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017B1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with surface processing - Google Patents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with surface proces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7017B1 KR100917017B1 KR1020080002169A KR20080002169A KR100917017B1 KR 100917017 B1 KR100917017 B1 KR 100917017B1 KR 1020080002169 A KR1020080002169 A KR 1020080002169A KR 20080002169 A KR20080002169 A KR 20080002169A KR 100917017 B1 KR100917017 B1 KR 1009170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tube
- envelope
- etching
- fluorescent 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96—Lamps with light-emitting discharge path and separately-heated incandescent body within a common envelope, e.g. for simulating dayligh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95—Fill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극 형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발광효율이 개선된 엔벨로프(envelope)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elope-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having a simp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엔벨로프 제작방법은, 제1 직경의 제1 유리직관 및 제2 유리직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직관 및 상기 제2 유리직관의 내측 표면의 일부에 식각면을 형성하고, 상기 식각면 상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직경과 암수맞춤결합관계에 있는 제2 직경을 지닌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구비된 제1 유리U관 및 제2 유리U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U관 및 상기 제2 유리U관의 내측 표면의 일부에 식각면을 형성하고, 상기 식각면 상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직관의 일단을 상기 제1 유리U관의 제1 평행부와 암수맞춤결합하되 그 접촉면에 유리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리직관의 일단을 상기 제1 유리U관의 제2 평행부와 암수맞춤결합하되 그 접촉면에 유리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관의 타단과 상기 제2 유리직관의 타단을 각각 상기 제2 유리U관의 저1 접합부와 제2 접합부에 동시에 암수맞춤결합하되 유리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An envelo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first glass tube and a second glass tube of a first diameter; Forming an etching surface 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lass tube and the second glass tube, and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etching; Preparing a first glass U tube and a second glass U tube provided with a first junction and a second junc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in a male-to-female engagement relationship with the first diameter; Forming an etching surface 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lass U tube and the second glass U tube, and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on the etching surface; Fitting one end of the first glass straight tube to the first parallel portion of the first glass U tube with a male and female b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using a glass adhesive; Fitting one end of the second glass straight tube to the second parallel portion of the first glass U tube and joining the contact surface using a glass adhesive; And ma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glass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lass straight tube at the same time by male and female at the same time to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of the second glass U tube, using a glass adhesive. .
무전극 형광 램프, 엔벨로프, 유리관, 유리접착제. 표면처리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s, envelopes, glass tubes, glass adhesives. Surface treat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전극 형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발광효율이 개선된 엔벨로프(envelope)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이하, 무전극 형광 램프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will be described.
무전극 형광 램프는 램프 내부에 전극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전극 형광 램프는 외부의 전력소스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 램프 내부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자기장에 의해 가속되는 전자들이 램프 내에 충전되어 있는 수은원자와 출동하여 빛을 방사하며, 이렇게 방사된 빛은 램프 내에 도포된 형광 물질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발광한다.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is characterized in that no electrode is provided inside the lamp.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emits light inside the lamp by a magnetic field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lectrons accelerated by the above-mentioned magnetic field emit light by merging with a mercury atom charged in the lamp. Light emits visible light through a fluorescent material applied in the lamp.
일반적으로 무전극 형광램프는 램프 내에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 크립톤 등과 수은이 혼합된 혼합기체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방전시켜 수 은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이 벌브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를 통하여 가시광선으로 발광되는 것이다. 이러한 무전극 형광 램프는 전극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광램프에 비하여 8 내지 10배의 수명을 가지며, 조명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In general,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discharges a mixed gas of argon, krypton, and mercury, which is an inert gas, into the lamp by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mercury are visible through the phosphor coated on the bulb inner surface. It is emitted by light rays. Since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does not use an electrode, it has a lifespan of 8 to 10 times compared to a fluorescent lamp that is commonly used, and has excellent lighting effect.
