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45B1 -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 Google Patents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2245B1 KR100912245B1 KR1020070093108A KR20070093108A KR100912245B1 KR 100912245 B1 KR100912245 B1 KR 100912245B1 KR 1020070093108 A KR1020070093108 A KR 1020070093108A KR 20070093108 A KR20070093108 A KR 20070093108A KR 100912245 B1 KR100912245 B1 KR 100912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holes
- rotating plate
- grain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하고자 하는 곡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바닥면에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3 및 제4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하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고, 곡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수공 및 세척된 곡물과 물을 밥솥으로 유출할 시 상기 제2 및 제4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공에는 거름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의 개방과 상기 제2 및 제4관통공의 개방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구성 및 제어가 간단하고, 세곡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곡물 찌꺼기가 거름망에 걸러지지 아니하고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세곡장치, 하우징, 관통공, 회전판, 거름망, 배수공, 배출공, 마그네트, 센서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세곡장치가 장착된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세곡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세곡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세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12 : 제1관통공
114 : 제2관통공 120 : 하판
122 : 제3관통공 124 : 제4관통공
130 : 회전판 131 : 거름망
132, 136 : 배수공 134 : 배출공
140 : 회전판구동수단 142 : 구동디스크
144 : 구동모터 150 : 회전량감지수단
152 : 디스크 154 : 눈금감지센서
156 : 눈금 162 : 마그네트
164 : 센서 170, 170a : 수밀부재
본 발명은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시 행해지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자동 취사장치에 장착되어 쌀을 포함한 곡물의 세척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세곡장치와,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사행위는, 사람이 직접 곡물저장통에서 곡물을 꺼내 용기에 담고 상기 곡물을 물로 여러 번 세척하여 일반 전기밥솥이나 압력밥솥으로 옮겨 담은 후 밥의 종류에 따라 물을 맞춘 다음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취사방법에 의하면 사람이 일일이 곡물을 꺼내야하고, 세척해야 하며, 밥솥에 옮겨 담아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인 자동 취사장치를 개발하였으나, 상기 무인 자동 취사장치에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 기 개발된 무인 자동 취사장치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세곡장치가 장착된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세곡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무인 자동 취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뚜껑(11)이 상부에 설치된 곡물통(10)과, 일정량의 곡물을 상기 곡물통(10)으로부터 세곡장치(4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공급된 곡물을 공급호스(4)를 통해 공급되는 물로 세척하는 세곡장치(40)와, 상기 세곡장치(40)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 곡물과 물이 이송되어 내입되는 밥솥(50)과, 상기 밥솥(50) 내부의 곡물과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곡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구동축(42)에 끼움 고정되는 중공의 중심지지대(43)와, 상기 중심지지대(43)에 부착된 호형의 내측날개(43a)와, 하부 하우징(30") 내벽에 접하며 중심지지대(43) 상부의 가로지지대(44) 양단부에 부착된 호형의 외측날개(44a)와, 공급호스(4)로부터 공급된 물을 세곡장치(40)에 고르게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공(46a)이 그 바닥면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지지대(43)에 부착된 세척수분사수단(46)과, 거름망(34)이 설치된 배수구(33) 및 세척이 완료된 곡물과 물을 밥솥(50)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5)가 바닥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30")과, 상기 배수구(33) 및 배출구(35)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캠(36')과, 상기 캠(36')과 연결바(37')로 연결되어 상기 캠(36')의 회전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상기 배수구(33)와 배출구(35)를 개폐하는 차단판(37)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37)에는 상기 배수구(33) 및 배출구(35)와 동일한 형상의 관통공(38)이 형성된다.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조작되면 일정량의 곡물이 곡물통(10)으로부터 공급수단(20)에 의해 세곡장치(40)로 공급됨과 동시에 세척수도 세곡장치(40)로 공급된다. 공급된 곡물과 세척수는 날개(43a, 44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이때 곡물의 1차세척이 이루어진다. 곡물의 1차세척이 완료되면 관통공(38)이 배수구(33)와 일치되도록 배수구(33)쪽 차단판(37)이 슬라이딩하고, 이때, 곡물은 거름망(34)에 의해 걸러지고 세척수만이 배수구(33) 및 관통공(38)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수회 반복되어 곡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차단판(37)이 슬라이딩하여 배수구(33)를 차단하고, 세곡장치(40)로 깨끗한 물이 재공급된다. 물이 공급된 이후 배출구(35) 측의 차단판(37)이 슬라이딩되어 관통공(38)이 배출구(35)와 일치하게 되면 세척된 곡물과 물이 밥솥(50)으로 내입된다.
