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022B1 -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 Google Patents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22B1
KR100916022B1 KR1020057002685A KR20057002685A KR100916022B1 KR 100916022 B1 KR100916022 B1 KR 100916022B1 KR 1020057002685 A KR1020057002685 A KR 1020057002685A KR 20057002685 A KR20057002685 A KR 20057002685A KR 100916022 B1 KR100916022 B1 KR 10091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air
faces
urine devic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638A (ko
Inventor
에산 필소프
Original Assignee
에산 필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산 필소프 filed Critical 에산 필소프
Priority to KR102005700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6Portable urination aids, e.g. to allow females to urinate from a stand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여성이 서있는 자세로 소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하는 장치는 두개의 대향 에지(102, 104) 상으로 눌러서 용이하게 퍼질 수 있는 접을 수 있는 고깔 구조(100)를 포함한다. 스코어 라인(112, 114, 120)과 중심 스코어 라인(122)은 고깔(100)의 양 면(101)이 휘어져 서로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일단 펴지면, 고깔(100)은 스코어 라인(120)의 반타원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고유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이를 개방하도록 장치 상에 계속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른 유사한 장치에 비해 용이하다. 장치는 세척되고, 접혀져 재활용될 수 있거나 단일 사용의 일회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성, 소변, 잠금장치, 개방 상태, 재활용

Description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FEMALE STANDING URINATION CONE}
본 발명은 여성용 배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몸에서 거리를 두고 배뇨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이유로,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볼 수 있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화장실의 조건은 종종, 여성이 공공화장실의 변기에 앉기를 꺼릴 수 있으며, 또는 여행 또는 캠핑 시설이 항상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성들처럼 소변 방향을 조절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서있는 자세로 용이하게 배뇨하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수의 장치가 제공되어 왔다.
1999년 10월 19일에 에드워드 제이 영(Edward J. Young)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TINKLE SAFE"인 미국 특허번호 제5,966,748은 여성 신체에 맞는 여성용 소변 장치로서 여성이 서있는 자세로 소변을 볼 수 있게 한다.
영은 사용자가 깔때기 모양으로 만들어야 하는 플랫 시트의 방수재이거나, 깔때기의 원뿔을 단지 주름이 잡힌 것이 아닌, 저장을 위해 접을 수 있도록 어떤 준비도 할 필요가 없는 미리 만들어진 깔때기를 제공한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측면 주름을 눌러 사이드를 벌림으로써 사용을 위해 용이하게 열리는 플랫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1995년 4월 25일에 윌리엄 시시오(William Cicio)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FEMALE URINATION AID"인 미국 특허번호 제5,408,703은 서있는 자세로 여성의 신체에서 소변을 받아들여 몸에서 어느 정도 거리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을 수 있는 깔때기를 제시한다. 시시오는 여성 신체의 윤곽에 맞는 접이식 깔때기로서, 사용을 위해 상부 및 하부 측면 주름위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열릴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측면 주름에서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깔때기는 본래 접힌 상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와 달리,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측면 주름이 동시에 눌려진 경우 둥글게 굽은 리브(arched rib)가 형성되어 깔때기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깔때기의 각 사이드와 깔때기의 양단 부근의 하부 측면 주름을 가로질러 반타원형 주름을 포함한다.
1994년 8월 2일에 대니얼 에스 머르타(Daniel S. Murtagh)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FEMININE URINARY DEVICE"인 미국 특허번호 제5,333,330은 서있는 자세의 여성 신체에서 소변을 받아들여 몸에서 일정 정도 거리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을 수 있는 깔때기를 또한 제시한다. 디자인은 다르지만, 머르타도 또한 사용을 위해 상부 및 하부 측면 주름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열리는 것이며, 상부 및 하부 측면 주름에서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깔때기는 접힌 상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둥글게 굽은 리브로 인해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1989년 3월 28일에 다이앤 엠 볼(Dianne M. Ba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4,815,151은 "URINARY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을 제공한다. 볼의 특허는 서 있는 자세의 여성 신체에서 소변을 받아들여 몸에서 일정 정도 거리로 배출할 수 있도록 틀로 형성된(molded) 형상 유지 재료로 만들어진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저장을 위해 플랫 구성으로 접힌다.
