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658B1 -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658B1
KR100912658B1 KR1020090035142A KR20090035142A KR100912658B1 KR 100912658 B1 KR100912658 B1 KR 100912658B1 KR 1020090035142 A KR1020090035142 A KR 1020090035142A KR 20090035142 A KR20090035142 A KR 20090035142A KR 100912658 B1 KR100912658 B1 KR 10091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enerating means
filter
power generating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영섭
김용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3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6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n air-conditioner having a drying filter cleaning function is provided to suppress the bacteria inhabitation in a filter. An air-conditioner having a drying filter cleaning function comprises a pair of first guide rods(4,13), a contaminant suction nozzle(5),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8), a elevation position restriction sensor, and a switch signal input unit. The first guide rod is installed in the front both sides of an air filter(3).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uide rod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and an elevating power generating member(7). The elevation position restriction sensor is mount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guide rod. Once an administrator operates a filter cleaning on-switch of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the controller operates a vacuum sucker and the elevating power generating member.

Description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Air conditioner with dry filte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이나 항온 항습기 및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필터의 전면 또는 전,후면에 진공 흡입기와 연결된 흡입노즐과 콤프레셔와 연결된 에어 분사노즐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 중 에어 필터에 부착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또는 오염물질)을 간헐적으로 진공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자동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에어 필터의 전방부에서 진공흡입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을 청소함과 동시에 필터의 후방부에서는 에어를 고압 분사시켜 주며 필터에 잔존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탈리시켜 주며 진공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각종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필터를 착탈하지 않고도 원활히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켜 제품의 만족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건식 청소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에서의 세균 서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세균으로 인한 실내공기 오염 및 그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ry filter clean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suction nozzle connected to a vacuum suction unit on the front or front and rear of an air filter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constant temperature humidifier, an air purifier, and the like. By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air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it enables automatic cleaning by intermittently vacuum inhal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including dust attached to the air filt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f necessary, the front of the air filter cleans various contaminants through vacuum suction, while the rear part of the filter allows high-pressure injection of air, and removes various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filter and allows vacuum suction. Air filter installed in various air conditioner Not only can it be cleaned smoothly, but also it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can greatly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Especially, by adopting dry clean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germs in the filter in advance. It is invented to prevent the indoor air pollution and the resulting damage in advance.

일반적으로 에어컨을 포함한 항온항습기나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는 건축물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통해 실내에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ir conditioners such as thermo-hygrostats and air purifiers including air conditioners circulate indoor air of a building and inhale them together with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pollutants includ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To make your life more comfortable.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에어 필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essentially provided with an air filter for filter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supply clean air to the room.

이러한 에어 필터의 경우 해당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필터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기조화기를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 세척 또는 청소를 필히 주어야만 한다.In the case of such an air filter, in order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filter, the air conditioner must be cleaned or cleaned when it is used for a certain time.

그런데 근래에는 빈번히 발생하는 황사현상과 자동차 배기가스, 공사장의 비산먼지 등에 의한 대기오염 인자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거주공간과 생산시설현장의 공기 질을 요구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에어 필터교체 및 관리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air conditioner's air is used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air pollution factors caused by frequent yellow dust phenomenon, automobile exhaust gas, and scattering dust at construction sites, and to maintain air quality in living spaces and production facilities. Filter replacement and management costs are rapidly increasing.

상기와 같이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기는 건식 공기정화기와 습식 공기정화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ir purifiers for purifying indoor air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dry air purifier and a wet air purifier.

건식 공기정화기의 경우는 다양한 구조로 개발된 에어 필터를 공기 유로 상의 정화기 내에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에어 필터로 포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러한 건식 공기정화기는 오염물질의 포집량이 증대하면서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효율이 감소하게 되고, 에어 필터에 쌓인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송풍기의 공기압력이 상승함과 동시에 공기의 풍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dry air purifiers, air filters developed in various structures are installed in the purifiers on the air flow paths to collect dust contained in the air with the air filters. The efficiency of filtering contaminants is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blower increases with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due to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air filter.

또한, 공기의 풍량이 감소하게 되면 실내의 온도나 습도가 변화하게 되어 냉방이나 난방으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에너지 사용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수시로 에어 필터를 점거하고, 에어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if the air volume decreases,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room changes, so the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ust be maintained by cooling or heating, which increases energy use. To prevent this, the manager frequently occupies the air filter.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ir filter had to be replac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된 습식 공기정화기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액체로 제거하고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습식의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처리방법은 일반적으로 세정액을 정화시키고자 하는 공기에 분사시켜 공기에 포함된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분리 흡착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posed wet air purifier can purify the air by removing and collecting the pollutants in the air with liquid, and the method of treating the wet clean air purifier is generally The cleaning solution is sprayed into the air to be purified to separate and adsorb contaminants of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즉,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흡입하는 실내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공기정화기 내로 흡입하여 공기정화기 내에 설치된 에어 필터를 통과시킬 때 분무장치로 세정액을 분무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면서 공기가 에어 필터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기를 정화시키고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suctioned to circulate the indoor air are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and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installed in the air purifier, the cleaning device is sprayed with a spray device to filter the contaminants in the air while the air filters the air filter. It purifies the air by allowing it to pass through.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에어 필터의 상측이나 하측에 물을 분사하여 에어 필터를 세척함과 동시에 공기의 정화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습식의 공기정화기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는 기존의 건식 설비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순환되는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에어 필터를 통과하기 전이나 후에 물을 분사시켜 에어 필터와 함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대부분 필터에서 걸러지게 되어 필터를 자주 교환하거나 세척해야하고, 그에 따른 관리 역시 계속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et air purifier has been developed to spray the water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air filter to clean the air filter and at the same time purify the air, but the conventional wet air purifier has been developed. Most of the existing pollutants are used to filter out contaminants in the air together with the air filter by spraying water before or after the circulating air and the outside air pass through the air filter. The filter is often filtered out and the filter has to be replaced or cleaned frequently, and the management has to be continu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는 하나의 필터와 하나의 분무장치만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것이므로 세정효과가 미약하여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제거가 곤란한 문제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 자체가 습기를 머금고 있어 각종 세균이 서식하게 되어 결국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세균이 유포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et ai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cleans contaminants in the air by using only one filter and one spraying device, so that the cleaning effect is weak and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remove the contaminants. There is a va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acteria are spread in the air that is eventually discharged into the room because various bacteria are inhabited.

