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93B1 -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93B1
KR100914893B1 KR1020070064628A KR20070064628A KR100914893B1 KR 100914893 B1 KR100914893 B1 KR 100914893B1 KR 1020070064628 A KR1020070064628 A KR 1020070064628A KR 20070064628 A KR20070064628 A KR 20070064628A KR 100914893 B1 KR100914893 B1 KR 10091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te
temperature
transmitter
modul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661A (ko
Inventor
리차드 윌리엄스
파울리 헤이끼넨
제프 브라운리
데비 리차드손
일까 사비매키
가이언 칼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0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03G3/3047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for intermittent signals, e.g. bur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송신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온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파워가 제1파워 레벨에서 제2파워 레벨로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기를 제어하며, 제2파워 레벨은 논제로 파워 레벨이다.

Description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A device,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for reducing transmit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본 발명은 온도 센서 및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송신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랩탑(laptop) 또는 노트북 컴퓨터에 모듈들을 붙여서 이들 컴퓨터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랩탑에 연결하는 Wi-Fi(IEEE 802.11) 및 3G 데이터 카드 모듈들이 있다. 또한 Wi-FI 모듈을 PCI-Express 디바이스의 형태인 ExpressCard로 제공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Wi-FI 및 3G 데이터 모듈들은 또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의해 랩탑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모듈들은 외부 또는 내부에 있을 수 있다. 모듈은 랩탑 컴퓨터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파워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모듈의 메인 콤포넌트는 트랜시버(transciver), (프로세싱 기능뿐만 아니라 제어 기능도 제공하는) 프로세서, 버퍼 메모리 및 안테나 커넥터이다. 랩탑 내의 안테나는 안테나 커넥터를 통해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존재는 주변 온도에 종속하는 모듈들의 동작이 수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모듈의 온도가 수용가능한 범위의 상한(upper limit)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모듈의 송신기를 폐쇄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갖는 모듈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송신기가 최대 동작 온도를 초과하더라도 그 동작이 중단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온도 센서를 구비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양상은 무선 송신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련되고, 상기 제어기는 온도가 제1임계치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파워가 제1파워 레벨에서 제2파워 레벨로 감소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며, 상기 제2파워 레벨은 논제로(non-zero) 파워 레벨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기가 주변 온도의 증가에 대해 감소된 기여도를 가지면서 계속해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는 최대 동작 온도가 초과되어 송신기 동작이 중단될 가능성을 줄이면서 송신기가 계속해서 감소된 파워에서 동작하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할 때 파워가 감소하지만, 이는 주어진 시간에 송신기를 사용할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수용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송신 파워가 감소되면 송신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기는 온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대해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 율(data rate)이 제1송신 데이터 율(data rate)에서 제2송신 데이터 율로 감소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송신 비트율은 논제로 송신 데이터 율이고 따라서 송신 파워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특히 WCDMA에 적용할 수 있고, 이는 최대 동작 온도가 초과되어 송신기 동작이 중단되는 가능성을 줄이면서 송신기가 감소된 데이터 율로 계속해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할 때 데이터 율이 감소되지만, 이는 주어진 시간에 상기 송신기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수용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송신 데이터 율이 감소됨에 따라 송신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기는 온도가 제2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파워가 상기 제2파워 레벨로부터 상기 제1파워 레벨로 증가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한다.
이는 적절한 때에 증가된 파워에서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및 제2임계치는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다를 수도 있다. 그 값들이 다르다면 히스테리시스(hysterisys)가 일어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제3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파워가 상기 제2파워 레벨에서 제3파워 레벨로 감소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3파워 레벨은 논제로 파워 레벨이다.
상기 최대 파워 레벨들보다 적은 두 다른 선택적인 파워 레벨들의 준비는 상기 송신기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대한 더 정밀한 해상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상기 제3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 율이 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에서 제3송신 데이터 율로 감소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3송신 데이터 율은 논제로 송신 데이터 율이다.
이는 WCDMA 시스템에 가장 잘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제3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파워가 상기 제3파워 레벨에서 제2파워 레벨로 증가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한다.
이는 적절한 때에 증가된 파워에서 송신되도록 한다. 상기 제3 및 제4임계치들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이 두 값을 다를 수 있다. 두 값이 다르다면 히스테리시스가 일어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최대 동작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를 오프(off)로 절환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스위치 온(switch on) 온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를 온(on)으로 절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최대 동작 온도 임계치는 상기 스위치 온 온도 임계치와 달라서 히시테리시스가 일어나고 송신기의 핑퐁 현상(ping-ponging)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결정적인(critical)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지시 데이터(indicative data)를 메모리에 기입한다. 이는 추후에 상기 디바이스가 초과 온도에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소프트웨어의 제어하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싱 하드웨어(processing hardwar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기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모듈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및 호스트 디바이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은 온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파워가 제1파워 레벨에서 제2파워 레벨로 감소되도록 송신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파워 레벨은 논제로 파워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랩탑 컴퓨터(12)에 연결된 모듈(11)을 포함한다. 모듈(11)은 미니 PCIe(PCI Express) 카드에 구현된 3G 데이터 카드이다. 모듈(11)은 전체적으로 랩탑 컴퓨터(12)의 하우징(13) 내에 있고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미도시)를 제거하지 않고는 거기서 제거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랩탑 컴퓨터(12)의 내부에 있다. 따라서, 모듈은 랩탑 컴퓨터 내부(12)에서 비교적 높은 주변 온도 환경에서 동작해야 한다. 랩탑 컴퓨터(12)는 하우징(13) 내의 온도를 수용가능한 한계 내로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13) 내에서 밖으로 뜨거운 공기를 뿜어내도록 동작할 수 있는 팬(14)을 포함한다. 보통, 팬(14)은 필요할 때만 동작하고, 온도 센서(38)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이 하우징(13) 내의 주변 온도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동작한다. 랩탑 컴퓨터(12)는 매우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랩탑 컴퓨터(12)는 많은 다른 컴포넌트들(디스플레이, 키보드, 그래픽 카드 등)을 포함하는데, 그 컴포넌트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면에서 생략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랩탑 컴퓨터(12)는 USB 커넥터(15)를 포함하고, USB 커넥터(15)는 모듈(11)의 일부를 형성하는 대응 USB 커넥터(16)에 연결된다. 따라서 랩탑 컴퓨터(12)와 모듈(11)은 서로 데이터와 명령들을 주고받을 수 있다. 더욱이, USB 연결은 랩탑 컴퓨터(12)가 모듈(11)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한다.
