 에어압력이 0.3kgf/㎠ 이하인데 챔버(100) 스트로크가 6mm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이고, 제 5 단계(S500)는 경고등 점등 단계이며, 그리고 제 7-1 단계(S710)는 경고등 미점등 단계이다.
상기 전자제어유닛(740)에서는 상기 제 1-1 단계(S110)를 통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10)을 밟아 제동력을 가한 상태에서 다시 페달(710)을 놓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단계(S200)를 통하여 페달압력센서(720)에서 공압을 감지하며, 제 3 단계(S300)를 통하여 챔버(100)에 마련된 감지센서(610)에서 전달되는 저항 정보를 통하여 챔버(100)의 스트로크를 감지하고, 제 4-1 단계(S410)를 통하여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측정된 공압인 에어압력이 0.3kgf/㎠ 이하인데 제 3 단계(S300)에서 측정된 챔버(100) 스트로크가 6mm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제 5 단계(S500)가 진행되어 상기 경고램프(750)에서 경고등을 점등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을 알리게 된다.
상기 제 4-1 단계(S410)에서 제 5 단계(S500)로 진행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 원인은 챔버(100)의 복원탄성체(300)가 파괴되는 등의 고장의 경우이다.
이를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면 도 5의 (a)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도 5의 (b) 상태로 진행된 후에 브레이크 페달(710)은 놓았는데, 도 5의 (b) 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도 5의 (a) 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이다.
한편, 상기 제 4-1 단계(S410)에서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측정된 공압인 에어압력이 0.3kgf/㎠ 이하인데 제 3 단계(S300)에서 측정된 챔버(100) 스트로크가 6mm 이하인 경우에는 제 7-1 단계(S710)인 경고등 미점등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에 이상 유무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브레이크 오작동 시에 나타나는 제동거리 증대로 인한 사고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 및 승객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발생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중 회복력 상실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화재 및 타이어 열 파손을 사전에 정비를 통해 막을 수 있고, 브레이크 시스템 내부에 발생된 문제를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챔버(100) 등의 각 부품 마모 및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가 있어 차량 유지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전자 및 정비사가 직접 육안으로 직접 브레이크 시스템 이상 유무 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정비시간을 최소화하여 정비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압식 브레이크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챔버가 고장인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4는 도 3의 챔버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중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챔버 200: 푸시로드
300: 복원탄성체 400: 공기유입구
500: 격벽 610: 감지센서
700: 에어탱크 720: 페달압력센서
740: 전자제어유닛 750: 경고램프

Claims (6)

  1.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00)가 마련된 브레이크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를 두부분으로 나누는 격벽(500)과;
    상기 격벽(500)을 상기 공기유입구(400)가 위치된 챔버(100) 부분으로 밀도록 복원탄성체(300)에 의하여 지지되는 푸시로드(200)와;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를 관통하는 관통공 둘레에 마련된 감지센서(610)와;
    상기 푸시로드(200)에 마련된 제 1 저항값을 가진 제 1 부재(6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공기유입구(400)로 압축공기가 유입됨에 따라서 격벽(500)과 푸시로드(200)가 이동되고, 상기 푸시로드(200)가 챔버(100)의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610)가 제 1 부재(6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200)에는 푸시로드(200)의 종방향으로 상기 제 1 부재(620)에 이격되어 제 2 저항값을 가진 제 2 부재(6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620)와 제 2 부재(630) 사이에는 부도체인 이격부재(64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610)에는 상기 푸시로드(200) 방향으로 접촉부(61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620)에는 상기 접촉부(614)가 접하도록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
  6. 브레이크 챔버 장치(101)와;
    상기 브레이크 챔버 장치(101)의 감지센서(610)와 연결된 전자제어유닛(740)과;
    상기 전자제어유닛(740)과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710)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페달압력센서(720);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740)과 연결된 경고램프(7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740)은 상기 페달압력센서(720)와 감지센서(610)에서 각 각 전달된 정보를 비교하여 경고램프(750)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챔버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KR1020080087373A 2008-09-04 2008-09-04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KR10092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73A KR100921280B1 (ko) 2008-09-04 2008-09-04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73A KR100921280B1 (ko) 2008-09-04 2008-09-04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280B1 true KR100921280B1 (ko) 2009-10-09

Family

ID=4157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373A KR100921280B1 (ko) 2008-09-04 2008-09-04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30A (ko) * 2017-06-16 2018-12-28 자동차부품연구원 공압 브레이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검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880A (ja) 2000-02-24 2003-08-12 インディアン ヘッド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ク ブレーキ監視システム
JP2003535739A (ja) 2000-03-22 2003-12-02 インディアン ヘッド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ブレーキモニタ
JP2005255164A (ja) 1993-12-09 2005-09-22 Indian Head Industries Inc 高荷重電子式ブレーキストロークインジケータ
KR100525577B1 (ko) 1996-10-11 2006-06-08 인디안헤드 인더스트리즈 인 코포레이티드 브레이크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164A (ja) 1993-12-09 2005-09-22 Indian Head Industries Inc 高荷重電子式ブレーキストロークインジケータ
KR100525577B1 (ko) 1996-10-11 2006-06-08 인디안헤드 인더스트리즈 인 코포레이티드 브레이크모니터링시스템
JP2003523880A (ja) 2000-02-24 2003-08-12 インディアン ヘッド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ク ブレーキ監視システム
JP2003535739A (ja) 2000-03-22 2003-12-02 インディアン ヘッド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ブレーキモニ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30A (ko) * 2017-06-16 2018-12-28 자동차부품연구원 공압 브레이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검출장치
KR101983601B1 (ko) * 2017-06-16 2019-05-30 자동차부품연구원 공압 브레이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187A (en) Air brake monitoring and safety system
US9415759B2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le inputs for a tractor-trailer
US20190184950A1 (en) Modular trailer system
CN100413740C (zh) 弹簧储能缸
US20120330502A1 (en) Brake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le Inputs
KR100921280B1 (ko) 브레이크 챔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고장 알림 장치
US9982799B2 (en) Hydraulic assembly for a mining system
KR20170052578A (ko) 브레이크 유닛용 피스톤 스트로크 센서 장치
KR102040472B1 (ko) 차량 배력 장치의 진공도 누설 여부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KR20010070225A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검출 장치
KR101965964B1 (ko) 타이어와 휠 사이의 접촉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US20190047526A1 (en) Brake apparatus and brake method
JP4372004B2 (ja) 過熱したタイヤを検出する装置
KR20200006772A (ko)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EP37700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us of the trailer brake
KR20180069336A (ko) 브레이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100438A (ko) 타이어 마모도 측정 시스템
KR102258264B1 (ko) 에어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위치검출 장치
KR100872625B1 (ko) 에어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감지장치
EP0214765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rake actuation systems for vehicles
US20040189087A1 (en) Vehicle hydraulic brake device
JP3388311B2 (ja) 液圧装置の保守点検システム
KR100273709B1 (ko) 차량의 유압식 주브레이크 고장 진단장치
CN202018366U (zh) 气动压边传感自检系统
KR20240059661A (ko) 차량용 공기압 스프링 브레이크 챔버의 이상 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