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090B1 -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090B1
KR100915090B1 KR1020070118374A KR20070118374A KR100915090B1 KR 100915090 B1 KR100915090 B1 KR 100915090B1 KR 1020070118374 A KR1020070118374 A KR 1020070118374A KR 20070118374 A KR20070118374 A KR 20070118374A KR 100915090 B1 KR100915090 B1 KR 10091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broadcast data
ram
source block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915A (ko
Inventor
김태민
한창문
백승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0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방송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확인하여서 그에 상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를 즉시 해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다른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하여서 방송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케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mory Management Method Thereof under Broadcasting Reception, Broadcasting Service System based o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방송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CMCS(Broadcast Multicasting Service), MBMS(Multimedia Broadcaste and Multicaste Service) 등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용량의 파일을 방송 데이터로 수신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10MB 이상의 대용량 파일을 방송 데이터로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당히 많은 유휴 메모리 용량이 요구된다.
종래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방송 데이터을 전송하는 경우에 방송 데이터 파일을 하나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데, 오류 발생에 대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방송시간 중에 동일한 방송 콘텐츠를 2회 이상 반복 전송하게 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러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각 블록 단위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동적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야 하며, 반복 전송까지 고려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방송 시간 동안 수신할 전체 데이터 파일 크기에 상응하는 만큼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해야 하는데,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메모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음에 기인하여서 충분한 동적 메모리 할당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정상적으로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지 못하고 메모리 할당 에러로 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세트(Reset)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방송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확인하여서 그에 상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를 즉시 해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다른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함으로써 방송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서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토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방송 제어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고, 해당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에 상응하게 상기 RAM 영역을 할당하여 방송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상기 할당된 RAM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는 경우,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여부 및 재전송 횟수,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최소 복호가능 심볼수,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interleaving)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인터리빙 사이즈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상기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동일한 SBN(Source Block Number)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된 후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재수신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되 설정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된 후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 복원을 수행하고,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오류 정정 복원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않았으면 다음의 SBN에 소속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오류 정정 복원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된 후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 모음 단위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재전송이나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 오류정정부호가 적용되지 않고서 전송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새로운 SBN이 수신되기 시작하는 때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방송 제어기 서버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는 전송 형식 파악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에 상응하게 RAM 영역을 할당하여 방송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상기 할당된 RAM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메모리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전송 형식 파악 과정에서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상기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SBN(Source Block Number)에 의거하여 동일한 SBN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한 SBN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었으면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심볼 식별자에 의거하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으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오류 정정 복원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않았으면 다음의 SBN에 소속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오류 정정 복원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방송 데이타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SBN(Source Block Number)에 의거하여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었으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 모음 단위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지 않고서 전송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SBN에 의거하여 새로운 SBN이 수신되기 시작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SBN이 수신되기 시작하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서버와;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알려주기 위한 전송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송 제어기 서버와;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고, 해당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에 상응하게 RAM 영역을 할당하여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상기 할당된 RAM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방송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확인하여서 그에 상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를 즉시 해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다른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하여서 방송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방송 데이터 전송 포맷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메모리 관리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통신단말기 11; 무선통신부
