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799B1 -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799B1
KR100916799B1 KR1020090034107A KR20090034107A KR100916799B1 KR 100916799 B1 KR100916799 B1 KR 100916799B1 KR 1020090034107 A KR1020090034107 A KR 1020090034107A KR 20090034107 A KR20090034107 A KR 20090034107A KR 100916799 B1 KR100916799 B1 KR 10091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lamp
luminaire
fluorescent
fluorescent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구연
고세영
Original Assignee
청우전자(주)
채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전자(주), 채구연 filed Critical 청우전자(주)
Priority to KR102009003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를 제어할 경우 하나의 조명등을 주변온도나 다른 조명등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혼합된 EMI를 제거하고,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EMI 필터 및 정류부와,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역률을 보상하여 형광램프에 양질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률 보상부와, 상기 형광램프를 점소등하고, 등기구를 이루는 형광램프의 수만큼 구비되어 외부의 메인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안정기 구동회로와, 상기 안정기 구동회로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으로 하나의 등기구를 이루는 다수의 형광램프 점소등을 각각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다른 직류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안정기 구동회로와 메인 제어부에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34107
다등용, 등기구, 개별 제어, 온도.

Description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ntrolling System of Lamp Apparatus for Multi-Lamp and Method}
본 발명은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를 제어할 경우 하나의 조명등을 주변온도나 다른 조명등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조명등이 여러 종류 있으나, 이 중에서 전력소모가 적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조명성능이 우수한 형광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조명등으로 형광등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는 상용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 후, 고주파 변환회로를 이용하여 40 ~ 110KHz의 고주파로 변환해서 형광등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 연결하여 이루어진 등기구를 하나의 안정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였다.
이에 따라 병렬 연결된 2개 이상의 형광등의 점등과 소등이 하나의 안정기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하나의 등기구를 이루는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동시에 점등하 거나 소등할 수 있지만 각각 구별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는 없었다.
이때 각 형광등의 와트를 달리하여 조명을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와트가 다른 형광등이 병렬 연결되어 등기구가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형광등 하나에 안정기 하나를 일 대 일로 구비하여 하나의 안정기로 하나의 형광등을 점등과 소등할 수도 있지만, 이는 상기 형광등을 병렬 연결하는 것보다 비용이 30 ~ 40% 더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를 제어할 경우 하나의 조명등을 주변온도나 다른 조명등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혼합된 EMI를 제거하고,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EMI 필터 및 정류부와,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역률을 보상하여 형광램프에 양질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률 보상부와, 상기 형광램프를 점소등하고, 등기구를 이루는 형광램프의 수만큼 구비되어 외부의 메인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안정기 구동회로와, 상기 안정기 구동회로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으로 하나의 등기구를 이루는 다수의 형광램프 점소등을 각각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다른 직류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안정기 구동회로와 메인 제어부에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등용 등기구 제어방법은, 메인 제어부에서 다등(다수의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가 점등 조건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점등 조건인 경우 등기구를 이루는 조명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명등을 점등하는 단계 와, 상기 점등된 조명등이 수명을 다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점등된 조명등이 고장인 경우에 점등되지 않았던 조명등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점등된 조명등이 고장이 아니고 검출한 주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점등된 조명등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면서 점등되지 않았던 조명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수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를 제어할 경우 하나의 조명등을 주변온도나 다른 조명등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등기구를 이루는 다수의 조명등을 동시에 수십% 디밍하는 것보다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특히 등기구가 2개의 형광램프로 이루어진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MI 필터 및 정류부(10), 역률 보상부(20), 보조 전원부(30), 메인 제어부(40), 리모컨(50)과 안정기 구동회로(200,300) 2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광램프 3개 이상으로 등기구를 구성하여 제어하려는 경우는 형광램프의 수만큼 안정기 구동회로를 마련해서, 각 인버터부는 역률 보상부(20) 및 보조 전원부(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각 제어부는 보조 전원부(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40)를 무선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하면 된다.
