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056B1 -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056B1
KR100914056B1 KR1020080128356A KR20080128356A KR100914056B1 KR 100914056 B1 KR100914056 B1 KR 100914056B1 KR 1020080128356 A KR1020080128356 A KR 1020080128356A KR 20080128356 A KR20080128356 A KR 20080128356A KR 100914056 B1 KR100914056 B1 KR 10091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heating element
boar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08012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 단열보온재, 동판 및 무자계 열선 등이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표층의 상부에 산성 성분인 황토와 강 염기성 성분인 천연 접착제를 발열반응이 강한 석고와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표면의 보드판을 인체에 유익한 염기성으로 유지하면서 석고의 강한 경화작용으로 보드판의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그리고 가열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초장파 등을 다량 방출하고, 수맥에서 발생하는 유해 파장 및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므로 숙면시나 휴식을 취할 때 최적의 생체리듬으로 유지시켜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장점이 있다.
침대용 매트, 기재층, 단열보온재, 동판, 무자계열선, 은박테이프, 알루미늄 망사, 보드판,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

Description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Mattress for Bed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 단열보온재, 동판 및 무자계 열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층의 상부에 황토, 석고 및 천연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보드를 염기성으로 유지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음이온 등을 다량 방출하고, 수맥에서 발생하는 유해 파장 및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잠자리와 활동장소와의 차별화를 주고 그 화려함으로 인해 일반수요자들이 쉽게 매료되어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침대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전자파나 주택의 지층으로 흐르고 있는 수맥에서 발생되는 수맥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함으로 인해 사용시 생체리듬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나 지하층으로 흐르 는 수맥에서 발생되는 수맥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 개발하여 출원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0053343호(1997. 10. 13 공개)에 동판이 깔린 외틀 내부의 스틀에 속틀을 결합하고, 상기 속틀의 상부에 세라믹과 풀과 수사를 교반한 흙을 채워 건조시킨 다음 그 상부에 송진, 콜크분말 침엽수분말로 제조한 장판을 입힌 흙침대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흙침대는 주택의 지하층으로 흐르고 있는 수맥파는 적절히 차단할 수 있지만 속틀 상부에 흙을 채움으로 인해 지나치게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 건조로 인해 제조기간이 길고, 사용시 가열시간의 과다로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918호(2002. 07. 18 공고)에는 황토판넬의 저면에 전열선이 내장된 황토 보료에 있어서, 상기 황토페널의 내부에 세라믹 입자와 함께 제올라이트 소결입자를 혼합하여 내장하고 전열선의 상하면에는 알루미늄 피막에 코팅된 알루미늄 섬유지를 접합한 전열판넬과 그 저면에 은박지를 내설한 세라믹 황토 온돌보료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온돌 보류는 세라믹, 제올라이트 등을 혼합하여 내장하므로 인해 원적외선 방출효과는 있지만 과다한 에너지 소모로 인해 유지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 지하층으로 흐르는 수맥파를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우려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판재, 단열보온재, 수맥파를 차단하기 위한 동판 및 무자계 열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층의 상부에 산성 성분인 황토와 염기성 성분인 천연 접착제를 발열반응이 강한 석고와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보드를 인체에 유익한 염기성으로 유지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고, 수맥에서 발생하는 유해 파장 및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숙면시나 휴식을 취할 때 최적의 생체리듬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를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보드를 제조함으로써, 석고의 강한 발열반응으로 응고력을 향상시킴으로 인해 매트의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침대용 매트(100)는 하부로부터 기재층(10)과;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보온재층(20)과; 상기 단열보온재층의 상부에 수맥파를 차단하는 수맥파 차단층(30)과; 상기 수맥파 차단층의 상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층(40)과; 상기 발열체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고정시키는 테이프층(50)과; 상기 테이프층의 상부에 전원센스(60) 및 정전용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알루미늄 망사층(70)과; 상기 알루미늄 망사층의 상부에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를 혼합한 보드층(80)이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그 상부에 커버(90)를 적층시킨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침대용 매트(100)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상부에 단열보온재를 적층시키는 단열보온재 적층 공정(S100); 상기 단열보온재층의 상부에 수맥파를 차단하는 수맥파 차단 공정(S200); 상기 수맥파 차단층의 상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를 형성하는 발열체 형성 공정(S300); 상기 발열체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테이프로 합지시킨 다음 1차 고정시키는 1차 고정 공정(S400); 상기 1차 고정시킨 테이프층의 상부에 전원센스 및 알루미늄 망사를 형성한 다음 2차 고정시키는 2차 고정 공정(S500); 상기 2차 고정시킨 알루미늄 망사의 상부에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드층을 형성하는 보드층 공정(S600); 상기 보드층의 상부에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 형성 공정(S700)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은 판재, 단열보온재, 수맥파를 차단하기 위한 동판 및 무자계 열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층의 상부에 산성 성분인 황토와 염기성 성분인 천연 접착제를 발열반응이 강한 석고와 혼합하여 도포하여 보드를 형성함으로써, 보드를 인체에 유익한 