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863B1 -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 Google Patents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863B1
KR100913863B1 KR1020070096722A KR20070096722A KR100913863B1 KR 100913863 B1 KR100913863 B1 KR 100913863B1 KR 1020070096722 A KR1020070096722 A KR 1020070096722A KR 20070096722 A KR20070096722 A KR 20070096722A KR 100913863 B1 KR100913863 B1 KR 10091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engraver
coupling portion
pointer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0978A (en
Inventor
양승복
Original Assignee
양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복 filed Critical 양승복
Priority to KR1020070096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863B1/en
Publication of KR2009003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3Tool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Abstract

본 발명은 조각기의 공구가 접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조각기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각기의 공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이저빔을 피가공물인 조각판에 조사함으로써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가공시 공구가 접하게 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위치조절을 위한 공구의 상하이동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정확한 위치에서의 조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조각기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raver pointer that indicates the point of contact of the tool of the engraver, and more particularl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ol of the engraver, and when machin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engraving plate to be proces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raver pointer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osition where the tool is in contact, so that engraving at the correct position can be achieved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movement of the tool for positioning.

조각기, 공구, 자석, 피가공물, 레이저 Engraver, Tool, Magnet, Workpiece, Laser

Description

조각기 포인터{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Engraver Pointer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본 발명은 조각기의 공구가 접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조각기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각기의 공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이저빔을 피가공물인 조각판에 조사함으로써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가공시 공구가 접하게 될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위치조절을 위한 공구의 상하이동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정확한 위치에서의 조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조각기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raver pointer that indicates the point of contact of the tool of the engraver, and more particularl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ol of the engraver, and when machin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engraving plate to be proces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raver pointer that allows easy identific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tool will come into contact, thereby enabling the engraving to be made at the correct position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movement of the tool for positioning.

일반적으로 조각기는 고정장치에 조각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고, 공구를 x축, y축 및 z축 상에서 이동시키며 원하는 모양을 피가공물에 조각하게 된다. 이때 피가공물의 정확한 위치에 공구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통상의 컴퓨터 조각기의 경우 사용자가 개략적인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공구를 전후, 좌우 방향뿐 아니라 상하로 천천히 이동시켜 원하는 가공지점에 공구가 위치되었는지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였다.In general, the engraver secures the workpiece to be engraved on the fixture, moves the tool on the x-axis, y-axis and z-axis and engraves the desired shape into the workpiece. In this cas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ool is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workpiece, in the case of a normal computer engraver, the user visually checks the rough position, and then slowly moves the tool up and down as well as up and down directions to check whether the tool is positioned at a desired machining point. To be visually confirmed.

이러한 종래의 컴퓨터 조각기 등에 있어서는 피가공물의 전체 크기와 그 크기에 따른 조각 위치의 지정은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피가공물의 크기 및 좌표값을 지정하고 조각하고자 하는 문양을 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켰으나, 새로운 피가공물이 놓여질때마다 공구가 조각을 시작하는 위치를 정확히 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computer engraver or the like, the overall size of the workpiece and the designation of the engrav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orkpiece are determined by specifying the size and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to be fixed by the fixing device and inputting a pattern to be carved into the comput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produce the position where the tool starts engraving every time a new workpiece is placed.

또한, 조각기의 공구는 x, y 및 z축으로의 이동을 위한 서보모터축과 공구를 회전하여 조각작업을 위한 회전축 등 다수의 장비에 연결되어있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공구의 상부에서 정확한 가공위치를 찾기 어려워 공구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피가공물에 직접 접촉시켜 그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고 조절하여야 하므로 그 이용에 상당한 숙련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ool of the engraver is composed of a complex structure connected to a number of equipment, such as a servo motor axis for movement in the x, y and z axis and a rotation axis for engraving work by rotating the tool, so that accurate machining at the top of the tool It is difficult to find the position to move the tool up and down and the direct contact with the workpiece to check and adjust the position one by one, there was a problem that requires a considerable skill in its us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구가 피가공물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공구의 측면에 결합된 후 공구와 동축을 이루는 레이저조사부에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피가공물상에 공구가 접하게 될 위치를 표시하게 함으로써, 상부에서 공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한 후 1회의 하강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조각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조각기 포인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ool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too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workpiece, and then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from the laser irradiation unit coaxial with the tool to contact the tool on the workpiece By providing a position to b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tool at the top and then to provide an engraver pointer that allows the engraving work at the correct position in one drop.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공구에 용이하게 부착된 조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각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조각기의 이용이 익숙지 않은 사용 자도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서의 조각을 할 수 있게 한 조각기 포인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check the engraving position using the engraver pointer easily attached to the tool using a magnet, so that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engraver can easily engrave the engraving machine at the correct position. In providing.