12; 표시부 13; 키패드부
14; 음성입출력부 15; 제어부
16; 메모리부 17, 영상처리부
18; 음성처리부 20; 이동통신망
30; 방송제어기 서버 35; 방송 콘텐츠 서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방송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확인하여 그에 상응하여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를 즉시 해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다른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함으로써 방송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서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콘텐츠 서버(35)를 이동통신망(20)에 접속함과 아울러 방송 콘텐츠 서버(35)의 방송 콘텐츠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송 제어기 서버(30)를 이동통신망(20)에 접속하여,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통신단말기(10)가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방송 서비스에 가입하여야 한다. 방송 제어기 서버(30)는 이동통신단말기(10)가 가입한 방송 서비스에 대해서 방송시간, 프로그램 명, 콘텐츠 타입, 연동 어플리케이션 ID/버전 및 설치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는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가입한 방송이 시작되는 시점에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채널을 검색하고, 원하는 방송이 전송되고 있으면 실제 방송 트래픽 채널에 동조하여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데,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는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 또는 이와 유사한 파일전송 프로토콜 기반으로 전송되며, 기본적으로 방송 데이터가 완전히 수신되기까지는 해당 방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의 RAM(Random Access Memory)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해당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 옮겨 저장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해당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재생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방송 콘텐츠를 재생 표시하여 시청한다.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가 이용할 방송 콘텐츠로서 그 데이터의 크기는 수십 KB 내지 수십 MB 까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서버(35)가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파일은 다수의 소스 블록(source block)으로 분할되어 전송되고, 각각의 소스 블록은 고유의 식별값을 가지되 FLUTE 프로토콜의 경우 SBN(Source Block Number)을 가지고, 각각의 소스 블록은 다수개의 소스 심볼(SS; source symbol)로 구성되고, 1개 이상의 소스 심볼(SS)에 대하여 FLUTE 프로토콜의 LCT(Layered Coding Transport) 헤더(FH)를 추가한다. 그리고, 각 소스 블록의 식별값에 해당하는 SBN은 FLUTE 프로토콜의 LCT 헤더(FH)에 포함되며, 각각의 소스 심볼(SS)은 고유의 심볼 식별자인 ESI(encoding symbol identifier)를 가지며 이 심볼 식별자는 FLUTE 프로토콜의 LCT 헤더(FH)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 서버(35)가 이동통신단말기(10)에 500 KB 용량의 방송 데이터 파일 하나를 전송하는 경우에, 500 KB 용량의 방송 데이터 파일 하나는 5개의 100KB 용량의 소스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소스 블록은 100개의 1KB 소스 심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실제 방송 데이터 전송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단위로 이루어지고 일 예로 MTU가 1500 byte 인 경우에 MTU 당 한 개의 소스 심볼을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1), 표시부(12), 키패드부(13), 음성입출력부(14), 제어부(15), 메모리부(16), 영상처리부(17) 및 음성처리부(18)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는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표시부(12)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수신 방송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키패드부(13)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구동에 필요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음성입출력부(14)는 수신 방송 음성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함과 아울러 음성 입력을 처리한다. 제어부(15)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되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방송 데이터 수신시에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되는 메모리 자원의 할당을 관리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6)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구동에 필요한 제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수신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RAM(16-1) 및 비휘발성 메모리(16-2)를 구비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7)는 수신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영상을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복원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음성 처리부(18)는 수신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음성을 음성입출력부(1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복원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무선통신부(11)를 통해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에 FLUTE 프로토콜 헤더(FH)의 SBN을 판독하여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기 시작하면 해당 소스 블록의 소스 심볼(SS)을 수신하기 위한 메모리부(16)의 RAM(16-1) 영역을 할당하여 수신되는 소스 심볼(SS)들을 RAM(16-1) 영역에 저장하고 소스 블록의 소스 심볼(SS)들이 정상적으로 수신 완료하면 RAM(16-1) 영역에 저장된 해당 소스 블록을 메모리부(16)의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의 소스 심볼(SS) 수신에 활용케 한다.
방송 제어기 서버(30)는 이동통신단말기(10)로의 방송 콘텐츠 전송을 진행하는 경우에 방송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전송 관련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하는데, 해당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여부 및 재전송 횟수, 해당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오류정정 가능 최소 심볼 개수, 해당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interleaving)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인터리빙 사이즈를 포함하는 전송 관련 정보를 사전에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방송 콘텐츠 전송 전에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는 HTTP 등의 별도의 프로토콜을 활용하거나 헤더 정보나 프리앰블(pre-amble) 정보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여부 및 재전송 횟수,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오류정정 가능 최소 심볼개수,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인터리빙 사이즈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되게 RAM(16-1) 영역을 할당하여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해당 할당된 RAM(16-1)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RAM(16-1)을 다른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며,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단위의 소스 블록을 모두 수신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해당 할당된 RAM(16-1) 영역을 해제하되 SBN에 의거하여 몇 번째 소스 블록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됨을 확인하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들에 대한 방송 데이터(이전 소스 블록 모음 단위의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 예를 들어,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K 소스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K개 소스 블록 단위에 소속된 소스 블록 중에서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에 대해서는 K개 소스 블록 단위의 소스 블록을 모두 