염기성으로 유지하면서 석고의 강한 발열반응으로 인해 보드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열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초장파, 음이온 등을 다량 방출하고, 그리고 수맥에서 발생하는 유해 파장 및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숙면시나 휴식을 취할 때 최적의 생체리듬으로 유지시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장점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침대용 매트(100)는 하부로부터 기재층(10)과;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보온재층(20)과; 상기 단열보온재층의 상부에 수맥파를 차단하는 수맥파 차단층(30)과; 상기 수맥파 차단층의 상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층(40)과; 상기 발열체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고정시키는 테이프층(50)과; 상기 테이프층의 상부에 전원센스(60) 및 정전용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알루미늄 망사층(70)과; 상기 알루미늄 망사층의 상부에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를 혼합한 보드층(80)이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그 상부에 커버(90)를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재층(10)은 침대용 매트(100)의 내부면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이 평탄한 합판, 집성목, 코아합판(block board), 라민보드(lamin board),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 board), 파티클 보드(paticle board)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기재층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열보온재층(20)은 열의 방사 및 흡수를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열보온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맥파 차단층(30)은 지하층을 흐르는 지하수에서 발생하는 수맥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층으로서, 소재로는 전기저도성이 뛰어나고, 비자성체 금속이며, 저주파의 차단에 효과적인 동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판은 0.5~1㎛의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맥파 차단층의 두께는 반드시 상기의 두께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수요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발열체층(40)은 침대용 매트(100)에 열을 공급하여 보온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발열체로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인 전기장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는 무자계 열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테이프층(50)은 하부에 설치되는 발열체를 점착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은박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층의 상부에는 전원센스(60)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센스(60)는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1~3 개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루미늄 망사층(70)은 발열체의 정전용량을 1800~2000pF(potential force)으로 유지시키고 그리고 발열체와 보드층이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드층(70)은 전원을 공급하면 열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초장파, 음이온 등을 다량 방출하여 인체의 세포조직 깊숙이 침투시켜 숙면시나 휴식을 취할 때 최적의 생체리듬으로 유지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드층(80)은 황토 30~35 중량%, 석고 30~35 중량% 및 천연 접착제 35~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황토는 지름 0.002∼0.005mm인 입자로 이루어진 퇴적물로서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체온을 높여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키며, 신진대사를 강화시켜 세포조직의 재생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다.
한편, 상기 황토의 사용량은 30~3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의 사용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드를 가열시 황토의 사용량 저하로 세포조직의 활성이 증가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황토의 사용량이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황토의 산성 성분으로 도리어 인체의 생리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석고는 단결정이 잘 발달된 세레나이트(selenite)라는 반투명한 광물로서 단열성, 방화성, 방균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며, 황토와 천연 접착제를 신속히 경화시키는 경화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30~3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고의 사용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석고의 사용량 저하로 침대용 보드의 경화시간이 길어 질 우려가 있고, 석고의 사용량이 35 중 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석고의 사용량에 비해 다른 성분의 함유량 저하로 침대용 보드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석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동등 이상의 물성을 유지할 경우 적절한 광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천연 접착제는 로진, 해초, 레시틴을 주재료로 한 것으로 산성 성분인 황토와 혼합하여 침대용 보드를 염기성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천연 접착제의 사용량은 35~4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접착제의 사용량이 3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천연 접착제의 사용량 저하로 침대용 보드를 염기성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우려되고, 천연 접착제의 사용량이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침대용 보드를 염기성으로 충분히 유지할 수는 있지만 그 사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천연 접착제는 로진 35~40 중량%, 해초 50~60 중량% 및 레시틴 5~10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로진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인 아비에트산이 주성분으로 접착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로진의 사용량은 35~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진의 사용량이 3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 결속시킬 때 결속력 저하로 