무전극 형광 램프는 벌브 타입과 엔벨로프 타입으로 구분된다. 벌브 타입은 벌브 내로 삽입되는 안테나에서 고주파 자기장이 발생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엔벨로프 타입은 관형 폐루프(closed-loop)로 이루어지는 유리관 주변에 환상의 페라이트(ferrite) 코어와 페라이트 코어에 연결된 도선이 구비되며, 이러한 페라이트 코어 및 도선을 통해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여 발광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폐루프로 이루어진 유리관을 통해 발광이 이루어지며, 관형 폐루프의 소정 위치에는 페라이트 및 도선(미도시)이 구비되어 자기장을 인가한다.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s are classified into bulb type and envelope type. The bulb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an antenna inserted into the bulb to emit light. In addition, the envelope type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errite core and a conductor connected to the ferrite core around a glass tube made of a tubular closed-loop, and light is emitted by applying a magnetic fiel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errite core and the conductor. Is done. 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of a conventional envelope type. As shown, light is emitted through a glass tube made of a tubular closed loop, and ferrite and conductive wires (not shown)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ubular closed loop to apply a magnetic field.
이하, 종래에 제안된 램프 엔벨로프의 제조 방법이 적용된 램프 엔벨로프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amp envelope to whic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lamp envelope is applied is demonstrated.
도 2 및 도 3은 종래에 제안된 램프 엔벨로프를 위해 사용되는 유리관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램프 엔벨로프의 제작을 위하여, 돔(12)이 유리 관(10)의 일단부상에 형성된 유리관(10)이 준비된다. 상기 돔(12)은 유리관(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반구 형태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12)에는 블리스터(blister)(20)가 형성되며, 상기 블리스터(20)는 폐 쇄된 단부(24)를 가지는 림(22)을 구비한다. 상기 폐쇄된 단부는 종래의 절단 기법에 의해 절단되어 홀을 형성한다. 2 and 3 show a glass tube used for a lamp envelope proposed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2, for fabricating a conventional lamp envelope, a
도 3에 도시된 유리관이 2개 준비되면, 용융을 통해 각 홀을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각 유리관을 용융 상태까지 가열하고 이들을 가압함으로써 각 홀을 결합한다. 도 3의 유리관을 결합하면 도 4의 형상을 갖는 램프 엔벨로프를 얻을 수 있다.When two glass tubes shown in FIG. 3 are prepared, the holes are joined by melting. Specifically, each hole is joined by heating each glass tube to a molten state and pressing them. By combining the glass tube of FIG. 3, a lamp envelope having the shape of FIG. 4 may be obtained.
상술한 종래의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유리관이 결합되는 공정이 높은 수준의 숙련도를 요구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은 램프 엔벨로프 제작시 유리관을 구부리고, 블리스터를 만들어 용융하여 두 개의 유리관을 결합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었다. The conventional envelope 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manufactur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 process of combining a plurality of glass tubes requires a high level of skill. That is, the prior art requires a high degree of skill of the operator because the glass tube is bent during fabrication of the lamp envelope, and the blister is made to melt to combine the two glass tubes.
또한, 종래의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는 빛이 전방향으로 방사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전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는 있는 장점이 있으나, 특정한 공간에 조명을 집중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반사갓 등의 부재를 추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nvelope 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is characterized in that light is emitted in all directions.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lighting in all directions, but in order to focus the lighting in a specific spa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adding a member such as a reflector separatel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방향으로 조명이 집중되는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 및 형광 램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elope-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nd a fluorescent lamp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illumination is focused in a specific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높은 숙력도가 요구되지 않는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elope-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which an operator's high degree of competence is not requi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효율이 개선된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elope-type fluorescent lamp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envelope typ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엔벨로프 제작방법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직 경의 제1 유리직관 및 제2 유리직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직관 및 상기 제2 유리직관의 내측 표면의 일부에 식각면을 형성하고, 상기 식각면 상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직경과 암수맞춤결합관계에 있는 제2 직경을 지닌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구비된 제1 유리U관 및 제2 유리U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U관 및 상기 제2 유리U관의 내측 표면의 일부에 식각면을 형성하고, 상기 식각면 상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직관의 일단을 상기 제1 유리U관의 제1 평행부와 암수맞춤결합하되 그 접촉면에 유리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리직관의 일단을 상기 제1 유리U관의 제2 평행부와 암수맞춤결합하되 그 접촉면에 유리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관의 타단과 상기 제2 유리직관의 타단을 각각 상기 제2 유리U관의 저1 접합부와 제2 접합부에 동시에 암수맞춤결합하되 유리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An envelope fabr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first