수신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할당된 RAM(16-1)의 영역을 해제하며, K 소스 블록 단위에 소속된 소스 블록 중에서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은 소스 블록에 대해서는 K 소스 블록 단위의 소스 블록을 모두 수신한 후에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할당된 RAM(16-1) 영역을 해제하되 SBN에 의거하여 몇 번째 소스 블록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K개를 초과하는 소스 블록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수신되는 SBN이 n+K 번째 소스 블록이 되는 시점에서 n 번째부터 n+K-1 번째에 해당하는 소스 블록들의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 모음 단위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지 않고서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곧바로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며,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SBN에 의거하여 새로운 SBN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기 시작함을 확인하는 경우에, 정상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을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한 n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n번째 소스 블록을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하였음을 확인하면 곧바로 해당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며, n번째 소스 블록을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SBN에 의거하여 새로운 n+1번째 소스 블록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n+1번째의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기 시작함을 확인하는 경우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하고 n 번째 소스 블록의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심볼 식별자에 의거하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복원하고,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SBN에 소속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류 정정 복원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복원된 데이터를 곧바로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심볼을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1000개 이상의 소스 심볼 수신시에 에러 정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심볼 식별자에 의거하여 1000개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1000개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면, RAM(16-1) 영역에 저장된 1000개의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복원하고,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SBN에 소속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류 정정 복원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복원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심볼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을 수신함에 사용케 하며,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복원 가능하게 수신 완료할 때까지 소스 블록을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신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수신시에 재전송 주기 동안에는 수신한 방송 데이터 파일의 소스 블록을 할당된 RAM(16-1)에 상주시키면서 새로운 소스 블록의 수신을 기다리는데, 예를 들어 2회 재전송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0번째 부터 n번째 까지의 소스 블록 수신 후에 다시 0번째 소스 블록부터 재수신하는데, 0번째 소스 블록을 수신 완료한 상태에서 해당 0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0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경우에는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된 0번째 소스 블록을 곧바로 비휘발성 메모리(16-2)의 영역으로 옮겨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할당된 RAM(16-1)의 영역을 해제하고, 해당 0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0번째부터 n번째 까지의 소스 블록 수신 후에 다시 0번째 소스 블록부터 재수신하는 때에 동일한 SBN이 두 번 수신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소스 블록이 재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0번째 SBN이 두 번 수신 완료되는 시점에서 정상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0번째 SBN의 소스 블록에 대한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함과 동시에 해당 0번째 SBN의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되게 RAM(16-1) 영역을 할당하여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해당 할당된 RAM(16-1)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다른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 가능케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 이동통신단말에서는 방송 데이터 수신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를 관리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 가능케 한다.
먼저, 방송 제어기 서버(30)는 이동통신단말기(10)로의 방송 콘텐츠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방송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전송 관련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하는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는 헤더 정보나 프리앰블(pre-amble) 정보 형태로 전송된다.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S11), 해당 전송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서,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를 파악한다(단계 S12).
이 단계 S1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가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재전송, 오류정정부호 및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지 않고서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소스 블록 단위로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면서(단계 S21), 해당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가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22), 해당 수신 저장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가 수신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서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을 수신함에 사용케 하고(단계 S24), 해당 수신 저장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가 수신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 SBN이 변경되는지를 확인하여 새로운 SBN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기 시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3). 이 단계 S23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술한 단계 S2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기 시작함을 확인하면 정상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서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을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단계 S24), 이때,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한 n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n번째 소스 블록을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하였음을 확인하면 곧바로 해당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하며, n번째 소스 블록을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SBN에 의거하여 새로운 n+1번째 소스 블록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n+1번째의 새로운 소스 블록이 수신되기 시작함을 확인하는 경우 n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하고 n 번째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시간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S25), 방송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술한 단계 S2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방송시간이 종료되었으면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단계 S26).