따라서 최근 일부 공기조화기에서는 필터 자체의 형상을 회전식으로 변형시켜 이를 회동시키면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구성을 갖는 것도 제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필터 자체에 회전장치를 구비시켜 주어야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시 필터만을 교체할 수 없고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만 되어 유지보수비가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some air conditioners have been proposed to have a configuration of rotating the filter itself by rotating the shape of the filter itself while rotating it to clean using a vacuum cleaner. Not only does it lead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but also a problem such as high maintenance costs due to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filter in case of failur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착탈식 에어 필터의 전면 또는 전,후면에 진공 흡입기와 연결된 흡입노즐과, 콤프레셔와 연결된 에어 분사노즐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 중 에어 필터에 부착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간헐적으로 진공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자동 청소하거나, 또는 에어 필터의 전방부에서는 진공흡입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을 청소함과 동시에 필터의 후방부에서는 에어를 고압 분사시켜 주며 필터에 잔존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탈리시켜 주며 진공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에어 필터를 착탈하지 않고도 깨끗하고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건식 청소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에서의 세균 서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세균으로 인한 실내공기 오염 및 그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며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su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unit on the front, front, or rear of the removable air filter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or It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to automatically clean various pollutants including dust adhering to the air filt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r to clean various pollutants through vacuum suction at the front of the air filter. At the same time, the rear part of the filter allows high-pressure injection of air, removes various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filter, and allows vacuum suction to clean and smoothly clean the product without removing the air filter of the air conditioner. Not only can you significantly improve quality and reliability, The customer's satisfac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the dry cleaning method can prevent bacteria in the filter in advance, thus preventing indoor air pollution and its damage caused by bacteria and improving the health of consum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ry filter cleaning function that can contribu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를 송풍팬의 흡입 작동을 통해 흡입하여 에어 필터를 통해 오염물질을 필터링한 후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시켜 냉기 또는 온기로 실내에 배출시켜 주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 기 에어 필터의 전방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봉과;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가이드 봉을 따라 각각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구는 상기 에어 필터의 전면부에 근접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기 측으로 직접 흡입하는 오염물질 흡입노즐과;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오염물질 흡입노즐에 연결되어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승,하강 작동시 에어 필터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포집하는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주는 진공 흡입기와;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이 제 1 가이드 봉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승,하강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오염물질 흡입노즐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오염물질 흡입노즐이 제 1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할 때 승강 및 하강 제한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작동방향을 전환시켜 주거나 그 구동을 멈추도록 하는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와; 사용자가 장치의 구동 여부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신호 입력부와; 상기 스위치신호 입력부에서 장치 "온"신호가 입력되면 자체 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부응하여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시키되,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작동 중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에서 승강 또는 하강제한 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승,하강 방향이 반전 또는 정지되도록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sucking 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through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to filter the contaminants through the air filter and then heat exchange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discharge the cold air or warm air to the room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air of first guide rods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air filter; Sliders provided at both ends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respectively along the first guide rod, and the suction port is moved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close to the front part of the air filter. A pollutant suction nozzle which is moved downward and directly sucks the pollutant on the air filter to the vacuum inhaler; A vacuum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through the flexible hose and generating a necessary suction force for vacuum-sucking and collecting the pollutants attached to the air filter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to a pollutant suction nozzle; When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the lifting and lowering limit position is detected to cause the controller to switch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An upward and downward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stopping the driving; A switch signal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vice is driven; When the device "on"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the r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is driven in response to a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and the rising and falling limit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so that the rising or falling direc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is reversed or stopped when the lifting or lowering limit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또한, 상기 에어 필터의 배면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봉과;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가이드 봉을 따라 각각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에어 토출구는 상기 에어 필터의 배면부에 근접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 후면부에서 전면부를 향해 콤프레셔에서 제공하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을 강제로 분리시켜 주는 에어 분사노즐과;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에어 분사노즐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second guide rods which are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er; Sliders provided at both ends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respectively, along the second guide rod, and the air discharge port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in a state close to the rear part of the air filter. An air injection nozzle which moves downward and forcibly separates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ilter by injecting high pressure air provided by the compressor from the air filter rear part to the front part;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to the air injection nozzle.

이때,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흡입구와 에어 분사노즐의 에어 토출구는 에어 필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ort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and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air injection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on the opposite surface with the air filter in between.

또,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은 직류전압의 공급 방향에 부응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전되어 구동하는 서브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motor driving inver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response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DC voltage.

또한,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은 제 1 가이드 봉 중 일측 제 1 가이드 봉의 상단부에 축지된 제 1 아이들 풀리와,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으로 제시된 서브 모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제 1 구동 풀리 사이에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일측 슬라이더는 연결구를 통해 상기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 중 에어 필터와 가까운 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is between the first idler pulley axially secured to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of the first guide rod, and the first drive pulley fixedly fixed to the shaft of the sub-motor presented by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The chain or timing belt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slider of one side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is connected to a side of the chain or timing belt close to the air filter through a connector.

그리고,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은 제 2 가이드 봉 중 일측 제 2 가이드 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를 축설하되, 상기 승,하강 동력발 생수단으로 제시된 서브 모터의 축과 제 2 가이드 봉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 2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 모터의 제 2 구동 풀리와 제 2 가이드 봉의 종동 풀리 및 제 2 가이드 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축설된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 사이에는 각각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를 설치하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의 일측 슬라이더는 연결구를 통해 상기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 사이에 설치된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 중 에어 필터로부터 먼 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to the second and third idler pulleys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ne of the second guide rods of the second guide rods, respectively, the shaft of the sub-motor presented as the power genera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A second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rods, and the second and third shafts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driving pulley of the sub-motor, the driven pulley of the second guide rod, and the second guide rod, respectively. A chain or a timing belt is installed between idle pulleys, and a slider of one side of the air injection nozzle is connected to a side farther from the air filter among the chain or timing belt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idler pulleys through a connector. It is done.

또, 상기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는 제 1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되는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일측 슬라이더에 의해 작동레버가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나, 슬라이더의 근접에 부응하여 온/오프되는 근접 스위치 또는 제 1 가이드 봉의 일측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빛 반사판과 발광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고 제 1 가이드 봉의 상,하단부 일측부에 설치되어 반사되는 빛의 수광에 부응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ward and downward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a micro switch in which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by a slider on one side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which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or the proximity which is turned on or off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of the slider. Any one of the optical sensors including a light reflector and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element installed on the switch or the slider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guide rod to detect the position of light in response to the reflected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the installation of one.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장치 "온"신호가 한번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시계 및 반시계방향 반전을 한 번 또는 두 번 중 어느 한 횟수를 실시하여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 또는 에어 분사노즐이 오염물질의 흡입 또는 에어를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1회 또는 2회 왕복하며 승,하강되게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evice " on " signal is input by the user once, the controller performs one or two times of the clock and counterclockwise reversal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for the first and second guides.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or air injection nozzle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od is controll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reciprocating once or twice while inhaling or injecting ai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착탈식 에어 필 터 전면 또는 전,후면에 진공 흡입기와 연결된 오염물질 흡입노즐과, 콤프레셔와 연결된 에어 분사노즐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 중 에어 필터에 부착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사용자가 원할 때 진공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자동 청소하거나, 또는 에어 필터의 전방부에서는 진공흡입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을 청소함과 동시에 필터의 후방부에서는 에어를 고압 분사시켜 주며 필터에 잔존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탈리시켜 주며 진공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에어 필터 자체를 착탈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깨끗하고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건식 청소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가 세척수에 의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에서의 세균 서식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또 필터에서 서식하는 세균이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분산됨으로 인한 실내공기의 오염 및 그로 인한 소비자가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minant su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vacuum inhaler and an air jet nozzl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re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installed on the front, front, and rear of the detachable air filter of the air conditioner. Automatically clean various contaminants including dust attached to the air filter during operation by vacuum suction when the user wants, or clean various contaminants by vacuum suction at the front of the air filter and In the rear part, high-pressure jet of air, desorption of various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filter, and vacuum suction are possible to automatically and cleanly clean without removing the air filter itself of the air conditioner. Not only can greatly improve reliability, but also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by adopting a dry cleaning method, the fil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etted by the washing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bacteria inhabiting itself in the filter in advance, and the bacteria living in the filter are blown into the room.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prevent the pollution of indoor air and the resulting damage to consumers caused by being dispersed in the air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health of consum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좌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우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에서의 V-V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4.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를 송풍팬(1)의 흡입 작동을 통해 흡입하여 에어 필터(3)를 통해 오염물질을 필터링한 후 열교환기(4)를 통해 열교환시켜 냉기 또는 온기로 실내에 배출시켜 주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blower fan 1 to filter the contaminants through the air filter 3, and then heat exchang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4 to cool or warm air. In the air conditioner which discharges indoors,