천연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로진의 사용량이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 결속시킬 때 천연 접착제의 접착강도는 향상되지만 기타 성분의 부족으로 도리어 천연 접착제의 점질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하는 로진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과 같은 미변성 로진이나, 이들의 미변성 로진을 중합, 불균화, 수첨화 등에 의해 변성시킨 변성 로진 또는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의 공지된 로진계 수지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로진을 용해시킬 때 사용하는 용제는 알코올류로서 1가 알코올류, 2가 알코올류, 3가 알코올류, 6가 알코올류와 벤젠, 에테르, 아세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로진의 연화 온도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인 것이 적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에서 해초는 천연 접착제의 점질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에멀젼 타입의 해초 50~6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초의 사용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해초의 사용량의 저하로 천연 접착제의 점질력 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해초의 사용량이 6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천연 접착제의 점질력은 향상시킬 수 있지만 기타 성분의 부족으로 천연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초는 홍조류인 우무가사리와 갈조류인 다시마, 미역과 녹조류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레시틴은 로진과 에멀젼 타입의 해초를 유화시키는 유화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시틴의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로진과 에멀젼 타입의 해초를 유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우려되고, 레시틴의 사용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로진과 에멀젼 타입의 해초는 잘 유화시킬 수는 있지만 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레시틴은 대두 또는 개란 흰자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커버(90)는 인체와 접촉할 때 부드러움을 유지하여 안락한 생활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마인유와 송진을 고온에서 용해시킨 후, 목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장판류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상기 커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판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100)를 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침대용 매트를 인체에 유익한 염기성으로 유지하면서, 열에 의해 원적외선, 초장파, 음이온 등을 다량 방출하고, 지하층으로 흐르는 수맥에서 발생하는 유해 파장 및 전자파를 차단하여 숙면시나 휴식을 취할 때 최적의 생체리듬으로 유지시켜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보드의 제조방법을 각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보드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상부에 단열보온재를 적층시키는 단열보온재 적층 공정(S100); 상기 단열보온재층의 상부에 수맥파를 차단하는 수맥파 차단 공정(S200); 상기 수맥파 차단층의 상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를 형성하는 발열체 형성 공정(S300); 상기 발열체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테이프로 합지시킨 다음 1차 고정시키는 1차 고정 공정(S400); 상기 1차 고정시킨 테이프층의 상부에 전원센스 및 알루미늄 망사를 형성한 다음 2차 고정시키는 2차 고정 공정(S500); 상기 2차 고정시킨 알루미늄 망사의 상부에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드층을 형성하는 보드층 공정(S600); 상기 보드층의 상부에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 형성 공정(S700)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단열보온재 적층 공정(S100)은 기재층의 상부에 기재층과 동일한 크기로 단열보온재를 적층하여 열의 방사 및 흡수를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상기 단열보온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맥파 차단 공정(S200)은 상기 단열보온재의 상부에 기재층과 동일한 크기의 동판을 적층하여 지하층으로 흐르는 수맥파를 차단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에서 발열체 형성 공정(S300)은 수맥파 차단층의 표면에 발열체를 일정하게 형성하여 침대용 매트에 열을 공급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상기 발열체는 무자계 열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1차 고정 공정(S400)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발열체층의 상부에 은박 테이프로 합지시킨 다음 각각 적층된 재료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공정으로 이와 같이 고정시키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건 타카로 3~5군데 적절한 배열로 고정시키는 것이 적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2차 고정 공정(S500)은 1차 고정시킨 발열체층의 상부에 1~3개의 전원센스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센스의 상부에 발열체의 정전용량을1800~2000pF(potential force)으로 유지시키고 그리고 발열체와 보드층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망사를 설치한 다음 적층된 재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 공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시키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건 타카로 고정시키는 것이 적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보드층 형성공정(S600)은 2차 고정시킨 발열체층의 상부에 황토, 석고, 천연 접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35~40mm 두께로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와 같이 혼합한 혼합물을 발열체의 상부에 도포한 다음 그늘에서 2~4일간 자연 건조시켜 보드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드의 혼합물인 황토, 석고 및 천연 접착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로진, 해초류 및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로진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이나, 이들의 미변성 로진을 중합, 불균화, 수첨화 등에 의해 변 성한 변성 로진 또는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의 공지된 로진계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100 중량부에 용제로서 1가 알코올류, 2가 알코올류, 3가 알코올류, 6가 알코올류, 벤젠, 에테르, 아세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선택한 130~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기에서 1.5~2.5시간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초는 홍조류인 우무가사리와 갈조류인 다시마, 미역과 녹조류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100 중량부에 가성소다 20~40 중량부를 첨가하여 80~90℃에서 3~5시간 가열하여 에멀젼 타입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시틴은 대두 또는 개란 흰자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천연 접착제는 로진 35~40 중량%, 에멀젼 타입 해초 50~60 중량% 및 레시틴 5~10 중량%를 혼합하여 20~40 rpm/min 속도의 교반기에서 20~40 분간 교반하여 천연 접착제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재층 20 : 단열보온재층
