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635B1 -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635B1
KR100915635B1 KR1020070078042A KR20070078042A KR100915635B1 KR 100915635 B1 KR100915635 B1 KR 100915635B1 KR 1020070078042 A KR1020070078042 A KR 1020070078042A KR 20070078042 A KR20070078042 A KR 20070078042A KR 100915635 B1 KR100915635 B1 KR 10091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aft
main body
park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3903A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지엘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시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635B1/en
Publication of KR2009001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6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나 부적절한 외력에 의해 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며 주차공간 확보 및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주차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device that can prevent th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immersion or inappropriate external force, and secured parking space an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장치는 차량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는 주차관리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 공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부(2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20)의 내측에는 본체에 대하여 차단부를 회동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30)과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차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0)와 상기 결합부(40)를 회전가능하게 설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50)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to prevent unauthorized parking of the vehicle,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cking unit 20 which is rotatably coupled, the inside of the block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 drive means 30 for driving the blocking unit relative to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hole device, Inside the main body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40 for coupling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locking / unlocking means 50 for rotatably setting or fixing the coupling portion 40 is provided.

Description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securing parking spaces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침수나 부적절한 외력에 의해 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whi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looding or an inappropriate external force.

현재, 공영 및 사설 주차장이나 일반인 소유의 개인 주차장에 있어서는 부적절한 이용자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기 위한 주차관리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At present, in public and private parking lots or private parking lots owned by the public, parking management apparatuse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parking by inappropriate users are installed and u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77357호에는 이러한 주차관리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6-0077357 discloses an example of such a parking management device.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주차관리장치는 장치 구동을 위한 콘트롤 박스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주차관리장치의 본체에 설치되고, 차량의 무단주차를 제한하기 위한 차단판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차단판은 구동축에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여 차단판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차단판이 회동하였다가 차단판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 차단판이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ntrol box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evic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a blocking plate for limiting unauthorized parking of the vehicl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on the drive shaf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blocking plate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blocking plate, and the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locking plate is released.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주차관리장치의 구동부 및 콘트롤 박스가 주차관리장치의 본체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주차관리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구동부와 콘트롤 박스에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1.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box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Therefore, if a lot of rai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has a problem that a failure occurs in the drive unit and the control box.

2. 주차관리장치의 차단판이 상측으로 작동된 상태에서 콘트롤 박스나 구동부에 고장이 발생되면 차단판의 작동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므로 주차된 차량을 외부로 인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2. If a failure occurs in the control box or the driving unit while the blocking plate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is operated up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ked vehicle cannot be taken out because the blocking state is not released.

3. 주차관리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차단판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차단판이 상측으로 작동되므로 차량 주차를 위해 해당 주차 공간을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이미 주차된 차량의 경우 외부로 인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3.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is cut off, the blocking plate is operated upward by the torsion spring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of the blocking plate, so that the parking space cannot be used for parking the vehicle, If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withdrawn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침수 피해로부터 자유롭고, 고장 발생이나 공급전원 차단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which is free from flooding damage and can easily cope with failure or interruption of supply power.

또한, 본 발명은 주차관리장치에 부적절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in which a failure does not occur even when an in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는 차량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 공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의 내측에는 본체에 대하여 차단부를 회동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차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king space secured park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secured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preventing unauthorized parking of the vehicle, fixed to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A main body is installed, and a block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blocking part relative to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hole apparatus is provided inside the blocking part. An inn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block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본체에 지지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고정기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는 D컷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shaft supported on the main body, and a fixed gear fixed to the coupling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D-cut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또한, 상기 결합축에 결합축의 회전위치 검출을 위한 센싱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센싱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센싱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shaf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coupling shaft, and the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sens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ember of the blocking portion. do.

