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569B1 -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 Google Patents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569B1
KR100917569B1 KR1020070109248A KR20070109248A KR100917569B1 KR 100917569 B1 KR100917569 B1 KR 100917569B1 KR 1020070109248 A KR1020070109248 A KR 1020070109248A KR 20070109248 A KR20070109248 A KR 20070109248A KR 100917569 B1 KR100917569 B1 KR 10091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flag
model
archery
h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239A (ko
Inventor
유창국
Original Assignee
유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국 filed Critical 유창국
Priority to KR102007010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56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56Switch actuation by hit-generated mechanical vibration of the target body, e.g. using shock or vibration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8Targets having hit-indicating means actuated or moved mechanically when the target has been hit, e.g. discs or fl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24Targets producing a particular effect when hit, e.g. detonation of pyrotechnic charge, bell ring, photograp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궁도용 과녁(15,16,17)의 화살 적중 여부를 알려주는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과녁의 옆에 깃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형고전(51,52,53)이 구비되고, 사대(11)에서 선수가 발사한 화살이 궁도용 과녁에 적중하면 이를 충격감지센서(65)에서 감지하여 충격감지센스 출력신호(94)가 출력되어 콘트롤박스(78)에 입력되면, 콘트롤박스 내부에 구비된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와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 릴레이(87)를 동시에 작동하게 하여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는 모형고전(51,52,53)의 팔꿈치 후면에 구비된 깃발회전모터(76)를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에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 시킨 후 자동으로 정지하며,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 릴레이(87)는 음성시작스위치(97)를 작동시켜 사전에 녹음된 음성을 스피커로 1회 출력하여 화살의 적중 여부를 알려준다.
화살의 적중 여부를 알려주는 방법으로 모형고전(51,52,53)에 구비된 깃발(54,55,56)을 회전시키는 시각적인 알림 효과와, 음성입출력장치(96)에서 스피커(33)를 통하여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청각적인 알림 효과를 동시에 알려줄 수 있도록 하여 궁도용 과녁의 적중상태 알림을 사람이 직접 하지 않고 무인 자동화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궁도, 표적판, 과녁, 화살, 적중, 무인자동화

Description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Unmanned Automated hit alarm contrivance of the Archery match. }
본 발명은 궁도 경기에서 도면1과 같이 고전(告箭)(21,22,23) (과녁의 옆에서 사대에서 발시 하는 화살을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가 과녁에 맞는지의 여부를 깃발로 알려주는 사람을 이하 고전이라 한다)이라고 칭하는 사람이 과녁 옆에 배치되어 화살의 관중(화살이 과녁에 맞는 것을 이하 관중이라 한다)여부를 사대 측의 심판(12,13,14)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적중 알림용 깃발(24,25,26)을 들고 있는 팔을 회전시켜서 알려주는 고전의 행위를 무인 자동화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써 고전의 안전성, 적중 여부 확인의 정확도, 경기진행의 흥미 등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궁도 경기는 우리 민족의 전통 활인 국궁을 사용하여 사대(11)(화살을 발시하는 장소를 말하며 이하 사대라고 한다)에서 145m 떨어져 있는 궁도용 과녁을 맞추는 경기로써 득점의 판정기준은 화살이 과녁에 맞는 부위에 관계없이 과녁을 맞추는 유,무로 판단한다. 총 3개의 과녁(15,16,17)으로 경기를 진행하며 사대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한 과녁을 과녁1(15), 중앙에 위치한 과녁을 과녁2(16), 우측에 위치한 과녁을 과녁3(17)으로 구분한다. 사대(11)는 1개의 과녁에 7명씩 총 21명이 횡 방향으로 1열로 늘어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대(11)에 있는 3명의 과녁1,2,3심판(12,13,14)이 각 과녁 별로 구분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1번선수(27)~7번선수(28)까지 과녁1심판(12)이, 8번선수(29)~14번선수(30)까지 과녁2심판(13)이, 15번선수(31)~21번선수(32)까지 과녁3심판(14)이 진행하며 각 심판의 지시에 따라서 좌측 선수부터 1발의 화살을 발시 하여 과녁 옆에 있는 고전의 적중알림용깃발(24,25,26)로 관중 여부를 확인하여 기록한 후 다음 선수가 차례로 발시 한다.
