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971B1 -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971B1
KR100916971B1 KR1020090005879A KR20090005879A KR100916971B1 KR 100916971 B1 KR100916971 B1 KR 100916971B1 KR 1020090005879 A KR1020090005879 A KR 1020090005879A KR 20090005879 A KR20090005879 A KR 20090005879A KR 100916971 B1 KR100916971 B1 KR 10091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iring pin
protrusion
safety devi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최의중
여운주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0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기에 장착된 장치로써 화기의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실로 탄창의 탄약을 왕복 슬라이딩하여 밀어넣는 노리쇠, 및 노리쇠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연장부에 회동(回動)가능하게 끼워지는 노리쇠집과, 상기 노리쇠 및 상기 끼움연장부 및 상기 노리쇠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그 일단이 상기 노리쇠의 공이돌출공으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고, 그 타단이 상기 노리쇠집의 후미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는 공이와, 방아쇠 당김시 상기 공이의 상기 타단을 타격하여 상기 공이의 상기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공이치기를 포함하는 개인화기나 공용화기에 장착되는 공이작동 안전장치로서, 상기 공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공이돌출부와,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돌출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에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이돌출부가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에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개인화기, 공용화기, 공이, 격발안전장치, 노리쇠, 노리쇠뭉치, 노리쇠집

Description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SAFETY MEANS OF OPERATION OF FIRING PIN FOR PREVENTING ABNORMAL PERCUSSION}
본 발명은 화기에 장착된 장치로써 화기의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노리쇠와 공이의 형상에 의해 노리쇠가 약실에 완전히 잠겨있는 상태에서만 공이치기의 타격에 의한 공이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단순한 원리 및 구조에 의해 경량화된 화기 안전 설계를 가능케 하였다.
우선, 휴대형 개인화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소총에 탄창이 장착되어, 노리쇠집을 후퇴시켰다가 밀어넣게 되면 노리쇠집 앞의 노리쇠가 탄을 물어 약실에 장전한다. 격발전 노리쇠는 잠긴 상태, 즉 약실에 밀착된 상태에 있다.
방아쇠를 당기면 공이치기(해머)가 노리쇠집에 끼워진 공이의 뒷부분을 치고, 노리쇠의 약실쪽 전면에 형성된 공이구멍으로부터 출몰하는 공이 앞부분이 탄의 뇌관을 치게 된다. 이렇게 격발이 되면 탄자가 총열을 통과하게 되는데, 총열의 중간 쯤에 가스포트가 있어 탄자가 가스포트를 지나가면 가스가 가스포트로 주입된 다. 피스톤이나 튜브를 통해 전달된 가스압이 상기 노리쇠집을 후퇴시킨다. 이때, 노리쇠집이 후퇴하면서 노리쇠의 폐쇄가 해제된다.
이어서, 노리쇠의 폐쇄가 해제되면 탄피를 물고 있는 노리쇠가 노리쇠집과 함께 후퇴한다. 노리쇠가 탄피배출구를 지날 때 차개에 의해 탄피배출이 일어나며, 노리쇠의 뒷부분이 공이치기를 당긴다(cocking). 이어서, 노리쇠와 노리쇠집의 후퇴가 끝난 후, 용수철의 힘으로 노리쇠와 노리쇠집이 전진하면서 탄창의 탄을 약실에 밀어넣음으로써 재장전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화기류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안전수단으로는 방아쇠 잠금수단이 주류인데, 방아쇠 잠금기능이 작동할 때는 방아쇠가 당겨지지 않아 격발이 일어나지 않으며, 안전 잠금기능을 해제하면 방아쇠를 당길 수 있고 격발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또다른 안전수단으로서, 노리쇠가 완전히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노리쇠가 노리쇠집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 상태에 있고, 노리쇠집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량 빠져나오게 되므로 공이치기가 공이를 타격하더라도 공이가 탄약의 뇌관을 타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는 노리쇠가 약실에 완전히 잠겨서 노리쇠가 노리쇠집으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에서만 공이가 탄약의 뇌관을 타격할 수 있도록 공이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기의 종류에 따라, 노리쇠가 