또한, 상기 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 / release means for rotatably setting or fixing the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측에 키삽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에 상기 키삽입구로 삽입된 키의 회전과 함께 회동되는 키축이 돌출 형성되는 키홀더와, 일측에는 상기 키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하면에는 편심축이 구비되는 편심판, 중심 부분에 상기 편심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가동바 및, 상기 가동바의 양단에 결합됨과 더불어 하면이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D컷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설치되고, 일정 위치에 반원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 releasing means is a key hold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key holder which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opening on the lower side protruding, and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key shaft on one side and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n eccentric plate having an eccentric shaft, a movable bar having a long hole in which the eccentric shaft is inserted in the center portion,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bar, and having a lower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It is installed to be plac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bar is formed in a semicircular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하로 가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웜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웜휠과 기어 결합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를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기어결합하는 전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a drive motor, a drive shaft driven by the drive motor, a worm wheel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drive shaft,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drive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worm wheel, and the worm whe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orm gear coupled to the gear, and an electric gear for gear coupling the worm gear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이상의 힘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고장시 수동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that does not occur a failure due to immersion and is not damag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and can be manually switched in case of fail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park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parking spaces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에서 결합부(40)의 구성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40 in FIG.

도 5는 도 3에서 구동부(30)의 구성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part of the driving unit 30 in FIG. 3.

도 6은 결합부(40)에 대하여 구동부(3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40.

도 7는 도 3에서 잠금/해제부(50)의 구성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portion of the locking / unlocking part 50 in FIG.

도 8은 결합부(40)에 대하여 잠금/해제부(5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 release unit 5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40.

도 9 및 도 10은 잠금/해제부(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9 and 10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 release unit 50.

도 11은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parking space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본체, 20 : 차단부,10: main body, 20: blocking part,

30 : 구동부, 40 : 결합부,30: driving part, 40: coupling part,

50 : 잠금/해제부.50: Lock / Unlock.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parking sp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parking spaces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shown in FIG. 1.

본 실시예의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는 본체(10)와 차단부(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10)는 차량의 주차 공간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차단부(20)는 본체(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면에는 차단부(20)의 작동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키홀더(51)가 구비된다.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blocking unit 20.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The blocking unit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key holder 51 for relea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20.

상기 차단부(20)의 내측에는 본체(10)에 대하여 차단부(20)를 회동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0)가 구비되고, 이 구동부(30)의 상측에는 덮개(21)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차단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0)와, 이 결합부(40)에 구비되는 결합축(41)을 회전가능하게 설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잠금/해제부(50)가 구비된다.The driving unit 30 is provided inside the blocking unit 20 to rotate the blocking unit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nd a cover 21 is installed above the driving unit 30. In addition, a lock for setting or fixing the coupling part 40 for coupling the blocking part 20 and the coupling shaft 41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40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n a rotatable manner. The release section 50 is provided.

상기에 있어서,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에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 및 제어부 그리고 전원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공개특허공보 제2006-0077357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 box,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parking space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2006-0077357,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본체(10)는 하판(11)과 덮개(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판(11) 및 덮개(12)는 예컨대 볼트결합된다. 이때, 덮개(12)는 중앙부분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개구된 공간에 차단부(20)가 설치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lower plate 11 and a cover 12. The lower plate 11 and the cover 12 are bolted,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cover 12 is formed in a "U" shape of the center portion is opened, the blocking portion 20 is installed in the open space.

상기 하판(11)의 상면 양측에는 결합부(40)를 통해 차단부(20)를 결합함과 더불어, 잠금/해제부(50)의 지지대(5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13)이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프레임(13)은 예컨대 하판(11)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1a)에 가이드 프레임(13)의 하부 결합홀(13a)을 끼우는 형태로 결합된다. 물론, 가이드 프레임(13)의 결합은 예컨대 볼트 등의 임의적인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3)의 상부 결합홀은 덮개(12)와 예컨대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Guide frames 13 for engaging the blocking part 20 through the coupling part 40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and slidably coupling the support 54 of the lock / release part 50. )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guide frame 13 is coupled in the form of fitting the lower coupling hole (13a) of the guide frame 13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a) provided in the lower plate (11), for example. Of course, the coupling of the guide frame 13 may be coupled via an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In addition, the upper coupling hole of the guide frame 13 is coupled to the cover 12 through a bolt, for example.