랩탑(12)의 버스(17)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18)를 통해 USB 커넥터(15, 16)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인터페이스(20)는 USB 커넥터(15, 16)를 모듈(11)의 버스(19)에 연결한다.
모듈(11)의 버스(19)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즉, ROM(21), 마이크로프로세서(22) 그리고 몇몇 RAM(23)들간에 통신이 이뤄지도록 한다. 몇몇 RAM들(23)은 모듈(11)에 대한 송신 버퍼(24)를 구성한다. 송신기(25)는 송신기 버스 인터페이스(26)를 통해 버스(19)에 연결된다. 수신기(27)는 수신기 버스 인터페이스(28)를 통해 버스(19)에 연결된다. 송신기(25) 및 수신기(27)는 공통 안테나(29a)에 연결되어 공통 안테나(29a)를 공유하고, 공통 안테나(29a)는 랩탑(12)에 위치하며 안테나 커넥터(29b)에 의해 송신기(25) 및 수신기(27)에 결합된다. 온도 센서(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 온도 측정치를 공급하도록 연결된다.
랩탑의 버스(17)는 몇몇 RAM들(31) 간의 통신을 허용하고, RAM들(31) 중 몇몇은 랩탑(12), CPU(33), 스토리지(34), 다이얼-업 모뎀(35) 및 제어기(36)에 대한 피드(feed) 버퍼(32)를 구성한다. 스토리지(34)에 저장된 것은 USB 인터페이스(16,18)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드라이버(driver)를 구성하는 프로그램(37)이다. 프로그램(37)의 드라이버 부분의 몇몇 기능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설명을 위해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물리적으로는 랩탑(12)에 위치하지만 모듈(11)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된다.
모듈(11)은 셀룰러 무선 트랜시버다. 모듈(11)은 3G 표준의 WCDMA(Wideband Code Divison Multiple Access)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3G 이동 전화 네트워크(9)와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모듈(11)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와 관련하여 Re15 버젼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그렇지않을 수도 있다. 모듈(11)은 네트워크(9)에 의해 공급되는 셀룰러 데이터 서비스에 등록된다. 이는 프로토콜 스택(40)을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22)와 RAM(23)의 협력에 의해 실현된다. 프로토콜 스택(40)은 종래 기술이고, 계층 1(L1, 43)을 포함한다. L1(43)은 또한 WCDMA의 물리 계층으로 알려져 있다. L1(43) 위에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42)이 있다. 이 계층은 또한 WCDMA L2 프로토콜 계층으로 알려져 있다. MAC 계층(42) 위에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41)이 있다. 이는 또한 WCDMA L3 프로토콜 계층으로 알려져 있다. RLC 계층(41)은 송신 버퍼(24)를 포함하고 있다. 프로토콜 스택(40)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물리적인 형태를 갖는 것은 아니고 대신 소프트웨어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형성되며 소프트웨어의 관련 부분은 실행시 RAM(23)에 저장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수신기의 동작은 본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송신 동작은 다음과 같다. 프로토콜 스택(40)은 RAM(23)에서 송신 버퍼(24)를 유지한다. 송신 버퍼는 송신기(25)를 통해 안테나(29)를 통해 송신하기 전에 랩탑(12)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WCDMA에서, 많은 다른 송신 데이터 율이 정의된다. 예시된 구성은 다음 표와 같다.
336 비트 블록들의 수 사용자 데이터율[kbps] 전형적인 웨이트[사용자 데이터/제어 데이터]
12 384 15/4
4 128 15/8
2 64 15/15
표 1로부터 송신된 336 비트 블록들의 수는 사용자 데이터 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제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구성은 모듈(11)과 같은 UE(User Equipment)에 의해 알려진다. 단위 시간당 송신되는 블록들의 수는 사용자 데이터 율을 결정한다. 네트워크(9)는 모듈(11)이 매 10밀리초(ms) 마다 12 x 336 비트를 송신하게 하고, 이는 384 kps의 사용자 데이터율을 갖게 된다. 이는 384 kps로 송신하는데 사용가능한 업링크(uplink, UL) 용량이 있음을 의미하고, 이를 384 kps 베어러(bearer)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모듈(11)의 L1 프로토콜 계층(41)은 송신 버퍼(24)에 대기하고 있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송신 버퍼(24)에 데이터가 없다면, 네트워크(9)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버퍼에 충분한 데이터가 있다면, 네트워크(9)에 의해 규정된 구성에서 송신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송신 버퍼(24)에 있는 데이터 양이 사용가능한 업링크 용량보다 적다면 MAC 계층(42)은 336비트 블록들의 수를 줄임으로써 송신 데이터 율을 감소시킨다. 이 예에서, 송신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 율이 약 128kbps라면, L1 계층(43)은 10ms 슬롯당 4 데이터 블록(각각 336비트)만을 요구한다. 이 경우, MAC 계층(42)은 자동으로 송신 구성을 4x336비트 구성(128 bps 베어러)을 사용하도록 적응한다. 유사하게 송신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 율이 약 64 kbps 라면, L1 계층(43)은 10ms 슬롯당 2 데이터 블록만을 요구한다. 이 경우, MAC 계층(42)은 자동으로 송신 구성이 2x336 비트 구성(64 kbps 베어러)을 사용하도록 적응한다. 송신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 율이 64 kbps에서 128 kbps 사이에 있다면, L1 계층(43)은 10ms 슬롯당 2 데이터 블록과 10ms 슬롯당 4 데이터 블록 사이에서 절환(switch)한다. 이는 프로토콜 스택(40)이 블록들의 수를 선택하여 버퍼의 데이터 양에 따라 단위 시간당 송신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유사하게, 송신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 율이 0 kbps와 64 kbps 사이에 있다면, L1 계층(43)은 10ms 슬롯당 2 데이터 블록 송신하는 것과 송신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절환한다. 또한 송신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 율이 128 kbps와 384 kbps 사이라면, L1 계층(43)은 10ms 슬롯당 4 데이터 블록과 10ms 슬롯당 12 데이터 블록 사이에서 절환한다. 따라서 이 방식에 의하면 모듈(11)은 송신 버퍼(24)의 데이터 양에 종속하는 송신 데이터 율을 선택한다. 이는 일반적인 것이다.