30 : 수맥파 차단층 40 : 발열체층
50 : 은박 테이프층 60 : 전원센스
70 : 알루미늄 망사층 80 : 보드층
90 : 커버 100 : 침대용 매트

Claims (10)

  1. 침대용 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침대용 매트(100)는 하부로부터 기재층(10)과;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보온재층(20)과;
    상기 단열보온재층의 상부에 수맥파를 차단하는 수맥파 차단층(30)과;
    상기 수맥파 차단층의 상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층(40)과;
    상기 발열체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고정시키는 테이프층(50)과;
    상기 테이프층의 상부에 전원센스(60) 및 정전용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알루미늄 망사층(70)과;
    상기 알루미늄 망사층의 상부에 황토 30~35 중량%, 석고 30~35 중량% 및 천연 접착제 35~4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보드층(8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그 상부에 커버(90)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되,
    상기 천연 접착제는 로진 35~40 중량%, 해초 50~60 중량% 및 레시틴 5~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
  2. 기재층의 상부에 단열보온재를 적층시키는 단열보온재 적층 공정(S100)과;
    상기 단열보온재층의 상부에 수맥파를 차단하는 수맥파 차단 공정(S200)과;
    상기 수맥파 차단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형성하는 발열체 형성 공정(S300)과;
    상기 발열체층의 상부에 발열체를 테이프로 합지시킨 다음 1차 고정시키는 1차 고정 공정(S400)과;
    상기 1차 고정시킨 테이프층의 상부에 전원센스 및 알루미늄 망사를 형성한 다음 2차 고정시키는 2차 고정 공정(S500)과;
    상기 2차 고정시킨 알루미늄 망사의 상부에 황토 30~35 중량%, 석고 30~35 중량% 및 천연 접착제 35~40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드층을 형성하는 보드층 형성 공정(S600)과;
    상기 보드층의 상부에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 형성 공정(S700)을 거쳐 제조하되,
    상기 보드층 형성 공정(S600)에서 상기 천연 접착제는 로진 35~40 중량%, 해초 50~60 중량% 및 레시틴 5~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28356A 2008-12-17 2008-12-17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1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56A KR100914056B1 (ko) 2008-12-17 2008-12-17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56A KR100914056B1 (ko) 2008-12-17 2008-12-17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056B1 true KR100914056B1 (ko) 2009-08-28

Family

ID=4121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356A KR100914056B1 (ko) 2008-12-17 2008-12-17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0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493A (ko) * 1997-08-27 1999-03-15 정기호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35835Y1 (ko) * 2003-09-02 2003-12-11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천일염 숯 패널 내장형 온열 매트리스
KR20070096176A (ko) * 2006-03-21 2007-10-02 조석구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493A (ko) * 1997-08-27 1999-03-15 정기호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35835Y1 (ko) * 2003-09-02 2003-12-11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천일염 숯 패널 내장형 온열 매트리스
KR20070096176A (ko) * 2006-03-21 2007-10-02 조석구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1344B (zh) 石墨烯自发热地板及制造方法及低电压自发热地板系统
KR20100053434A (ko) 전기전도 발열재 및 전기전도 발열재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0257381B1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06075739A (zh) 远红外负离子能量垫及其制作方法
KR100914056B1 (ko) 침대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207228555U (zh) 一种石墨烯自发热地板及低电压自发热地板系统
CN101340807B (zh) 工程用电磁兼容木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779997B1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CN207228554U (zh) 一种温度可调的石墨烯导热地板
KR101788934B1 (ko) 소음 저감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1599721B1 (ko)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KR101176820B1 (ko) 한지장판보드 및 한지장판보드의 시공방법
CN101170893B (zh) 一种用于电磁屏蔽的导电膜片及其制造方法
KR101977618B1 (ko) 암염 침대
KR100815168B1 (ko) 난방용 발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열보드
CN205641120U (zh) 一种自发热木地板
CN106739225A (zh) 一种阻燃抗静电隔音复合纤维板及其制备方法
KR101061929B1 (ko) 흙 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4643A (ko) 옥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원적외선방사접착제를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마루판재 및 그제조방법
KR20160002131A (ko)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5620A (ko) 감람석을 사용한 건축 판넬용 원적외선 방사 보드 및 제조방법, 방사 판넬
CN206272871U (zh) 用于地板或瓷砖的发热体
KR101671623B1 (ko) 발열황토 조성체가 장착된 복대
KR101078697B1 (ko) 한지장판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KR101028716B1 (ko) 가구용 황토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