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665B1 -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 Google Patents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665B1
KR100914665B1 KR1020070086067A KR20070086067A KR100914665B1 KR 100914665 B1 KR100914665 B1 KR 100914665B1 KR 1020070086067 A KR1020070086067 A KR 1020070086067A KR 20070086067 A KR20070086067 A KR 20070086067A KR 100914665 B1 KR100914665 B1 KR 10091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network
termination device
network termination
optic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505A (ko
Inventor
문상철
이호신
이재형
안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7008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6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광 회선 단말 장치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광 송수신 모듈; 및 지속적인 광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광망 종단 장치(이하,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존재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장애가 검출된 경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제1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가 없어지면, 최근 차단한 광망 종단 장치를 상기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으로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거나, 오동작하는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신호 송신을 차단할 수 있어, 수동 광가입자 망(Passive Optical Network : 이하, PON)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PON, OLT, ONU, ONT

Description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apparatus for optical line terminal and apparatus for optical network terminal}
도 1은 PON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GE-PON에서 OLT와 등록된 ONU 간의 데이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회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PON에서의 상향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 검출 및 장애 제거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망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PO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ON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광 가입자망 기술로서, FTTH(Fiber To The Home), FTTN(Fiber To The Neighborhood), FTTP(Fiber To The Premise), FTTC(Fiber To The Curb) 등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는 PON 기술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N은 타 망과 서비스 노드 인터페이스(service node interface : 이하, SNI)로 연결되어 PON을 시작하는 광 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l : 이하, OLT), OLT로부터 나오는 광섬유를 여러 가닥의 광 섬유로 분기시켜주는 수동 스플리터(passive splitter), 다수의 광망 유닛(optical network unit : 이하, ONU) 또는/및 광망 단말(Optical Network Terminal : ONT)로 이루어진다. ONU 및 ONT 각각은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 : 이하, UNI)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PON은 OLT와 ONU/ONT 간에 점대다중점 방식으로 구성되어, 다중화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 다중화 방식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TDM)를 사용하는 TDM(A)-PON과 파중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WDM)를 사용하는 WDM(A)-PON으로 대별된다. TDM(A)-PON은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비동기 전송 방식(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 기반의 ATM-PON, 이더넷 기반의 (G)E-PON, 일반적인 프레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G-PON 등이 있다.
TDM(A)-PON 중 일례로, IEEE802.ah의 표준규격에서 정의되는 GE-PON은 상향 1310nm, 하향 1490nm, 방송 1550nm의 파장을 이용하여 하향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상향 데이터는 TDMA 방식으로 전송하는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GE-PON은 ONU/ONT에 대한 등록(registration), 정확한 타이밍으로 타임 슬롯 기반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인징(ranging), 및 ONU/ONT에 대한 동적 대역 할당(Dynamic Bandwidth Allocation : 이하, DBA)를 위해, 다중점 제어 프로토콜(Multi-Point Control Protocol : 이하, MPCP)을 사용한다.
MPCP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PCP의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ONU/ONT에 논리 링크 식별자(Logical Link Identifier : 이하, LLID)가 할당되어 ONU/OLT가 OLT에 등록되며, 상기 디스커버리 과정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레이징을 위한 각 ONU/ONT의 RTT(Round Trip Time)가 OLT에서 산출된다. 또한, MPCP의 DBA 과정을 통하여, OLT가 각 등록된 ONU/ONT에게 상향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 그 후 ONU/ONT는 할당받은 상향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상술한 등록, 레인징, 및 DBA를 위해서, OLT가 브로드캐스팅하는 게이트 메시지, 각 ONU/ONT가 OLT에게 송신하는 레포트 메시지 등이 사용된다.
도 2는 GE-PON에서 OLT와 등록된 ONU 간의 데이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하향 데이터의 흐름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LT가 각 프레임에 해당 ONU를 위한 트래픽 데이터을 실고, 그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해당 ONU의 LLID를 삽입하여 송신한다. 이후, 각 ONU는 OLT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들 중에서 자신의 LLID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검출하여 UNI로 전달하게 된다.