EMI 필터 및 정류부(10)에서 EMI 필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혼합된 EMI(Electronic Magnetic Interference) 및 고주파를 제거하여 고주파가 인입 전원 측에 흘러들어가거나 발산되지 않도록 하고, 정류부는 EMI 필터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콘덴서의 평활 기능을 통해 직류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맥류성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각 안정기 구동회로(200,300)의 구성과 동작은 동일하므로 안정기 구동회로(2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역률 보상부(20)는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1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역률을 보상하여 형광램프(240)에 양질의 유효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보조전원부(30)는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1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다른 직류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제어부(230,330), 메인 제어부(40) 및 인버터부(210,31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330)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은 5V로, 인버터부(210,310)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은 12V로, 메인 제어부(40)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은 18V로 각각 변환하여 공급한다.
안정기 구동회로(200)의 인버터부(210)는 상기 역률 보상부(20)로부터 직류전압(예를 들어 DC 400V)을 인가받아 고주파로 변환하여 2개의 FET(222,224)에 인 가한다.
상기 FET(222,224)는 인버터부(210)로부터 게이트에 인가되는 고주파에 의해 ON되어 상기 역률 보상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형광램프(240) 측으로 스위칭하여 형광램프(240)를 점등시킨다.
상기 형광램프(240)는 건물의 복도나, 각 층별 계단, 중/대형 사무실, 실내 주차장 등과 같이 비교적 광역의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을 조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2개 이상의 형광램프로 하나의 등기구를 만들어 제어하려는 것으로, 여기서는 도 1에서와 같이 형광램프(240,340) 2개로 등기구를 만들어 하나의 형광램프(240 또는 340)를 다른 하나의 형광램프(340 또는 240) 상태나 주변온도에 따라 점등하고 소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류는 두 FET(222,224)의 드레인과 소오스간 후단에 연결된 인덕터(L)와 콘덴서(C1)를 통해 형광램프(240)에 인가되고, 이때 제어부(230)는 FET(224)의 소스에 저항(R1)을 통해 접지하여 동작전력을, 상기 콘덴서(C1)에 저항(R2,R3)을 통해 접지하여 동작전압을, 형광램프(240)에 저항(R4)을 통해 접지하여 동작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형광램프(240)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다른 형광램프 제어부(230)와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신호의 릴레이 전송이 가능하고, 메인 제어부(40)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에는 형광램프(240)의 점소등 및 조도를 제어하는 조 도제어기(232), 인접된 제어부 또는 메인 제어부(40)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234), 상기 조도제어기(232)를 제어함과 동시에 무선 송수신부(234)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36)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30)는 형광램프(240) 교체시 형광램프(240) 양단의 동작전압과 형광램프(240)에 흐르는 동작전류로 형광램프(240)의 와트 및 형태를 검출한다.
상기 형광램프(240)의 와트는 예를 들어 직관형 18W, 32W, 36W, 55W 등이 있고, 형광램프(240)의 형태는 형상별과 구경별로 나눌 수 있는 바, 형상별로는 직관 형광램프(FL), 환형 형광램프(FCL), 콤팩트 형광램프(FPL)로 구분되고, 구경별로는 직경 28mm(T10), 직경 26mm(T8), 16mm(T5)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30)는 형광램프(240)의 와트와 형태를 검출하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메인 제어부(40)에 전송하고, 같은 등기구의 다른 안정기 구동회로(300)를 구성하는 제어부(330)에서도 형광램프(340)의 와트와 형태를 검출하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메인 제어부(40)에 전송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40)는 제어부(230,330)에서 보내온 형광램프(240,340)의 와트와 형태를 저장하고, 온도센서(42), 조도센서(44)와 모션센서(46)에서 검출한 주변의 온도, 조도 및 사물(사람)의 움직임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메인 