그에 따라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는, 조각기에 구비된 공구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결합부; 상기 공구결합부와 수직하게 포인터 본체에 설치되며,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모듈과,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에의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레이저 발생부; 및 상기 공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인터 본체의 공구결합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저빔이 피가공물에 조사되어 공구의 가공위치를 지시하는 홀이 형성된 레이저조사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engraver poin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ool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ool provided in the engraver; A laser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laser beam,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laser generating module,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laser generating module A laser generation unit provided; And a laser irradiation part installed below the tool coupling part of the pointer body so as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tool, and having a hole in which a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module is irradiated to the workpiece to indicate a machining position of the too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구의 외주 측면으로부터의 용이한 착탈을 위해 일 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구결합부의 내주면 상부에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opened for easy detachment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ool, the magnet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구결합부에 결합된 공구의 중심과 상기 레이저조사부에 구비된 홀의 중심이 동축에 놓이도록, 상기 공구결합부와 레이저조사부가 상기 포인터 본체를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ol coupling portion and the laser irradiation portion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inter body with respect to the pointer body so that the center of the tool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laser irradiation portion are coaxially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구결합부의 두께와 내주면은 조각기에 구비된 공구의 반지름과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adiu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provided in the engra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구결합부가 공구의 외주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공구결합면과, 포인터 본체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포인터 본체 는 상기 본체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ol engaging surfac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and a body coupling portion fitted to the pointer body; The point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s fitt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구와 동축을 이루는 레이저조사부에서 피가공물에 조사된 레이저빔에 의해 조각이 이루어질 공구 접촉부위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조각기 공구의 위치조작 편의성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visually confirm the tool contact portion to be engraving by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workpiece in the laser irradiation part coaxial with the tool,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positioning operation of the engraver tool. have.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이 구비된 공구결합부에 의해 공구의 측면에 용이하게 착탈결합됨으로써, 협소한 조각기 내부에서의 조작편의성이 향상되며, 조각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그 구조를 변경함이 없이 공구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사용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종래 조각기의 효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detachable to the side of the tool by a tool engaging portion provided with a magnet,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convenience in the narrow engraver,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engraver By being easily combined with the too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utility of the conventional engraver at low co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기의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100)와, 스위치조작에 의해 레이저빔이 생성되는 레이저발생부(200)와, 상기 레이저발생부에서 생성된 레이저가 조각기의 고정장치에 놓인 피가공물에 조사되는 레이저조사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engraver poin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l coupling part 100 to which a tool of the engraver is coupled, a laser generation part 200 to generate a laser beam by a switch operation, and The laser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ser irradiation unit 300 is irradiated to the workpiece placed on the fixing device of the engraver.

상기 공구결합부(100)는 협소한 조각기(30)의 내부공간에서 용이하게 결합되 도록 일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공구의 측면에 결합되며, 그 내주면은 공구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일반적인 공구의 외주면인 원통형의 공구 바디가 밀착 결합되도록 공구결합부(100)의 내주면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ol coupling part 100 is configured to have an open side to be easily coup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narrow engraver 3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tool,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do.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mooth curve so that the cylindrical tool body, which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neral tool, is closely coupled.

그리고, 상기 공구결합부(100)의 내주면에는 금속제로 이루어진 공구가 적은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결합수단으로서 자석(1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석(110)은 공구 바디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레이저조사부(300)와 동축을 이루기 용이하게 상기 공구결합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100)는 공구 바디의 상당부분을 감싸서 레이저조사부와 동축을 용이하게 이룸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공구 바디의 길이보다 약간 짧을 정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agnet 110 as a coupling means detachably detachable by a small external force made of a metal, the magnet 110 is coupled to the tool body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to be coaxial with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long enough to be a littl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ool body so as to easily cover the substantial portion of the tool body coaxial with the laser irradiation and at the same time stable.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100)는 공구의 다양한 직경과 외주면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어 포인터 본체에 접착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수의 공구결합부가 포인터 본체(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공구결합부(100)는 조각기 공구에 대응하여 다양한 내주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구결합면과, 상기 포인터 본체(400)에 끼움결합되는 본체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respectively, can be configured to be adhesively fixed to the pointer body, of course, having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Of course, the tool coupling portion of the pointer body 4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At this time,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ool coupling surface formed in the shape of the various inn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ngraver tool, and the body coupl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pointer body 400.