상향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U/ONT의 큐(Queue) 정보가 담긴 레포트 메시지를 기초로, OLT는 등록된 ONU에게 대역 즉, 상향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이후, ONU는 할당 받은 상향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OLT에게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향 전송을 위해 TDM(A) 방식을 사용하는 PON하에서는 각 ONU/ONT가 자신에게 할당된 상향 타임 슬롯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ONU/ONT 간의 전송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광 송수신 모듈의 불량 또는 광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의 오동작 등의 이유로 어느 하나의 ONU/ONT(이하, 오동작 ONU/ONT)가 오동작하여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나머지 ONU/ONT(이하, 정상 ONU/ONT)는 정상적인 PON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나머지 ONU/ONT가 이미 등록되어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오동작 ONU/ONT에 의해 지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와 정상 ONU/O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중첩되므로 OLT는 정상 ONU/O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제대로 검출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등록된 ONU/ONT의 상향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등록 유지를 위해 필요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레포트 메시지)가 제대로 OLT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결국 등록 해제되는 상황도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나머지 ONU/ONT가 아직 등록되지 않아 상술한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커버리 과정에 필요한 상향 통신이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등록하고자 하여도 등록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PON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동작 여부 확인, 지속적인 광 송신 차단 등의 목적으로 광망 종단 장치에 의한 광 송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광 송수신 모듈; 및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1 기간 동안 광 송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광 송수신 모듈; 및 지속적인 광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광망 종단 장치(이하,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존재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장애가 검출된 경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제1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가 없어지면, 최근 차단한 광망 종단 장치를 상기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으로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광 송수신 모듈; 및 제1 기간 동안 광 송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의 광 송신을 상기 제1 기간 동안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광망 종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광 회선 단말 장치(apparatus for optical line terminal)는 PON에서 다수의 ONU/ONT과 점대다중점 관계에서 광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예컨대, OLT)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할 것이고, 광망 종단 장치(apparatus for optical network terminal)는 PON에서 상기 광 회선 단말 장치와 다중점대점 관계에서 광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예컨대, ONU, ONT)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회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 회선 단말 장치는 광 송수신 모듈(300), SERDES(310), 검출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 송수신 모듈(300)은, PON의 물리 매체 의존(Physical Media Dependent : PMD) 부계층(sublayer) 처리를 담당한다. 즉, 송신을 위해, 광 송수신 모듈(300)은 인에이블(enable) 신호에 따라, PON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하고, 그 변환 결과 신호(S1)를 SERDES(310)에 제공한다. 또한, 수신을 위해, 광 송수신 모듈(300)은, 인에이블(enable) 신호에 따라, SERDES(3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S1)를 전광 변환하여 PO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광 신호를 송신한다.
SERDES(310)는, PON의 물리 매체 접근(Physical Media Access : PMA) 부계층 처리를 담당한다. 즉, 수신 처리를 위해, SERDES(310)는 광 송수신 모듈(3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S1)를 디시리얼라이징(Deserializing) 즉, 병렬 데이터(예컨대, 10비트 데이터)(S2)로 변환하여 제어부(33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한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데이터(S2)는 PON MAC 컨트롤러(334)에게 제공되어,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부계층 이상의 계층 처리가 수행된 후, 그 처리 결과는 서비스 노드 인터페이스로 제공된다.
또한, 송신 처리를 위해, SERDES(310)는 제어부(320)로부터 제공되는 병렬 데이터(S2)를 시리얼라이징(Serializing) 즉, 1비트 형식의 신호(S1)로 변환하여 광 송수신 모듈(30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한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노드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해, PON MAC 컨트롤러(334)가 FEC 부계층 이상의 계층 처리를 수행하면, 그 처리된 데이터(S2)는 SERDES(310)로 제공된다.