궁도용 과녁은 화살이 박히는 양궁 경기와는 다르게 도면 2와 같이 과녁의 외부 면을 화살이 박히지 않는 정도의 탄성과 두께를 유지한 고무판(63)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화살이 과녁에 맞으면 박히지 않고 튕겨져 나오는 구조로 되어있다. 과녁에 관중 되어 튕겨져 나오는 화살을 145m 떨어진 사대에서는 정확히 구분할 수가 없어서 도면1과 같이 3개의 과녁 옆에 각 과녁을 담당하는 고전(21,22,23)을 1명씩 총 3명을 배치하여 각 과녁별로 1발의 화살이 발시 될 때마다 화살의 관중 여부를 해당 과녁 고전이 깃발을 흔들어 사대에 있는 해당 과녁의 심판(12,13,14)에게 알려준다. 각 과녁을 담당하는 고전은 해당 과녁의 상단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표시된 과녁식별용 색깔표시(18,19,20)의 색깔과 동일한 색깔의 깃발을 휴대하여 깃발의 색깔로 1관 고전(21), 2관 고전(22), 3관 고전(23)을 구별한다.
1명의 선수가 1순(5발의 화살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이하 1순(한순)이라한다)의 화살을 소지하여 상기의 발시 순서를 반복하여 하나의 과녁에 5발을 발시 한다. 경기 방법에 따라 3순(15발)경기 또는 5순(25발)경기로 실시하며 입승단 대회(대한궁도협회 주관으로 실시되는 공인 단증 심사제도를 말하며 이하 입승단 대회라고 한다)는 9순(45발)경기로 진행한다.
과녁1, 과녁2, 과녁3에 21명의 선수가 각각 1순의 화살을 모두 발시 하면 사대의 과녁 1,2,3심판(12,13,14)의 지시에 따라 과녁 주변의 화살을 수거하여 사대로 운반되며 선수 개인이 자기의 화살을 회수하여 다음 과녁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종래의 경기방법에서 과녁에 화살의 관중 유,무를 고전(21,22,23)이 눈으로 화살을 주시하고 귀로 과녁에 맞는 소리를 청취하여 깃발을 흔들어서 145m 떨어진 사대 측 심판(12,13,14)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선수의 실수 및 실력의 차이에 의해 빗나가는 화살에 고전이 맞아서 중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되고, 화살이 발시된 후 과녁에 도달하는 약 3초간의 시간(약 170Km/h) 동안 고전이 화살을 보지 못하여 관중 여부를 정확히 판정할 수 없을 경우 사대 측 심판이 직접 과녁에 가서 확인하는 시간 동안 경기가 지연되고, 부적합성에 의한 판정시비가 유발되며, 경기운영에 필요한 고전을 고용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29415(궁도용 표적판의 적중 알림 장치)에 게시되어 있으나 이 종래의 적중 알림 장치는 화살이 과녁에 관중 하면 과녁의 후방 측에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감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설치되고 사대 측에 유,무선의 수신부 및 수신신호를 받아 관중을 알리는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구성하는 장치로써 관중의 알림을 단순한 소리(멜로디)로 알려주기 때문에 그 확인을 청각에만 의존해야 하며, 과녁1,과녁2,과녁3 중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화살이 관중 되면 스피커(33)에서 2개 이상의 소리(멜로디)가 동시에 발생 되어 구분을 할 수 없는 이유로 관중 알림 장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국 300여 개의 궁도장에 적중 알림용 스피커 장치가 대부분 설치되어 있지만 궁도 수련을 위한 연습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으며 공식 경기를 진행할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소리가 중첩되는 문제와 고도의 정신집중을 필요로 하는 궁도 경기에서 스피커의 멜로디 소리는 시끄럽고 산만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반드시 고전을 배치하여 경기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전의 역할을 대신하여 스피커의 소리(멜로디) 만으로 관중의 유,무를 판단하여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는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과녁1,과녁2,과녁3 각 과녁의 옆에 도면3과 같이 사람이 깃발을 들고 서있는 모습(전통 무관의 모습)의 모형고전(51,52,53)을 1개씩 구비하여 해당 과녁에 화살이 관중할 경우 과녁의 뒷면에 설치되어 감도 조절이 되는 충격감지센서(65)가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감지센서출력신호(94)가 출력되면 콘트롤박스(78) 내부에 