이에 더하여, 네트워크(9)는 트래픽 볼륨 측정(Traffic Volume Measurements, TVM)을 정의할 수 있다. TVM은 현재 3G 네트워크에 의해 광범위하게 지원되지는 않고 있지만, 몇 가지 장점이 있다. TVM은 송신 버퍼(24)에서 대기하고 있는 데이터 양을 측정한 값이다. TVM은 MAC 계층(42)에서 계산된다. TVM이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할당된 베어러에 대해 사용가능한 업링크 용량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모듈(11)은 이를 네트워크(9)에게 알리고, 네트워크(9)는 더 큰 베어러의 할당을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듈(11)은 적절한 것으로 통지된다. 역으로, 송신 버퍼(24)에 대기하고 있는 데이터 양이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임계치보다 적으면, 할당된 베어러에 대해 사용가능한 업링크 용량이 초과했음을 나타낸다. 모듈(11)은 네트워크(9)에 알리고, 네트워크(9)는 모듈(11)을 재구성하여 더 낮은 데이터 율 베어러를 사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12x336 비트(384 kbps) 구성을 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9)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그 베어러를 할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9)가 TVM을 지원한다면, 송신 데이터 율이 네트워크(9)에 의해 할당된 것보다 클 수 없지만, 모듈(11)은 여전히 송신 버퍼(24)의 데이터 양에 종속하는 송신 데이터 율을 선택한다.
모듈(11)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ROM(21)에 영구적으로 저장된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정렬되어 모듈(11)의 온도를 모니터한다.
이 프로그램은 후술되는 WWAN(Wireless Wide Access Network) 서버(39)에 있다. 모듈(11)의 온도에 대한 모니터링은 온도 센서(30)에 주기적으로 문의하는 것을 포함하고, 온도 센서(30)는 모듈(11)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로 응답한다. 모듈(11)의 온도가 모니터링되는 정확한 방법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모듈(11)이 둘 이상의 온도 센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모듈(11)은 세 개의 온보드(on-board) 온도 센서들(30a, 30b, 30c)을 포함한다. 제1센서(30a)는 모듈의 RF 부분과 연관되며, RF 부분은 송신기(25) 및 수신기(37)를 포함한다. 제2센서(30b)는 송신기(25)와 수신기(27)에 발진 신호들을 제공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Oscillator)(미도시)와 연관된다. 제3센서(30c)는 RAM(23)과 연관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모듈 온도는 임의의 센서 허용도(tolerance)를 포함하는 세 센서들(30a-30c)에 의해 공급된 온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로 택해진다. 그러나 모듈(11)의 온도는 대신에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얻어질 수도 있다.
WWAN 서버(39)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와 RAM(23)을 사용하는 모듈(11)에서 운용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2)가 온도 센서들(30a, 30b, 30c)의 온도를 모니터하고 따라서 모듈(11)의 온도를 모니터하게 한다. 모듈(11)의 WWAN 서버(39)는 모듈(11)의 온도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임계치들 중 하나를 초과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22)가 USB 인터페이스(15, 16)를 통해 랩탑(12)으로 보고하도록 한다.
또는, 모듈(11)의 WWAN 서버(39)는,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모듈(11)의 온도를 랩탑(12)으로 보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온도 보고는 프로그램(37)에 의해 생성된, WWAN 서버(39)로의 온도 측정 요구에 응답하여 일어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랩탑(12)은 언제 온도 센서들(30a-30c)이 온도가 어떤 임계치들을 초과하여 상승한 것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랩탑(12)은 또한 언제 온도 센서들(30a-30c)이 온도가 어떤 임계치들 아래로 떨어진 것을 나타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결정들은 USB 인터페이스(15, 16)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내려진다.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랩탑(12)이 모니터링된 모듈(11)의 온도를 기반으로 하여 그 동작을 조정하게 한다. 특히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랩탑(12)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모듈(11)의 온도에 종속하는 속도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모듈(11)로 공급하게 한다.
복수의 온도 임계치들이 정의된다. 예시된 임계치들은 다음 표와 같다:
임계치 값[℃]
TCritical 80
TRadio off 75
TRadio on 73
TThrottle2 70
TThrottle1 65
드라이버 프로그램은 도 2의 상태 머신(50)도에 의해 정의된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6개의 상태들:'모듈 온'(51), '오류(fault) 모드'(52), '무선 온'(53), '무선 오프'(54), '스로틀 1'(55) 및 "스로틀 2'(56) 중에서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랩탑(12)이 부팅되고 파워가 모듈(11)에 공급되면 '모듈 온' 상태(51)로 들어간다; 또는 '오류 모드'(52)에서 복구된 다음 '모듈 온' 상태(51)로 들어간다. WWAN 서버(39)는 모듈(11)의 온도를 읽고 랩탑(12)의 소프트웨어 무선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특성(미도시) 및 W_DISABLE 구성과 결합하여 '무선 오프' 상태(54), '무선 온' 상태(53) 또는 '오류 모드' 상태(52)로 적절하게 상태 천이하게 한다.
W_DISABLE 상태 랩탑(12)이 마지막으로 파워 공급된 때와 동일한 상태
USB 상태 alive: 상태는 천이만 된다
모듈 프로세서 상태 MCU: awake
DSP: sleep
'오류 모드' 상태(52)는 오류 조건에 있고, 모듈 온도가 임계 콤포넌트 온도를 초과할 때만 (임의의 상태로부터) 들어갈 수 있다: TCritical. 이는 모듈(11)에 대한 보증(warranty)이 위반되었음을 증명하는데 사용된다.
모듈(11)은 먼저 랩탑(12)에 이 상태에 들어갔음을 알리고, 다음으로 '파워 다운' 상태로 된다. 이는 파워가 여전히 USB 인터페이스(15,16)를 통해 모듈(11)에 공급되더라도, 모듈(11)이 가장 낮은 동작 상태에 있음을 보장한다.