검출부(310)는 장애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PON에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 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제어부(330)는 검출부(310)에서 장애가 검출되면, 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 의한 광 송신을 최종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30)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검출을 위한 광 송신 차단 메시지(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해당 광망 종단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광 송신의 최종적 차단을 위한 광 송신 차단 메시지(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제1 기간 광 신호 송신을 차단하도록 하는 메시지이며,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제2 기간 동안 광 신호 송신을 차단하도록 하는 메시지이다. 제2 기간의 예로는, 영구적인 기간이거나, 망 관리자가 해당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수신 모듈의 오작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을 들 수 있다.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 및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다 상세한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0)가 장치 전반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332) 및 상술한 처리를 수행하는 PON MAC 컨트롤러(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CPU(332)는 해당 광망 종단 장치에게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PON MAC 컨트롤러(334)에게 명령을 내리고, 이 명령을 받은 PON MAC 컨트롤러(334)는 해당 광망 종단 장치로 향하는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생성하여 SERDES(310)에 제공한다. 이후, SERDES(310)는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디시리얼라이징하여 광 송수신 모듈(300)에 제공하고, 광 송수신 모듈(300)은 PON 인터페이스 로 해당 광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해당 동작 광망 종단 장치는 도 6에서 후술할 방법으로 광 송신을 중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된다.
도 4는 PON에서의 상향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T1은 제1 광망 종단 장치에게 할당된 상향 타임 슬롯 즉, 승인(grant) 기간을 나타내며, T3는 제2 광망 종단 장치에게 할당된 상향 타임 슬롯 즉, 승인 기간을 나타낸다. T2는 승인 기간(T3)을 이용한 상향 전송이 제대로 수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상향 송신이 금지되는 기간 즉, 승인 스페이싱(grant spacing) 기간으로서, 제1 광망 종단 장치가 광 송수신 모듈에 포함된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등의 광 신호원을 끄는 데 필요한 시간인 T2_1와, 제2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신호원을 켜는 데 필요한 시간인 T2_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ATA로 표기된 기간은 광망 종단 장치의 상향 트래픽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간이며, Idle로 표기된 기간은 광망 종단 장치의 싱크 데이터(예컨대, K28.5의 싱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간이다. 승인 기간(T3)의 일부인 T3_1는 제2 광망 종단 장치와 광 회선 단말 장치의 동기화가 수행되는 동기 기간(Sync Time)이다. 여기서, 동기 데이터는 광 회선 단말 장치와 광망 종단 장치가 서로 아는 특정 데이터 패턴을 갖는다.
장애 검출 방법의 일례로, 도 4에서 상술한 승인 스페이싱 기간의 성질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검출부(310)는 광 송수신 모듈(3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 : 이하, SD)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SD 신호는 광 송수신 모듈(300)에 의해 소정 전력 레벨 이상의 광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소정 전력 레벨 이상의 광 신호가 수신되면, 활성화 값(예컨대, HIGH)을 가지며, 그 외에는 비활성화 값(예컨대, LOW)을 갖는 신호이다.
이러한 신호의 성질 및 도 4에서의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승인 기간 동안에는 SD 신호가 활성화 값을 가지며, 승인 스페이싱 동안에는 비활성화 값을 갖는다. 따라서, PON에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SD 신호가 활성화 값, 비활성화 값을 주기적으로 가지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검출부(320)는 소정 기간 동안, SD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기간은 PON에서 하나의 광망 종단 장치에게 허용하는 최대 지속 기간의 상향 전송을 위해 광 신호원이 켜져 있는 기간보다 긴 기간이다. 상기 소정 기간 동안 SD 신호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은, 승인 스페이싱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에도 광 신호를 송신하는 광망 종단 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검출 방법을 구현하는 예로서, 검출부(320)는 SD 신호를 소정의 클럭에 따라 샘플링 및 카운팅하여, 상기 소정 기간 동안 활성화되고 있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소정 기간 동안 활성화되고 있지 않으면(즉, 장애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제1 값(예컨대, 0)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소정 기간 동안 활성화되면(즉,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면), 제2 값(예컨대, 1)을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CPU(332)는 주기적으로 이 레지스터를 모니터링하여,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PON에 존재하는지 즉, 장애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고, 장애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PON에 존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광 회선 단말 장치가 나머지 광망 종단 장치의 등록 유지에 필요한 상향 송신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광망 종단 장치 모두가 등록 해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장애 검출시,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1개일 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오동작 광망 장치를 검출하고, 장애를 제거할 수 있다.