상기 에어 필터(3)의 전방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봉(4)과;A pair of first guide rods 4 installed vertically at both front sides of the air filter 3;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52)가 상기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각각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구(51)는 상기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 근접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3)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기(6) 측으로 직접 흡입하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Figure 112009024395231-pat00001
Sliders 52 provided at both ends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s 4, respectively, and the suction port 51 moves up and down in a state close to the front part of the air filter 3. A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which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scending power generating means 7 and directly sucks contaminants buried in the air filter 3 toward the vacuum inhaler 6;
Figure 112009024395231-pat00001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오염물질 흡입노즐(5)에 연결되어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승,하강 작동시 에어 필터(3)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포집하는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주는 진공 흡입기(6)와;A vacuum inhal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through the flexible hose to generate the necessary suction force to vacuum-suck and collect the pollutants buried in the air filter 3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6) and;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과;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for generating the power necessary for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4);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오염물질 흡입노즐(5)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수단(8)과;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8)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7) to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 의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할 때 승강 및 하강 제한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12)로 하여금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작동방향을 전환시켜 주거나 그 구동을 멈추도록 하는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와;When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4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the control unit 12 detects the lifting and lowering limit position. A rising / falling limit position detecting sensor (9) (10) for switch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falling power generating means (7) or stopping the driving thereof;

사용자가 장치의 구동 여부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신호 입력부(11)와;A switch signal input unit 11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vice is driven or not;

상기 스위치신호 입력부(11)에서 장치 "온"신호가 입력되면 자체 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부응하여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을 구동시키되,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작동 중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에서 승강 또는 하강제한 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승,하강 방향이 반전 또는 정지되도록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을 제어하는 제어부(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evice " on "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the drive power generation means 7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and the drive power generation means 7 When the lifting or lowering limit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inputted from the lifting and lowering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9) 10 during opera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for turning up or down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reversed or stopped. And a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7).

또한, 상기 에어 필터(3)의 배면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봉(13)과;In addition, a pair of second guide rods (13) ar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er (3);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142)가 상기 제 2 가이드 봉(13)을 따라 각각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에어 토출구(141)는 상기 에어 필터(3)의 배면부에 근접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3) 후면부에서 전면부를 향해 콤프레셔(15)에서 제공하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을 강제로 분리시켜 주는 에어 분사노즐(14)과;Sliders 142 provided at both ends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guide rod 13, respectively, and the air discharge port 141 moves up and down in a state close to the rear part of the air filter 3; It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scending power generating means (7) and forcibly separates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ilter by spraying the high pressure air provided by the compressor (15) from the rear part of the air filter (3) to the front part. An air jet nozzle 14 for letting;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에어 분사노즐(14)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6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to the air injection nozzles 14.

이때,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흡입구(51)와 에어 분사노즐(14)의 에어 토출구(141)는 에어 필터(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면인 전,후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ort 51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nd the air discharge port 141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4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air filter 3 therebetw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또,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은 직류전압의 공급 방향에 부응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전되어 구동하는 서브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motor driving inver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response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DC voltage.

또한,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8)은 제 1 가이드 봉(4) 중 일측 제 1 가이드 봉의 상단부에 축지된 제 1 아이들 풀리(81)와,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으로 제시된 서브 모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제 1 구동 풀리(82) 사이에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를 설치하고,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일측 슬라이더(52)는 연결구(84)를 통해 상기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 중 에어 필터(3)로부터 가까운 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8 is provided with a first idle pulley 81 axially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of the first guide rod 4, and the r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A chain or timing belt 8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riving pulleys 82 fixed to the shaft of the sub-motor, and the slider 52 on one side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connected to the chain through a connector 84. Alternatively, the timing belt 83 is connected to a side closer to the air filter 3.

그리고,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16)은 제 2 가이드 봉(13) 중 일측 제 2 가이드 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161)(162)를 축설하되,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으로 제시된 서브 모터의 축과 제 2 가이드 봉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 2 구동 풀리(163)와 종동 풀리(164)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 모터의 제 2 구동 풀리(163)와 제 2 가이드 봉의 종동 풀리(164) 및 제 2 가이드 봉(13)의 상,하단부에 각각 축설된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161)(162) 사이에는 각각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165)(166)를 설치하며,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의 일측 슬라이더(142)는 연결구(167)를 통해 상기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161)(162) 사이에 설치된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166) 중 에어 필터(3)로부터 먼 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6 to the second and third idler pulleys (161, 162)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rods of the second guide rods 13, respectively, A second drive pulley 163 and a driven pulley 164 are installed at the shaft of the sub-motor presented by the descending power generating means 7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ro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drive pulley 163 and the sub-motor of the sub-motor. Between the driven pulley 164 of the second guide rod and the second and third idle pulleys 161 and 162 arrang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rod 13, respectively, a chain or timing belt 165 and 166,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slider 14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s a chain or timing belt 166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idle pulleys 161 and 162 through a connector 167.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ide far from the air filter 3.