그리고, 상술한 단계 S1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가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면서(단계 S31),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2), 해당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을 수신함에 사용케 하며(단계 S34),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 SBN에 의거하여 동일한 SBN이 설정된 횟수만큼 재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소스 블록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3),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동일한 소스 블록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상술한 단계 S3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동일한 소스 블록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었음을 확인하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재수신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을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단계 S34). 그 후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S35), 방송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술한 단계 S3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방송시간이 종료되었으면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단계 S36). 이와 같이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수신시에 재전송 주기 동안에는 수신한 방송 데이터 파일의 소스 블록을 할당된 RAM(16-1)에 상주시키면서 새로운 소스 블록의 수신을 기다리는데, 예를 들어 2회 재전송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0번째 부터 n번째 까지의 소스 블록 수신 후에 다시 0번째 소스 블록부터 재수신하는데, 0번째 소스 블록을 수신한 상태에서 상술한 단계 S32에서 해당 0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0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34를 수행하여서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된 0번째 소스 블록을 곧바로 비휘발성 메모리(16-2)의 영역으로 옮겨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할당된 RAM(16-1)의 영역을 해제하고, 해당 0번째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31를 반복 수행하여 다시 0번째 소스 블록부터 재수신하는 때에 상술한 단계 S33에서 동일한 SBN이 두 번 수신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소스 블록이 재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0번째 SBN이 두 번 수신 완료되는 시점에서 정상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0번째 SBN의 소스 블록에 대한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함과 동시에 해당 0번째 SBN의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하는 방식으로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가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면서(단계 S41), 심볼 식별자에 의거하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2).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상술한 단계 S4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복원한 후(단계 S43),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4). 이 단계 S44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복원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심볼을 수신함에 사용케 하고(단계 S45),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SBN이 수신되는 지를 확인하여서(단계 S48), 다음의 SBN이 수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상술한 단계 S4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다음의 SBN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면 정상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RAM(16-1)의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심볼을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단계 S45). 그 후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S46), 방송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술한 단계 S4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방송시간이 종료되었으면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단계 S47). 이와 같이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예를 들어 1000개 이상의 소스 심볼 수신시에 에러 정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단계 S41에서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술한 단계 S42에서 심볼 식별자에 의거하여 1000개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1000개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면, 상술한 단계 S43에서 RAM(16-1) 영역에 저장된 1000개의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술한 단계 S44에서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45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복원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심볼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하고, 상술한 단계 S44에서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48, S41, S42 및 S43을 수행하여 다음의 SBN에 소속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서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류 정정 복원하는 처리를 수행한 후 상술한 단계 S44를 수행하여 다시 해당 오류 정정 복원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심볼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하는 방식으로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1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가 방송 콘텐츠의 수신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관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 방송 콘텐츠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RAM(16-1)의 영역에 저장하면서(단계 S51),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S52),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수신함에 사용케 하며(단계 S54), 해당 RAM(16-1)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SBN에 의거하여 몇 번째 소스 블록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3).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해당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상술한 단계 S5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됨을 확인하면 이전 소스 블록의 정상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RAM(16-1)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들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16-1)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을 다른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수신함에 사용케 한다(단계 S54). 그 후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방송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S55), 방송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술한 단계 S51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방송시간이 종료되었으면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단계 S56). 예를 들어,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K 소스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5)는 상술한 단계 S51 및 S52를 수행하여 K개 소스 블록 단위에 소속된 소스 블록 중에서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에 대해서는 K개 소스 블록 단위의 소스 블록을 모두 수신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상술한 단계 S54를 수행하여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할당된 RAM(16-1)의 영역을 해제하며, K개 소스 블록 단위에 소속된 소스 블록 중에서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은 소스 블록에 대해서는 상술한 단계 S51, S52 및 S53을 반복 수행하여 K개 소스 블록 단위의 소스 블록을 모두 수신한 후에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함과 아울러 할당된 RAM(16-1) 영역을 해제하되 SBN에 의거하여 몇 번째 소스 블록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K개를 초과하는 소스 블록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수신되는 SBN이 n+K번째 소스 블록이 되는 시점에서 n번째부터 n+K-1번째에 해당하는 소스 블록들의 데이터를 RAM(16-1)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16-2) 영역으로 옮겨서 저장하고 RAM(16-1) 영역의 할당을 해제하여 해당 RAM(16-1) 영역을 다른 소스 블록 모음 단위의 데이터 수신에 이용케 하는 방식으로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30)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되게 RAM(16-1) 영역을 할당하여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해당 할당된 RAM(16-1)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2)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RAM(16-1)의 할당을 즉시 해제하여 해당 RAM(16-1)의 영역을 다른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방송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확인하여서 그에 상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를 즉시 해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다른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케 하여서 방송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동적 메모리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적은 용량의 동적 메모리 할당만으로도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방송 콘텐츠 파일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Claims (13)