첫째, 케이스1(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1개이고,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1개인 경우)에서 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고, 장애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장애 검출 방법 등을 통하여 장애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330)(구체적인 예로는 CPU(332))는 현재 등록 유지되고 있는 광망 종단 장치가 하나이면, 상기 등록 유지되고 있는 광망 종단 장치를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 으로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하여, 장애를 제거한다.
둘째, 케이스2(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복수 개이고,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1개인 경우)에서 그 복수 개의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고, 장애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편의상, PON에 2개의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 및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존재하고,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로 인해,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포함한 나머지 광망 종단 장치가 등록 해제되는 상황을 전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존부 검출 방법 등을 통하여, 장애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330)는 현재 등록 유지되고 있는 광망 종단 장치가 하나이면, 케이스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등록 유지되고 있는 광망 종단 장치(즉, 제1 광망 종단 장치)를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의 송신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1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신호 송신을 차단한다. 이후,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등록되어 다시 장애가 검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마찬가지로, 제어부(330)는 현재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하나이면, 상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즉,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의 송신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2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신호 송신을 차단하여, 장애를 최종적으로 제거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PON에 존재하는 경우, 특정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광망 종단 장치 모두가 등록 해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나머지 광망 종단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등록 유지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은 각 광망 종단 장치의 송신 광 전력 레벨의 차이, 각 광망 종단 장치와 광 회선 단말 장치 간의 거리의 차이, 감쇄율의 차이 등의 이유로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송신 광 전력이 다른 정상적인 광망 종단 장치의 송신 광 전력 보다 작을 경우(예컨대, 4dB 이상의 차이)에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장애 검출시, 복수의 광망 종단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하, 이러한 상황에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광 회선 단말 장치는 장애가 제거될 때까지 광망 종단 장치를 한 개씩 꺼가며,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찾는다.
첫째, 케이스3(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1개이고,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에서 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여, 장애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장애 검출 방법 등을 이용하여, 장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30)는, 장애가 제거될 때까지,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등록 유지되고 있는 각 광망 종단 장치에게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제1 기간 동안 광 신호 송신을 차단하도록 하는 메시지이며, 제1 기간은 해당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신호 송신 차단으로 인해, 장애가 제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한다. 일례로, CPU(332)가 상술한 레지스터를 모니터링하는 주기가 2초이고, 광 회선 단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광망 종단 장치의 개수가 32(즉, 32 분기인 경우)라면, 상기 제1 기간을 60초로 설정하면, 해당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신호 송신 차단으로 인해, 장애가 제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된다.
이러한 송신 과정을 통해 장애가 제거되는 순간, 제어부(330)는 최근에 광 송신이 차단된 광망 종단 장치(즉, 최근에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수신한 광망 종단 장치)를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 광망 종단 장치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기록해 둔다. 이후에,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상기 기록해둔 식별자에 대응하는 광망 종단 장치라면, 도 3에서 설명한 제어부(300)를 통하여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등록 유지되고 있는 광망 종단 장치에게 송신한다.