설치된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와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 릴레이(87)에 입력되며,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도면 5의 모형고전(51,52,53) 한쪽 팔꿈치 뒷면에 장착된 깃발회전모터(76)를 작동하여 회전 팔(72),깃대(73),깃발(74)을 회전시키고, 음성입출력장치(96)는 사전에 입력된 음성(예: 1관일 경우 "1관 관중"을 스피커를 통하여 1회 출력되게 하여 실제의 사람(고전)이 수행하던 역할을 무인 자동화 장치로 대신하여 안전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흥미로움이 유발될 수 있는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
실제로 고전(사람)이 관중 여부를 알려주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형고전의 설치로 과녁 주변에 고전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중 시 깃발의 회전과 사람의 음성이 목소리로 동시에 출력되어 시각적인 알림 효과와 청각적인 알림 효과와 목소리의 의미적인 알림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종래의 단순한 소리(멜로리)로 알려주는 것에 비해 관중 여부의 표현이 명확하고 정확하게 구분되며, 동시에 2개 이상의 과녁에 관중 할 경우 종래에는 그 구분이 불가능했지만 무인고전장치 깃발의 회전으로 구분이 가능해 지며, 과녁을 지면과 이격 시키는 구조와 충격감지 센서의 감도 조절이 되는 구조로 되어있어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고전의 실수로 유발되는 판정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경기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상 3개의 과녁 좌,우측에 고전을 배치하여 각 고전의 깃발 색깔로 해당과녁을 구분하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1관, 2관, 3관 각 과녁의 바로 옆에 모형고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적중알림용 깃발의 색깔 및 모형고전의 위치로도 해당과녁이 저절로 구분되어 시인성이 향상되었으며, 음성 출력은 자유로이 녹음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음성 출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궁도 경기에서 과녁의 좌,우측에 서서 과녁에 화살의 적중 여부를 알려주는 고전(과녁심판)의 역할을 모형고전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궁도 경기용 과녁의 뒷면에 구비되어 화살의 적중시 상기 궁도 경기용 과녁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65)와, 상기 충격감지 센서에서 충격을 감지할 때 출력되는 충격감지센서출력신호(94)가 콘트롤박스(78)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와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 릴레이(87)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며, 깃발회전 모터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에 충격감지센서 출력신호(94)가 인가되면 깃발회전모터 구동용타이머릴레이(86)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모형고전의 팔꿈치 후방에 설치된 깃발회전모터(76)를 작동시키게 되고, 깃발회전모터가 작동되면 모터 회전축(75)에 고정된 회전팔(72), 깃대(73), 깃발(74)이 회전하게 되며,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에 설정되어 진 시간에 이르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되어 깃발회전모터(76)를 정지시키고 대기모드로 전환되며,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 릴레이는 충격감지센서 출력신호(94)가 인가되면 사전에 녹음하여 저장되어있는 음성을 스피커(33)로 1회 출력시킨 후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면 과녁 옆에 설치된 모형 고전의 팔꿈치에 설치된 회전 팔과 깃발이 회전함과 동시에 스피커로 음성( 예:"1관 관중")이 출력되어 실제 사람(고전)이 수행하는 역할을 모형고전으로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깃발을 회전시키는 깃발회전모터(76)의 전원 단자에 깃발회전모터(76)를 대신하여 색깔을 식별할 수 있는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궁도용 