1981년 12월 15일에 루디 제이 디아즈(Rudy J. Dia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4,305,161은 발명이 명칭이 "URINATING AID FOR WOMEN"인 여성이 서 있는 자세에서 소변을 본 후 봉지를 처분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고정되어 처리된 프레임으로 열리게 유지되는 일회용 방수 봉지를 제시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소변을 직접 처분할 수 있다.
1973년 7월 17일에 제롬 알 플린(Jerome R. Flynn)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FOLDED CARDBOARD SPECIMEN CONTAINER OR URINAL"인 미국 특허번호 제3,746,240은 일단이 개방되어서 소변 표본을 포함하는 액체 침투성 봉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용기를 제시한다. 플린은 소변 샘플을 수집하여 홀딩하는 방법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은 소면의 처리 수단을 제공한다.
1973년 5월 8일에 니콜라스 이 그리핀(Nicholas E. Griffin)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DISPOSABLE CONTAINER"인 미국 특허번호 제3,731,869는 일단이 개방되어 소변 샘플을 수용하여 포함하는 접이식 용기를 제시한다. 그리핀의 특허도 소변 샘플을 수집하여 홀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소변 처리 수단을 제공한다.
1997년 2월 25일에 레타 케이 크로스(Leta K. Cross)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 칭이 "DISPOSABLE URINALYSIS DEVICE WITH INDICATOR"인 미국 특허번호 제5,605,161은 상부 개구가 거의 고정되고 아코디언 주름으로 측면으로 접을 수 있어 소변 검사를 위한 하나이상의 테스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같이 크로스는 여성이 서 있는 자세에서 소변을 본 후 신체에서 일정 거리로 소변을 배출 할 수 있게 하지만, 테스트 스트립의 제공의 결여는 본 발명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1997년 9월 2일에 아서 디 레인(Arthur D. Raynie)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BIODEGRADABLE URINE COLLECTION DEVICE"인 미국 특허번호 제5,662,630은 서 있는 자세 또는 앉아있는 자세의 여성 신체에 수집 봉지를 결합하는 고정 부재는 고정된 깔때기형 장치이다. 레인은 서있는 상태의 여성 신체에서 소변을 받아들여 일정 거리에서 이를 배출하는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구성이 훨씬 더 경제적이고 편리하다.
상기 발명 및 특허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지는 않는다.
다양한 이유로,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볼 수 있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화장실의 조건은 종종, 여성이 공공화장실의 변기에 앉기를 꺼릴 수 있으며, 또는 여행 또는 캠핑 시설이 항상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성들처럼 소변 방향을 조절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서있는 자세로 용이하게 배뇨하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들이 남성처럼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저장 및 휴대가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에 위생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쉽게 처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생산이 경제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반복 사용을 위해 내구재로서 생산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의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값싸고 믿음직하며 매우 효과적인 장치의 개선된 요소 및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 바깥옷을 전부 벗을 필요없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지 바깥옷의 지퍼만 내리거나 스커트를 한쪽으로 젖혀서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보고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다음 설명 및 도면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동일 참조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벌린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라인 3-3에서의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라인 4-4에서의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라인 5-5에서의 본 발명의 단면도.
도 6은 의도한 환경에서의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고깔(100; cone)은 접힌 상태에서통상 5각형 형상이다. 고깔(100)은 상부 에지(108), 하부 에지(110), 우측 상부 에지(106), 우측 하부 에지(102) 및 좌측 에지(104)를 갖는 평면인 한 쌍의 5각형 면으로 형성되고, 방수성 판지 또는 종이 등의 재료로 형성된다. 한 쌍의 면은 우측 상부 에지(106), 우측 하부 에지(102), 및 좌측 에지(104)에 따라 서로 연속 결합되어 상부 우측, 하부 우측 및 좌측 힌지선(hinge line)을 각각 한정한다. 한 쌍의 면은 평평하게 배치되고 저장용으로 서로 인접하며 다른 것으로부터 이동되어 개방되어 사용 상태에 있게 된다. 각 면은 고깔(100)의 제1면, 제2면(101,101′)을 형성한다. 우측 하부 에지(102)는 폴드로 형성되어, 상술한 제1면, 제2면(101,101′)을 생성한다. 좌측 에지 및 우측 상부 에지(104 및 106)는 제1면(101)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접착형 플랩(glued flap)으로 형성되고 제2 면(101′)의 에지 상으로 접혀진다. 제1면, 제2면(101,101′)은 접착형 플랩의 에지를 따라 스코어 라인 (112, 114; score line)을 갖는다. 상부 에지(108)는 제1면, 제2면(101,101′)의 일측을 분리 가능하도록 플랩(116)이 안으로 접어진 마감 에지를 형성하고, 하부 에지(110)는 제1면, 제2면(101,101′)의 다른 일측을 분리 가능하도록 절단된다. 우측 상부 에지(106)에서의 폴드는 보강 플랩(reinforcing flap; 118)으로 보강되고, 접혀서 그 내부 표면에 접착된다. 상부 에지(108)는 사용 시에 여성 외음부에 잘 맞도록 약간 오목하다. 반타원형 스코어 라인(120)은 우측 하부 에지 및 우측 상부 에지(102 및 106)의 접합으로부터 우측 하부 에지 및 하부 에지(102 및 110)의 접합에 인접한 지점으로 진행한다. 다수의 중심 스코어 라인(122)은 그 접합과 우측 하부 에지 및 좌측 에지(102 및 104) 사이의 대략 중간으로 하부 에지(110)와 교차하며, 통상 우측 하부 에지 및 좌측 에지(102 및 104) 사이의 영역을 양분한다. 중심 스코어 라인(122)은 고깔(100)의 대략 1/4 길이로 진행한다.