노리쇠집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상대적인 회전만 할 수 있는 화기에 있어서는 노리쇠가 약실에 완전히 잠겨있지 않은 상태에서 방아쇠를 당겨 탄을 발사할 경우, 노리쇠가 후퇴하면서 고온, 고압의 추진가스가 약실로부터 탄피방출구를 통해 빠져나와 그로 인해 사수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 화기류의 안전장치와 차별화하여 노리쇠가 약실에 완전히 잠겨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이치기가 공이를 타격하더라도 노리쇠와 공이의 형상으로 인해 공이작동이 제한되어 공이가 탄약의 뇌관을 타격할 수 없도록 하고, 신뢰성이 높으면서 단순한 구조 및 원리의 적용을 통해 화기 안전 설계시 경량화를 가능케 하는 안전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두가 통과하는 총열과, 상기 총열의 후미에 위치하여 탄약이 장착되는 약실과, 상기 약실로 탄창의 탄약을 왕복 슬라이딩하여 밀어넣는 노리쇠 및 노리쇠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연장부와, 상기 끼움연장부에 회동(回動)가능하게 끼워지는 노리쇠집과, 상기 노리쇠 및 상기 끼움연장부 및 상기 노리쇠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그 일단(一端)이 상기 노리쇠의 공이돌출공으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고, 그 타단(他端)이 상기 노리쇠집의 후미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는 공이와, 방아쇠 당김시 상기 공이의 상기 타단을 타격하여 상기 공이의 상기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공이치기를 포함하는 개인화기나 공용화기에 장착되는 공이작동 안전장치로서, 상기 공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공이돌출부와,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돌출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이돌출부가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상에서 상기 수용홈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노리쇠의 공이돌출공으로부터의 상기 공이의 돌출길이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공이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공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사각 단면의 막대형상이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공이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오목한 사각홈이다.
또한, 상기 공이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공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사각 단면의 +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이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공이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오목한 사각 단면의 +자 홈 또는 방사형상 홈이다.
본 발명의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는 신뢰성이 높으면서 단순한 작동구조 및 원리의 적용을 통해 화기 안전 설계시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공이작동 안전장치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노리쇠(1)와 노리쇠집(2)은, 노리쇠(1)의 끼움연장부(12), 그리고 핀(도시 안 함)을 통해 결합되며, 총몸(도시 안됨) 내부에서 노리쇠(1)는 노리쇠집(2)에 대 해 상대적으로 회동(回動)이 가능하다.
공이(3)는 노리쇠(1)와 노리쇠집(2) 내부에 조립되며, 상기 공이(3)와 상기 노리쇠(1) 사이에는 스프링(도시 안됨)이 압축된 상태로 조립되어 공이치기(도시 안함)의 타격이 없을 경우에는 공이(3)가 스프링력에 의해 후퇴되도록 하여 격발시 이외에는 공이(3) 끝단이 노리쇠(1)의 공이돌출공(9)으로부터 빠져나와 탄약의 뇌관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이(3)와 상기 노리쇠집(2) 사이에는 공이 멈춤핀(도시 안됨)이 조립되어 상기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공이(3)가 노리쇠(1) 및 노리쇠집(2) 내부로부터 후퇴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는 공이(3)의 단부가 공이돌출공(9)으로부터 돌출할 수 없도록 한 잠금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공이(3)의 후단(後端)이 노리쇠집(2) 밖으로 후진된 것을 나타내는 노리쇠(1) 및 노리쇠집(2)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공이(3)의 잠금상태와 장전손잡이(4)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공이(3)의 잠금상태시에 노리쇠면(10)과 노리쇠집면(11)이 나란하게 이어져서 하나의 면을 이루고 있고, 공이(3)의 끝단이 돌출되지 않은 공이돌출공(9)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1(d)는 공이(3)의 잠금상태시에 공이(3)의 후단이 노리쇠집(2)으로부터 후진된 양상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노리쇠집(2)을 제거하고 노리쇠(1)만 나타내는 것으로, 끼움연장부(12) 단부의 