초과된 모듈 온도가 모듈(11)로부터가 아닌 랩탑(12)에서의 높은 주변 온도로부터 기인할 때, 랩탑이 '오류 모드' 상태(52)에 들어가지 않게 써멀(thermal)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모드로 들어가면 WWAN 서버(39)는 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예를 들어 ROM(21))에 기입하여 이러한 일이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오류 모드' 상태(52)는 랩탑(12)이 재부팅할 때만 벗어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모듈 온' 상태(51)로 들어간다.
W_DISABLE 상태 N/A
USB 상태 선택적인 지연
모듈 프로세서 상태 MCU: sleep
DSP:sleep
'무선 온' 상태(53)는 모듈(11)의 보통 동작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모듈 온도는 데이터가 전 속도(full rate)로 이루어질 만큼 낮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무선 제어 모두 네트워크 연결을 인에이블하도록 설정된다. 모듈 온도가 상승하거나 무선이 동작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면(예를 들어, 무선 동작이 금지된 '비행(flight) 모드'로 들어갈 때) 이 상태에 있게 된다.
W_DISABLE 상태 INACTIVE(High)
USB 상태 셀룰러 아이들(Celluar Idle): 모듈 온도 및 신호 강도를 보고하기 위해 Remote Wakeup으로 선택적인 지연; 및 필요하다면 랩탑으로부터의 Remote Signalling 셀룰러 연결(Celluar Connected):매 8ms마다 폴링되는 인터럽트 EP들;액티브 데이터일때 포스팅되는 BULK IN/OUT EPs
모듈 프로세서 상태 셀룰러 아이들: MCU & DSP: sleep, awake for page read
셀룰러 연결: MCU&DSP: fully awake
'무선 오프' 상태(54)는 네트워크(9)로/로부터의 통신이 금지된 모드이다. 이 상태로 들어가는 가장 유사한 트리거(trigger)는 모듈 온도 초과 및 무선 동작을 금지하는 소트프웨어 또는 하드웨어 무선 제어(예를 들어 '비행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이다. 모듈(11)은 이 상태로 들어갔음을 랩탑(12)에 알리고, 랩탑에서 드라이버 프로그램(37)에 의해 타이머가 시작된다. 타이머(ElapsedTime)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거나 CoolingTime과 동일하면, 랩탑(12)의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WWAN 서버(39)를 폴링하여 모듈(11)의 온도를 보고한다. 그런 다음, WAN 서버(39)는 모듈(11)의 온도를 읽고 그 온도를 드라이버 프로그램(37)에 보고한다. 모듈 온도가 여전히 높다면, '무선 오프' 상태(54) 또는 '오류 모드' 상태(52)만으로 들어갈 수 있고, 그 다음으로 CoolingTime 타이머 값이 증가된 채 과정이 반복된다.
W_DISABLE 상태 ACTIVE(Low)
USB 상태 모듈 온도를 보고하기 위한 경우에 따른 Remote Wakeup을 갖는 선택적인 지연; 및 온도를 요구하기 위한 랩탑으로부터의 경우에 따른 Resume Signalling
모듈 프로세서 상태 MCU: 온도 측정을 위해서만 또는 랩탑에 의해 명령을 받았을 때 Sleep, Awake
DSP: Sleep
'스로틀 1' 상태(55)는 UL 데이터 율이 감소(throttle)된 것을 제외하고, '무선 온' 상태(53)과 동일하다.
W_DISABLE 상태 INACTIVE(High)
USB 상태 셀룰러 아이들(Celluar Idle): 모듈 온도 및 신호 강도를 보고하기 위해 Remote Wakeup으로 선택적인 지연; 및필요하다면 랩탑으로부터의 Remote Signalling 셀룰러 연결(Celluar Connected):매 8ms마다 폴링되는 인터럽트 EP들;액티브 데이터일때 포스팅되는 BULK IN/OUT EPs
모듈 프로세서 상태 셀룰러 아이들: MCU & DSP: sleep, awake for page read
셀룰러 연결: MCU&DSP: fully awake
'스로틀 2' 상태(56)는 UL 데이터 율이 훨씬 더 낮은 데이터 율로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 '스로틀 1' 상태(55)와 동일하다.
W_DISABLE 상태 INACTIVE(High)
USB 상태 셀룰러 아이들(Celluar Idle): 모듈 온도 및 신호 강도를 보고하기 위해 Remote Wakeup으로 선택적인 지연; 및필요하다면 랩탑으로부터의 Remote Signalling 셀룰러 연결(Celluar Connected):매 8ms마다 폴링되는 인터럽트 EP들;액티브 데이터일때 포스팅되는 BULK IN/OUT EPs
모듈 프로세서 상태 셀룰러 아이들: MCU & DSP: sleep, awake for page read
셀룰러 연결: MCU&DSP: fully awake
상태 변경 1(도면에서 ①로 표시)은 파워가 처음 모듈(3.3V rail)에 공급될 때만 일어나고, WWAN 서버(39)는 모듈 온도가 TCritical보다 낮고 소프트웨어 명령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하도록 설정되며 하드웨어 W_DISABLE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 시키기 위해 디스에이블(high)되는 것을 검출한다. 이는 모듈이 '무선 온'상태(53)으로 천이하게 한다.
상태 변경 2(도면에서 ②로 표시)는 초기 파워가 온('모듈 온' 상태(51))이거나 '무선 온'상태(53)일 때 일어난다. 이 상태 변경은 모듈 온도가 TRadioOff 보다 높지만 TCritical 보다 낮은 것을 WWAN 서버(39)가 검출하거나, 소프트웨어 명령이 WWAN radio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설정되거나, 하드웨어 W_DISABLE이 WWAN radio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로우(low)로) 설정되었을 때만 일어난다. 이 상태 변경으로, 모듈(11)은 '무선 오프'상태(54)로 천이한다.
상태 변경 3(도면에서 ③로 표시)은 임의의 상태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모듈 온도가 TCritical보다 높은 것을 WWAN 서버(39)가 검출할 때 일어나고 상태 변경은 '오류 모드'(52)로 이루어진다.