과녁 의 후방 측에 충격감지센서(65)를 구비하여 화살의 적중 시 과녁의 진동을 감지하여 충격감지센서출력신호(94)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과녁의 재질,두께 등의 차이로 인한 과녁의 다양한 고유진동계수 조건에서도 과녁의 진동 감지의 최적화를 위하여 충격센서의 감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며, 과녁 부근의 지면에 박히거나 떨어지는 화살의 진동이 과녁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녁의 하단에 도면 4와 같이 과녁받침대(66)와 충격흡수용 패드(67)를 설치하여 지면으로부터 과녁을 이격시켜 과녁의 인근 지면에 박히거나 떨어지는 화살의 진동이 과녁에 전달되지 못하게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며, 도면 5와 같이 각 과녁의 옆에 모형고전(51,52,53)을 구비하며, 모형고전은 조선시대 무관의 홍철릭 복장으로 도안 된 모형판(71)을 사대에서 보았을 때 과녁과 함께 정면으로 보이도록 설치되며, 모형고전의 모형판(71)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77)가 구성되며, 고전 모형의 한쪽 팔꿈치 후방에 깃발회전모터(76)가 설치되며, 모터 설치 부에 모터 고정용 플레이트(79)가 구성되며, 모터의 회전축(75)에는 깃발 고정부분을 화살로부터 보호하고 사람이 팔을 돌려서 깃발을 회전시키는 모습을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하여 팔꿈치부터 손가락까지의 형상으로 된 회전 팔(72), 깃대(73), 깃발(74)이 일체로 고정되어 깃발 회전모터(76)가 회전하면 모형고전의 회전 팔과 깃대와 깃발이 하나의 회전체로써 회전하여 시각적인 적중 알림을 구현하게 된다.
3개의 모형고전(51,52,53)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형고전 뒷면에 모형고전(51,52,53) 3개를 제어하는 전기부품과 전자부품이 내장된 콘트롤박스(78)가 구비되며, 비,눈,바람,직사광선 및 기타 외부에서 가해지는 조건으로부터 콘트롤 판넬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트롤박스보호카바(80)가 구비된다. 실시의 경우에 따라 1개의 콘트롤박스에서 3개의 모형고전과 음성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각각의 모형고전에 콘트롤박스를 1개씩 분산 설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면 7은 본 발명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알림용 모형고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도의 예시이다. 사대 측에 메인전원스위치(81)가 구비되며, 콘트롤박스(78)에 각 과녁별로 1관 전원스위치(82), 2관 전원스위치(83), 3관 전원스위치(84)가 구비되며, 각 과녁 전원스위치(82,83,84) 후단에 직류전원공급장치(85)가 구비되고, 직류전원공급장치(85)에서 충격감지센서(65), 깃발회전모터(76), 음성입출력장치(96)에 전원이 공급되며, 충격감지센서 출력신호(94)가 출력되면 깃발회전모터구동용타이머릴레이(86)와 음성출력장치구동용릴레이(87)가 동시에 작동하여 깃발회전모터가 구동함과 동시에 입력된 음성이 스피커에서 출력된다.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86)와 음성출력장치구동용릴레이(87)의 전단에 깃발회전선택스위치(88)와 음성출력선택스위치(89)를 구비하여 관중 알림 방법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궁도장 주변의 상황이 정숙한 환경이 요구될 경우에는 음성출력선택스위치(89)를 OFF상태에 위치하고 깃발회전선택스위치(88)를 ON상태에 위치하면 화살의 관중 시 음성은 출력되지 않고 모형고전의 깃발만 회전하여 정숙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야간 연습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조명이 지원되지만 깃발의 시인성이 좋지 않을 경우 깃발회전선택스위치를 OFF상태에 위치하고 음성출력선택스위치를 ON상태에 위치하면 모형고전의 깃발은 회전하지 않고 음성만 출력되어 관중의 유무를 소리로 확인할 수 있다.
음성입출력장치(96)는 필요에 따라서 음성을 별도의 장비 없이 콘트롤박스에서 직접 녹음할 수 있으며, 모드 선택스위치(93)에서 플레이모드단자(91)와 녹음모드단자(92)를 선택할 수 있으며 녹음을 할 경우 모드 선택스위치(93)를 녹음모드단자(92)로 위치하고 녹음을 할 수 있다.
녹음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다시 녹음을 할 경우에는 모드 선택스위치(93)를 녹음모드단자(92)로 위치한 후 리셋스위치(90)를 1회 눌러 리셋을 시킨 후 다시 녹음을 할 수 있다.
