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910B1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910B1
KR100912910B1 KR1020090011039A KR20090011039A KR100912910B1 KR 100912910 B1 KR100912910 B1 KR 100912910B1 KR 1020090011039 A KR1020090011039 A KR 1020090011039A KR 20090011039 A KR20090011039 A KR 20090011039A KR 100912910 B1 KR100912910 B1 KR 10091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oot
contact member
foot arch
ar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영
김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풋바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099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291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풋바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풋바란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910B1/ko
Priority to PCT/KR2010/0008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93165A2/ko
Priority to CN2010800075633A priority patent/CN102316757A/zh
Priority to JP2011550053A priority patent/JP2012517318A/ja
Priority to US13/206,677 priority patent/US2011028979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with adjustable pads to allow custom f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기능성 신발로서, 상기 족궁 지지체가, 미드솔에 형성된 수용 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 상단에 헤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끼워져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신발 내부로 돌출하여 발의 족궁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를 돌려 상기 슬라이더를 승강시켜 상기 족궁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성 신발이 개시된다.
족궁, 평발, 나사 결합, 승강, 슬라이드, 실리콘, 헤드

Description

기능성 신발{Shoe having functionality}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족궁 지지체를 적용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시 체중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력이 척추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가장 이상적인 보행 방법으로, 발 뒤꿈치에서 발바닥, 엄지 발가락 뿌리 부분 순으로 바닥을 딛고 앞으로 나가면서 보행을 하는 일명 "3박자" 보행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밑창을 적용하여, 보행시 발의 뒤꿈치에 체중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어 척추 등으로 충격력이 전달됨으로써, 허리, 어깨, 목 등에 부담을 주게 되어 통증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발가락이 변형되고 발의 연결부가 지지되지 못해 평발이 유도되며, 3박자 보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피로감이 증가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239854호에서는, 신발 밑창의 앞뒤부분에 각각 전면 및 후면 절개부를 형성하여 보행시 3박자 보행이 자 연스럽게 이루어짐으로써 피로감이 현저하게 감소함과 동시에 지압 및 혈액 순환 작용을 하도록 하였으나, 발의 아치(족궁)가 지지되지 못하고 후면 절개부로 인해 후면이 지면에 닿는 면적이 작아져 신체의 균형을 잡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536050호에서는 뒷굽을 2단으로 경사지게 하여 제1접지면과 제2접지면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앞굽과 뒷굽의 경계부 및 제1접지면과 제2접지면의 경계부로 바닥면을 소정 깊이로 상향 요입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3박자 보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발의 아치가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내등록특허 제851537호에서는, 신발 밑창의 연결부에 족궁 지지체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시 발의 아치를 보정하여 올바른 발의 발달을 유도하며, 발의 굴림 운동이 자연스럽게 유지되게 하고, 체중으로 인한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하여 질병과 발의 변형이 예방되도록 한 것으로, 전반부, 후반부 및 전반부와 후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연결부에는 족궁 지지체가 삽입되고, 족궁지지체는 연결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신발 밑창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족궁 지지체의 높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사이즈가 다른 족궁에 모두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족궁 지지체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기능성 신발로서, 상기 족궁 지지체가, 미드솔에 형성된 수용 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 상단에 헤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끼워져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신발 내부로 돌출하여 발의 족궁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를 돌려 상기 슬라이더를 승강시켜 상기 족궁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성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발의 족궁에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면에 한 쌍의 지지 로드가 돌출되어 상기 미드솔에 끼워질 수 있다.
삭제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착용자의 족궁 사이즈에 관계없이 적절한 높이의 족궁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족궁 지지체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아웃솔(outsole; 100)이 위치하고, 아웃솔(100) 위에 미드솔(midsole; 130), 인솔 보드(140), 인솔(insole; 150)이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인솔 보드(140)와 미드솔(130) 그리고 아웃솔(100)을 연통하는 수용 홈(142, 132, 102)이 형성되고, 이 수용 홈(142, 132, 102)에 순서대로 걸쳐 족궁 지지체(200)가 끼워진다.
가장 위에 위치하는 인솔(150)에는 족궁 지지체(200)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152)를 형성하여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구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솔(150)의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 여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와의 접촉감을 높게 하거나 접촉부재(230)의 승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족궁 지지체(2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사시도이다.