상태 변경 4(도면에서 ④로 표시)는 모듈이 '오류 모드' 상태(52)에 있을 때 그리고 랩탑(12)의 파워가 오프되고 재부팅될 때 일어난다. 여기서, 모듈은 '오류 모드' 상태(52)로 남아있고, '정상적인' 동작이 재개될 수 있도록 천이는 '모듈 온' 상태(51)로 일어난다. 이는 '오류 모드' 상태(52)로부터의 유일한 복구이다.
상태 변경 5(도면에서 ⑤로 표시)는 무선 동작에 (디스에이블 또는 억제(throttle)되어) 제한이 있는 임의의 상태로부터 일어난다. 이 상태 변경은 모듈 온도가 TThrottle1 및 TRadioOn보다 낮은 것을 WWAN 서버(39)가 검출할 때, 소프트웨어 명령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하도록 설정될 때, 하드웨어 W_DISABLE이 디스에이블(high)되어 WWAN 서버(39) radio를 인에이블할 때 일어난다. 이 상태변경으로, 모듈(11)은 무선 동작이 제한되지 않는 '무선 온'상태(53)로 천이한다.
상태 변경 6(도면에서 ⑥로 표시)은 임의의 동작 상태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모듈 온도가 TThrottle1보다 크지만 TRadioOn보다 낮은 것을 WWAN 서버(39)가 검출할 때, 소프트웨어 명령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하도록 설정될 때, 하드웨어 W_DISABLE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하도록 디스에이블(high)될 때 일어난다. 이 상태변경으로, 모듈(11)은 'throttle 1'상태(55)로 천이한다.
상태 변경 7(도면에서 ⑦로 표시)은 임의의 동작 상태로부터 일어난다. 이는 모듈 온도가 TThrottle2보다 크지만 TRadioOn보다 낮을 것을 WWAN 서버(39)가 검출할 때, 소프트웨어 명령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하도록 설정될 때, 하드웨어 W_DISABLE이 WWAN radio를 인에이블하도록 디스에이블(high)될 때 일어난다. 이 상태변경으로, 모듈(11)은 'throttle 2'상태(56)로 천이한다.
상술한 몇몇 용어들, 예를 들어 W_DISABLE은 PCI 미니어쳐 카드에만 고유한 것으로, 해당 인터럽트들은 다른 구현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WCDMA/HSDPA를 위한 두 스로틀 단계의 준비는 설계 유연성과 미래의 알고리즘 조절성(tuning)을 준다.
송신기(25)를 오프로 절환하기 위해 셀룰러 소프트웨어 및 무선이 디스에이블된다. 이는 단순히 송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에 비해 프로토콜 소프트웨어(40)와 WWAN 서버(39)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단순하게 한다. 이는 모듈(11)이 네트워크(9)로부터 단절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따라서 이에 대한 표시가 랩탑(12)의 소프트웨어로 제공된다. 모듈(11)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면 셀룰러 소프트웨어 및 무선은 다시 인에이블될 수 있고, 모듈(11)은 셀 탐색을 시작하며 네트워크(9)에 다시 등록한다.
도 2의 상태 머신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드라이버 프로그램(37)에 존재한다. 이는 단순히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을 통한 데이터가 아니라 USB를 통과하는 모든 데이터가 억제된다. 이는 다어얼 업 모뎀(35)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또한 억제될 수 있고 이는 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이얼업 모뎀과 USB 인터페이스는 제어기(36)에 의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된다.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피드 버퍼(32)를 생성한다.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피드 버퍼(32)에 데이터가 있을 때만, 타이머를 시작하고 고정된 속도로 타이머를 진행한다. 타이머 진행 속도는 "스로틀 타이머 구간(Throttle Timer Period)"이라고 할 수 있다. 스로틀이 존재하지 않을 때, 즉 모듈이 '라디오 온' 상태(53)에 있으면, 데이터가 USB 연결(15, 16)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40)에서 종래의 흐름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스로틀 1'상태(55)로 들어가면, 스로틀 타이머 구간에서 USB 연결(15, 16)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양에 대한 상한(cap)이 만들어진다. 제1상한은 송신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량이고 x바이트에 해당한다. '스로틀2'상태(56)가 시작되면, 스로틀 타이머 구간에서 USB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량에 대한 제2상한이 만들어진다. 제2상한은 y바이트에 해당하고, x>y이다. x 및 y는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상한(y 바이트)은 가장 낮은 데이터율, 즉 64kbps에 해당한다. 제1상한(x바이트)은 그 다음 가장 낮은 데이터율, 즉 128kbps에 해당한다. x와 y값은 스로틀 타이머 구간의 길이에 종속하지만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이 적절한 값들을 계산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은 복수의 인접하고 연속적인 타임 구간들을 정의하고, 각 구간은 스로틀 타이머 구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각 타임 구간에서 USB 인터페이스로 피드되는 데이터 양을 제한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버스트로 송신될 수 있지만 스로틀 타이머 구간보다 적은 해상도를 사용하여 평균을 취하면 감소(throttle)되고 꾸준한 피딩 데이터 율을 제공한다. 데이터 피딩의 버스트 특성이 모듈(11)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의 스로틀 타이머 구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양은 송신 버퍼(24)의 크기에 비해 작다.
데이터는 보통 12 Mbps의 전 속력의 USB 데이터 율로 피드 버퍼(32)로부터 USB 연결(15, 16)을 통해 모듈(11)로 송신된다. 데이터 율 제어는 패킷들 사이에 딜레이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모듈(11) 그리고 그 다음으로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스택(40)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버스트 형태로 들어간다. 모듈(11)이 스로틀1(55) 또는 스로틀2 상태(56)에 있다면, 평균 데이터 율은 드라이버 프로그램(37)에 의해 제어되어 상술한 요구 데이터 율이 된다. 스로틀 타이머 구간의 값은 모듈(11)의 매끄러운(smooth) 동작이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즉, 그 값은 평균 데이터 율을 얻으면서도 충분히 작아서 프로토콜 스택(40) 또는 네트워크(9)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데이터 율이 불필요하게 바뀌는 것을 방지하지만, 충분히 커서 표준 크기의 패킷이 피드 버퍼(32)로부터 모듈(11)로 송신될 수 있게 한다.