  1.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방송을 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방송 제어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고, 해당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에 상응하게 상기 RAM 영역을 할당하여 방송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상기 할당된 RAM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는 경우,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여부 및 재전송 횟수,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최소 복호 가능 심볼수,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interleaving)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 인터리빙 사이즈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상기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동일한 SBN(Source Block Number)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된 후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재수신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되 설정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된 후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 복원을 수행하고, 해당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오류 정정 복원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않았으면 다음의 SBN에 소속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오류 정정 복원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Source Block Number)이 수신된 후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 모음 단위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재전송이나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 오류정정부호가 적용되지 않고서 전송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중에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해당 RAM의 할당을 해제하며,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새로운 SBN(Source Block Number)이 수신되기 시작하는 때에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이동통신단말기가 방송 제어기 서버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는 전송 형식 파악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에 상응하게 RAM 영역을 할당하여 방송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상기 할당된 RAM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메모리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형식 파악 과정에서는,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지,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interleaving)이 적용되어 전송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재전송이 적용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상기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SBN(Source Block Number)에 의거하여 동일한 SBN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한 SBN이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되었으면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설정 횟수만큼 재수신된 소스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부호가 적용되어 전송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심볼 식별자에 의거하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소스 심볼이 수신되었으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소스 심볼들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오류 정정 복원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정정 복원에 성공하지 않았으면 다음의 SBN(Source Block Number)에 소속된 소스 심볼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하여 소스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오류 정정 복원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어 전송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방송 데이타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SBN(Source Block Number)에 의거하여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블록 모음 단위를 초과하는 SBN이 수신되었으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 모음 단위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수신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형식이, 전송 대상 방송 데이터의 방송 데이터 파일을 이루는 소스 블록의 전송시 소스 블록간 인터리빙이 적용되지 않고서 전송되는 전송 형식인 것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상기 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완전히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었으면 해당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된 소스 블록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RAM의 영역에 수신 저장한 소스 블록이 복원 가능하도록 수신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수신시에 수신되는 SBN(Source Block Number)에 의거하여 새로운 SBN이 수신되기 시작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SBN이 수신되기 시작하면 상기 RAM 영역에 저장된 이전 소스 블록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하고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
  13.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서버와;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알려주기 위한 전송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송 제어기 서버와;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방송 제어기 서버로부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을 파악하고, 해당 방송 데이터의 전송 형식에 상응하게 RAM 영역을 할당하여 단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위 방송 데이터의 수신 완료시 상기 할당된 RAM 영역의 단위 방송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RAM의 할당을 해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118374A 2007-11-20 2007-11-20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91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374A KR100915090B1 (ko) 2007-11-20 2007-11-20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374A KR100915090B1 (ko) 2007-11-20 2007-11-20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915A KR20090051915A (ko) 2009-05-25
KR100915090B1 true KR100915090B1 (ko) 2009-09-02

Family

ID=4085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374A KR100915090B1 (ko) 2007-11-20 2007-11-20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0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180A (ko) * 2003-04-09 2004-10-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1458A (ko) * 2005-01-07 2006-07-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KR20070040285A (ko) * 2005-10-11 2007-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지털 방송 수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180A (ko) * 2003-04-09 2004-10-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1458A (ko) * 2005-01-07 2006-07-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KR20070040285A (ko) * 2005-10-11 2007-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지털 방송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915A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7441B (en) Firmware upgrade method for digital subscriber line device
US7327761B2 (en) Data streaming
US20120151302A1 (en) Broadcast multimedia storage and access using page maps when asymmetric memory is used
US20080109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mputer files across a network
JP2018521591A (ja) フレキシブルイーサネットにおいてサービスストリーム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201565C (zh) 有效存取周期性广播的数据的方法和设备
US200500132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020175998A1 (en) Data-on-dem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tilizing prefetch data transmission
CN103152650A (zh) 用于移动tv的鲁棒文件传播
EP1783619A1 (en) Contents delivery system, client, server, contents delivery method and contents reproducing method
US20120265896A1 (en) Media player with integrated parallel source download technology
CN102479159A (zh) 多进程harq数据的缓存方法和设备
JP2000354015A (ja) 対話型プログラムガイドデータの配送
JP3910644B2 (ja) 低信頼性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オーディオサーバシステム
KR100915090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방송 수신시 메모리 관리 방법그리고 이동통신망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US20110099593A1 (en) Streami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system supporting vod service
JP2004523185A (ja) 逆多重のための分散符号化
CN101047813A (zh) 控制数据广播应用的方法及其广播接收机
CN102055606B (zh) 一种业务支撑系统中的业务处理方法、系统及设备
US200200918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V data in network
CN114142968A (zh) 一种数据包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7530090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programs to client terminals
KR100298372B1 (ko) 영상 데이터 재전송 방법
AU732780B2 (en) Method for interfacing a rate adaptation processing unit and a board messenger processing unit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97704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전송 요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