음성 출력을 위해서는 모드선택스위치(93)를 플레이모드로 위치하면 센서에 충격이 감지 될 때마다 음성 시작스위치(97)가 작동하여 녹음된 음성이 1회 출력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궁도장 구조 및 경기 진행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궁도용 과녁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궁도장 구조 및 경기 진행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궁도용 과녁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모형고전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모형고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에 따른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알림용 모형고전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사대 12: 과녁1심판
13: 과녁2심판 14: 과녁3심판
15: 과녁1 16: 과녁2
17:과녁3 18,19,20: 과녁식별용 색깔표시
21: 1관고전 22: 2관고전
23: 3관고전 24,25,26: 적중알림용 깃발
27: 1번선수 28:7번선수
29: 8번선수 30: 14번선수
31: 15번선수 32: 21번선수
33: 스피커
51: 1관모형고전 52: 2관모형고전
53: 3관모형고전 54,55,56: 적중알림용깃발
65: 충격감지센서 66: 과녁 받침대
67: 충격흡수용 패드 72: 회전팔
73: 깃대 74: 적중알림용깃발
75: 모터회전축 76: 깃발회전모터
77: 지지대 78: 콘트롤박스
79: 모터고정용 플레이트 80: 콘트롤박스 보호커버
81: 메인전원스위치 82: 1관전원스위치
83: 2관 전원 스위치 84: 3관전원스위치
85: 직류전원 공급장치 86: 깃발회전모터 구동용 타이머릴레이
87: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 릴레이 88: 깃발회전 선택스위치
89: 음성출력 선택스위치 90: 리셋 스위치
91: 플레이모드 단자 92: 녹음모드 단자
93: 모드 선택스위치 94: 충격감지센서 출력신호
96: 음성입출력장치 97: 음성시작스위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

  1.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알림용 모형고전 장치에 있어서,궁도용 과녁((15,16,17) 및 궁도용 과녁 하단에 구비된 과녁 받침대(66)와
    궁도용 과녁(15,16,17)의 뒷면에 구비되어 화살이 과녁에 적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출력신호를 콘트롤박스(78)로 송출하는 충격감지센서(65)와
    과녁 옆에 위치한 모형고전(51,52,53)의 모형판(71),깃발회전모터(76),콘트롤박스(78)를 지지하는 지지대(77)와
    지지대(77) 수직부 앞면에 구비되는 전통 무관의 모습으로 도안된 모형판(71)과
    모형판(71)의 팔꿈치 위치 뒤쪽에 지지대(77)수직부 뒷면에 구비되는 모터고정용 플레이트(79)와
    모터고정용 플레이트(79)에 구비되는 깃발회전모터(76)와
    깃발회전모터(76)에 구비되어 모터고정용 플레이트(79),모형판(71)을 관통하여 모형판 앞으로 돌출되는 모터회전축(75)과
    모터회전축(75)에 일체로 고정되어 모터회전축(75)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팔(72),깃대(73),깃발(74)과
    모형판(71)의 뒷면 하단에 구비되어 충격감지센서(65)에서 송출된 충격감지센서출력신호(94)를 받아서 모형고전의 깃발회전모터(76)의 작동시간과 스피커의 음성 출력시간을 콘트롤하여 동일한 시간에 모형고전의 회전팔(72),깃대(73),깃발(74)의 회전과 스피커로 녹음된 음성 출력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박스(78)와
    음성입출력장치(96)에 입력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과녁과 지면의 경계부위에 박히거나 떨어져서 적중하지 못하는 화살의 충격이 과녁 뒷면의 충격감지센서(65)에 전달되어 잘못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녁의 뒤쪽 하단 수평 지지부 밑에 구비되는 과녁받침대(66)와
    과녁받침대와 과녁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용 패드를(67)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음성입출력장치(96)는 플레이모드단자(91)와 녹음모드단자(92)와 모드선택스위치(93)가 구비되어
    음성입출력장치(96)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모드선택스위치(93)를 녹음모드단자(92)에 위치시키고 음성을 녹음하는 것과
    음성입출력장치(96)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모드선택스위치(93)를
    플레이모드단자(91)에 위치하고 충격감지센서(65)에서 충격감지출력신호(94)가 출력 될 때 마다 음성입출력장치 구동용릴레이(87)가 작동되어 녹음된 음성이 1회 출력되는 것과
