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372B1 -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 Google Patents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372B1
KR100918372B1 KR1020070083925A KR20070083925A KR100918372B1 KR 100918372 B1 KR100918372 B1 KR 100918372B1 KR 1020070083925 A KR1020070083925 A KR 1020070083925A KR 20070083925 A KR20070083925 A KR 20070083925A KR 100918372 B1 KR100918372 B1 KR 10091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weapon
bleeding amount
simulated
bl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470A (ko
Inventor
양화석
조치영
Original Assignee
양화석
조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화석, 조치영 filed Critical 양화석
Priority to KR102007008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372B1/ko
Priority to PCT/KR2008/004836 priority patent/WO2009025491A1/en
Publication of KR2009001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33Fake or disarmed practise weapons, i.e. for mimicking combat situations in martial arts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에 관한 것으로, 경기 중에 선수가 입는 신체적 피해를 모의적으로 검출하여 선수, 심판 및 관전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가상적인 출혈량으로 표시하도록 한 모의적 출혈량 표시 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는,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구와, 선수가 상대방을 공격하는 무기를 포함하는 대전경기용 장비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의 각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무기에 의한 타격이 가해질 때 해당 부분 별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수단과, 이 감지수단에 의해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선수가 입은 피해 정도를 산출하여 그에 따른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선수가 입은 피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혈량, 표시부, 제어부, 타격감지수단, 운동제한수단

Description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OUTFIT FOR A FIGHT GAME HAVING THE FUNCTION OF INDICATING IMITATED BLEEDING QUANTITY}
본 발명은 검, 도, 봉, 창, 총기 등 무기를 사용하는 개인 또는 다자 간의 격투, 전투 등 대전 방식의 경기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기 중에 선수가 입는 신체적 피해를 모의적으로 검출하여 선수, 심판 및 관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가상적인 출혈량으로 표시하는 대전경기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
신체 또는 무기를 이용하여 개인간 또는 팀간의 실력을 겨루는 다양한 방식의 대전경기가 스포츠 또는 레저 차원에서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권투, 태권도, 검도 등과 같은 무예나 운동 실력을 겨루는 전통적인 대전경기도 있고, 최근에 유행되고 있는 서바이벌 게임과 같이 모의 무기를 이용하여 전투를 행하는 대전경기도 있다.
그런데, 종래에 행해지고 있는 전통적 대전경기는 선수 보호, 폭력성 순화 등을 이유로 실전과는 동떨어진 스포츠로서의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신체부위, 무기 등이 엄격히 제한되어 선수의 진정한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기가 어려웠고, 관전하는 사람의 흥미도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경기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지 않는 한, 신체적으로 얼마나 타격을 입은 상태인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흥미 유발 효과가 더욱 떨어지고, 종종 경기 결과에 대한 판정시비도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서바이벌 게임과 같은 종래의 모의전투 경기의 경우, 전용의 총기 및 총탄을 사용하여 전장을 간접 체험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역시 경기중인 사람의 피해 정도가 제대로 표시 및 판별되기 어려워 흥미 유발 효과가 떨어지고 경기 판정에 대한 불만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기용 총기의 총탄 내부에 페인트를 담아 피탄 시 터지도록 함으로써, 피해 여부를 판정하고 약간의 현실감을 부여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단지 피탄부에 페인트가 뿌려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현심감이 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며, 페인트 탄을 사용함에 따라 총기의 유효사거리 및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어떤 측면에서는 흥미 및 현실감이 더욱 좋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바 있는 "게임용 보호장비"(특허 제719832호)가 있다. 이는 상기 특허의 등록공보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신체 각 관절부위에 대응되는 관절부(16)가 구비된 보호구(2), 이 보호구(2)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같은 감지수단(4), 이 감지수단(4)에 의해 감지된 충격 정도와 위치에 따라 해당 관절부(16)를 통해 신체 운동을 제한하는 에어백(118) 및 가스공급수단(20)과 같은 운동제한수단(8)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신체의 소정 부위를 가격당하면, 상기 감지수단(4)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스공급수단(20)이 작동하여 해당 신체부위의 에어백(118)에 가스가 충전되고, 이에 따라 해당 부위의 운동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어 부상을 입은 듯한 효과를 주게 되므로, 보다 다양하고 현실감 넘치는 대전 경기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 제한만으로는 현실적인 격투나 전투의 느낌을 주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도검류나 총기류와 같은 무기를 사용하는 격투 또는 전투 경기에 있어서는 실제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해 및 그에 따른 긴장감 유발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기에 참여하는 사람의 보다 적극적인 행동 유도 효과가 떨어지고 관전하는 사람의 흥미 유발 효과도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 타격 시 모의적으로 출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실제 혈액은 아니라 하더라도 거부감을 줄 수 있고, 특히 미성년 관객에게 비교육적인 면을 노출시킬 수 있어 경기 관람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기 중에 선수가 입는 신체적 피해를 모의적으로 검출하여 선수, 심판 및 관전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가상적인 출혈량으로 표시하도록 한 모의적 출혈량 표시 