족궁 지지체(200)는 내부 측벽에 나사산(212)이 형성된 실린더형 하우징(210), 나사산(222)이 외측벽에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나사산(212)에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220), 및 슬라이더(220) 상부에 결합하는 접촉부재(230)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하우징(210)의 외측벽에는 스톱퍼(214)가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은 가령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하우징(2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 홈(142, 132, 102)을 걸쳐 강제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웃솔(100)에는 스톱퍼(214)가 수납되는 수납 홈(102a)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220)는 원기둥 형상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더(220)의 상부에는 대략 반구 형상의 헤드(2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접촉부재(230)와 결합한다. 슬라이더(220)와 접촉부재(230)의 결합은 접착제에 의해 완전히 접착시키거나, 접촉부재(230)가 슬라이더(2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접촉부재(230)는 착용자의 족궁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가령 반구형으로 실리콘 등의 고무 재질로 표면 전체에 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부재(230)의 가장자리는 다단의 단차부(231)를 형성하여 경사를 완만하게 함과 동시에 가장 끝 부분의 살을 얇게 하여 극히 유연하게 함으로써 인솔 보드(130)와의 경계에서 간극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족궁 지지체(200)의 조립 방법을 보면, 아웃솔(100)과 미드솔(130) 및 인솔 보드(140)이 적층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을 수용 홈(142, 132, 102)에 순서대로 걸쳐 강제로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어 접촉부재(230)가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220)를 하우징(210)에 끼운 다음 접촉부재(230)를 잡고 돌리면 슬라이더(220)의 나사산(222)과 하우징(210)의 나사산(212)이 나사 결합하면서 슬라이더(220)가 하강한다.
슬라이더(220)가 최하부 위치까지 하강하면, 최종적으로 인솔(150)을 적층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제조된 최종 신발제품을 착용자가 구매한 후 자신의 족궁 사이즈에 맞도록 족궁 지지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손으로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를 잡고 돌리면 하우징(210)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더(220)가 상승하게 되므로 자신의 족궁 사이즈에 적절한 높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착용자의 족궁 사이즈에 관계없이 적절한 높이의 족궁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의 형상이 반구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 원통이나 타원 반구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실제 대부분의 족궁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230)의 돌기(232)의 높 이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지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는 접촉부재(330) 자체를 돌려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제 발의 족궁과 유사한 형상(도 4a 참조)을 갖는 접촉부재(330)의 이면에는 슬라이더(240)가 결합한다. 슬라이더(240)는 내부 측벽에 나사산(242)이 형성된 실린더 형으로 상부의 헤드(244)가 접촉부재(330)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슬라이더(240) 내부에는 볼트(250)가 끼워져 나사 결합하며 볼트(250)의 머리(251)에는 홈(254)이 형성되어 이 홈(254)을 이용하여 볼트(250)를 회전하면, 볼트(250)의 나사산(252)과 슬라이더(240)의 나사산(242)이 나사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240)가 승강한다.
하우징(210)의 저면 중앙에는 볼트(250)의 머리(251)의 홈(254)에 대응하여 관통공(216)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16)에 대응하여 아웃솔(100)에도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볼트(250)의 홈(254)에 접근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내측벽에는 볼트(250)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 링(216)이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족궁 지지체의 동작을 보면, 착용자가 아웃솔(100)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가령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볼트 머리(251)의 홈(254)을 돌리면 볼트(250)가 회전하는데, 이때 회전하지 않는 접촉부재(330)에 결합한 슬라이더(240)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볼트(250)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족궁 지지체의 높이가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하우징(210)을 저면이 없는 실린더 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관통공(216)이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는 제 2 실시 예와 같이 접촉부재(330) 자체를 돌려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제 발의 족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접촉부재(330)의 이면에는 한 쌍의 지지 로드(333, 334)가 형성된다. 이들 한 쌍의 지지 로드(333, 334)의 간격은 하우징(210)의 직경보다 크면 된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미드솔(130)에는 지지 로드(333, 334)가 끼워지는 안내 홈(134, 135)이 형성된다.