덮개(12)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구부 내측에 결합축(4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12a)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측에는 잠금/해제부(50)의 키홀더(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12b)이 구비된다.The cover 12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12a for inserting the coupling shaft 41 inside the U-shaped opening, and on the upper si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holder 51 of the locking / unlocking part 50. The through hole 12b is provided in the.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은 일측 단부가 절곡되면서 스토퍼(13b)를 형성한다. 이 스토퍼(13b)는 차단부(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13)의 측면에는 결합축(41)이 관통되는 관통홀(13c)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의 내측면에는 결합부(40)를 통해 차단부(20)가 결합된다.One end of the guide frame 13 is bent to form a stopper 13b. This stopper 13b is for preventing the blocking part 20 from rotating over a certain angle. In addition, a side surface of the guide frame 13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3c through which the coupling shaft 41 penetrates. The blocking unit 2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13 through the coupling unit 40.

도 4는 상기 결합부(40)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결합부(40)는 결합축(41)과, 고정 기어(42) 및 센싱 부재(43)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축(41)은 플랜지(44)를 통해 가이드 프레임(13)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축(41)과 플랜지(44)의 사이에는 베어링(4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축(41)에는 고정 기어(42)와 차단부(20)의 회전위치 검출을 위한 센싱 부재(43)가 고정적으로 설치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coupling part 40 separately. The coupling part 40 includes a coupling shaft 41, a fixed gear 42, and a sensing member 43. The coupling shaft 41 is coupled to the guide frame 13 through the flange 44. At this time, the bearing 45 is installed between the coupling shaft 41 and the flange 44. In addition, the coupling shaft 41 is fixedly provided with a sensing member 43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fixed gear 42 and the blocking unit 20.

특히, 상기 결합축(41)의 양측 단부에는 D컷부(41a)가 형성된다. 이 D컷부(41a)는 이후에 설명할 잠금/해제부(50)와 연동하여 결합축(4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D cut portion 41a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41. The cut D 41a prevents the coupling shaft 41 from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 unlocking part 5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3에서 차단부(20)는 장방형의 하우징(21)과 덮개(22)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하우징(21)의 하측에는 본 결합부(40)의 결합축(41)이 관통됨과 더불어 본 차단부(20)를 플랜지(4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20a)이 형성된다.Meanwhile, in FIG. 3, the blocking unit 20 includes a rectangular housing 21 and a cover 22, and the coupling shaft 41 of the coupling unit 40 penetrates below the housing 21. In addition, a coupling hole 20a for rotatably coupling the present blocking portion 20 to the flange 44 is formed.

상기 하우징(21)의 내측에는 본 차단부(20)를 구동하기 구동부(30)와 센싱 부재(4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22)가 장착된다. Inside the housing 21, a sensor unit 22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ensing member 43 for driving the blocking unit 20 is mounted.

도 5는 상기 구동부(3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구동부(30) 및 센서부(22)와 결합부(40)와의 결합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30,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ed portion of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ensor unit 22 and the coupling unit 40. FIG.

상기 센서부(22)는 센싱 부재(43)의 돌기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결합축(41)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이 센서부(22)는 예컨대 광학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검출결과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신호선을 통해 콘트롤러로 제공된다. 콘트롤러 또한 차단부(20)의 하우징(21) 내측에 설치된다.The sensor unit 22 detects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coupling shaft 41 by detecting the protrusion of the sensing member 43. The sensor unit 22 includes an optical sensor, for example, and the detection result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via a signal lin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is also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 of the blocking unit 20.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2)를 구비한다. 이 구동모터(32)는 브라켓(311)을 통해 장착 플레이트(31)에 결합된다. 구동모터(32)에는 커플러(331)를 통해 구동축(33)이 결합된다. 구동축(33)은 제1 및 제2 지지판(312, 313)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31)에 장착된다. 이때, 구동축(33)과 제1 및 제2 지지판(312, 313)의 사이에는 베어링(312a, 313a)이 설치된다.The drive unit 30 includes a drive motor 32. The drive motor 32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31 through the bracket 311. The drive shaft 33 is coupled to the drive motor 32 through a coupler 331. The drive shaft 33 is mounted to the mounting plate 31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12 and 313. At this time, bearings 312a and 313a are installed between the drive shaft 33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12 and 313.