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구와, 선수가 상대방을 공격하는 무기를 포함하는 대전경기용 장비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의 각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무기에 의한 타격이 가해질 때 해당 부분 별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수단과, 이 감지수단에 의해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선수가 입은 피해 정도를 산출하여 그에 따른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선수가 입은 피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대전경기용 장비에서, 상기 무기는 실제 무기의 형태를 이루도록 외부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금속, 섬유, 카본 및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보강재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호구 및 무기에는 서로 대응되는 광센서, 압력센서, 마그넷센서 및 통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효공격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대방을 가격하는 무기 또는 신체부위에 따라 출혈발생 효과가 다르게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구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에 대한 신호를 무선송신하여 경기장에 설치된 전광판을 통해 상기 표시부와 대응되는 선수의 피해 상태를 즉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무선송신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대전경기용 장비는, 상기 보호구의 각 관절부에 설치된 에어백과, 이 에어백에 급기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와, 각 에어백의 급기관로 별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개폐동작되는 복수의 급기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구를 이루는 각 부분에 다수의 LED램프가 내장되고, 이 LED램프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구의 외피 부분이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 증가에 따라 LED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여 신체의 각 부분 별로 조도 또는 색상 변화를 통해 가상적 출혈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에 의한 타격에 따른 착용자의 피해 상태를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실제의 출혈 효과 구현에 대한 거부감 및 그에 따른 관전제한 없이 대전경기의 관전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통해 판정 시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구와 무기에 서로 대응되는 유효공격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실제와 같이 정확한 공격이 이루어졌을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에 피해 상태가 다르게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현실감과 객관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가 받는 충격에 따른 출혈량 표시에 연동하여 신체운동을 제한함으로써, 선수와 관전자의 긴장과 흥미를 효과적으로 유발하여 경기 몰입도 및 관전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구의 각 부분별로 내장된 LED램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착용자가 받은 피해에 따라 신체의 각 부분별로 밝기나 색깔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선수의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경기에 대한 흥미와 몰입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의 일실시예를 선수가 착용한 상태로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 2는 그 제어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경기용 장비는 선수가 신체의 각 부위에 착용하는 보호구(102)와 상대 선수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 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구(102)는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신체 각 부위를 상기 무기(130)로 가격할 때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체로, 또는 신체 부위 별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통과 팔 등 상체에 착용하는 상부수트, 엉덩이와 다리 등 하체에 착용하는 하부수트,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기어, 손에 착용하는 장갑, 및 발에 착용하는 신발 등 신체의 모든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다.
상기 보호구(102)를 이루는 각 부분에는 해당 부분에 무기(130)에 의한 가격이 이루어질 때 그 타격 강도를 감지하는 타격감지수단(104)이 구비되고, 보호구(102) 중 적어도 일측(설치공간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큰 상부수트 부분이 바람직하나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음)에는 상기 타격감지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다양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6)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06)에서 출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착용자의 관절부를 비롯한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제한하는 운동제한수단 및 착용자의 모의적 출혈량을 표시하는 표시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타격감지수단(104)은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보호구(102) 내부에 연질의 시트가 구비되고, 이 시트에 상기 무기(130)에 의한 가격시 기계적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센서가 분산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압력센서는 가격 빈도가 높은 외향하는 부분에 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감지수단(104)의 다른 예로는 상기 보호구(102) 내부에 공기주머니가 구비되고, 무기(130)로 가격시 발생되는 공기주머니의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타격감지수단(104)의 또 다른 예로는 상기 보호구(102)의 외피 내측에 소정 면적을 커버하는 층을 이루도록 내장되어 일측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그물 구조의 망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된 통상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압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읽어들여 신체부위 중 어느 부분이 가격되었는지, 그 강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신체 부위에 대응되는 운동제한수단, 예를 들어 후술하는 급기밸브(124)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해당 타격에 의한 가상적 출혈량을 산출하여 그에 따른 작동신호를 상기 표시부(112)로 출력한다.