이때, 상기 레이저조사부(300)에 구비된 홀(310)의 중심축과 공구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놓이도록, 조각기에 결합되는 공구의 반지름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공구결합부의 두께가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공구결합부에 밀착 결합되는 공구의 반지름이 증가하면 공구결합부의 두께는 감소하고, 상기 공구의 반지름이 감소하면 공구결합부의 두께는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공구의 반지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더라도 그러한 공구 반지름의 변화를 공구결합부의 두께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면서 보상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decreases as the radius of the tool coupled to the engraving machine increases or decreases so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310 provided in the laser irradiation part 30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tool lie coaxially. Or preferably formed to increase.
Accordingly, when the radius of the tool tightly coupled to the tool engagement portion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tool engagement portion decreases, and when the radius of the tool decreases, the thickness of the tool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to increase, even if the radius of the tool increases or decreases. Such a change in the tool radius can be compensated for by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tool joint.

또한, 상기 본체결합부는 하부에 일정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 가운데부분이 잘록하고 상기 공구결합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영문자 I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결합되거나, 포인터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등 종래의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onstant stopper at the bottom, as well as the center portion is made of the letter I shap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ool coupling surface is rotated or screwed to the pointer body, such as conventional Of course it can be formed by a variety of coupling means.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100)에 바디가 결합된 공구의 말단인 조각날부분이 안전하게 수납되는 일정한 본체공간이 상기 포인터 본체(40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협소한 조각기 내부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nstant body space in which the cutting blade portion, which is the end of the tool coupled to the body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is securely received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pointer body 400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narrow engraver. It is desirable to increase.

상기 레이저발생부(200)는 레이저빔이 생성되는 레이저발생모듈(미도시)과,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에의 전원공급을 조작하는 스위치(2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발생부(200)는 조각기 포인터의 중앙몸통을 이루는 포인터 본체(400)에 연결되며, 협소한 조각기 내부에서의 용이한 조작을 위해 상기 공구결합부와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ser generator 200 operates a laser generation module (not shown) for generating a laser beam,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laser generation module, and a power supply to the laser generation module. The switch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the laser generat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pointer body 400 forming the central body of the engraver pointer,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for easy operation in the narrow engraver. .

그에 따라, 상기 공구결합부에 조각기의 공구가 결합된 후 측면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on)상태로 조작함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이 레이저발생모듈에 인가되어 생성된 레이저빔이 피가공물(40)에 조사되고, 스위치를 오프(off)상태로 조작함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레이저빔의 생성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laser beam generated by apply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laser generating module as the user manipulates the switch in the on state after the tool of the engraver is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art is processed (40).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is cut off and the generation of the laser beam is stopped.

상기 레이저조사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터 본체(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발생부(200)에서 생성된 레이저빔이 하방으로 조사 되는 홀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조사부(300)는 조각기 내부공간에서 공구와 피가공물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laser irradiator 300 is disposed below the pointer body 400, and is formed by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or 200 is irradiated downward. At this time,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is preferably formed short so that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in the inner space of the engraver can be easily used.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생부(200)에서 생성된 레이저빔이 조각대상인 피가공물에 조사되는 위치와 상기 공구결합부(100)에 결합되는 공구(20)가 하강하여 피가공물에 접하게 되는 위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레이저조사부에 구비된 홀(310)의 중심축과 상기 공구결합부(100)에 결합되는 공구(20)의 중심축이 동일축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공구결합부(100)는 일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포인터 본체(4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조사부는 레이저빔이 불필요한 곳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이 모두 밀폐되며 중앙하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인터 본체(4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 where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on unit 200 is irradiated to the workpiece to be carved and the tool 20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unit 100 are lowered and avoided. The center axis of the hole 310 provided in the laser irradiation part and the center axis of the tool 20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art 100 are installed to form the same axi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contacted with the workpiece is the same. In addition, the tool coupling part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pointer body 400 in an open form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tool, and the laser irradiation part may be irradiated to a place where the laser beam is unnecessary. Sides are all sealed to prevent a hole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isposed below the pointer body (400).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ngrav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기의 공구(20) 측면에 일측이 개방된 공구결합부(100)를 자석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공구결합부(100)의 두께는 공구(20)의 반지름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만큼 두꺼워지거나 얇아지게 되며, 상기 공구결합면의 내주면 형상은 공구(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었으므로, 공구의 중심축은 레이저조사부에 형성된 홀의 중심축과 동일축에 놓이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tool coupling part 100 having one side open to the tool 20 side of the engraver is fixed by magnet coupling.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100 becomes thicker or thinner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he radius of the tool 2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tool coupling surface correspond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tool 20. Since it is formed, the central axis of the tool is on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formed in the laser irradiation portion.