glass tube and a second glass tube of a first diamet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Forming an etching surface 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lass tube and the second glass tube, and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etching; Preparing a first glass U tube and a second glass U tube provided with a first junction and a second junc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in a male-to-female engagement relationship with the first diameter; Forming an etching surface 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lass U tube and the second glass U tube, and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on the etching surface; Fitting one end of the first glass straight tube to the first parallel portion of the first glass U tube with a male and female b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using a glass adhesive; Fitting one end of the second glass straight tube to the second parallel portion of the first glass U tube and joining the contact surface using a glass adhesive; And ma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glass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lass straight tube at the same time by male and female at the same time to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of the second glass U tube, using a glass adhesive. .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는, 제1 직경을 갖는 직관형상을 갖는 유리부재로서, 내측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식각면과 상기 제1 식각면 상에 도포되는 형광물질 층을 구비하는 제1 유리직관 및 제2 유리직관; 상기 제1 직경과 암수맞춤결합관계에 있는 제2 직경을 지닌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갖는 유리부재로서, 내측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2 식각면과 상기 제2 식각면 상에 도포되는 형광물질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리직관 및 제2 유리직관과 암수맞춤결합하는 제1 유리U관 및 제2 유리U관; 상기 제1 유리U관 및 제2 유리U관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코어; 및 상기 트래스포머 코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스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ass member having a straight tube shape having a first diameter, the first etching surface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fluorescent material applied on the first etching surface A first glass straight tube and a second glass straight tube having a layer; A glass member having a first joining portion and a second joining por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in a male-to-female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first diameter, the second etching surface being formed on a part of an inner surface and the second etching surface being applied on the second etching surface. A first glass U tube and a second glass U tube having a fluorescent material layer and male-to-female coupling with the first glass tube and the second glass tube; A transformer core formed around one of the first glass U tube and the second glass U tube;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former core.
본 발명에 따른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은 별도의 부재 없이도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집중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을 제조하는 경우 표면처리가 적용된 엔벨로프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관을 구부리는 등의 복잡한 작업 대신에 이미 제작된 유리관들을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제조되기 때문에 숙련도 높은 작업을 불필요하여 무전극 형광 램프의 제조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엔벨로프에 적용된 표면처리로 인해 광효율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The envelope 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ous effect of concentrating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without a separate member.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envelope-typ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n envelope to which the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In particular, since it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glass tubes already manufactured instead of the complicated operation such as bending the glass tube, there is a feature of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y eliminating the need for highly skilled work.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light efficiency is improved due to the surface treatment applied to the envelope.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Specific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embodi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형광 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전극 형광 램프는 제1 유리직관(501), 제2 유리직관(502), 2개의 유리U관(503), 트랜스포머 코어(504)와 트랜스포머 코어(504) 상에 배치되는 입력선(505), 전원 소스(50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리직관(501)과 제2 유리직관(502) 및 2개의 유리U관(503)은 접합되어 하나의 엔벨로프(510)를 형성한다.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is disposed on a
상기 제1 유리직관(501) 및 제2 유리직관(502)은 높은 수준의 실링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균일한 두께로 제작되는 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lass
상기 유리U관(503)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직관(501)의 일단을 향하는 제1 평행부(503a)와 상기 제2 유리직관(502)의 일단을 향하는 제2 평행부(503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평행부(503a)와 제2 평행부(503b)는 유리U관(503)의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제1 평행부(503a)와 제2 평행부(503b)는 중앙부(503c)로부터 굽혀져 평행하게 연장되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이하 이러한 형상을 갖는 유리관을 '유리U관' 이라 칭한다. 상기 유리 U관(503)은 'ㄷ' 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을 갖는 몰드(mold)를 통해 제작된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리직관(501) 및 제2 유리직관(50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직관이고 상기 유리U관(503)은 몰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리관이므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유리관을 제조하는데 유리관을 구부리는 등의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작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lass