또, 상기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는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되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일측 슬라이더(52)에 의해 작동레버가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슬라이더(52)의 근접에 부응하여 온/오프되는 근접 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제 1 가이드 봉(4)의 일측 슬라이더(52)에 설치되는 빛 반사판과 발광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고 제 1 가이드 봉(4)의 상,하단부 일측부에 설치되어 반사되는 빛의 수광에 부응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is operated by the slider 52 of one side of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which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A micro switch may be provided, or a proximity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of the slider 52 may be provided, and the light reflector and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provided on the slider 52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4 may be provided. An optical sensor having an element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guide rod 4 and detecting the position in response to the light reception of the reflected light may be provided.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신호 입력부(11)에서 장치 "온"신호가 한번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시계 및 반시계방향 반전을 한 번 또는 두 번 중 어느 한 횟수를 실시하여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봉(4)(1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 또는 에어 분사노즐(14)이 오염물질의 흡입 또는 에어를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1회 또는 2회 왕복하며 승,하강되게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evice " on "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once by a user's operation, the controller 12 performs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eversal of the up / down power generating means 7 once. Alternatively,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or the air jet nozzle 14,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or second guide rods 4 and 13 by performing any one of two times, inhales the pollutants. Or reciprocating once or twice in the state of injecting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rise and fal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dry filter clea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공지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에어 필터(3)의 전방 양측부에 한 쌍의 제 1 가이드 봉(4)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봉(4) 사이에는 진공 흡입기(6)와 연결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을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 사이에는 제 1 동력전달수단(8)을 설치하고, 제 1 가이드 봉(4)의 상,하부에는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를 설치하고,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2)의 입력단자에는 스위치신호 입력부(11)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관리자가 에어 필터(3)를 청소할 필요를 인식하고 스위치신호 입력부(11)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들 중 예를 들어 필터 청소 온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2)에서 이를 인식하고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과 진공 흡입기(6)를 구동시켜 진공 흡입기(6)에 연결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이동하며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서 에어 필터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에어 필터의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First, in the air conditioner known as shown in Figs. 1 to 5, a pair of first guide rods 4 are install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air filter 3, and the first guide rods 4 are provided. )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connected to the vacuum inhaler (6), and the first power between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nd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7) Control unit for installing the transmission means (8),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guide rod (4), the upper and lower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s (9) 10, and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 A switch signal input unit 11 is installed at the input terminal of 12) to recognize that the manager of the air conditioner needs to clean the air filter 3, and for example, filter cleaning among switches installed in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When the on switch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12 recognizes this and generates the pow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ower. By driving the stage 7 and the vacuum inhaler 6,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connected to the vacuum inhaler 6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4, and the front part of the air filter 3 is moved. The main technology component is to automatically clean the air filter by sucking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air filter.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 봉(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상기 에어 필터(3)의 전방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승,하강에 따른 안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guide rods 4 are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air filter 3 in pairs as shown in FIGS. 1 and 2 to raise and lower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s 5. Guide fun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또,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은 양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52)가 상기 제 1 가이드 봉(4)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흡입구(51)는 상기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 근접된 상태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승,하강 동력 발생수단(7)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될 때 진공 흡입기(6)의 흡입력에 부응하여 에어 필터(3)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직접 흡입하여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진공 흡입기(6)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ders 52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on the first guide rod 4, while the inlet 51 is connected to the air filter 3. )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front of the air filter (3) in respons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inhaler (6) when moving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aminants are directly sucked and transferred to the vacuum inhaler 6 through the flexible hose.

또한, 상기 진공 흡입기(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흡입노즐(5)에 연결된 구성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필터 청소 온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때 제어부(12)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구동되기 시작하여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작동에 부응하여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 작동될 때 에어 필터(3)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오염물질 흡입노즐(5) 및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진공 흡입하여 포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acuum inhaler 6 ha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5 through the flexible ho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lter cleaning on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 to receive a driv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 to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means (7),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4) to remove the contaminants from the air filter (3). The suction is collected by vacuum suction through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and the flexible hose.

이때, 상기 진공 흡입기(6)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진공 청소기 등과 같이 착탈식 오염물질 포집용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필터(3)의 잦은 청소로 인해 자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오염물질 포집용 필터가 포화되어 흡입력이 약해질 경우 이를 빼내고 새로운 필터로 교환하여 사용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vacuum inhaler 6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filter for collecting contaminants, such as a vacuum clean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us, the vacuum inhaler 6 is installed in itself due to frequent cleaning of the air filter 3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If the material collecting filter is saturated and the suction power is weakened, it can be removed and replaced with a new filter.

그리고,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직류전압의 공급방향에 부응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전 구동되는 서브 모터를 제시하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솔레노이드나 에어 또는 유압실린더 등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power require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long the first guide rod 4. Sub-motors that are inver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voltage have been present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solenoids, air, or hydraulic cylinders may be employed.

또,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8)은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서 발생되는 동 력을 오염물질 흡입노즐(5)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8)으로 제 1 가이드 봉(4) 중 일측 제 1 가이드 봉의 상단부에 제 1 아이들 풀리(81)를 축설하고,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으로 제시한 서브 모터의 축에는 제 1 구동 풀리(82)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제 1 아이들 풀리(81)와 제 1 구동 풀리(82) 사이에는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를 설치하며,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일측 슬라이더(52)와 상기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 사이에는 연결구(84)를 설치하여 상호 연결하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52)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기 연결구(84)의 타측은 에어 필터(3)로부터 가까운 측의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에 연결한 구성을 채택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8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r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to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s shown i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8 and the first idler pulley 81 i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ods of the first guide rods 4,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7 In addition, the first drive pulley 82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sub-motor, and a chain or timing belt 8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idle pulley 81 and the first drive pulley 82. A connector 84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slider 52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nd the chain or timing belt 83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connector 52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52. The other side of the 84 is a chain or timing belt 83 close to the air filter 3. The configuration connected to is adopted.

따라서, 해당 공기조화기의 관리자가 에어 필터(3)를 청소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스위치신호 입력부(11)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 청소 온 스위치를 조작함으로 인해 제어부(12)에서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으로 제시한 서브 모터가 도 2에 도시된 도면상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서브 모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제 1 구동 풀리(8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를 통해 상기 제 1 구동 풀리(82)와 연결된 제 1 아이들 풀리(81)에도 서브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제 1 아이들 풀리(8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와 연결구(8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 일측의 슬라이더(52)가 일측의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 사이에서 하강하며 진공 흡입기(6)의 작동에 부응하여 에어 필터(3)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시켜 진공 흡입 기 측으로 전달하여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ler 12 of the air conditioner recognizes the necessity of cleaning the air filter 3 and operates the filter cleaning on switch installed in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so that the control unit 12 generates the up / down power. When the sub-motor presented by the means 7 is driven in the 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shown in FIG. 2, the first drive pulley 82 fixed to the shaft of the sub-motor also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chain or timing belt Power of the sub-motor is also transmitted to the first idle pulley 81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ulley 82 through 83 so that the first idle pulley 81 also rotates clockwise so that the chain or timing belt ( The slider 52 on one side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83 and 83, is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on one side, so that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the first. Guide Rods (4) The falling and standing by suction from contamination attached to the air filter (3)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aspirator (6) to which can be collected by passing the side group vacuum suction.