상기 운동제한수단은 가스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에어백(118)과, 이 에어백(118)에 급기관로(1126)를 통해 연결되어 에어백(118)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120)와, 각 에어백(118)의 급기관로(1126) 별로 설치된 급기밸브(124)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118)은 보호구(102)를 착용하는 선수의 팔과 다리의 각 관절부, 목 부분 등 신체 각 부분의 운동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에 배치되며, 가급적 보호구(102)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보호구(102)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 에어 백(118)은 신체의 착용부위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박부와 하박부 간의 관절부(팔꿈치 부분)나 상지부와 하지부 간의 관절부(무릎 부분)에 착용되는 에어백(118)은 해당 신체 부위 전체를 감싸는 관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박부와 몸통 간의 관절부(어깨 부분)나 상지부와 몸통 간의 관절부(골반 부분)에 착용되는 에어백(118)은 부분적으로 연결된 패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기(12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압가스가 충전되어 자체의 내부압력에 의해 에어백(118)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급기밸브(124)는 각각 상기 제어부(106)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탱크로부터 각 에어백(118)에 대한 가스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별 제어된다.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제어부(106)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대방 선수, 심판, 관전자 등 제3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 상태가 변화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진다. 간단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102)를 이루는 각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설치 공간 면에서 상부수트의 가슴이나 등 부분이 바람직할 것이다)에 복수의 LED램프(112a)가 인접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6)에서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 증가에 따라 단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표시부 및 제어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가상적 출혈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로는 복수의 LED램프의 점멸 제어를 통해 출혈량을 수치로 표시하거나 액정패널을 통해 수치로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가상적 출혈량을 좀 더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수단과 병행하거나 별도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구(102)를 이루는 각 부분에 다수의 LED램프(150)를 내장하고, 배열된 LED램프(150)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구(102)의 외피(102a) 부분을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하여 제어부(106)에서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 증가에 따라 점등된 LED램프(150)의 수량을 변화시켜 외부에서 보여지는 조도에 따라 가상적 출혈 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설치되는 LED램프(150)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출혈량 증가에 따라 외부로 표시되는 색상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가상적 출혈량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무기(130)는 도, 검, 봉, 창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 무기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경기 중 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무기(130)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금속, 섬유 및 카본 복합소재 등 다양한 재질의 보강재(135)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무기(130)가 도(刀)로 이루어진 경우, 일측에만 칼날(131)(실제 검의 날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실제 검과 같은 절삭력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있고 반대측에는 칼등(13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칼날(131) 부분으로 타격 시에 더 강한 출혈발생 효과가 적용되도록, 또는 칼등(133)에 의한 타격 시에는 출혈발생 효과가 적용되지 않도록 칼날(131) 또는 칼 등(133)에 의한 접촉임을 구분하는 유효공격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효공격 감지수단은 광센서, 압력센서, 마그넷센서, 통전센서, 전자기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보호구(102)의 각 부분에 가변콘덴서를 구비하고 칼등(133) 부분에 가변 인덕턴스를 구비하여 칼등(133) 부분으로 가격시 소정 각각 인덕터 및 컨덕터를 구비한 근접센서(137)를 설치하여 칼등(133)이 보호구(102)에 접촉할 때 변화되는 각각의 고유주파수에 따라 칼날(131) 또는 칼등(133)에 의한 가격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는 상기 보호구(102)의 표면에 미약한 전기가 흐르는 통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칼등(133)과 칼날(131) 중 일측에만 전도체를 부착하여 상기 통전층에 전도체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여 칼등(133) 또는 칼날(131)에 의한 가격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130)에는 무기(130)와 무기(130) 간의 충돌, 무기(130)와 보호구(102)의 충돌 시 효과음을 발생시켜 보다 현실감을 높이는 음향발생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음향발생기는 스피커 및 배터리,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 감지된 충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스피커가 다른 효과음을 내도록 하는 음향제어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향제어기는 상기 유효공격 감지수단과 연동되어 유효한 공격이 이루어졌을 때와 그렇지 못한 경우에 다른 효과음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6)에는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에 대한 신호를 외부로 무 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모듈(139)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무선송신모듈(139)에서 송신된 신호는 외부의 전광판(140)에 구비된 수신기에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광판(140)이 전술한 표시부과 유사하거나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장비는 우선 격투, 모의 전투 등과 같은 