걸림턱(7)과 공이돌출부(6)의 간섭을 설명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상기 장전손잡이(4)가 도 1 및 도 2와 같은 위치에 있어 노리쇠(1)가 약실(도시 안됨)에 완전히 잠겨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이치기가 공이(3)를 타격하더라도, 공이돌출부(6)와 걸림턱(7) 간의 간섭으로 인해 공이(3)의 전진이 중단되게 되어 탄약의 뇌관을 타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공이(3)의 단부가 공이돌출공(9)을 돌출하여 탄약의 뇌관을 타격할 수 있는 잠금해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공이치기(도시 안함)에 의해 공이(3)가 노리쇠집(2) 안으로 전진되어 도 1(a)에 비해 공이(3)의 후단이 밀려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노리쇠 및 노리쇠집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공이(3)의 잠금해제상태와 장전손잡이(4)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c)는 공이(3)의 잠금해제상태시에 노리쇠면(10)과 노리쇠집면(11)이 일치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 있으며, 공이(3)의 끝단이 공이돌출공(9)으로부터 돌출한 것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노리쇠집(2)을 제거하고 노리쇠(1)만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공이돌출부(6)가 수용홈(8)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1)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b)는 공이돌출부(6)가 수용홈(8)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1)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4(c)는 공이돌출부(6)가 수용홈(8)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1)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이돌출부(6)의 형상을 공이와 직교하는 사각 단면의 막대형상으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수용홈(8)의 형상도 사각 단면의 홈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합되는 각 단면형상을 반원형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공이돌출부(6)의 개수도 공이와 직교하는 한 복수로 형성하여 +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전손잡이(4)가 도 3 및 4의 위치에 있을 경우, 즉 노리쇠(1)가 약실에 완전히 잠겨있는 상태에서는, 공이돌출부(6)가 걸림턱(7)와의 간섭 없이 노리쇠(1)의 수용홈(8)으로 전진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공이치기의 공이(3) 타격에 의해 공이(3)가 전진하여 탄약의 뇌관을 타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참고로 사격 후 장전손잡이(4)를 도 3 (c)의 위치에서 도 1 (c)의 위치로 돌려서 노리쇠면(10)과 노리쇠집면(11)이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하면, 노리쇠(1)가 약실에 잠겨 있는 상태에서 완전히 해제되어 노리쇠 걸림턱(5)이 약실로부터의 구속을 벗어나게 되므로 노리쇠(1) 및 노리쇠집(2) 후퇴시 탄피(도시 안함)방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의 안전장치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공이 후단의 후진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 및 노리쇠집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공이의 잠금상태와 장전손잡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공이의 잠금상태시에 노리쇠면과 노리쇠집면이 동일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1(d)는 공이의 잠금상태시에 공이 후단의 후진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의 노리쇠를 나타내는 것으로, 끼움연장부 단부의 걸림턱과 공이돌출부의 간섭을 설명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의 안전장치의 잠금해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공이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 및 노리쇠집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공이의 잠금해제상태와 장전손잡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c)는 공이의 잠금해제상태시에 노리쇠면과 노리쇠집면의 불일치한 양상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의 노리쇠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공이돌출부가 수용홈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b)는 공이돌출부가 수용홈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4(c)는 공이돌출부가 수용홈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노리쇠의 후방 사시도이다.