상기 공구결합부에의 결합시 공구의 말단이 자석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구의 말단인 조각날부분을 포인터 본체 중앙의 본체공간에 비스듬하게 먼저 끼우면서 공구의 바디를 공구결합부의 측면에 구비된 자석에 가까이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자석(110)의 자력으로 공구결합부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공구의 중심이 레이저조사부의 홀과 동축을 이루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end of the tool from being attached to the magnet when the tool is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the tool body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while firstly inserting the cutting edge portion of the tool obliquely into the main body space at the center of the pointer body. It is preferable to couple close to the magnet, so that the center of the tool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engaging portio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10 is coaxial with the hole of the laser irradiation portion.

이와 같이 공구(20)가 조각기 포인터의 공구결합부(100)에 완전히 밀착 결합된 후,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스위치를 온(on)상태로 조작하면 배터리의 전원이 레이저발생모듈로 공급되면서 레이저빔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레이저빔은 상기 포인터 본체(4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이저조사부(300)의 홀을 통해 아래로 조사되고, 그 레이저빔은 조각기 포인터의 하부에 놓인 피가공물에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하게 표출된다. 이후,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공구가 접하게 될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공구를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조각위치를 결정하게 된다.In this way, after the tool 2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l coupling part 100 of the engraver pointer, the switch vertically formed on the side is operated in an on state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laser generation module while the laser beam is supplied. Is generated. The laser beam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irradiated downward through the hole of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formed below the pointer body 400, and the laser beam is visually recognizably displayed on the workpiece under the engraver pointer. . Then, the user visually easily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engraving while moving the tool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while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to be in contact with the tool.

상기 피가공물에서의 조각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레이저발생부(200)의 스위치를 오프(off)상태로 조작하고 상기 공구결합부(100)에서 공구를 분리시킨다. 이때, 공구의 결합과는 반대로 공구 바디를 먼저 자석(1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킨 후 조각기포인터를 비스듬히 기울이면서 상기 포인터 본체의 본체공간에 놓여있던 공구의 말단부분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ngraving position on the workpiece is determined, the switch of the laser generating unit 200 is operated in an off state and the tool is separated from the tool coupling unit 10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ol body is separated from the magnet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end portion of the tool lying in the body space of the pointer body is inclined at an angle to the tool body.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통상적인 조각기에 일측면이 개방된 공구결합부를 자석결합으로 분리 결합하면서 조각위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 1회의 하강만으로 조각기 사용의 초보자도 조각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tool coupling part, which is open to one side of the conventional engraving machine, can be visually easily identifi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magnetic coupling, and even a beginner using the engraving machine can execute the engraving work only by one drop.

본 발명은 상술하는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 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specific embodiments or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as well as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grav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의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ngrav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의 저면도.3 is a bottom view of the engraver poin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기 포인터가 조각기의 공구에 부착된 실시도.4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ngrav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tool of the engrav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조각기 포인터 20 - 공구10-Engraver Pointer 20-Tools