상기 유리U관(503)은 복수 개 구비되어, 폐루프 형상의 램프 엔벨로프(510)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유리직관(501, 502)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유리직관(501, 502)의 일단은 두 개의 유리U관(503) 중 어느 하나에 접합되고, 상기 유리직관(501, 502)의 타단은 나머지 하나에 접합된다. A plurality of
상기 엔벨로프(510)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에는 표면 처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램프 엔벨로프(510)에 적용되는 표면 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urface treatment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엔벨로프(510)에 적용되는 표면 처리는 특정한 제1 방향을 향하는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한 제1 방향을 향하는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에 표면 처리가 적용되는 경우, 표면 처리에 의해 빛 투과율이 감소하고 빛 반사율이 증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향하던 빛이 반사된다. 즉, 상기 표면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감소하고 나머지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이 증가한다. The surface treatment applied to the
상기 표면 처리는 화학적 방법 또는 기계적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벨로프(510)의 내측 표면에는 화학적 방법에 따라 표면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엔벨로프(510)의 외측 표면에는 기계적 방법에 따라 표면 처리가 수행된다. 우선, 화학적 방법에 따라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urface treatmen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chemical or mechanical methods.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폐루프 형상의 램프 엔벨로프(510)를 이루는 유리직관(501, 502)과 두 개의 유리U관(5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 표면에는 표면 처리가 적용된다. 상기 유리부재(501, 502, 503)의 내측 표면에 적용되는 표면처리는 'GFro' 등의 유리 식각 용액(즉, 에칭 용액)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GFro' 용액은 비불소계 에칭 용액으로 인체에 무해한 용액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에칭 용액을 섭씨 25 내지 35도 온도로 유지시키고, 표면 처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유리부재(501, 502, 503)의 내측 표면에 용액에 공급한다. 20 내지 30분 가량의 처리 후 물로 세척하여 표면처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유리부재(501, 502, 503)의 유리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glass
화학적 방법에 따라 표면 처리를 수행하면, 상대적으로 더욱 균일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으며, 각지거나 모서리진 부분에도 균일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If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hemical metho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relatively more uniform surface treatment, there is an advantage to perform a uniform surface treatment even in corners or corners.
도 6a 및 도 6b는 유리직관(501)의 내측 표면에 표면 처리가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는 표면 처리가 적용된 유리직관(501)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유리직관(501)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직관(501)의 내측 표면은 표면 처리에 의해 형성된 식각면(710)과 표면 처리되지 않은 내측면(700)으로 구분된다. 상기 식각면(710)과 내측면(700)에는 추가적으로 형광물질(720, 730)이 도포된다. 6A and 6B show an example in which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6과 같이 내측 표면에 표면 처리가 적용되면, 표면 처리가 적용된 면의 반사율이 높아져서 표면 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방향으로 빛이 집중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 6, the reflectanc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is increased, so that light is concent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treatment is not applied.
또한, 식각면(710) 표면의 굴곡으로 인하여 상기 식각면(710)에 도포된 형광물질(720)의 밀도가 특정한 부분에서 증가하여 광효율이 개선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동일한 자외선이 투과되는 경우 형광물질의 밀도가 높을수록 방사되는 가시광선이 증가한다. 따라서, 식각면(710) 표면의 상태에 따라 형광물질(720)의 밀도가 특정한 부분에서 밀하게 도포되는 경우, 밀하게 도포된 부분에서 더 많은 가시광선이 방사되어 광효율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도 7a 및 도 7b는 유리U관(503)의 내측 표면에 표면 처리가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 7a는 표면 처리가 적용된 유리U관(503)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유리U관(503)의 단면도이다. 7A and 7B show an example in which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7과 같은 형상으로 표면 처리가 적용되는 경우, 도 6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표면 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방향으로 빛이 집중되고 광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7, like the structure of FIG. 6, light is concent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treatment is not applied and light efficiency is improved.
상술한 표면 처리는 제1 방향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특정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에 표면처리가 적용되는 일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벨로프(510)가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향하던 빛이 반사되고 나머지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이 증가하여 조명이 한 방향으로 집중된다. The above-mentioned surface treatment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facing in the first direction. 8 is an example in which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an inner surface facing in a specific first direction. As illustrated, when the
유리 부재의 특정 면에만 식각면(220)을 생성시키는 부분 식각의 경우, 식각이 필요없는 면에는 왁스 등의 레지스트 막을 코팅하여 일부 면에 대해서만 부분 식각을 처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partial etching in which the etching surface 220 is formed only on a specific surface of the glass member, a partial etching may be performed on only some surfaces by coating a resist film such as wax on the surface where the etching is not required.