대전경기에서 착용자가 받는 타격을 신체 각 부분의 보호구(102)를 통해 완충시키므로, 선수를 보호하면서도 상대방의 피해에 대한 부담 없이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발휘하도록 할 수 있게 하여 경기에 대한 참여자와 관전자의 몰입과 흥미 유발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구(102)의 외부에 상대방의 타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을 상기 감지수단(104)이 감지하고, 충격 감지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106)가 상기 표시부를 작동시켜 모의적 출혈량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타격을 입은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에어백(118)에 연결된 급기밸브(124)를 개방동작시켜 에어백(118)에 가스를 충전함으로써 신체운동을 제한하여 부상을 입은 것과 보다 유사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에어백(118)에 의한 신체 운동제한 과정을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의 (a)와 같이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에어백(118)에 저항력이 없이 자유롭게 관절부를 접거나 펼쳐 운동할 수 있지만, 에어백(118)에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도 4의 (b)와 같이 에어백(118)이 팽창되어 가면서 관절부를 압박하여 착용자가 해당 관절부를 접거나 펼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충격강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점등 상태 변화량 및 가스공급기(120)의 작동시간 또는 작동부하가 다르게 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타격이 감지되면 그 강도에 따라 상층부의 LED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꺼져 가상적인 출혈이 발생했음을 표시하고, 출혈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가스공급기(120)가 작동되어 에어백(118)에 점진적으로 공기를 충전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활동을 서서히 제한하여 일정 한도 이상으로 출혈이 되면 착용자의 신체 활동을 사망한 것처럼 완전히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비는, 착용자가 받는 타격에 따라 모의적으로 출혈량을 표시하여 실제 출혈에 따른 문제 발생 없이 선수의 피해 상태를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박진감을 높이고, 이에 병행하여 또는 순차적으로 신체 운동을 제한하여 실제 신체 손상과 유사한 효과를 줌으로써, 경기를 치루는 선수들의 심리상태를 실전에 가까운 상태로 유도하여 긴장감과 몰입도를 높이고, 관중에게도 실제의 격투 또는 전투를 보는 것과 같은 향상된 흥미 유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타격에 따른 모의적 출혈량이나 운동 제한 정도로 경기 결과의 승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심판이 직접 경기의 판정을 하지 않아도 되고, 보다 객관적인 판정이 가능하여 판정에 대한 불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송신모듈(139)을 통해 선수가 받은 타격에 따른 피해 상태를 전송하여 즉각 전광판(140)에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수단(104)으로서 연질의 시트에 다수 의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감지수단(104)은 외부 충격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여 충격 여부 및 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통상적인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된 에어백을 상기 감지수단(104)으로 구비하여, 에어백이 가격되었을 때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부위의 가격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기(120)는 전술한 고압탱크 뿐 아니라 펌프를 이용한 구조도 가능하며,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운동제한수단(108)은 전술한 에어백(118)과 가스공급기(120) 이외에,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118)의 형상도 예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가 충격량에 따라 상기 운동제한수단(108)이 작동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가격된 부위에 따라 상기 운동제한수단(108)이 작동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급소에 해당되는 부위를 가격당했을 경우, 여러 부위의 관절을 동시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106)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감지수단(104)에 운동제한수단(108)을 직접연결하여, 감지수단(104)이 가격되면, 곧바로 운동제한수단(108)이 최대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급소를 가격당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할 실시예에서는 무기로만 상대방을 타격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경기 룰에 따라 무기와 함게 주먹, 발 등 신체 각 부위를 함께 사용하여 공 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설명에서 칼날 부분과 칼등 부분에 의한 타격을 구분하여 다른 피해 상태가 적용 및 표시되도록 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격부와 피가격부의 상호인식/감지를 통해 다른 정도의 피해가 적용 및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대전경기용 장비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경기용 장비에서 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경기용 장비에서 운동제한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6)

  1.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구(102)와, 선수가 상대방을 공격하는 무기(130)를 포함하는 대전경기용 장비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102)의 각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무기(130)에 의한 타격이 가해질 때 해당 부분 별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복수의 타격감지수단(104)과, 이 타격감지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선수가 입은 피해 정도를 산출하여 그에 따른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6)와, 이 제어부(106)에서 출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선수가 입은 피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2)를 포함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130)는 실제 무기의 형태를 이루도록 외부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금속, 섬유, 카본 및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보강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102) 및 무기(130)에는 서로 대응되는 광센서, 압력센서, 마그넷센서 및 통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효공격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대방을 