Claims (4)

  1. 탄두가 통과하는 총열과, 상기 총열의 후미에 위치하여 탄약이 장착되는 약실과, 상기 약실로 탄창의 탄약을 왕복 슬라이딩하여 밀어넣는 노리쇠 및 노리쇠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연장부와, 상기 끼움연장부에 회동(回動)가능하게 끼워지는 노리쇠집과, 상기 노리쇠 및 상기 끼움연장부 및 상기 노리쇠집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그 일단(一端)이 상기 노리쇠의 공이돌출공으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고, 그 타단(他端)이 상기 노리쇠집의 후미로부터 돌출 및 수납되는 공이와, 방아쇠 당김시 상기 공이의 상기 타단을 타격하여 상기 공이의 상기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공이치기를 포함하는 개인화기나 공용화기에 장착되는 공이작동 안전장치로서,
    상기 공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공이돌출부와,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돌출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이돌출부가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연장부의 단부 상에서 상기 수용홈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노리쇠의 공이돌출공으로부터의 상기 공이의 돌출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공이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사각 단면의 막대형상이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공이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오목한 사각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공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사각 단면의 +자형상 또는 방사형상이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공이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오목한 사각 단면의 +자 홈 또는 방사형상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KR1020090005879A 2009-01-23 2009-01-23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KR10091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79A KR100916971B1 (ko) 2009-01-23 2009-01-23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79A KR100916971B1 (ko) 2009-01-23 2009-01-23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971B1 true KR100916971B1 (ko) 2009-09-14

Family

ID=4135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879A KR100916971B1 (ko) 2009-01-23 2009-01-23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9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58B1 (ko) 2011-05-18 2013-07-05 현대위아 주식회사 격침 분리 장치
KR101394457B1 (ko) 2012-07-12 2014-05-13 노유선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착탈형 부력방지장치
KR200490044Y1 (ko) 2018-09-27 2019-09-16 (주)가성테크 노리쇠 안전핀
KR200490043Y1 (ko) 2018-11-02 2019-09-16 (주)가성테크 노리쇠 안전핀
KR20200097996A (ko) * 2019-02-11 2020-08-20 대한민국(경찰청장) 기관단총용 멀티형 장전손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01A (ko) * 2002-01-10 2004-12-02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권총용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01A (ko) * 2002-01-10 2004-12-02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권총용 안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58B1 (ko) 2011-05-18 2013-07-05 현대위아 주식회사 격침 분리 장치
KR101394457B1 (ko) 2012-07-12 2014-05-13 노유선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착탈형 부력방지장치
KR200490044Y1 (ko) 2018-09-27 2019-09-16 (주)가성테크 노리쇠 안전핀
KR200490043Y1 (ko) 2018-11-02 2019-09-16 (주)가성테크 노리쇠 안전핀
KR20200097996A (ko) * 2019-02-11 2020-08-20 대한민국(경찰청장) 기관단총용 멀티형 장전손잡이
KR102146950B1 (ko) * 2019-02-11 2020-08-21 대한민국 기관단총용 멀티형 장전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980B2 (en) Compact semi-automatic firearm
TWI489078B (zh) 玩具槍
US6782791B2 (en) Semiautomatic or automatic gun
US6470615B1 (en) Visible firearm safety and dry-fire device
JP4363656B2 (ja) 射撃訓練用の模擬火器
US5502914A (en) Striker cocking and firing mechanism for a handgun
KR100916971B1 (ko) 비정상 격발방지를 위한 공이작동 안전장치
US20170268843A1 (en) Semi-automatic firearm trigger mechanism and safety device
CA2653036C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7065913B2 (en) Muzzle-loading firearm with pivoting block action
RU2307992C1 (ru) Боевое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короткоствольное оружие (варианты)
US20120204712A1 (en) Dual action shotgun
US11313635B2 (en) Lever-coupled device for selectively preventing a firearm from discharging
US9429386B2 (en) Advanced muzzleloader system
KR101763240B1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WO2016060774A2 (en) Modular compact semi-automatic firearm
USH144H (en) Weapon trigger and sear mechanism
US10234222B2 (en) Single 40 mm projectile launcher
US20170299324A1 (en) Flare Gun
KR20100108852A (ko) 나선형 홈을 가진 회전식 노리쇠
RU2672837C2 (ru) Ружье с ударным механизмом
KR960001444B1 (ko) 곡사포용 뇌관격발장치
KR100726193B1 (ko) 회전노리쇠 잠금 단반동식 발사장치
RU207692U1 (ru) Безоткат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без обратного скольжения с магазинным питанием
JPH0741292U (ja) 玩具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