피드 버퍼(32)로부터 모듈(11)로 데이터 흐름을 억제할 때, 모듈(11)은 보통 짧은 시간 동안 데이터를 더 높은 데이터 율로 송신한다. 데이터 율이 억제되기 시작한 후에, 송신 데이터 율이 랩탑(12)으로부터 송신 버퍼(23)로 입력되는 데이터 율보다 훨씬 더 크다는 사실은 버퍼가 데이터를 비우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짧은 시간 후,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양은 L1 계층(43)이 송신 데이터 율이 너무 높다고 결정하는 포인트까지 떨어진다. 이때, L1 계층(43)은 송신 데이터 율을 더 낮은 율로 변경한다. 송신 데이터 율은 즉시 감소하고, L1 계층(43)은 새로 요구된 블록 크기를 계산한다.
송신 버퍼의 오버플로우 또는 데이터 손실을 유발하는 송신 데이터 율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지만, 피드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피딩하는 것은 더 높은 데이터 율에서 송신이 계속될 때보다 그 가능성이 더 커지지 않음을 정확하게 보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9)가 TVM을 지원한다면, 버퍼에서 감소된 데이터 양은 네트워크(9)가 모듈(11)에 할당된 데이터 양으로부터 몇몇 베어러를 제거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9)가 TVM을 지원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USB 연결(15, 16)을 통해 송신 버퍼(24)를 통과하는 데이터 율을 조정하는 것은 프로토콜 소프트웨어(40)가 자동으로 송신 데이터 율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모듈(11)에 의해 생성되는 열의 양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40)에 대한 어떠한 변경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종래기술일 수 있다.
USB 드라이버 레벨에서 실시간 및 비실시간 데이터 흐름 간의 우선순위는 없다. 우선순위가 존재하는 실시예들에서, 이는 고층 레벨(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드라이버)에서 처리된다.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이 랩탑(12)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이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이 다른 프로그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랩탑(12)에 드라이버 프로그램(37)이 존재하는 것은 또한 이득이다. 왜냐하면 RAM(31)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모듈(11)에서보다 랩탑(12)에서 더 많은 데이터가 버퍼링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동작의 효과는 송신 파워의 감소이고 그에 따라 모듈(11)이 뜨거울 때 생성된 열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모듈(11)에 의해 생성된 열의 감소는 모듈(11)이 계속 동작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송신 데이터 율을 감소시키는 것은 모듈(11)이 그 최대 동작 온도에 도달하여 절환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발명자들은 WCDMA(HSDPA 포함)에 있어서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송신 데이터 율을 감소시키는 것임을 알았다. 모듈(11)이 데이터 율을 감소시키지않고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면, 이동 전화 네트워크(9)는 모듈(11)에게 송신 파워를 정확한 레벨까지 증가시킬 것을 요구한다. WCDMA에서, 높은 데이터 율에서는 낮은 데이터 확산이 이루어지므로 높은 데이터 율로 전송할 때 요구되는 신호대 잡음비를 얻기 위해서는 높은 파워 소비를 요구한다.
WCDMA에서, 네트워크(9)는 네트워크(9)가 지원하는 각 UL(업링크) 데이터율에 대해서 다른 송신 파워를 정의한다. 이는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 관련 파워를 가중(weighting)함으로써 얻어진다. 상술한 샘플 구성에 의한 결과인 파워 절약은 다음 표와 같다:
336 비트 블록 수 사용자 데이터 율[kbps] 일반적인 가중치[사용자 데이터/제어 데이터] 추정된 전송 파워 드롭[dB]
12 384 15/4 -
4 128 15/8 5
2 64 15/15 9
사용자 데이터 율이 떨어지면, 모듈은 낮은 송신 파워에 맞는 낮은 가중치를 사용할 수 있다. 표 8에서, 송신 데이터 율이 384 kbps에서 64 kbps로 감소되면, 송신 파워는 대략 9dB 감소된다. 감소된 송신 데이터 율에 의한 송신 파워의 감소는 네트워크(9)에 의해 설정된 각 데이터 율에 대한 가중치의 구성에 전적으로 종속하고, 이는 UE들에게 알려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예에서, 384 kbps에서 128 kbps로 MAC 계층(42)에 의한 송신 데이터 율의 감소는 대략 5dB의 송신 파워 감소를 가져온다.
억제(throttling)시 열 생성은 네트워크가 TVM을 지지하는 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감소된다.
드라이버 프로그램(37)에 구현된 알고리즘의 예시적인 동작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임계치들 TCritical, TRadiooff, TRadioOn, TThrottle2 및 TThrottle1이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다. 온도는 수직축에 있고 시간은 수평축에 있다. 라인은 모듈온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도시한다. A 포인트 전에 모듈은 '무선 온'상태(53)에 있다. A 포인트에서 모듈(11)의 온도는 TThrottle1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한다. 이는 모듈(11)이 중간 데이터 율을 갖고 '스로틀1'상태(55)로 천이하게 한다. 이로써 데이터 율이 감소되고 따라서 모듈(11)에 의해 생성되는 열의 양도 감소한다. 모듈(11)의 온도는 아마도 랩탑(12) 내의 다른 콤포넌트들에 의해 발생된 열때문에 계속해서 상승한다. B 포인트에서, 온도는 TThrottle2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한다. 이는 모듈(11)이 '스로틀 2'상태(56)로 천이하게 한다. 이로써 데이터 율이 낮은 데이터 율로 감소하고 따라서 모듈(11)에 의해 생성되는 열의 양을 감소시킨다. 모듈의 온도는 TRadioOn 임계치보다 훨씬 높게 상승하고, 이는 어떠한 천이를 일으키지 않으며, 그리고 나서 C포인트에서 TThrottle2 임계치보다 아래로 떨어진다. 이는 모듈(11)이 '스로틀 1'상태(55)로 천이하게 한다. 이로써 데이터 율이 증가하고 따라서 모듈(11)에 의해 생성된 열의 양도 증가한다.