한편, 제 1 실시 예와 같이, 슬라이더(2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슬라이더(220)의 상부에는 대략 반구 형상의 헤드(2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접촉부재(23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의 족궁 지지체의 동작을 보면, 착용자가 접촉부재(330)를 슬라이더(220)의 헤드(224)로부터 분리한 후, 슬라이더(220)의 헤드(224)를 잡고 기설치된 하우징(210)에 끼워 돌리면서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이어, 접촉부재(330)의 지지 로드(333, 334)를 안내 홈(134, 135)에 끼운 다음, 가압하여 접촉부재(330)와 슬라이더(220)의 헤더(224)를 결합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지지 로드(333, 334)에 의해 접촉부재(330)가 회전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제 4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예는 접촉부재(330) 자체를 돌려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 4 실시 예의 변형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제 발의 족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접촉부재(330)의 이면에는 슬라이더(240)가 결합한다. 슬라이더(240)는 내부 측벽에 나사산(242)이 형성된 실린더 형으로 상부의 헤드(244)가 접촉부재(330)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슬라이더(240) 내부에는 높이 조절탭(260)이 끼워져 나사 결합하며 높이 조절탭(260)을 회전하여 슬라이더(24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 기설치된 하우징(210)에 돌출 길이가 조절된 슬라이더(240)를 끼워 족궁 지지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높이 조절탭(260)이 돌출되는 길이는 결과적으로 하우징(210) 내에서 높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높이가 조절되 는 것이다.
한편, 접촉부재(330)의 지지 로드(333, 334)는 미드솔(130)의 안내 홈(134, 135)에 끼워짐으로써, 신발을 사용중 접촉부재(3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제 5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제 4 실시 예에서 하우징(210)을 제거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족궁 지지체(200)는 제 4 실시 예와 같이, 접촉부재(230)의 이면에 슬라이더(240)가 결합하고, 슬라이더(240)는 내부 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여기에 높이 조절탭(260)이 끼워져 나사 결합하며 높이 조절탭(260)을 회전하여 슬라이더(24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족궁 지지체(200)는 미드솔(130)의 수용 홈(132)이 수용되며, 수용 홈(132)의 입구에는 측벽 내부로 지지 홈(136)이 파여 측벽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지지 홈(136)에는 족궁 지지체(200)를 구성하는 접촉부재(230)의 가장자리가 강제로 압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족궁 지지체(200)의 높이 조절탭(260)이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의 가장자리를 미드솔(130)의 수용 홈(132)의 지지 홈(136)에 강제로 끼워 넣어 장착한다.
도 7은 상기의 제 5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는 제 5 실시 예에 하우징(210)을 적용한 구조를 보여준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미드솔(130)의 수용 홈(132)에 저부에 플랜지(218)가 돌출된 하우징(210)을 먼저 끼운 다음, 높이 조절탭(26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한 후, 슬라이더(240)를 하우징(210)에 끼워 넣고, 이어 족궁 지지체(200)의 접촉부재(230)의 가장자리를 미드솔(130)의 수용 홈(132)의 지지 홈(136)에 강제로 끼워 넣어 장착한다.
이 변형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240)가 하우징(210)에 의해 신뢰성 있게 지지됨으로써 워킹 중 족궁 지지체(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218)를 적용함으로써 더 큰 면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우징(210)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미드솔이 없고 아웃솔만을 구비한 종류의 신발에서는 하우징을 수용하는 홈을 아웃솔에만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통칭하여 족궁 지지체가 장착되는 부분을 신발 본체라고 해도 좋다. 또한, 스톱퍼 등을 구비하지 않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와 반대로 하우징의 외측벽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슬라이더를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 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족궁 지지체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족궁 지지체(2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족궁 지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의 제 5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기능성 신발로서,
    상기 족궁 지지체는,
    미드솔에 형성된 수용 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
    상단에 헤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끼워져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신발 내부로 돌출하여 발의 족궁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의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면에 한 쌍의 지지 로드가 돌출되고 상기 미드솔에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 로드가 끼워져 상기 접촉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를 돌려 상기 슬라이더를 승강시켜 상기 족궁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11. 삭제
KR1020090011039A 2009-01-23 2009-02-11 기능성 신발 KR10091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0815 WO2010093165A2 (ko) 2009-02-11 2010-02-10 기능성 신발