도 2는 도 1의 에지(102 및 104)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는 개방 상태의 고깔(100)을 나타내며, 한 쌍의 면(101,101′)의 하부 에지의 중심 영역에서 이에 거의 수직으로 진행한다. 우측 하부 에지 및 좌측 에지(102 및 104)를 이렇게 누르면, 스코어 라인(112, 114, 120)과 중심 스코어 라인(122)은 제1면, 제2면(101,101′)이 서로 휘어지게 할 수 있지만, 스코어 라인(120)의 반타원형 곡선은 이를 고정시켜 고깔(100)에 대한 반고정된, 굽은 하부 표면을 형성하여 개방 상태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부 개구(124)와 하부 개구(126)를 만든다. 스코어 라인(120)은 양 면을 열어 사용 가능한 위치에 고정하여 우측 하부를 따라 힌지 연결된다. 개방되어 사용 가능한 위치는 여성 사용자의 외음부를 둘러싸 소변을 받아들이기에 적합하도록 상부 에지(108)에 인접한 반타원형 개구(124)를 갖는 공동(hollow) 구조를 한정한다. 하부 개구(126)는 배뇨를 위한 한 쌍의 면의 하부 에지(110)가 상호 이격되어 열려진 상태에서 각 면의 하부 에지(110)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스코어 라인(120)은 우측 상부 에지(106)와 우측 하부 에지(102)의 접합에 인접한 제1 경계(terminus)와 우측 하부 에지(102)를 따라 배치된 제2 경계를 갖는다. 제2 경계는 우측 상부 에지(106)와 우측 하부 에지(102)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우측 하부 에지(102)와 하부 에지(110)의 연결 부분을 향하여 우측 하부 에지(102) 길이의 대략 3/4범위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2의 라인 3-3에서 개방된 고깔(100)의 위로부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의 라인 4-4에서 위로부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라인 5-5에서 접혀진 고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성들은 상부 개구 내에 외음부를 받치고 하부 개구를 먼 방향으로 함으로써, 소변을 본 후 배뇨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수의 상이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개방 위치로 눌려진 경우 그 형상을 유지하는 고유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크기와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2)

  1. 여성이 서있는 자세로 소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a) 각각이 상부 에지, 하부 에지, 우측 상부 에지, 우측 하부 에지, 및 좌측 에지를 갖고, 상기 우측 상부 에지, 상기 우측 하부 에지 및 상기 좌측 에지를 따라 서로 연속 결합됨으로써, 우측 상부, 우측 하부 및 좌측 힌지선을 각각 한정하며, 평평하게 배치되고 저장시 접어지며 사용시에는 개방되는 상태로 사용되는 한 쌍의 평면인 5각형 면; 및
    b) 상기 우측 하부 힌지선을 따라 힌지 연결되고, 개방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 한 쌍의 면을 고정하는 절첩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되어 사용 가능한 위치에서, 소변을 받도록 여성 사용자의 외음부를 둘러싸기에 적합한 상기 한 쌍의 면의 상기 상부 에지에 인접한 반타원 개구와, 배뇨를 위해 상기 한 쌍의 면의 상기 하부 에지에 인접한 하부 개구를 갖는 공동(hollow) 구조를 구비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각형 형상은 배뇨를 위한 상기 하부 개구가 사용자 신체로부터 먼 방향으로 소변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면의 상기 상부 에지에 인접한 상기 반타원형 개구는 마감 에지(finished edge)를 포함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에지는 안으로 접힌 플랩(flap)을 포함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한 쌍의 면 각각에 배치된 반타원형 스코어 라인(score line)을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 라인은 상기 우측 상부 에지와 상기 우측 하부 에지의 접합에 인접한 제1 경계(terminus)와 상기 우측 하부 에지를 따라 배치되는 제2 경계를 갖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는 상기 우측 상부 에지와 우측 하부 에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우측 하부 에지와 하부 에지의 연결 부분을 향하여 우측 하부 에지 길이의 3/4범위에 배치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면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면의 상기 하부 에지와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 라인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면은 방수 제지인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여러 번 사용가능한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10. 여성이 서있는 자세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제1항에 따른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우측 하부 에지 상의 중앙 지점과 상기 좌측 에지 상의 소정 지점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한 쌍의 면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소변 장치를 사용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소변 장치를 개방하는 단계;