D 포인트에서, 온도는 다시 TThrottle2 임계치를 초과하여 증가한다. 이는 모듈(11)이 '스로틀 2'상태(56)로 천이하게 한다. 이는 다시 데이터 율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모듈(11)에 의해 생성된 열의 양도 감소시킨다. 이때 모듈(11)의 온도는 TRadioOn 임계치를 초과하여 증가하고, 이는 어떠한 천이도 일으키지 않으며, E 포인트에서 TRadioOff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한다. 이는 모듈이 '무선 오프' 상태(54)로 천이하게 한다. 이때 모듈(11)의 온도는 TRadioOff 임계치보다 아래로 떨어지고, 어떠한 천이도 일으키지 않으며, F 포인트에서 TRadioOn 임계치보다 아래로 떨어진다. 이는 모듈이 '스로틀 2' 상태(56)로 천이하게 한다.
이때 모듈(11)의 온도는 다시 TRadioOn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고, 다시 어떠한 천이도 일으키지 않으며, G 포인트에서 TRadioOff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한다. 이는 모듈이 '무선 오프' 상태(54)로 천이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모듈(11)은 열을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모듈(11)의 온도는 외부 열 소스들 때문에 H 포인트까지 계속 상승하여 TCritical 임계치를 초과한다. 이 포인트에서 모듈(11)은 '오류 모드' 상태(52)로 천이한다. 여기서, 모듈(11)은 오류 모드에 들어갔음을 영구 메모리에 기입한다. 무선 동작은 온도가 TRadioOn 임계치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다시 시작될 수 없다.
이로부터, TRadioOn 및 TRadioOff가 핑퐁 효과(ping-pong effect)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히스테리시스(hysterisys)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데이터 율들간의 핑퐁 동작은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히스테리시스는 스로틀링 임계치들에 적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스로틀링 임계치들은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단일 스로틀링 임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 하나의 스로틀 율이 정의된다. 이 경우, 모듈(11)은 동작상태에서 '무선 온', '스로틀' 또는 '무선 오프' 상태에 있다. 이는 상술한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온도 임계치들을 다음 표와 같이 조금 변형하여 얻을 수 있다.
임계치 값[℃]
Tcritical 80
TRadioOff 75
TRadioOn 70
TThrottle2 70
TThrottle1 65
본 발명은 WCDMA 표준과 다른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송신기들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가 랩탑 컴퓨터(12)에 내부에 있는 PCIe 미니어쳐카드와 관련되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보다 더 넓은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몇몇 예들에서 랩탑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 외부에 크게 존재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WCDMA (HSDPA 포함) 카드 또는 PCMCIA와 연결할 수 있는 모듈들, 그리고 카드 또는 모듈의 일부는 내부에 있고, 다른 일부는 외부에 있는 것과 그러한 유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몇몇 양상들에 있어서 무선 모듈이 특정 인터페이스 없이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장치, 예를 들어 모듈 및 디바이스가 함께 하드웨어적으로 연결(hard-wired)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동 전화,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그리고 내부 또는 일부 내부 트랜시버 모듈을 갖는 유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몇몇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정이 내려지는 모듈의 출력에 있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들은 특별히 그 모듈 자체와 연관되지 않을 수 있지만, 호스트 디바이스 내의 임의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WCDMA에 적용할 수 있고, 이는 최대 동작 온도가 초과되어 송신기 동작이 중단되는 가능성을 줄이면서 송신기가 감소된 데이터 율로 계속해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모듈 및 랩탑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로서, 시스템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일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태 머신(state machine)도이다.
도 3은 어떤 상태들에서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온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의 송신 데이터 율을 제1송신 데이터 율에서 제2송신 데이터 율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송신기의 송신 파워 레벨이 감소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고[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은 논제로(non-zero) 송신 데이터 율임];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최대 동작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를 오프로 절환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스위치 온(switch on) 온도 임계치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를 온으로 절환하고, 상기 최대 동작 온도 임계치는 상기 스위치 온 온도 임계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온도가 제2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 율이 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에서 상기 제1송신 데이터 율로 증가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제3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 율이 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로부터 제3송신 데이터 율로 감소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며,
    상기 제3송신 데이터 율은 논제로 송신 데이터 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제4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 율이 상기 제3송신 데이터 율에서 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로 증가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결정적인(critical)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지시 데이터(indicative data)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싱 하드웨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온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의 송신 데이터 율을 제1송신 데이터 율에서 제2송신 데이터 율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감소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단계[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은 논제로(non-zero) 송신 데이터 율임];
    상기 온도가 최대 동작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를 오프로 절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가 스위치 온(switch on) 온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를 온으로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동작 온도 임계치는 상기 스위치 온 온도 임계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제2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 율이 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에서 상기 제1송신 데이터 율로 증가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제3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 율이 상기 제2송신 데이터 율에서 제3송신 데이터 율로 감소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송신 데이터 율은 논제로 송신 데이터 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결정적인(critical)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응답하여 지시 데이터(indicative data)를 메모리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컴퓨터 장치가 제12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070064628A 2006-06-29 2007-06-28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0914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79,184 2006-06-29
US11/479,184 US7698578B2 (en) 2006-06-29 2006-06-29 Temperature-dependent power adjustment of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661A KR20080001661A (ko) 2008-01-03
KR100914893B1 true KR100914893B1 (ko) 2009-08-31

Family

ID=3854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628A KR100914893B1 (ko) 2006-06-29 2007-06-28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98578B2 (ko)
EP (1) EP1873913A1 (ko)
KR (1) KR100914893B1 (ko)
CN (1) CN1010981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831A (ko) * 2015-06-26 2018-03-05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디바이스들의 열 스로틀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5352B (zh) * 2008-02-01 2014-02-01 Pegatron Corp 可攜式電腦及其預加熱開機方法
CN101383940B (zh) * 2008-10-10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视电话的实现方法及装置
US8229492B2 (en) * 2009-05-08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Throttling transmit power in a WWAN device based upon thermal input
CN102405673A (zh) * 2010-02-04 2012-04-04 华为终端有限公司 降低无线终端设备功耗的方法及无线终端设备
CN101833342B (zh) * 2010-03-12 2013-04-24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产品及其热控制方法
US9667280B2 (en) 2010-09-24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ouch temperature management based on power dissipation history
CN102014201B (zh) * 2010-09-29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卡温度控制方法及装置
CN101986571A (zh) * 2010-11-02 2011-03-16 福建新大陆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功率发射机过温保护方法