한편, 상기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는 각각 제 1 가이드 봉(4)의 상,하단부의 일측부 또는 상,하단부와 일측의 슬라이더(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 의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이동될 때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제한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12)로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12)에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최상단 또는 최하단까지 승강 또는 하강된 것을 인식하고 자체 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부응하여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작동방향을 전환시켜 주거나 그 구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ward and downward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9) (10) is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rod 4 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 and the slider 52 of the one, When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moved up and down by the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along the first guide rod 4, the control unit 12 detects the restricted position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2. The controller 12 recognizes that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raised or lowered to the uppermost or lowermost end, and switches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in response to a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Or stop the drive.

이때, 상기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로 다양한 소자를 제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가이드 봉(4)의 상,하부 일측부에 각각 마이크로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되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일측 슬라이더(52)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레버를 작동할 때 제어부(12)에서 각각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한 위치만큼 상승 또는 하강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In this case, various devices may be presented as the upward and downward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s 9 and 10.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icro switches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guide rod 4, respectively. When the slider 52 of one side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which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operates the operating lever of the micro switch, each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s ( 5) A method was adopted to recognize that it was raised or lowered by this limited posi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는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로 한정할 수 없으며, 이 밖에도 슬라이더(52)의 근접에 부응하여 온/오프되는 근접 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고, 또 제 1 가이드 봉(4)의 일측 슬라이더(52)에 빛 반사판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봉(4)의 상,하단부 일측에는 각각 발광 및 수광소자를 구비한 광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일측 슬라이 더(52)가 제 1 가이드 봉(4)의 최상단 제한 위치 또는 최하단 제한 위치까지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 인해 광센서의 발광소자에서 조사된 빛이 슬라이더(52)에 부착된 빛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광센서의 수광소자자 이를 감지하였을 때 제어부(12)에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한 위치만큼 상승 또는 하강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upward and downward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s 9 and 10 may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icro switch. In addition, a proximity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of the slider 52 may be provided. The light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slider 52 of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4, and an optical sensor having light emitting and light receiving element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guide rod 4 to absorb the pollutants. When one side slider 52 of the nozzle 5 is raised or lowered to the uppermost limit position or the lowermost limit position of the first guide rod 4,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optical sensor is attached to the slider 52. Wh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of the optical sensor is reflected by the light reflecting plate and detects it, the controller 12 may recognize that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raised or lowered by a limited position.

한편, 상기와 같이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인 서브 모터의 시계방향 구동에 부응하여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하강하던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슬라이더(52)가 제 1 가이드 봉(4)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10)에 이르게 되므로 인해 상기 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이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에서 서브 모터의 구동방향을 이전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은 다시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강하며 에어 필터(3)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동작을 지속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lider 52 of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which is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in response to the clockwise driving of the sub-motor, which is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1 because the lower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1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4 is reached so that the lower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10 detects it and delivers it to the control unit 12. In 12),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sub-motor is drive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vious direction, so that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elevat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and attached to the air filter 3. It will continue to inhale the various contaminants present.

이와 같이 서브 모터의 반시계방향 구동에 부응하여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강하던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슬라이더(52)가 제 1 가이드 봉(4)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에 이르름으로 인해 상기 승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에서는 자체 내에 기억되어진 왕복 횟수에 부응하여 1회 왕복으로 기억되어진 경우 상기 서브 모터의 구동을 차단하고, 2회 왕복으로 기억되어 있으면 다시 그 구동방향을 반전시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을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시하게 된 다.In this way, in response to the counterclockwise driving of the sub-motor, the slider 52 of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which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is provided above the first guide rod 4. When the lift limit position detecting sensor 9 reaches the lift limit position detecting sensor 9, the lift limit position detecting sensor 9 detects this and transfers the result to the control unit 12. If stored in the reciprocating time, the drive of the sub-motor is cut off, and if the reciprocating time is stored in the reciprocating time, the driving direction is reversed again to lower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또한, 상기 스위치신호 입력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장치의 구동 여부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왕복 승,하강 횟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도 구비시켜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drives the device as described above. Also, the switch can be provided by the user to set the number of falling arbitrarily.

또, 상기 제어부(12)는 본 발명이 실시된 공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시 상기 스위치신호 입력부(11)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관리자 등에 의해 장치 "온"신호가 입력되면 자체 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부응하여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을 구동시키되,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작동 중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10)에서 승강 또는 하강제한 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승,하강 방향이 반전 또는 정지되도록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 performs a specific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overall contro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normally monitors the state of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When the device " on " signal is input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the driving force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When the lift or lower limit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limited position detection sensor (9) (10)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so that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is reversed or stopped ( 7) to control the function.

이때, 상기 제어부(12)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신호 입력부(11)에서 장치 "온"신호가 한번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시계 및 반시계방향 반전을 한 번 또는 두 번 중 어느 한 횟수를 실시하도록 프로그래밍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봉(4) 또는 후술하는 제 2 가이드 봉(1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 또는 후술하는 에어 분사노즐(14)이 오염물질의 흡입 또는 에어를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1회 또는 2회 왕복하며 승,하강되게 제어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 once the device "on"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by the user's operation once the clock and counterclockwise inversion of the power generation means (7) once Alternatively,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which is programmed to perform any one of two times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4 or the second guide rod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the air injection described later. The nozzle 14 is controlled to move up and down by reciprocating once or twice while inhaling contaminants or injecting air.

한편, 상기와 같이 진공 흡입기(6)에 연결된 오염물질 흡입노즐(5)만을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승,하강 이동시키면서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서 에어 필터(3)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청소를 실시할 경우 에어 필터(3)의 각 틈새에 끼워져 부착되어 있거나 에어 필터(3)의 배면 측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까지 진공 흡입하는데 한계가 있어 에어 필터(3) 자체에 대한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only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connected to the vacuum inhaler 6 is attached to the air filter 3 at the front of the air filter 3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4. In the case of cleaning to inhale the various contaminants, the vacuum filter is limited to vacuum intake to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each gap of the air filter 3 or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air filter 3. ) It may not be possible to efficiently clean itself.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같이, 한 쌍의 제 2 가이드 봉(13)과 콤프레셔(15)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이드 봉(1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주는 에어 분사노즐(14) 및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에어 분사노즐(14)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16)을 더 설치하여 상기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을 승,하강 이동시키면서 에어 필터(3)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할 때 상기 에어 필터(3)의 배면에서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마찬가지로 승,하강 이동시키면서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에어 필터(3)의 배면과 필터의 각 틈새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까지도 분리시켜 오염물질 흡입노즐(5) 측으로 불어줄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13 and the compressor 15 are connected along the second guide rods 13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An air injection nozzle 14 which moves downward and injects air at a high pressure,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6 which transmi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7 to the air injection nozzle 14; Further, the air filter (3) is vacuumed by cleaning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air filter (3) while moving up and down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from the front of the air filter (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the air is injected at a high pressure while moving up and down to separate the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air filter 3 and each gap of the filter. (5) to be blown to the side .