상기 구동축(33)의 제1 및 제2 지지판(312, 313)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36, 37)와 웜휠(35)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 부재(36, 37)는 예컨대 스프링(36)과 스프링 시트(37)를 구비한다. 이 탄성 부재(36, 37)는 제1 지지판(312)에 대하여 웜휠(3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 elastic members 36 and 37 and the worm wheel 35 are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12 and 313 of the drive shaft 33. The elastic members 36, 37 have a spring 36 and a spring seat 37,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s 36 and 37 elastically support the worm wheel 35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312.

상기 구동축(3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키홈(33a)이 구비되고, 웜휠(33a)은 상기 키(33b: key)를 통해 키홈(33a)에 결합된다. 상기 웜휠(33a)에는 웜기어(38)가 결합되고, 이 웜기어(38)와 동일축상에 제1 전동기어(39a)가 결합되고, 이 제1 전동기어(39a)는 제2 전동기어(39b)를 통해 고정기어(42)와 결합된다. 이들 웜기어(38)와 제1 및 제2 전동기어(39a, 39b)는 결합부재(314)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31)에 체결된다.The drive shaft 33 is provided with a key groove 3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orm wheel 33a is coupled to the key groove 33a through the key 33b. A worm gear 38 is coupled to the worm wheel 33a, and a first electric gear 39a is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worm gear 38. The first electric gear 39a is a second electric gear 39b. It is coupled with the fixed gear 42 through. These worm gears 38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gears 39a and 39b are fastened to the mounting plate 31 by the coupling member 314.

한편, 도 7은 도 3에서 잠금/해제부(50)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잠금/해제부(50)와 결합부(40)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lock / release unit 50 in Figure 3,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ock / release unit 50 and the engaging portion 40 is fastened.

잠금/해제부(50)는 키홀더(51)와 편심판(52), 가동바(53) 및 가이드바(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lock / unlock section 50 includes a key holder 51, an eccentric plate 52, a movable bar 53, and a guide bar 54.

상기 키홀더(51)는 본체(10)의 덮개(1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키홀더(51)의 상측에는 키삽입구(51a)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상기 키삽입구(51a)로 삽입된 적법한 키의 회전과 함께 회동되는 키축(51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key holder 5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ver 12 of the main body 10. The key insertion hole 5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key holder 51, and the key shaft 51b which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legitimate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hole 51a is protruded on the lower side.

상기 편심판(52)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편심판(52)의 일측에는 상기 키축(51b)이 삽입되는 삽입공(53a)이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하면에는 이후에 설명할 가동바(53)의 장공(53a)에 삽입되는 편심축(52b)이 구비된다.The eccentric plate 52 has an elliptical shape. One side of the eccentric plate 52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53a into which the key shaft 51b is inserted, while the other side of the eccentric plate 52b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53a of the movable bar 53 to be described later. ) Is provided.

가동바(53)는 중심 부분에 장공(53a)이 형성됨과 더불어 양단에는 가이드바(54)가 각각 결합된다. 이 가동바(53)는 키축(51b)의 회전에 따라 편심판(52)이 회동되면, 키축(51b)을 중심으로 한 편심축(52b)의 회동에 따라 A 또는 A' 방향으로 가동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편심축(52a)은 장공(53a)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The movable bar 53 has a long hole (53a)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guide bar 54 is coupled to both ends. When the eccentric plate 5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key shaft 51b, the movable bar 53 is moved in the A or A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52b about the key shaft 51b. . Of course, in this case, the eccentric shaft 52a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long hole 53a.