상기 표면 처리는 기계적 방법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기계적인 방법은 유리 부재(501, 502, 503)의 외측 표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인 방법으로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 고속 샌드페이퍼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The surface treatment may also be performed by a mechanical method. The mechanical method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9는 기계적인 방법에 따라 유리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에 제시된 방향으로 유리 부재(501, 502, 503)의 외측 표면 중 일부를 글라인더, 사포 등의 연마제를 사용하여 표면에 대한 연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기계적인 표면 처리 방법의 경우, 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학적인 표면 처리 방 법에 비하여 표면 처리가 불균일하다는 단점이 있다. 9 shows a method of treating a glass surface according to a mechanical metho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이하, 상기 표면 처리가 적용된 유리부재(501, 502, 503)를 조립하여 도 5와 같은 엔벨로프(510)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the
엔벨로프(510)를 조립하게 위해 제1 유리직관(501) 및 제2 유리직관(502)과 두 개의 유리U관을 준비한다. 이후, 어느 하나의 유리U관(503)의 제1 평행부(503a)와 제2 평행부(503b)에 상기 유리직관(501)을 차례로 끼워 접합한다. 이후, 나머지 하나의 유리U관의 제1 평행부 및 제2 평행부에 상기 유리직관(501, 502)들을 동시에 끼워 접합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무전극형광램프용 엔벨로프(5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In order to assemble the
상기 유리U관의 중앙부(503c) 둘레에는 트랜스포머 코어(504)가 배치되고, 상기 트랜스포머 코어(504) 상에는 입력선(505)이 배치된다. 상기 트랜스포머 코어(504)는 자속을 발생하기 위한 부재로서,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자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 코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소스(506)는 입력선(505)을 통해 고주파 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고주파 에너지는 램프 엔벨로프 내에 방전이 발생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코일로 입력되는 RF 전류에 의해 자속이 발생하며, 이 자속은 램프 엔벨로프(510)를 따라 방전이 유지되는 전압을 유도한다. 램프 엔벨로프(510) 내에서의 방전은 자외선을 방사하고, 이 자외선은 도포된 발광물질을 자극하여 가시광선의 방사가 유발된다. A
도 5의 구조에 따르면 유리관들이 접합된 부분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된 중앙부(503c)의 둘레에 트랜스포머 코어(503)가 배치된다. 유리관들이 접합되는 경우 에, 접합된 부분의 둘레가 트랜스포머 코어(504)의 내경보다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리U관(503)을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인 트랜스포머 코어(503)의 내경에 정확하게 맞도록 유리관의 크기를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유리U관(503)과 트랜스포머 코어(504)를 밀착시켜 트랜스포머 코어(504)를 정확히 위치시키며, 자속을 효율적으로 램프 엔벨로프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FIG. 5, the
또한, 도 5의 구조에 따르면, 제1 유리직관(501)과 제2 유리직관(502)은 유리U관의 양단 즉,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에 접합되는데, 이 경우 유리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되는 제1 유리직관(501)과 제2 유리직관(502)을 상기 유리U관의 양단(503a, 503b)에 접착시키는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의 경우, 유리관을 구부리고 돔과 블리스터 형상을 만들고, 두 개의 유리관을 용융시켜 접합하는데 숙련된 기술과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트랜스포머 코어가 위치하는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리U관을 사용하며, 유리U관과 유리직관을 유리접착제를 통해 접착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숙련된 기술과 많은 시간의 투여 없이도 종래에 상응하는 손쉽게 램프 엔벨로프를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FIG. 5, the first glass
상기 유리접착제는 바람직하게 프릿 글래스(frit glass)이다. 프릿 글래스의 경우, 고체인 바인더(주로 니트로 셀룰로오스(Nitro Cellulose: NC)가 사용됨)와 액체인 용매(주로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BCA)가 사용되며, 바인더와 용매가 혼합된 용액을 비히클(vehicle)이라 부른다. 이러한 비히클 은 주로 PbO 계열 또는 P2O5 계열의 파우더와 결합하여 프릿 글래스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우더는, PbO 계열의 경우 예를 들어, PbO, ZnO, B2O3, BaO 및 SiO2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구성 성분의 양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또한 P2O5 계열의 경우에 사용되는 주성분은 예를 들어 P2O5, ZnO, BaO, Al2O3, 및 SiO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 성분의 양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The glass adhesive is preferably frit glass. In the case of frit glass, a solid binder (usually Nitro Cellulose (NC)) and a liquid solvent (mainly Butyl Carbitol Acetate (BCA)) are used. The vehicle is mainly combined with PbO-based or P 2 O 5 -based powders to form frit glass. Specifically, the pow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PbO, ZnO, B 2 O 3 , BaO and SiO 2 Or the like, and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main component used in the case of the P 2 O 5 series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P 2 O 5 , ZnO, BaO, Al 2 O 3 , and SiO 2 , the amount of the compon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It will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유리U관(503)이 접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유리U관(503)에 구비되는 식각면과 형광물질을 생략하고 설명하나, 상기 유리부재(501, 502, 503)들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에는 표면처리에 의한 식각면이 구비된다.