이때, 상기 제 2 가이드 봉(13)은 에어 필터(3)의 배면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에어 분사노즐(14)의 승,하강에 따른 안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rod 13 is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rea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er 3 to perform the guide function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4).

또,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은 양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142)가 상기 제 2 가이드 봉(13)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에어 토출 구(141)는 상기 에어 필터(3)의 배면부에 근접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될 때 콤프레셔(15)에서 제공하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에어 필터(3)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강제로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nozzle 14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ders 142 provided at both ends are installed to the second guide rod 13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discharge port 141 is connected to the air filter ( 3) is installed close to the rear portion of the air filter (3) by injecting a high-pressure air provided by the compressor (15) when moving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Various pollutants attached to the) can be forcibly separated.

이때,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의 에어 토출구(141)와 전술한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흡입구(51)의 위치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의 에어 토출구(141)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에어 필터(3)로부터 강제로 탈리된 각종 오염물질이 실외 및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공간부에 분산 및 산란되어 실외 및 실내공기 유입실의 공간부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s of the air discharge port 141 of the air jet nozzle 14 and the suction port 51 of the above-mentioned pollutant suction nozzle 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ir discharge port 141 of the air jet nozzle 14 is opened. Various contaminants that are forcibly detached from the air filter 3 by the air inject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air are dispersed and scattered in the space where the outdoor and indoor air are sucked, which may contaminate the space in the outdoor and indoor air inlet chamber.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어 분사노즐(14) 자체를 슬라이더(142)를 통해 제 2 가이드 봉(13)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일측의 슬라이더(142)를 후술하는 연결구(167)를 통해 제 2 동력전달수단(16)의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166)에 연결시켜 줄 때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의 에어 토출구(141)가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흡입구(51)와 동일선상을 갖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tself is installed on the second guide rod 13 through the slider 142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and through the connector 167 which describes the slider 142 on one side. When connecting to the chain or timing belt 166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6, the air discharge port 141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air filter (3) suction It was made to have the same line as the inlet port 51 of the nozzle 5.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서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3)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할 때 상기 에어 필터(3)를 사이에 두고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반대면에서 동일선상을 유지하며 제 2 가이드 봉(1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에어 분사노즐(14)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에어 필터(3)에서 분리된 각종 오염물질 이 실외 및 실내공기 유입실의 공간부로 분산 및 산란되지 않고 곧바로 에어 필터(3)의 전면부에서 승,하강되고 있는 오염물질 흡입노즐(5)의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어 진공 흡입기(6) 측으로 전달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완벽히 해결된다.Therefore, when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is moved up and down at the front of the air filter 3 along the first guide rod 4 and sucks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air filter 3 as described above. The high pressure sprayed from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guide rod 13 while maintaining the same lin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with the air filter 3 therebetween. Contaminant intake nozzles, which are separated and scattered from the air filter 3 by the air of the air, are not dispersed and scattered into the spaces of the outdoor and indoor air inlet chambers, but are immediately raised and lowered at the front of the air filter 3. Suction through the suction port 51 of 5) is to be delivered to the vacuum inhaler 6 sid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ly solved.

한편,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16)은 상술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에어 분사노즐(14)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이드 봉(13) 중 일측 제 2 가이드 봉의 상,하단부에 각각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161)(162)를 축설하고,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으로 제시된 서브 모터의 축과 제 2 가이드 봉(13)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 2 구동 풀리(163)와 종동 풀리(164)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서브 모터의 제 2 구동 풀리(163)와 제 2 가이드 봉의 종동 풀리(164) 및 제 2 가이드 봉(13)의 상,하단부에 각각 축설된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161)(162) 사이에는 각각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165)(166)를 설치하고,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의 일측 슬라이더(142)는 연결구(167)를 통해 상기 제 2 및 제 3 아이들 풀리(161)(162) 사이에 설치된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166) 중 에어 필터(3)로부터 먼 측에 연결한 구성을 채택하여 하나의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함께 에어 분사노즐(14)도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6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in the above-mentioned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to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 and As shown in FIG. 3 and FIG. 4, second and third idle pulleys 161 and 162 are arranged in upper and lower ends of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rod of the second guide rod 13, respectively,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is increased. The second drive pulley 163 and the driven pulley 164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sub-motor presented by the generating means 7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rod 13, respectively, and the second drive pulley of the sub-motor ( 163 and a chain or timing belt 165 respectively between the driven pulley 164 of the second guide rod and the second and third idle pulleys 161 and 162 arrang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rod 13, respectively. ) 166, one side slider 14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e second through the connector 167 The power generated by one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is adopted by adopting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side far from the air filter 3 among the chain or timing belt 166 installed between the three idler pulleys 161 and 162. By using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the air injection nozzle 14 was also able to operate up and down.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공기조화기의 관리자가 에어 필터(3)를 청소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스위치신호 입력부(11)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 청소 온 스위치를 조작함으로 인해 제어부(12)에서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7)인 서브 모터를 도면상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서브 모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제 1 동력전달수단(8)의 제 1 구동 풀리(82)는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를 통해 제 1 아이들 풀리(8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오염물질 흡입노즐(5)이 제 1 가이드 봉(4)을 따라 하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 2 동력전달수단(16)의 제 2 구동 풀리(163) 역시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165)를 통해 제 2 가이드 봉(13)의 저부에 축설된 종동 풀리(164)와 제 3 아이들 풀리(16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 3 아이들 풀리(162)와 체인 및 타이밍벨트(166)를 통해 연결된 제 2 가이드 봉(13)의 상단부에 축설된 제 2 아이들 풀리(16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체인 및 타이밍벨트(1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 분사노즐(14)의 일측 슬라이더(142)에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구(167)의 타단부는 상기 체인 및 타이밍벨트(166) 중 에어 필터(3)와 먼 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 분사노즐(14)도 전술한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마찬가지로 제 2 가이드 봉(13)을 따라 하강하면서 콤프레셔(15)에서 제공하는 고압의 에어를 에어 필터(3)의 배면측에서 전면 방향으로 지속해서 분사시켜 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troller 12 recognizes the necessity of cleaning the air filter 3 and operates the filter cleaning on switch installed in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1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motor, which is the descending power generating means 7, is driven clockwise, for example, in the drawing, the first driving pulley 82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8 fixedly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sub-motor is a chain or a timing belt. Rotating the first idler pulley 81 in a 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83, and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is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rod 4,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6 Since the second driving pulley 163 also rotates the driven pulley 164 and the third idler pulley 162 built in the bottom of the second guide rod 13 through the chain or the timing belt 165 in the clockwise direction, 3 idle pulley (162) with chain and tie The second idler pulley 161 arrang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rod 13 connected through the belt 166 also rotates clockwise and rotates the chain and timing belt 166 clockwis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167,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lider 14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4, is connected to a side far from the air filter 3 of the chain and timing belt 166, so that the air injection nozzle ( 14, like the above-described contaminant suction nozzle 5, while descending along the second guide rod 13, the high-pressure air provided by the compressor 15 is continued from the rear side of the air filter 3 to the front direction. It can be sprayed.