CN2010800075633A CN102316757A (zh) 2009-02-11 2010-02-10 功能性鞋
JP2011550053A JP2012517318A (ja) 2009-02-11 2010-02-10 機能性靴
US13/206,677 US20110289798A1 (en) 2009-01-23 2011-08-10 Functional sho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034 2009-01-23
KR1020090006034 2009-01-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86A Division KR101123838B1 (ko) 2009-06-09 2009-06-09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910B1 true KR100912910B1 (ko) 2009-08-20

Family

ID=4120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39A KR100912910B1 (ko) 2009-01-23 2009-02-11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9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59B1 (ko) 2010-04-28 2010-08-06 주식회사화승 높낮이 조절되는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기능성 신발
KR100986676B1 (ko) 2010-05-03 2010-10-08 주식회사화승 에어펌프식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신발
KR101155209B1 (ko) * 2009-11-30 2012-06-13 홍해근 기능성 신발
KR101155182B1 (ko) * 2010-02-04 2012-06-13 홍해근 족궁 지지체 커버를 구비하는 피로회복 기능성 신발
KR101171267B1 (ko) 2010-01-25 2012-08-10 신광준 신발
KR101294119B1 (ko) * 2011-08-06 2013-08-09 김인철 완충식 통기성 신발
KR101537248B1 (ko) * 2010-10-13 2015-07-17 주식회사 풋바란스 인체의 균형과 발의 평형 유지용 건강신발
CN105828653A (zh) * 2014-01-09 2016-08-03 河武彦 鞋底及具备该鞋底的鞋子
WO2022019586A1 (ko) 2020-07-20 2022-01-27 강춘성 발아치 높이와 체중을 자동컨트롤하며 발의 균형을 잡아주는 서스펜션기능의 스마트인솔 및 이를 이용한 체형교정과 관절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자연치유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662A (ko) * 2000-07-18 2002-01-29 황남성 평발 교정용 신발
KR20070117514A (ko) * 2007-10-30 2007-12-12 임성조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662A (ko) * 2000-07-18 2002-01-29 황남성 평발 교정용 신발
KR20070117514A (ko) * 2007-10-30 2007-12-12 임성조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09B1 (ko) * 2009-11-30 2012-06-13 홍해근 기능성 신발
KR101171267B1 (ko) 2010-01-25 2012-08-10 신광준 신발
KR101155182B1 (ko) * 2010-02-04 2012-06-13 홍해근 족궁 지지체 커버를 구비하는 피로회복 기능성 신발
KR100974059B1 (ko) 2010-04-28 2010-08-06 주식회사화승 높낮이 조절되는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기능성 신발
KR100986676B1 (ko) 2010-05-03 2010-10-08 주식회사화승 에어펌프식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신발
KR101537248B1 (ko) * 2010-10-13 2015-07-17 주식회사 풋바란스 인체의 균형과 발의 평형 유지용 건강신발
KR101294119B1 (ko) * 2011-08-06 2013-08-09 김인철 완충식 통기성 신발
CN105828653A (zh) * 2014-01-09 2016-08-03 河武彦 鞋底及具备该鞋底的鞋子
WO2022019586A1 (ko) 2020-07-20 2022-01-27 강춘성 발아치 높이와 체중을 자동컨트롤하며 발의 균형을 잡아주는 서스펜션기능의 스마트인솔 및 이를 이용한 체형교정과 관절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자연치유신발
KR20220010790A (ko) 2020-07-20 2022-01-27 강춘성 발아치 높이와 체중을 자동컨트롤하며 발의 균형을 잡아주는 서스펜션기능의 스마트인솔 및 이를 이용한 체형교정과 관절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자연치유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910B1 (ko) 기능성 신발
US20110289798A1 (en) Functional shoe
US9003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ning footwear
US20090019729A1 (en) Footwear sole construction
CN102215711B (zh) 人的鞋底、鞋内底、鞋垫和矫正垫
WO2005023167A3 (en) Flexing multiple function interactive massage and reflexology unit
CA2396323A1 (en) Insole for fitness and recreational walking
BG105934A (bg) Конструкция на обувка и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й
US20180008002A1 (en) Insole assembly
JP2012517318A (ja) 機能性靴
KR100937471B1 (ko)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DK2056688T3 (da) Sko
KR200390153Y1 (ko) 발교정용 인솔덧신
KR101123838B1 (ko) 기능성 신발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101200165B1 (ko)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KR200404513Y1 (ko) 신발용 발 교정구
KR20220002158U (ko) 체형 교정용 슬리퍼
KR200343131Y1 (ko) 발바닥지압용 신발
KR200206622Y1 (ko) 구두 골
KR20200102752A (ko) 자력 및 탄성력을 이용한 혈류 개선용 발 건강 깔창
KR200172214Y1 (ko) 경사면이 형성된 신발
JP7496122B2 (ja) スリッパ及びスリッパの装着方法
WO2023212899A1 (zh) 鞋子以及鞋子中底的成形方法
KR200183133Y1 (ko) 지압용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09

Effective date: 201105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148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09

Effective date: 201105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