100 - 공구결합부 110 - 자석100-tool coupling 110-magnet

200 - 레이저발생부 210 - 스위치200-Laser generator 210-Switch

300 - 레이저조사부 310 - 홀300-laser irradiation part 310-hole

400 - 포인터 본체400-pointer body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조각기에 구비된 공구 외주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용이한 착탈을 위해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주면 상부에 자석이 구비된 공구결합부;A tool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tool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ngraver and having one side open for easy detachment and having a magnet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공구결합부와 수직하게 포인터 본체에 설치되며,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모듈과,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에의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레이저발생부; 및A laser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laser beam,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laser generating module,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laser generating module Laser generation unit provided; And 상기 공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인터 본체의 공구결합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저빔이 피가공물에 조사되어 공구의 가공위치를 지시하는 홀이 형성된 레이저조사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It is installed under the tool coupling portion of the pointer body so as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tool,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module is irradiated to the workpiece includes a laser irradiation part formed with a hole indicating the machining position of the tool Composed, 상기 공구결합부에 결합된 공구의 중심과 상기 레이저조사부에 구비된 홀의 중심이 동축에 놓이도록, 상기 공구결합부와 레이저조사부가 상기 포인터 본체를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The tool coupling portion and the laser irradiation portion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pointer body so that the center of the tool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laser irradiation portion are coaxial. 상기 공구결합부는 공구에의 결합시 공구의 중심과 홀의 중심이 동축에 놓이도록 공구의 반지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만큼 두꺼워지거나 얇아진 두께를 갖고, 상기 공구결합부의 내주면 형상은 상기 공구가 공구결합부에 밀착 결합되도록 공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기 포인터.The tool coupling portion has a thickness that is thicker or thinner so as to compensate for a radius change of the tool so that the center of the tool and the hole center are coaxial when coupled to the tool, and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portion is such that the tool is coupled to the tool coupling portion. Engraver poin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too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공구결합부는 공구의 외주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공구결합면과, 포인터 본체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로 구성되며;The tool coupling portion is composed of a tool coupling surface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and a body coupling portion fitted to the pointer body; 상기 포인터 본체는 상기 본체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기 포인터.The pointer body is engraver po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KR1020070096722A 2007-09-21 2007-09-21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KR100913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722A KR100913863B1 (en) 2007-09-21 2007-09-21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722A KR100913863B1 (en) 2007-09-21 2007-09-21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78A KR20090030978A (en) 2009-03-25
KR100913863B1 true KR100913863B1 (en) 2009-08-26

Family

ID=4069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722A KR100913863B1 (en) 2007-09-21 2007-09-21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8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9844U1 (en) * 2017-12-25 2018-05-28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 Терехов Laser Engraving Machine Engraving He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922Y1 (en) * 1999-12-14 2000-05-15 최종달 A training device for shooting aim use laser beam
KR20030019934A (en) * 2003-02-08 2003-03-07 박영국 Dismountable Target Laser
KR200379295Y1 (en) * 2004-12-29 2005-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elding Torch Having Operation Position Indica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922Y1 (en) * 1999-12-14 2000-05-15 최종달 A training device for shooting aim use laser beam
KR20030019934A (en) * 2003-02-08 2003-03-07 박영국 Dismountable Target Laser
KR200379295Y1 (en) * 2004-12-29 2005-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elding Torch Having Operation Position Indic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78A (en)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BO20040217A1 (en) OPERATING HEAD FOR MULTI-AXIS MACHINE TOOLS
JPH0529786Y2 (en)
CN206316545U (en) Three-dimensional rotation laser marking machine
JP2008093741A (en) Lathe,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lathe and machining method in lathe
JP2014161986A (en) Machine tool and tool changing method
US63347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double sided workpiece
JP6278805B2 (en) Stamping device and stamping method
KR100913863B1 (en) Pointer for a engraving machine
CN204936517U (en) A kind of radium-shine marker
JP2006263889A (en)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ing machine
CN2801348Y (en) Self power supply laser location device of hole processing machinery
CN206286680U (en) A kind of electric spark machine tool numerical control clamp
CN105034612A (en) Laser marking device
JP2011156547A (en) Marking method, marking tool, and punch press
KR20160112118A (en) movable electric discharge machine
CN105270069A (en) Small size pattern marking machine shaft tube positioning device
JP3130748B2 (en) Engraving tool and device therefor
JP2006326818A (en)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evice attached to main spindle of machining center
CN1557638A (en) Laser etching machine for cambered surface and method of processing print wheel thereof
CN206484151U (en) Cambered surface printing device based on plane laser engraving machine
CN205496793U (en) Laser carving device
CN211966053U (en) Adjusting equipment for switching between right-angle milling head and vertical milling head
JPH1110595A (en) Knife edge projected quantity adjusting mechanism of pointing tool on sign maker
CN217571800U (en) Engraving mold
CN216096995U (en) Marking device for carrying out visual positioning on CCD and galvanometer coaxi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