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도 10은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유리U관(503)이 접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리직관(501)은 유리U관의 제1 평행부(503a)에 접합되고, 제2 유리직관(502)은 유리U관의 제2 평행부(503b)에 접합된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제1 평행부(503a)와 제1 유리직관(501)의 일단은 암수맞춤결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암수맞춤결합이라 함은 서로 다른 크기의 유리관들이 접촉면을 통해 끼워지는 형상으로 접합되는 것을 말한다. 암수맞춤결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 상에 형성되는 프릿 글래스(601)를 통해 제1 평행부(503a)와 제1 유리직관(501)의 일단이 결합하도록, 제1 평행 부(503a)의 직경과 제1 유리직관(501)의 직경이 적절하게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높은 수준의 실링을 위해서는 제1 유리직관(501)의 단면의 형상은 제1 평행부(503a)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고, 제2 유리직관(502)의 단면의 형상은 제2 평행부(503b)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리직관(501)의 단면의 크기는 제1 평행부(503a)의 단면의 크기와 상이하며, 제2 유리직관(502)의 단면의 크기는 제2 평행부(503b)의 단면의 크기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For a high level of sealing,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상술한 특징에 의해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은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에 끼워지는 방식, 즉 압수맞춤결합관계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프릿 글래스를 통해 유리직관(501, 502)과 평행부(503a, 503b)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502) 각각의 결합부에 프릿 글래스(601)를 주입한 후,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에 끼우고, 프릿 글래스(601)가 응고되는 온도인 400℃∼650℃의 고온에서 수 내지 수십 분간 가열하여 상기 프릿 글래스(601)를 응고시킨다. By the above-described feature, the first and second glass
도 11a는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유리U관(503)이 접합하는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1A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리직관(501)과 제2 유리직관(502)의 외주면 상에는 요철(501a, 502a)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501a, 502a) 형상은,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 으며, 톱니 모양이나 그르부(groove)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요철(501a, 502a) 형상은 외주면 상에 스크래치를 주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As show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glass
상기 요철(501a, 502a) 형상으로 인해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프릿 글래스(601)에 의한 접착력이 더욱 증가한다. Due to the
도 11b는 도 11a의 일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의 일례는 요철 형상이 제1 평행부(503a)와 제2 평행부(503b)에 형성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FIG. 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example of FIG. 11A. FIG. 11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neven shape is formed in the first
도 12는 도 6의 일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의 단면의 크기가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to the example of FIG. 6. As show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and
도 13a 및 도 13b는 도 7a 및 도 7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의 단면의 크기가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에 비해 더 큰 경우, 요철 형상은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의 내주면에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13A and 13B are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FIGS. 7A and 7B. As shown, when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and
도 14는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평행부(503a, 503b)의 일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 유리직관이 (501, 502)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14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t is possible to form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도 10 내지 도 14의 형상으로 접합된 유리U관에는 도 15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11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의 형상으로 형성된 램프 엔 벨로프는 불활성 가스를 사용한 플러싱(flushing)과 배기의 반복된 주기를 겪게 된다. 크립톤 등의 최종 중진 가스는 소정의 압력으로 유입되며, 소량의 수은과 아말감 등이 유입되고 상기 배기관(1101)은 마감처리(tip-off)된다. At least one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은 긴 수명과 향상된 조명 효과로 주목받고 있는 무전극 형광 램프에 관한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인정됨이 타당하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for its long life and improved lighting effect, it is reasonable that industrial applicability is recognized.