둘째, 케이스4(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제1 복수 개이고,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제2 복수 개인 경우)에서 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하여, 광 송신을 차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케이스 3에서는, 한번의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 송신을 통해, 장애가 최종적으로 해결되나,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2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장애가 최종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편의상,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2개인 경우(즉,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 및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있는 경우)를 전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케이스 3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장애가 제거될 때까지, 등록된 각 광망 종단 장치에게 순차적으로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보다 먼저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수신하여 광 송신을 차단한 경우를 전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경우, 장애가 검출되지 않는 시점은,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수신하여 광 송신을 차단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검출되던 장애가 없어지는 순간, 광 회선 종단 장치는 최근 차단한 광망 종단 장치(즉,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식별자를 기록해둔다. 이후에,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에 의한 잠정적인 광 송신 차단이 해제(즉, 제1 기간의 도과)되어 다시 등록될 수 있는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상기 기록해둔 식별자에 대응하는 광망 종단 장치(즉,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라면, 도 3에서 설명한 제어부(300)는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즉,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게 송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2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장애는 해결되나,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에 의한 잠정적인 광 송신 차단이 해제(즉, 제1 기간의 도과)되어 다시 등록됨으로써, 장애가 검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30)가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하나이면, 상술한 케이스1의 처리 방법에 따라, 그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즉,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장애가 제거되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가 2 이상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장애가 제거될 때까지,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각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에게 송신한다. 순차적인 송신으로 장애가 제거되었다고 판단하는 순간, 제어부(330)는 최근 차단한 광망 종단 장치(즉,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식별자를 기록해둔다. 추후에, 마찬가지로,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다시 등록되어, 장애가 다시 검출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제어부(330)는 기록해둔 식별자에 대응하는 광망 종단 장치(즉, 제1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장애가 최종적으로 제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 검출 및 장애 제거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로서, 앞서 설명한 케이스1, 케이스2, 케이스3, 및 케이스4를 커버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장애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1 값(도 5에서는 0)이, 장애가 검출되면, 제2 값(도 5에서는 1)이 기록되는 레지스터를 검출부(320)가 관리하고, CPU(332)가 이 레지스터 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 2 광 송신 차단 메시지의 송신 및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하여 도 5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CPU(332)는 레지스터를 체크한 결과(S500), 레지스터에 제1 값이 기록되어 있으면(S505), S500 단계로 복귀하고, 레지스터에 제2 값이 기록되어 있으면(S505),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개수(count)를 확인한다(S510).
확인 결과(S510),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개수가 0이면(S515), S500 단계로 복귀하고,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개수가 0이 아니면(S515), S520 단계로 진행한다.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개수가 1이면(S520), CPU(332)는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 후(S525), S500 단계로 복귀한다.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개수가 1이 아니면(즉, 복수이면)(S520), CPU(332)는 등록된 각 광망 종단 장치에게 순차적으로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면서(S530), 장애가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레지스터를 체크한다(S535).
체크 결과, 레지스터가 제1 값을 나타내면(S535), CPU(332)는 최근에 광 송신이 차단된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며(S525), 레지스터가 제2 값을 나타내면(S535), S530 단계로 복귀하여, 아직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가 송신되지 않은 나머지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망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망 종단 장치는 광 송수신 모듈(600), 제어부(610) 및 차단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 송수신 모듈(600)은, 제어부(61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6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거나, PO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하여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제어부(610)는 PON의 광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예컨대, 중앙 제어 동작, MAC 처리 동작, 패킷 처리 동작, MPCP 처리 동작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610)는 광 송수신 모듈(600)을 통하여 상술한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가 수신되면, 광 송수신 모듈(600)의 광 송신을 제1 기간 동안 차단하도록 차단부(620)를 제어하며, 광 송수신 모듈(600)을 통하여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가 수신되면, 광 송수신 모듈(600)의 광 송신을 제2 기간 동안 차단하도록 차단부(62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 및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통하여 수신된다.