그러므로 각각 에어 필터(3)의 전,후면에서 동일 높이 변화를 유지하며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4)(13)을 따라 하강하는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에어 분사노즐(14)이 각각 에어 필터(3)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의 흡입작동과 에어 분사를 통한 오염물질의 강제 탈리시켜 오염물질 흡입노즐(5) 측으로 불어주는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에어 필터(3)에 묻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청소효과 가 오염물질 흡입노즐(5)만 작동할 때에 비하여 매우 좋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nd the air jet nozzle 14 which maintain the same height change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filter 3 and descend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4 and 13, respectively. Since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various pollutants attached to the air filter 3 and the forced release of the pollutants through the air injection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blowing the pollutants to the suction nozzle 5 is performed. The cleaning effect on the various contaminants present is very good compared to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only.

물론, 상기와 같이 서브 모터가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동안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 및 탈리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4)(13)을 따라 하강하던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에어 분사노즐(14)이 하강 제한위치에 이르러 전술한 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10)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에서 서브 모터를 전술의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그 구동방향을 전환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5)과 에어 분사노즐(14)은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4)(13)을 따라 승강하며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sub-motor is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s which suck and desorb various pollutants and descend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4 and 13 ( 5)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14 reaches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when the aforementioned lower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10 detects this, the control unit 12 drives the sub-moto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 Since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5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14 are elevat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4 and 13 and repe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사용자가 에어 필터(3)의 청소를 원할 때 에어 필터 자체를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단순히 필터 청소 온 스위치만 조작하게 되면 진공 흡입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 필터의 전면부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오염물질 흡입노즐에서 진공흡입방식을 통해 에어 필터에 묻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청소하게 되거나, 또는 에어 필터의 전방부에서는 진공흡입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을 청소함과 동시에 필터의 후방부에서는 에어를 고압 분사시켜 주며 필터에 잔존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탈리시켜 주며 진공 흡입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에어 필터를 자동으로 해주게 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에어 필터를 보다 깨끗하고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그로 인해 제품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건식 청소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가 세척수 등에 의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균 서식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ants to clean the air filter 3, the air filter itself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ir conditioner. The vacuum suction method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clean various contaminants on the air filter through the vacuum suction metho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er. It cleans various pollutants and at the same time sprays high pressure air from the rear part of the filter, removes various pollutants remaining on the filter, and automatically suctions the air filter through the vacuum suction method. Cleaner and smoother filters, greatly improving product quality and reliability It can improve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and in particular, by adopting the dry cleaning method, the fil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etted by the washing water, etc., so that the bacteria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t can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이때,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5는 도 5는 도 4에서의 V-V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승,하강동력발생수단(7)인 서브 모터를 포함한 이들에 연계되는 각각의 풀리 및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 등이 배면에서 보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어 상기에서 설명한 구동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즉, 시계방향으로 표기한 내용에 대해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표기된 내용에 대해서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상기하는 바이다.At this time,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V line in Figure 4, in this case, the sub-motor which is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7) Each pulley, chain or timing belt, etc., associated with them is shown in the form of a view from the back, counterclockwise to the driving direction described above (ie counterclockwise, counterclockwise Regarding the contents indic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t is noted that the driving mode is shown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1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좌측면 사시도.2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우측면 사시도.3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배면 사시도.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의 V-V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송풍팬 2 : 열교환기1: blower fan 2: heat exchanger

3 : 에어 필터 4, 13 :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3: air filter 4, 13: first and second guide rod

5 : 오염물질 흡입노즐 6 : 진공 흡입기5: Contaminant suction nozzle 6: Vacuum suction

7 : 승,하강 동력발생수단 8, 16 :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7: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8, 16: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tting means

9, 10 :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9, 10: Up / down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11 : 스위치신호 입력부 12 : 제어부11: switch signal input unit 12: control unit

14 : 에어 분사노즐 15 : 콤프레셔14: air injection nozzle 15: compressor

51 : 흡입구 52, 142 : 슬라이더51: inlet 52, 142: slider

81, 161, 162 : 제 1 내지 제 3 아이들 풀리81, 161, and 162: first to third idler pulleys

82, 163 : 제 1 및 제 2 구동 풀리82,163: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83, 165, 166 :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83, 165, 166: chain or timing belt

84, 167 : 연결구 141 : 에어 토출구84, 167: connector 141: air discharge port

164 : 종동 풀리 164: driven pulley

Claims (4)

실,내외 공기를 송풍팬을 통해 흡입하여 에어 필터를 통해 필터링한 후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시켜 실내에 배출시켜 주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In an air conditioner that sucks air inside and outside through a blower fan, filters it through an air filter, and then heats it through a heat exchanger to discharge it indoors. 상기 에어 필터의 전방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봉과;A pair of first guide rods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air filter; 양단부의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가이드 봉을 따라 각각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기 측으로 직접 흡입하는 오염물질 흡입노즐과;The sliders at both ends are moved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while the sliders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respectively. The pollutants on the air filter are directly directed to the vacuum inhaler. Inhaling pollutant suction nozzles;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승,하강 작동시 에어 필터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포집하는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주는 진공 흡입기와;A vacuum suction unit for generating a necessary suction force for vacuum-sucking and collecting the contaminants buried in the air filter during the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상기 오염물질 흡입노즐이 제 1 가이드 봉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승,하강 동력발생수단과;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오염물질 흡입노즐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수단과;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to a pollutant suction nozzle;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오염물질 흡입노즐이 제 1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할 때 승강 및 하강 제한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작동방향을 전환시켜 주거나 그 구동을 멈추도록 하는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와;When the contaminant suction nozzle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o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the lifting and lowering limit position is detected to cause the controller to switch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An upward and downward limit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stopping the driving; 사용자가 장치의 구동 여부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신호 입력부와;A switch signal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vice is driven; 상기 스위치신호 입력부에서 장치 "온"신호가 입력되면 자체 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부응하여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시키되,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작동 중 승,하강 제한위치 검출센서에서 승강 또는 하강제한 위치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오염물질 흡입노즐의 승,하강 방향이 반전 또는 정지되도록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When the device "on"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signal input unit, the r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is driven in response to a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and the rising and falling limit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so that the rising and lowering direction of the pollutant suction nozzle is reversed or stopped when the lifting or lowering limit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air having a dry filter cleaning function. Harmoniz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에어 필터의 배면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봉과;A pair of second guide rods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rear sides of the air filter; 양단부의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가이드 봉을 따라 각각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의 회동방향에 부응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에어 필터 후면부에서 전면부를 향해 콤프레셔에서 제공하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을 강제로 분리시켜 주는 에어 분사노즐과;The sliders at both ends are moved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up and down power generating means while the sliders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respectively along the second guide rod, and the high pressure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toward the front part from the rear of the air filter is provided. An air injection nozzle for forcibly separating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ilter by injecting air;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상기 승,하강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에어 분사노즐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by the control unit to the air injection nozzle, the power generated by the raising and lowering power generating means.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35142A 2009-04-22 2009-04-22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KR100912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142A KR100912658B1 (en) 2009-04-22 2009-04-22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142A KR100912658B1 (en) 2009-04-22 2009-04-22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658B1 true KR100912658B1 (en) 2009-08-17