제어부(40)는 상기 제어부(230,330)에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보내온 형광램프(240,340)의 와트 및 형태에 따라 온도나 조도 또는 모션을 참조하여 제어부(230,330)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40)는 제어부(230,330)와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서, 리모컨(50)과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30,3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무선 송수신부(40a)와, 상기 형광램프(240,340)의 와트 및 형태에 따라 온도, 조도와 모션 및 설정값을 참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40a)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이컴(40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40a)는 제어부(230,330)와의 통신을 위한 방식과 리모컨(50)과의 통신을 위한 방식을 다르게 구현하거나, 통신 방식이 같은 경우에는 주파수를 각기 다르게 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40)에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컨(50)은 최대/최소 조도 설정, 동작시간 설정, 조도센서 감도 설정, 등기구 제어 설정, 연계/단독 제어 설정, 설치장소 설정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리모컨의 설정 및 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50)은 하부의 설정부(51)와 상부의 표시부(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정부(51)에는 형광램프 제어를 형광램프 하나만 단독으로 하느냐 인접된 형광램프와 연계하여 하느냐를 선택하는 연계/단독 선택키(51a), 조도(최대, 최소) 설정, 동작시간 설정, 조도센서 감도 설정 또는 등기구 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키(51b), 설치장소가 주차장이냐 사무실이냐를 선택하는 설치장소 선택키(51c), 상기 기능 선택키(51b)를 누른 경우에 설정값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상하 조정키(51d), 형광램프를 점등할 때 사용하는 점등키(51e), 형광램프 를 소등할 때 사용하는 소등키(51f)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52)에는 평상시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중앙의 온도 표시부(52a), 좌측 상부에서 아래로 최대조도 지시부(52b), 최소조도 지시부(52c), 동작시간 지시부(52d), 조도센서 감도 지시부(52e), 등기구 제어 지시부(52f), 하부의 연계/단독 제어지시부(52g,52h), 우측 상부에서 아래로 전원 지시부(52i,52j), 설치장소 지시부(52k,52l)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설정부(51)에서 기능 선택키(51b)를 눌러 최대조도 설정을 선택하면 표시부(52)의 최대조도 지시부(52b)가 표시되고, 이후 상하 조정키(51d)를 누를 때마다 스텝별(예를 들어 전력 100% 기준으로 65% ~ 100% 사이에서 5% 단위)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상기 설정부(51)에서 기능 선택키(51b)를 눌러 최소조도 설정을 선택하면 표시부(52)의 최소조도 지시부(52c)가 표시되고, 이후 상하 조정키(51d)를 누를 때마다 스텝별(예를 들어 전력 100% 기준으로 35% ~ 65% 사이에서 5% 단위)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상기 설정부(51)에서 기능 선택키(51b)를 눌러 동작시간 설정을 선택하면 표시부(52)의 동작시간 지시부(52d)가 표시되고, 이후 상하 조정키(51d)를 누를 때마다 모션감지 후 동작시간(예를 들어 10, 20, 30초, 1, 3, 5, 10, 20, 30분)이 하나씩 선택된다.
상기 설정부(51)에서 기능 선택키(51b)를 눌러 조도센서 감도 설정을 선택하면 표시부(52)의 조도센서 감도 지시부(52e)가 표시되고, 이후 상하 조정키(51d)를 누를 때마다 조도센서 감도(예를 들어 0(Off), 20, 30, 40, 50, 60, 70, 80, 90, 100%)가 하나씩 선택된다.
여기서 감도 0%(Off)는 감도가 예민한 것으로 이와 같이 설정하면 낮에도 점등되고, 100%는 감도가 둔감한 것으로 이와 같이 설정하면 어두운 밤에만 점등된다.
상기 설정부(51)에서 기능 선택키(51b)를 눌러 등기구 제어 설정을 선택하면 표시부(52)의 등기구 제어 지시부(52f)가 표시되고, 이후 상하 조정키(51d)를 누를 때마다 한 조명램프가 소등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조명램프의 소등(On)과 점등(Off)이 교대로 선택된다.
상기 설정부(51)에서 연계/단독 제어선택키(51a)를 누르면 연계 제어와 단독 제어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면서 표시부(52)의 연계/단독 제어지시부(52g,52h)가 표시된다.
상기 연계 제어를 설정한 상태에서 형광램프마다 모션센서가 구비된 경우 한 형광램프의 모션센서가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해당 형광램프가 점등되면서 해당 형광램프에 이웃한 인접 모션센서가 점등되나, 단독 제어를 설정한 경우에는 해당 형광램프만 점등된다.
상기 설정부(51)에서 설치장소 선택키(51c)를 누르면 주차장과 사무실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면서 표시부(52)의 설치장소 지시부(52k,52l)가 표시된다.