가이드바(5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3)과 가이드 덮개(14)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바(54)는 하면이 결합축(41)의 단부에 형성되는 D컷(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설치된다. 특히, 가이드바(54)의 일정 위치에는 반원홈(54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축(51b)의 회전에 의해 가동바(53)가 가동되어 가이드바(54)의 반원홈(54a)이 결합축(41)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되면 결합축(41)은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바(54)의 반원홈(54a) 이외의 부분이 결합축(41) 위치에 놓이게 되면 가이드바(54)의 하면이 결합축(41)의 D컷(41a)과 접촉되게 됨으로써 결합축(41)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The guide bar 54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frame 13 by the guide frame 13 and the guide cover 14,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guide bar 54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 cut (41a)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41). In particular, the semicircular groove 54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uide bar 54. Therefore, as shown in FIG. 9, when the movable bar 53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key shaft 51b, and the semicircular groove 54a of the guide bar 54 com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shaft 41, the engaging shaft. 41 is set in a rotatable state, and as shown in FIG. 10, when a portion other than the semicircular groove 54a of the guide bar 54 is placed at the coupling shaft 41,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ar 54 is engag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D-cut 41a of the shaft 41, the coupling shaft 41 is set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impossible.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있어서는 결합축(41)은 잠금/해제부(50)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First, in the normal operating state, the coupling shaft 41 is set to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impossible by the locking / unlocking part 50.

상기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본 장치에 대한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콘트롤러는 해당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게 된다. 도 6에서 구동모터(32)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축(33)의 회전에 따라 웜휠(35)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웜기어(39a)가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결합축(41)이 고정된 상태로 설정되므로, 장착 플레이트(31)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차단부(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차단부(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최대한 회동된 경우에는 센서부(22)의 검출신호에 따라 컨트롤러는 구동모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When the driving signal for the device is input from the outside in the above state, the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motor 32 forward or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 FIG. 6, when the driving motor 32 rotates, the worm wheel 35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33, and the worm gear 39a rotates accordingly. However, at this time, since the coupling shaft 41 is set in a fixed state, the blocking part 20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mounting plate 31 is rotated upward or downward. Of course, in this case, when the blocking unit 2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controller stops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32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2.

한편, 차단부(20)가 상측으로 가동된 상태에서 불의의 사용자가 차단부(20)를 강제적으로 하측으로 누르는 경우에는 결합축(41)으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이 제2 및 제1 전동기어(39b, 39b)를 통해 웜기어(38)에 가해짐으로써 웜기어(38)가 강제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기어(38)의 회전력에 의해 웜휠(35)이 탄성 부재(36, 37)의 힘을 누르고 상승되면서 차단부(2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unexpected user forcibly presses the blocking unit 20 downward while the blocking unit 20 is operated upward,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coupling shaft 41 is applied to the second and first electric gears 39b. The worm gear 38 is forcibly rotated by being applied to the worm gear 38 through 39b. Therefor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blocking portion 20 descends downward while the worm wheel 35 presses the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36 and 37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orm gear 38.

또한, 이때 외부에서 가해지던 강제적인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36, 37)의 힘에 의해 웜휠(35)이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웜기어(38)와 제1 및 제2 전동기어(39a, 39b)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차단부(20)가 상승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orced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removed, the worm wheel 35 is lowered by the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36 and 37 and the worm gear 38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gears 39a and 39b are removed. By rotating the blocking unit 20 is rais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따라서, 차단부(20)가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차단부(20)에 부적절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차단부(20)와 본체(10)와의 결합 부위가 손상되는 일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차단부(20)을 강제로 하강시킨 후 해당 위치에 차를 무단으로 정차시킨 경우에는 차단부(2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는 순간 차단부(20)가 상승하여 차량의 하부에 밀착되게 되므로 주차시킨 차를 무단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an in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locking unit 20 while the blocking unit 20 is raised upwar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locking unit 20 and the main body 1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in this case, if the vehicle is forced to descend and then the vehicle is stopp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without permission, the momen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ock 20 is removed, the block 20 is raised to lower the vehicle. Since the vehic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the parked car cannot be withdrawn.