Family

ID=4120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142A KR100912658B1 (en) 2009-04-22 2009-04-22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658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0569A (en) * 2015-08-14 2015-1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1591911B1 (en) 2014-06-11 2016-02-05 (주)에이티앤비 automatic equipment for dust removing and snow removing
CN106907844A (en) * 2017-03-16 2017-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The drive component of sparge pipe, cleaning device and air-conditioner
KR101821383B1 (en) * 2016-06-13 2018-01-23 (주)세원센추리 Cooler for cabin of crane
KR102004675B1 (en) * 2019-03-06 2019-07-26 이건화 Clean air generator
CN110252049A (en) * 2019-06-21 2019-09-20 湖南省宝满科技开发有限公司 A kind of auto cleaning system of room conditioning
KR20190136749A (en) * 2018-05-31 2019-12-10 엠에스필터 주식회사 Washable air cleaning system
CN110939989A (en) * 2019-12-13 2020-03-31 深圳通利机电工程有限公司 Energy-saving air conditioner with temperature return function
CN111503809A (en) * 2020-05-13 2020-08-07 福州台江筑途科技有限公司 Ventilation device with automatic cleaning and filtering system function
CN111544977A (en) * 2020-05-12 2020-08-18 余春生 Computer server with automatic dust removal function
CN111578406A (en) * 2020-05-26 2020-08-25 江西省科学院 Environment-friendly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cleaning structure
KR102385991B1 (en) * 2021-11-05 2022-04-12 김은애 automatic cleaning equipments for multi-layer stacked air filters
KR102406712B1 (en) * 2021-12-06 2022-06-07 김은애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multi-stage inclined air filter equipments
US20220243937A1 (en) * 2021-01-29 2022-08-04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Filter cleaning system, filter cleaning method, and data center
CN115930333A (en) * 2022-12-27 2023-04-07 江苏帕珐尼洁净科技有限公司 Air supply arrangement for clean workshop
KR102566693B1 (en) * 2022-03-23 2023-08-16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Drying type air filtering system of subway station capable of automatic clea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38U (en) * 1994-07-13 1996-02-17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Filter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KR970047263A (en) * 1995-12-08 1997-07-26 구자홍 Air filter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KR20060108968A (en) * 2005-04-14 2006-10-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The auto device for cleaning a filter of air-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38U (en) * 1994-07-13 1996-02-17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Filter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KR970047263A (en) * 1995-12-08 1997-07-26 구자홍 Air filter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KR20060108968A (en) * 2005-04-14 2006-10-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The auto device for cleaning a filter of air-conditioner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11B1 (en) 2014-06-11 2016-02-05 (주)에이티앤비 automatic equipment for dust removing and snow removing
CN105170569A (en) * 2015-08-14 2015-1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1821383B1 (en) * 2016-06-13 2018-01-23 (주)세원센추리 Cooler for cabin of crane
CN106907844B (en) * 2017-03-16 2022-05-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Driving assembly of liquid spraying pipe,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N106907844A (en) * 2017-03-16 2017-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The drive component of sparge pipe, cleaning device and air-conditioner
KR20190136749A (en) * 2018-05-31 2019-12-10 엠에스필터 주식회사 Washable air cleaning system
KR102171551B1 (en) * 2018-05-31 2020-10-29 엠에스필터 주식회사 Washable air cleaning system
KR102004675B1 (en) * 2019-03-06 2019-07-26 이건화 Clean air generator
WO2020180023A1 (en) * 2019-03-06 2020-09-10 (주)에어리버스 Clean air generator
CN110252049A (en) * 2019-06-21 2019-09-20 湖南省宝满科技开发有限公司 A kind of auto cleaning system of room conditioning
CN110939989A (en) * 2019-12-13 2020-03-31 深圳通利机电工程有限公司 Energy-saving air conditioner with temperature return function
CN111544977A (en) * 2020-05-12 2020-08-18 余春生 Computer server with automatic dust removal function
CN111503809A (en) * 2020-05-13 2020-08-07 福州台江筑途科技有限公司 Ventilation device with automatic cleaning and filtering system function
CN111578406A (en) * 2020-05-26 2020-08-25 江西省科学院 Environment-friendly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cleaning structure
US20220243937A1 (en) * 2021-01-29 2022-08-04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Filter cleaning system, filter cleaning method, and data center
KR102385991B1 (en) * 2021-11-05 2022-04-12 김은애 automatic cleaning equipments for multi-layer stacked air filters
KR102406712B1 (en) * 2021-12-06 2022-06-07 김은애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multi-stage inclined air filter equipments
KR102566693B1 (en) * 2022-03-23 2023-08-16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Drying type air filtering system of subway station capable of automatic cleaning
CN115930333A (en) * 2022-12-27 2023-04-07 江苏帕珐尼洁净科技有限公司 Air supply arrangement for clean workshop
CN115930333B (en) * 2022-12-27 2023-09-08 江苏帕珐尼洁净科技有限公司 Air supply device for clean worksh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658B1 (en) Air conditioner with dry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KR100921921B1 (en) Air conditioner with wet type filter cleaning function
KR102242771B1 (en) Window type Air cleaner
RU2312578C2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KR100628058B1 (en) Total heat exchanger and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same
ATE460108T1 (en) FILTER CLEANING MECHANISM OF VACUUM CLEANER
KR100908464B1 (en) Air cleaner
KR101881958B1 (en) The dust collector having fly collec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JP2018159543A (en) Humidification air cleaner
JP2007162979A (en) Range hood
KR102332176B1 (en) Hood for Kitchen Ventilation
CN103603177B (en) Cotton-wadded quilt core cleaner
JP2004347165A (en) Air cleaner
JP2010240531A (en) Screen mesh type dust removing apparatus
KR200421933Y1 (en) Vacuum cleaner with ventilating function
KR20090026981A (en) Door-combined air cleaner
KR100640733B1 (en) Suction type liquid air-cleaner
CN108478078A (en) A kind of hand dryer of energy scavenging air filter
JP4134768B2 (en) Air conditioner
KR20150086628A (en) Air circulation apparatus type flue
JP2007333365A (en) Air conditioner
KR20060052056A (en) Filtering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KR100628059B1 (en) Total heat exchanger and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209847087U (en) Robot of sweeping floor with touch interaction mechanism can be to air purification
JP2006105591A (en) Filter device for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