차단부(620)는 제어부(610)의 제어에 따라 제1 기간 또는 제2 기간 동안 광 송수신 모듈(600)의 광 신호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광 송수신 모듈(600)의 광 송신을 차단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동작하는 광망 종단 장치에 의한 광 송신을 차단할 수 있어, PON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오동작 여부를 진단할 수 없는 광망 종단 장치가 있는 PON 환경하에서도, 오동작하여 지속적으로 광 신호를 송신하는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광 송수신 모듈; 및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1 기간 동안 광 송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망 종단 장치에게 제2 기간 동안 광 송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 및 상기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4. 삭제
  5. 광 송수신 모듈;
    지속적인 광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광망 종단 장치(이하,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존재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장애가 검출된 경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제1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가 없어지면, 최근 차단한 광망 종단 장치를 상기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인 것으로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가 추후에 등록되면, 상기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제2 기간 동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상기 제1 기간 동안 중지하도록 하는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상기 제2 기간 동안 중지하도록 하는 광 송신 차단 메시지를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검출된 오동작 광망 종단 장치의 광 송신을 상기 제2 기간 동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회선 단말 장치.
  8. 삭제
  9. 광 송수신 모듈; 및
    제1 기간 동안 광 송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의 광 송신을 상기 제1 기간 동안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제2 기간 동안 광 송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광 송수신 모듈의 광 송신을 상기 제2 기간 동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망 종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송신 차단 메시지 및 상기 제2 광 송신 차단 메시지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망 종단 장치.
KR1020070086067A 2007-08-27 2007-08-27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KR10091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67A KR100914665B1 (ko) 2007-08-27 2007-08-27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67A KR100914665B1 (ko) 2007-08-27 2007-08-27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05A KR20090021505A (ko) 2009-03-04
KR100914665B1 true KR100914665B1 (ko) 2009-08-28

Family

ID=4069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067A KR100914665B1 (ko) 2007-08-27 2007-08-27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6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2746A (ja) * 2002-07-22 2004-04-08 Sumitomo Electric Ind Ltd PON(PassiveOpticalNetwork)システム
JP2007166496A (ja) * 2005-12-16 2007-06-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加入者線端局装置、異常監視装置および光加入者線終端装置の異常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2746A (ja) * 2002-07-22 2004-04-08 Sumitomo Electric Ind Ltd PON(PassiveOpticalNetwork)システム
JP2007166496A (ja) * 2005-12-16 2007-06-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加入者線端局装置、異常監視装置および光加入者線終端装置の異常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05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6683B2 (ja) 通信方法、光通信システム、利用者側光回線終端装置、局側光回線終端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5210959B2 (ja) 光受動網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用方法
US77296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enance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584383B1 (ko) 광선로가입자장치들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광선로종단장치 및 이를 적용한 기가비트 이더넷 기반의수동 광가입자망
EP242117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esting optical network
US9350480B2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hich uses relay device
KR20120071577A (ko) 로그 onu를 검출하는 방법, olt 및 pon 시스템
US9130676B2 (en) Transparent protection switching operation in a PON
EP2697982B1 (en) Mitigating rogue optical network unit (onu) behavior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US9287981B2 (en) Station-side apparatus and PON system
KR100765471B1 (ko) 광망 종단 장치와 광 회선 단말장치 및 광망 종단장치의 광송신단 제어방법
KR100925678B1 (ko)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KR100887927B1 (ko) 자체 진단 기능을 가지는 광망 종단장치
JP3949906B2 (ja) 受動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制御システム及び受動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制御方法
WO2013075507A1 (zh) 数据发送方法及系统
KR100914665B1 (ko)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JP2016143950A (ja) Ponシステム
JP5456131B2 (ja) 通信方法、光通信システム、利用者側光回線終端装置、局側光回線終端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2011035738A (ja) 障害onu特定方法及び装置
KR100915317B1 (ko) 광망 종단장치 및 이의 광송수신부 전원제어방법
KR100914635B1 (ko) 광 회선 단말장치
CN115901179A (zh) 一种非正常发光onu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JP2006080582A (ja) 有害トラフィックを制限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6167753A (ja) Pon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