한편, 차단부(20)가 하측으로 강하된 상태에서 장치 이상으로 인하여 본 주차관리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홀더(51)에 전용키를 삽입하여 키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도 7에서 편심판(52)이 키축(51b)을 중심으로 9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동바(53) 및 가이드바(54)가 A'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이드바(54)의 반원홈(54a)이 결합축(41)의 D컷(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does not operate due to a device malfunction while the blocking unit 20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a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51 to rotate the key 90 degrees in a 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 In this case, the eccentric plate 52 is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key axis 51b clockwise in FIG. 7 while the movable bar 53 and the guide bar 54 are moved a certain distance in the A 'direction. In this case, therefore, the semicircular groove 54a of the guide bar 54 is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 cut 41a of the coupling shaft 41.

상기한 작동에 의해 결합축(41)의 위치에 가이드바(54)의 반원홈(54a)이 위치되면 결합축(41)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동으로 차단부(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린 후 장치를 수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micircular groove 54a of the guide bar 54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shaft 41 by the above operation, the coupling shaft 41 is set in a state capable of freely rotating. Therefore, the operator can manually repair the device after lifting the blocking unit 20 upwards.

그리고, 장치에 대한 수리가 종료되면 수동으로 다시 차단부(20)를 하측으로 하강시킨 후 키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결합축(41)을 본래의 고정상태로 설정하게 된다.Then, when the repair of the device is completed, the blocking unit 20 is manually lowered again, and then the key is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to set the coupling shaft 41 to its original fixed state.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에에 의하면, 구동모터(32)를 포함하는 구동부(30)가 차단부(20)내에 설치되므로,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차단부(20)를 상측으로 상승시켜 놓는 동작만으로 주요 구성 부품을 침수피해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unit 30 including the driving motor 32 is installed in the blocking unit 20, when the immersion damage occurs, the blocking unit 20 is raised upward. The release action alone allows major components to be excluded from flood damage.

또한, 차단부(20)가 상측으로 작동된 상태에서 차단부(20)에 부적절한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36, 37)에 의해 차단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부적절한 외력에 의해 본 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an in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locking unit 20 while the blocking unit 20 is operated upward, the blocking unit 20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members 36 and 37. The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는 키조작 만으로 차단부(20)를 용이하게 상측으로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간단화 된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lift the blocking unit 20 to the upper side only by the key operation, so that the maintenance becomes very simpl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hows on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Claims (6)

차량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에 있어서,In the parking space secured parking management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to prevent unauthorized parking of the vehicle, 차량의 주차 공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The body fixedly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부,A block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차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및,Coupling portion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for coupling the blocking portion,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lock / release means for rotatable setting or fixing, 상기 차단부의 내측에는 본체에 대하여 차단부를 회동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구비되며,Inside the blocking unit is provided with a drive means for driving the blocking unit relative to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hole device, 상기 결합부는 본체에 지지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고정기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shaft supported on the main body, and a fixed gear fixed to the coupling shaft,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는 D컷부가 형성되며,D cut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측에 키삽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에 상기 키삽입구로 삽입된 키의 회전과 함께 회동되는 키축이 돌출 형성되는 키홀더와, 일측에는 상기 키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하면에는 편심축이 구비되는 편심판, 중심 부분에 상기 편심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가동바 및, 상기 가동바의 양단에 결합됨과 더불어 하면이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D컷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설치되고, 일정 위치에 반원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The locking / release means has a key holder in which a key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key shaft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rotation of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hole at a lower side thereof,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key shaft is inserted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The lower surface corresponds to an eccentric plate having an eccentric shaft, a movable bar having a long hole in which the eccentric shaft is insert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bar, and having a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a D cut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shaft.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which is installed to be placed at a position, and comprises a guide bar having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축에 결합축의 회전위치 검출을 위한 센싱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센싱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센싱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A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coupling shaft is further provided on the coupling shaft, a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sens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ember of the blocking part. Parking management device to secure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The driving means and the 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A drive shaft driven by the drive motor,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하로 가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웜휠,Worm wheel is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drive shaft,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worm wheel; 상기 웜휠과 기어 결합되는 웜기어 및,A worm gear coupled to the worm wheel; 상기 웜기어를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기어결합하는 전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확보용 주차관리장치.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securing a park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 gear for coupling the worm gear to the coupling portion.
KR1020070078042A 2007-08-03 2007-08-03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0915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42A KR100915635B1 (en) 2007-08-03 2007-08-03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42A KR100915635B1 (en) 2007-08-03 2007-08-03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903A KR20090013903A (en) 2009-02-06
KR100915635B1 true KR100915635B1 (en) 2009-09-04