    b) 상기 외음부를 둘러싸도록 사용자의 외음부에 인접한 상기 한 쌍의 면의 상기 상부 에지에 인접한 상기 반타원형 개구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한 쌍의 면의 상기 하부 에지에 인접한 상기 하부 개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
    d) 배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사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e) 상기 d)단계 후, 상기 소변 장치를 접는 단계; 및
    f) 상기 소변 장치를 처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사용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e) 상기 d)단계 후, 상기 소변 장치를 세척하는 단계;
    f) 상기 소변 장치를 접는 단계; 및
    g) 상기 소변 장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성용 입식 소변 장치 사용 방법.
KR1020057002685A 2002-08-19 2002-08-19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KR10091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685A KR100916022B1 (ko) 2002-08-19 2002-08-19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685A KR100916022B1 (ko) 2002-08-19 2002-08-19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638A KR20050083638A (ko) 2005-08-26
KR100916022B1 true KR100916022B1 (ko) 2009-09-08

Family

ID=3726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685A KR100916022B1 (ko) 2002-08-19 2002-08-19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573A (en) 1985-10-29 1987-07-21 Aplex Corporation Feminine urinary device
GB2240717A (en) 1990-02-07 1991-08-14 Antony James Houlden Disposable urinal tube for females
US5408703A (en) 1991-12-16 1995-04-25 Cicio; William Female urination aid
KR200192313Y1 (ko) 2000-03-14 2000-08-16 조해룡 기립식 여성용 소변 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573A (en) 1985-10-29 1987-07-21 Aplex Corporation Feminine urinary device
GB2240717A (en) 1990-02-07 1991-08-14 Antony James Houlden Disposable urinal tube for females
US5408703A (en) 1991-12-16 1995-04-25 Cicio; William Female urination aid
KR200192313Y1 (ko) 2000-03-14 2000-08-16 조해룡 기립식 여성용 소변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638A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757B1 (en) Female standing urination cone
US5091998A (en) Funnel device to facilitate urination by women in an upright position
US4937890A (en) Flat folded disposable female urinary aid
US7131149B2 (en) Female urination aid device
US2878486A (en) Sanitary device
US5333330A (en) Feminine urinary device
US4681573A (en) Feminine urinary device
US6460200B1 (en) Sanitary device
US9744068B2 (en) Foldable, disposable, urine receptacle
US6475198B1 (en) Feminine urinary device
US6327716B1 (en) Urinal cone and packaging therefor
US20090165199A1 (en) Portable, disposable and recyclable toilet
US20110042258A1 (en) Funnel-Like Urinary Device
US5797636A (en) Disposable pet excrement collection device
WO2018044772A1 (en) Hygiene kit
US8156598B2 (en) Personal hygiene devices to aid physically impaired users to clean their recto-genital area
US5401263A (en) Feminine urinary aid package
US20080029585A1 (en) Flat Folded Waterproof Cartoons with Folds and a Fastener with Hooks and More Accessories
CA2493781A1 (en) Disposable pad and dispo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16022B1 (ko) 여성용 입식 배뇨 고깔
US20060218708A1 (en) Female standing urination cone
US5991932A (en) Female urinary aid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330453A (en) Feminine urinary aid
US7086097B2 (en) Portable urinal for children
US6669675B2 (en) Feminine urina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