상기 설치장소로 주차장이 설정된 경우 형광램프는 조도센서로 동작하지 않고 연계 제어하도록 설정되며, 사무실이 설정된 경우 형광램프는 조도센서로 동작 하고 단독 제어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도 1에서 등기구 제어를 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40)에 형광램프(240)는 점등하고, 형광램프(340)는 소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40)는 형광램프(240)의 와트 및 형태에 따라 제어부(230)에 점등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의 마이컴(236)에서 조도제어기(232)를 제어하여 형광램프(240)가 점등되나, 형광램프(340)는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형광램프(240)의 동작전압과 동작전류를 검출하여 형광램프(240)가 수명을 다하는 등의 고장이 발생했는 지 판단하고, 고장으로 판단한 경우에 이 사실을 메인 제어부(40)에 송신한다.
메인 제어부(40)에서는 이에 따라 제어부(230)에 소등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제어부(330)에 점등신호를 송신하여, 형광램프(240)는 소등하고 다른 형광램프(340)를 점등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40)는 형광램프(240)가 점등된 상태에서 온도센서(42)에서 보내온 주변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준온도보다 낮으면(주변온도가 낮으면(추우면) 형광램프의 밝기가 줄어드므로 한 형광램프의 점등만으로 밝기가 불충분함), 제어부(330)에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소등되어 있던 형광램프(340)를 점등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40)는 리모컨(50)에 의해 설정된 최대 조도값으로 디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부(230,330)에 송신하고, 제어부(230,330)에 구 비된 마이컴(236,336)의 조도제어에 따라 조도제어기(232,332)가 형광램프(240,340)로 공급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해당 형광램프(240,340)의 디밍을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개별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각 안정기 구동회로(200,300)의 제어부(230,330)는 형광램프 교체시 해당 형광램프(240,340)를 점등하여 그때의 작동전압과 작동전류로 형광램프(240,340)의 와트 및 형태를 검출하고 이를 메인 제어부(40)에 전송하며, 메인 제어부(40)에서는 이를 저장한다(S302).
이와 같이 형광램프(240,340)의 와트 및 형태가 저장된 상태에서 추후 등기구를 점등할 경우가 생길 때, 메인 제어부(40)는 점등 조건인지 판단하여(S304), 점등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즉, 리모컨(50)으로부터 등기구의 점등신호가 입력되거나, 조도센서 동작모드에서 조도센서(44)로부터의 조도가 기준조도보다 낮은 경우에 형광램프(240)와 형광램프(340) 중 하나의 형광램프(240)만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신호를 제어부(230)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의 마이컴(236)에서 조도제어기(232)를 제어하여 형광램프(240)를 점등한다(S306).
상기 제어부(230)는 형광램프(240)의 작동전압과 작동전류로 형광램프(240)가 수명을 다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수명을 다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 고장 사실을 메인 제어부(40)에 송신하여 메인 제어부(40)에서 형광램프(240)의 고장을 확인한다(S308).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40)에서는 소등되었던 다른 형광램프(340)를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신호를 제어부(330)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330)의 마이컴(336)에서 조도제어기(332)를 제어하여 형광램프(340)를 점등한다(S314).
이때 제어부(230)에는 소등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형광램프(240)의 전원공급을 중지하고 완전 소등한다.
한편, 상기 S308단계에서 형광램프(240)가 고장이 아닌 경우에 온도센서(44)로부터 현재의 주변온도를 입력받아(S310) 기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한다(S312).
상기 주변온도가 낮을수록(추울수록) 형광램프의 밝기가 줄어드므로 주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으면 한 형광램프의 조명만으로는 밝기가 불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기 위하여 주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으면, 형광램프(240)의 점등을 유지한 상태에서 메인 제어부(40)에서 소등되어 있던 다른 형광램프(340)를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신호를 제어부(330)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30)의 마이컴(336)에서 조도제어기(332)를 제어하여 형광램프(340)를 점등한다.
이에 따라 등기구를 이루는 형광램프(240,340) 2개가 함께 점등되어 충분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2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를 제어하는 경우에 형광램프는 광속(lumen) 대비 전력사용량을 100% 사용시 효율이 좋으므로 2개의 조명램프를 50% 디밍을 하는 것보다 한 개의 조명램프를 소등해 주는 것이 약 20% 절전되어 절전효과가 크다.