    리셋스위치(90)가 구비되어 음성입출력장치(96)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모드선택스위치(93)를 녹음모드단자(92)에 위치하고 리셋스위치(90)를 1회 눌러 리셋 시킨후 다시 녹음을 할 수 있는 리셋스위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KR1020070109248A 2007-10-29 2007-10-29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KR10091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48A KR100917569B1 (ko) 2007-10-29 2007-10-29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48A KR100917569B1 (ko) 2007-10-29 2007-10-29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239A KR20070110239A (ko) 2007-11-16
KR100917569B1 true KR100917569B1 (ko) 2009-09-16

Family

ID=3908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248A KR100917569B1 (ko) 2007-10-29 2007-10-29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46Y1 (ko) 2011-11-28 2012-06-08 고영기 궁도용 표적판의 적중알림장치
KR101194351B1 (ko) 2011-11-28 2012-10-25 고영기 궁도장의 고전실
KR101634645B1 (ko) 2015-10-14 2016-06-29 주식회사 씨에이테크놀로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896B1 (ko) * 1992-09-23 1995-03-06 주식회사삼정미디어 석궁표적판 및 그 점수 디스플레이 회로
KR200234834Y1 (ko) 2001-03-06 2001-10-18 이정근 시청각적 확인기능을 갖는 표적장치
KR200429415Y1 (ko) 2006-08-04 2006-10-20 고영기 궁도용 표적판의 적중알림장치
KR20070001189U (ko) * 2007-10-29 2007-11-16 유창국 궁도경기의 무인자동화 적중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896B1 (ko) * 1992-09-23 1995-03-06 주식회사삼정미디어 석궁표적판 및 그 점수 디스플레이 회로
KR200234834Y1 (ko) 2001-03-06 2001-10-18 이정근 시청각적 확인기능을 갖는 표적장치
KR200429415Y1 (ko) 2006-08-04 2006-10-20 고영기 궁도용 표적판의 적중알림장치
KR20070001189U (ko) * 2007-10-29 2007-11-16 유창국 궁도경기의 무인자동화 적중 알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46Y1 (ko) 2011-11-28 2012-06-08 고영기 궁도용 표적판의 적중알림장치
KR101194351B1 (ko) 2011-11-28 2012-10-25 고영기 궁도장의 고전실
KR101634645B1 (ko) 2015-10-14 2016-06-29 주식회사 씨에이테크놀로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239A (ko) 200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1288C (en) Automated practice target for goal-oriented sports and a method of training using the practice target
US8523185B1 (en) Target shoo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434397B2 (en)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EP3568217B1 (en) Light emitting sports training and game play system and method
US9220967B2 (en) Method of providing a tennis practice target and display
CA2708092C (en) Goalie training device
KR100917569B1 (ko)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AU2022201361A1 (en) Sporting or amusement apparatus
US20160213989A1 (en) Ball game and apparatus
JP2013515555A (ja) 打撃状態出力機能のスクリーンゴル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82308B1 (ko) 야구 타격 게임기
US20080182687A1 (en) Shooter training system for improved accuracy and speed
KR20070001189U (ko) 궁도경기의 무인자동화 적중 알림 장치
KR101223170B1 (ko) 원반경기용 타겟장치
EP2485817B1 (en) Magnetic table game
CA2941569A1 (en) Mechanical goaltender
WO2006103423A1 (en) Sports apparatus
GB2536389B (en) A portable goal device
US20030157986A1 (en) Target unit for electronic guns
KR20210112487A (ko)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KR200261532Y1 (ko) 야구연습,게임장
US20190329112A1 (en) Hockey Partner-Robot
JP3243438U (ja) ゴルフ練習場とゴルフ練習場に配置される標的島
CN220834087U (zh) 玩具实弹射击声音播报靶子
GB2394426A (en) Net vibration sens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