Family

ID=4068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042A KR100915635B1 (en) 2007-08-03 2007-08-03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6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5772A1 (en) * 2015-07-24 2017-02-02 Empresas Disruptiva Spa Pivoting electromechanical b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80B1 (en) * 2010-08-25 2013-01-07 최현배 Elastic bollard
KR101114834B1 (en) * 2011-10-14 2012-03-06 (주)한동알앤씨 Parking interception apparatus
KR101892565B1 (en) * 2017-06-29 2018-08-28 손석영 Flap type parking crossing gate for parking zone and parking system therewith
CN108573558A (en) * 2018-06-28 2018-09-25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Lock to a kind of intelligent parking space
CN108978522A (en) * 2018-07-16 2018-12-11 重庆新派工业设计有限公司 Buffer-type berth lock
KR102224643B1 (en) * 2019-05-11 2021-03-08 김학열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 elastic bar
KR102244721B1 (en) * 2020-09-16 2021-04-27 (주)에스앤씨랩 Sensing apparatus of parking l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493A (en) * 1997-10-18 1999-05-15 김규용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309067Y1 (en) * 2002-12-30 2003-03-29 김태길 A prevent device from parking without permission
KR200412254Y1 (en) * 2006-01-02 2006-03-23 최춘호 Parking prohibi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493A (en) * 1997-10-18 1999-05-15 김규용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309067Y1 (en) * 2002-12-30 2003-03-29 김태길 A prevent device from parking without permission
KR200412254Y1 (en) * 2006-01-02 2006-03-23 최춘호 Parking prohibi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5772A1 (en) * 2015-07-24 2017-02-02 Empresas Disruptiva Spa Pivoting electromechanical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903A (en) 200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635B1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1109804B1 (en) Lock assembly including a rotary blocking device and tamper resistant mechanism
US6027148A (en) Security device for a movable closure and method therefor
JP4291317B2 (en) Mortis lock with double lock function
US6851291B2 (en) Motorized locking mechanism
CN102084076B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KR20140006806A (en) Charging plug with locking identification
US6409233B1 (en) Closure apparatus for vehicle door
KR101686330B1 (en) Closing Bar System with self-lock function
CN103635648A (en) A lock assembly
KR20170074629A (en) Handle device for open and shut
KR101605141B1 (en) Security Gate Apparatus for Enterance and Exit of Vehicle
JP4592607B2 (en) Parked vehicle exit prevention device
KR200298361Y1 (en) Door locking device
JPH07279550A (en) Waterproof door device
JP4791524B2 (en) Lock handle device for door
JP2004250955A (en) Device for locking/unlocking sliding door of cabinet
JP2004232252A (en) Platform door apparatus
JP5022880B2 (en) Steering lock device
JP4221642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2733830B2 (en) Door lock handle device
JP4822856B2 (en) Vehicle exit prevention device
JP4352405B2 (en) Waterproof door device
KR100439097B1 (en) Locking device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vehicles i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JP5501825B2 (en) Parked vehicle exit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