또한, 형광램프가 다수인 경우 형광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안정기 구동회로를 형광램프의 수만큼 구비하고, EMI 필터 및 정류부, 역률 보상부, 보조 전원부를 형광램프의 수만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 형광등 하나에 안정기 하나를 일 대 일로 구비하여 하나의 안정기로 하나의 형광등을 점등과 소등할 때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리모컨의 설정 및 표시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등용 등기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EMI 필터 및 정류부 20: 역률 보상부
30: 보조 전원부 40: 메인 제어부
42: 온도센서 50: 리모컨
200,300: 안정기 구동회로 210,310: 인버터부
222,224,232,234: FET 230,330: 마이컴
240,340: 형광램프

Claims (9)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혼합된 EMI를 제거하고,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EMI 필터 및 정류부;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역률을 보상하여 형광램프에 양질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률 보상부;
    상기 형광램프를 점소등하고, 등기구를 이루는 형광램프의 수만큼 구비되어 외부의 메인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안정기 구동회로;
    상기 안정기 구동회로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으로 하나의 등기구를 이루는 다수의 형광램프 점소등을 각각 제어하고, 하나의 형광램프 점소등을 나머지 다른 형광램프의 상태에 따라 제어하되, 상기 나머지 다른 형광램프가 소등되거나 고장인 경우에 하나의 형광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며, 온도센서에서 검출한 주변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주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하나의 등기구를 구성하는 전 형광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형광램프의 최대/최소 조도, 모션 감지후 동작시간, 조도센서 감도, 등기구 제어를 메인 제어부에 설정하는 리모컨; 및
    상기 EMI 필터 및 정류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다른 직류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안정기 구동회로와 메인 제어부에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는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점등되었던 하나의 형광램프가 수명을 다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소등되어 있던 나머지 다른 형광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34107A 2009-04-20 2009-04-20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91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07A KR100916799B1 (ko) 2009-04-20 2009-04-20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07A KR100916799B1 (ko) 2009-04-20 2009-04-20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799B1 true KR100916799B1 (ko) 2009-09-14

Family

ID=4135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07A KR100916799B1 (ko) 2009-04-20 2009-04-20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45A (ko) * 1999-12-30 2000-04-06 주덕영 프리와트형 형광램프용 전자식안정기
KR200429706Y1 (ko) * 2006-08-16 2006-10-27 황찬구 절환부를 구비한 형광등 안정기
KR20080034906A (ko) * 2005-06-30 2008-04-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원격 색 제어 장치 및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45A (ko) * 1999-12-30 2000-04-06 주덕영 프리와트형 형광램프용 전자식안정기
KR20080034906A (ko) * 2005-06-30 2008-04-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원격 색 제어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200429706Y1 (ko) * 2006-08-16 2006-10-27 황찬구 절환부를 구비한 형광등 안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5481089B2 (ja) 遠隔点灯制御システム
US6717367B2 (en) Emergency lighting arrangement and apparatus
CN109792819B (zh) 一种用于在多灯灯具照明系统中实现分步调光的改装发光二极管led灯管
KR100836533B1 (ko) 조명기기용 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17912A1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driver of the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illuminating system
KR101021614B1 (ko)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JP2008269505A (ja) Led式交通信号灯器における制御機構
KR20130030925A (ko)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
KR100916799B1 (ko) 다등용 등기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1120A (ko)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동작감지형 무선조명제어방법
KR101243649B1 (ko) 에너지절감기능을 구비한 조명컨트롤장치 및 방법
CN106714398A (zh) 一种办公照明灯具的开关控制方法
KR10154641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 mtf 제어장치
JP2006310258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618560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735638B1 (ko) Dc 전원 부하 제어 장치
JP2006019244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KR20110013567A (ko)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KR101727451B1 (ko)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KR102560111B1 (ko) 대기 전력 차단이 가능한 정전류식 조명 제어 시스템 및 dali 안정기
JP5732233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照明ユニット
KR100916798B1 (ko) 조명등의 와트 및 형태 자동 검출방법
KR200405174Y1 (ko) 조명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429706Y1 (ko) 절환부를 구비한 형광등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