도 1은 종래의 엔벨로프 타입의 무전극 형광 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of a conventional envelope type.
도 2 및 도 3은 종래에 제안된 램프 엔벨로프를 위해 사용되는 유리관을 나타낸다.2 and 3 show a glass tube used for a lamp envelope proposed in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의 램프 엔벨로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mp envelope.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형광 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a 및 도 6b는 유리직관(501)의 내측 표면에 표면 처리가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다.6A and 6B show an example in which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7a 및 도 7b는 유리U관(503)의 내측 표면에 표면 처리가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다.7A and 7B show an example in which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8은 특정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에 표면처리가 적용되는 일례이다. 8 is an example in which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an inner surface facing in a specific first direction.
도 9는 기계적인 방법에 따라 유리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9 shows a method of treating a glass surface according to a mechanical method.
도 10은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유리U관(503)이 접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도 11a는 제1 및 제2 유리직관(501, 502)과 유리U관(503)이 접합하는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1A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도 11b는 도 11a의 일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example of FIG. 11A. FIG.
도 12는 도 10의 일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to the example of FIG. 10.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a 및 도 11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A and 13B are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FIGS. 11A and 11B.
도 14는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5는 유리U관에 형성되는 배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haust pipe formed in glass U tub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169A KR100917017B1 (en) | 2008-01-08 | 2008-01-08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with surface proces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169A KR100917017B1 (en) | 2008-01-08 | 2008-01-08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with surface process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6301A KR20090076301A (en) | 2009-07-13 |
KR100917017B1 true KR100917017B1 (en) | 2009-09-10 |
Family
ID=4133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2169A KR100917017B1 (en) | 2008-01-08 | 2008-01-08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with surface proces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70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962591T3 (en) * | 2016-03-21 | 2024-03-20 | Teslo Pty Ltd | Lamp comprising multi-component designs and construction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7069A (en) * | 1996-05-22 | 1997-12-12 | 조셉 에스. 로마나우 | Closed loop tubular lamp se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40005923A (en) * | 2001-04-17 | 2004-01-16 | 강성진 |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having a 3-dimensional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50060990A (en) * | 2003-12-17 | 2005-06-22 | 정영일 | Inductively coupling electrodeless fluorescent tubular lamp envel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2008
- 2008-01-08 KR KR1020080002169A patent/KR10091701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7069A (en) * | 1996-05-22 | 1997-12-12 | 조셉 에스. 로마나우 | Closed loop tubular lamp se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40005923A (en) * | 2001-04-17 | 2004-01-16 | 강성진 |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having a 3-dimensional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50060990A (en) * | 2003-12-17 | 2005-06-22 | 정영일 | Inductively coupling electrodeless fluorescent tubular lamp envel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6301A (en) | 2009-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32961A (en) | Closed-loop tubular lamp envel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KR100917017B1 (en)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with surface processing | |
KR100884415B1 (en) |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having a 3-dimensional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912666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 |
KR102440473B1 (en) | Lamps with multiple component designs and structures | |
WO1999049496A1 (en) | Fluorescent lamp | |
KR101247659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dual-typ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
KR101951983B1 (en) | Short arc type flash lamp with both ends sealed | |
JPH1097839A (en) | Electric bulb type fluorescent lamp | |
KR10165965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ulb assembly for indium bromide plasma lighting system and bulb assembly for plasma lighting system and light generation device using a metal halogen | |
KR101070848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dual-typ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
KR100827286B1 (en) | Dual-typ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
JP2005174712A (en)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pparatus | |
JP4798009B2 (en) |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apparatus and lighting fixture | |
KR101644552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one bulb type hermetic seal ceramic arc tube | |
WO2017000086A1 (en) | Lighting fixture having ceramic-glass composite electrode | |
KR100894509B1 (en)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 |
KR100894507B1 (en) |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bulb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402465B2 (en) | Discharge tube manufacturing method | |
JP2012169090A (en) | Ultraviolet lamp | |
JP2008186607A (en) |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device and lighting fixture | |
KR20060008388A (en) | Fluorescent lamp having double glass tubes and method thereof | |
JPH01292742A (en) |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 |
JPH10199484A (en) | Lamp and rare gas discharge lamp and manufacture therefor | |
KR20060124918A (en) | Dual-typ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