가격하는 무기(130) 또는 신체부위에 따라 출혈발생 효과가 다르게 적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6)에서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에 대한 신호를 무선송신하여 경기장에 설치된 전광판(140)을 통해 상기 표시부(112)와 대응되는 선수의 피해 상태를 즉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무선송신모듈(139)을 더 포함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102)의 각 관절부(116)에 설치된 에어백(118)과, 이 에어백(118)에 급기관로(126)를 통해 연결되어 에어백(118)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120)와, 각 에어백(118)의 급기관로(126) 별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6)의 출력신호에 따라 개폐동작되는 복수의 급기밸브(124)를 더 포함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102)를 이루는 각 부분에 다수의 LED램프(150)가 내장되고, 이 LED램프(150)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구(102)의 외피(102a) 부분이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106)에서 산출된 모의적 출혈량 증가에 따라 LED램프(15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여 신체의 각 부분 별로 조도 또는 색상 변화를 통해 가상적 출혈 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KR1020070083925A 2007-08-21 2007-08-21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KR10091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25A KR100918372B1 (ko) 2007-08-21 2007-08-21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PCT/KR2008/004836 WO2009025491A1 (en) 2007-08-21 2008-08-20 Outfit for fight game capable of displaying simulated bleeding a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25A KR100918372B1 (ko) 2007-08-21 2007-08-21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70A KR20090019470A (ko) 2009-02-25
KR100918372B1 true KR100918372B1 (ko) 2009-09-22

Family

ID=4037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925A KR100918372B1 (ko) 2007-08-21 2007-08-21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8372B1 (ko)
WO (1) WO2009025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101201B4 (en) 2009-10-23 2010-03-25 Chiron Ip Holdco Pty Ltd Electronic scoring system, method and armour for use in martial arts
US20150223544A1 (en) * 2012-02-22 2015-08-13 Marshall Street Entertainment, Inc. Helmet with stage blood indicator to simulate head injury
US20130230836A1 (en) * 2012-02-22 2013-09-05 Marshall Street Entertainment, Inc. Helmet with stage blood indicator to simulate head inju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242A (en) * 1974-03-25 1975-11-18 William E Reith Electrical fencing sco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11771U (ja) * 1992-07-21 1994-02-1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打撃判定器
KR20050015554A (ko) * 2003-08-06 2005-02-21 홍종학 전자호구의 타격에 따른 점수 송신장치 및 그 송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752A (en) * 1991-10-21 1993-03-23 Reeves Gary L Paint ball sensor vest
US5570881A (en) * 1994-10-24 1996-11-05 Lau; Anthony Scoring equipment for a sword contest sport
KR100274610B1 (ko) * 1998-04-23 2000-12-15 심상일 무술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242A (en) * 1974-03-25 1975-11-18 William E Reith Electrical fencing sco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11771U (ja) * 1992-07-21 1994-02-1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打撃判定器
KR20050015554A (ko) * 2003-08-06 2005-02-21 홍종학 전자호구의 타격에 따른 점수 송신장치 및 그 송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70A (ko) 2009-02-25
WO2009025491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051B2 (en) Conta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S2781331T3 (es) Aparato para monitorizar y registrar la ubicación y la intensidad de impactos en los deportes
ES2893767T3 (es) Sistema de puntuación electrónica, método y armadura para el uso en artes marciales
US20090235761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JP6975981B2 (ja) 格闘技スポーツの勝者を争い、かつ勝者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90030411A1 (en) Smart garment and control method of smart garment
KR20100082874A (ko) 타격 감지 센서와 발광 장치를 함께 장착한 타격식 투기 종목 스포츠용 호구
KR100918372B1 (ko) 모의적 출혈량 표시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장비
GB2475696A (en) A bouncy castle with electronic games
US20150148140A1 (en) Sporting equipment including integrated diffused indicator
RU23222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US20190255416A1 (en) Wearable score-keeping device for swordplay games
CN101596352B (zh) 一种球类运动装置及其用途
JP2007152057A (ja) 打撃系練習機
KR20090004349A (ko) 모의적 출혈기능을 갖는 대전경기용 보호장비
CN201921442U (zh) 一种武术散打电子头盔
KR101719729B1 (ko) 전자 호구
KR101584483B1 (ko) 공수가 조화된 종합훈련이 가능한 권투훈련장치
KR100719832B1 (ko) 게임용 보호장비
CN203620228U (zh) 摆动标签的游戏机
KR101549550B1 (ko) 오뚝이 인형 격투기 훈련 장치
CN213285595U (zh) 一种运动反应速度决策能力训练装置
CN112915514B (zh) 可调节式多功能拳击训练系统
WO2018152486A1 (en) Wearable score-keeping device for swordplay games
Wells Muay Thai: Kickboxing Comb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