CN102176782A (zh) * 2011-01-10 2011-09-07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终端设备及其热保护方法
US9020648B2 (en) * 2011-04-19 2015-04-2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Zero power applianc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207731B2 (en) 2012-05-18 2015-12-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switch with power budgeting
US9204396B2 (en) * 2013-02-08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ng a network search algorithm
WO2015161471A1 (zh) * 2014-04-23 2015-10-2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发射功率的方法及装置
US9763116B2 (en) 2014-08-27 2017-09-1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optimizing device performance by maintaining device within temperature limits
US10339559B2 (en) * 2014-12-04 2019-07-02 Adobe Inc. Associating social comments with individual assets used in a campaign
CN104581903A (zh) * 2014-12-19 2015-04-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降低终端设备功耗的方法及装置
US20170192985A1 (en) * 2016-01-04 2017-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orating webpage links with a user-specified indicator
US9954726B2 (en) * 2016-03-23 2018-04-24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ontrolling networking device temperatures by reducing data transfer rates from associated nodes
JP6758957B2 (ja) * 2016-07-01 2020-09-23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21063B (zh) * 2017-01-13 2018-04-11 慧榮科技股份有限公司 主機裝置與資料傳輸速率控制方法
TWI637268B (zh) * 2017-03-22 2018-10-01 慧榮科技股份有限公司 主機裝置與資料傳輸速率控制方法
EP3517912A1 (en) 2018-01-25 2019-07-3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obtaining a measure of the temperature of a wireless adapter
US11240685B2 (en) 2018-01-29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of selecting signal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parameters
CA3046568C (en) * 2018-07-17 2024-02-13 Neptune Technology Group Inc. Environmental sensor-based radio transmitter of a utility meter system
US10754410B2 (en) * 2018-11-09 2020-08-25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andby mode operation of power management system
GB201905250D0 (en) * 2019-04-12 2019-05-29 Nicoventures Trading Ltd Vapour provis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1123277A (zh) * 2019-12-31 2020-05-08 深圳奥比中光科技有限公司 一种深度测量系统的同步装置
CN111506131B (zh) * 2020-04-23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毫米波天线的通信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237729A (zh) * 2020-09-07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通信设备的方法及装置
KR20220125601A (ko) * 2021-03-05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R3141027A1 (fr) * 2022-10-18 2024-04-19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Adaptation d'une tension de comman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56A (ko) * 1995-04-21 1999-01-25 밀러 럿셀 비 온도 보상 자동 이득 제어 장치
KR20010071811A (ko) * 1998-07-10 2001-07-31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8432A (ko) * 2002-08-23 2005-06-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3610A (ko) * 2002-11-04 2005-07-14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멀티-레이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42103A (ko) * 2004-02-20 2006-05-1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높은 첨두치 대 평균치 전력비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증폭기 효율 향상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3685A (en) 1997-11-26 1999-09-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core logic temperature
US6169884B1 (en) 1998-04-06 2001-01-02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in radio transmitters
US6760311B1 (en) 1998-11-20 2004-07-06 Ericsson Inc. Thermal 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data modem
GB2355367A (en) 1999-10-13 2001-04-18 Ericsson Telefon Ab L M Adjusting allocation of transmission slots according operating conditions in a mobile telephone
WO2001033722A1 (fr) 1999-11-05 2001-05-10 Sony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d'emission de donnees
US6957352B2 (en) 2002-03-15 2005-10-18 Intel Corporation Processor temperature control interface
US6847911B2 (en) * 2002-08-02 2005-01-25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throttling the access frequency of an integrated circuit
US7596638B2 (en) 2004-06-21 2009-09-29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decrease CPU temperature through I/O bus throttling
US7177778B2 (en) 2004-11-30 2007-02-13 Intel Corporation Managing data processing rates at a network adapter using a temperature sens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56A (ko) * 1995-04-21 1999-01-25 밀러 럿셀 비 온도 보상 자동 이득 제어 장치
KR20010071811A (ko) * 1998-07-10 2001-07-31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8432A (ko) * 2002-08-23 2005-06-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3610A (ko) * 2002-11-04 2005-07-14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멀티-레이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42103A (ko) * 2004-02-20 2006-05-1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높은 첨두치 대 평균치 전력비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증폭기 효율 향상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831A (ko) * 2015-06-26 2018-03-05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디바이스들의 열 스로틀링
KR102664836B1 (ko) * 2015-06-26 2024-05-10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디바이스들의 열 스로틀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8174A (zh) 2008-01-02
US7698578B2 (en) 2010-04-13
KR20080001661A (ko) 2008-01-03
US20080007192A1 (en) 2008-01-10
EP1873913A1 (en)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93B1 (ko) 무선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20080059658A1 (en) Controlling the feeding of data from a feed buffer
KR101150084B1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효율적 전력-소비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에너지-제한 컴퓨팅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363775B1 (ko) 비주기적 이동국 보조 휴면 모드의 방법
EP22623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wlan module in portable terminal
US7500119B2 (en) Power saving techniques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s, and devices
US7467312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processors
JP3904552B2 (ja) 即時スリープ解除機能付き無線信号受信装置及び無線信号受信装置の即時スリープ解除方法
US20070230418A1 (en) Triggering rule for energy efficient data delivery
US20080046132A1 (en) Control of heat dissipation
CN110235476B (zh) 利用强化学习的自适应功率节省
US20070081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28719B2 (en) Controlling circuit with power saving mechanism and method thereof
US116594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adaptive power control mechanism and associated circuitry within electronic device
US87564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pause frame to a link partner to establish a transmission pause period according to a low data rate being detected
EP1322054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21302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JP2001339532A (ja) 通信デバイス
US942674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411002A (zh) 一种数据传输控制方法及终端
KR20190129219A (ko) 무선랜 ap에 따른 전력 절감 최적화 방법 및 장치
CN108337720B (zh) 一种wlan设备省电模式实现方法及装置
US9189434B2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dle-delay time thereof
US20230232332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circuit for communicating with base station
WO2008020300A2 (en) Control of heat dissipation in a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