세척된 곡물과 물이 밥솥(50)으로 내입되면, 상기 세곡장치(40)에 잔존하는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이 상기 세곡장치(40)로 새로이 유입되고, 상기 날개(43a, 44a)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세곡장치(40) 내부를 세척한다. 세곡장치(4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되면 관통공(38)이 배수구(33)와 일치되도록 배수구(33)쪽 차단판(37)이 슬라이딩하고, 이때, 곡물 찌꺼기는 거름망(34)에 의해 걸러지고 세척수만이 배수구(33) 및 관통공(38)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2개의 구동모터와 2개의 캠(36')과 2개의 연결바(37')와 2개의 차단판(37)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2개의 구동모터를 별도로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제어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세곡장치(40) 내부에 잔존하는 곡물 찌꺼기가 거름망에 걸러지기 때문에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지 아니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구성 및 제어가 간단하고, 세곡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곡물 찌꺼기가 거름망에 걸러지지 아니하고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는 세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곡장치가 구비된 무인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척하고자 하는 곡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바닥면에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3 및 제4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하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고, 곡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수공 및 세척된 곡물과 물을 밥솥으로 유출할 시 상기 제2 및 제4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공에는 거름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의 개방과 상기 제2 및 제4관통공의 개방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구동수단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 전하고,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디스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수공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곡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량감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량감지수단은, 상기 회전판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일측면 외주면을 따라 눈금이 형성된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에 형성된 눈금을 감지하는 눈금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곡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초기위치설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초기위치설정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부착된 마그네트; 및 상기 하판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곡장치가 장착된 무인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세곡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곡장치는 하우징(110)과, 하판(120)과, 회전판(130)과, 회전판구동수단(140)과, 회전량감지수단(150)과, 초기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세척하기 위한 곡물과 물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10) 의 바닥면에는 제1관통공(112) 및 제2관통공(114)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심에는 중심축(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 일 측면에는 플랜지(116)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6)에는 볼트공(118)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112)과 제2관통공(114)은 상기 삽입공(미도시)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즉, 180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판(120)에는 제3관통공(122), 제4관통공(124) 및 볼트공(128)이 형성된다. 상기 제3관통공(122)은 제1관통공(112)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4관통공(124)은 상기 제2관통공(114)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128)은 상기 하우징의 볼트공(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관통공(122)은 호스(미도시)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4관통공(124)은 배관(126)에 의해 밥통(미도시)과 연통된다. 상기 하판(120)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홈(129)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과 하판(120)은 상기 볼트공(118) 및 볼트공(128)에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판(120) 상면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배수로(123)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23)에는 배수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23)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125)는 호스(미도시)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세척수의 누수와 상기 제2관통공(112) 및 제4관통공(124)를 통해 밥솥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누수는 후술할 수밀부재(170a)(17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밀부재(170a)(170)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세척수의 누수 가능성을 완전하게 배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20)에 배수로(123)와 배수구(125)를 형성하였다.
상기 회전판(130)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10)과 하판(1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130)에는 곡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일치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을 개방하는 배수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32)에는 곡물은 걸러내고 곡물을 세척한 물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거름망(13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130)에는, 세척된 곡물과 물을 밥솥(미도시)으로 유출할 시 상기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과 일치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을 개방하는 배출공(134)과, 세척된 곡물과 물을 밥솥으로 유출한 후 하우징(110) 내부를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일치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을 개방하는 배수공(136)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32)과 배출공(134)과 배수공(136)이 각각 이루는 각도는 120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의 개방과 상기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의 개방이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와 상이한 각도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회전판(130)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33)에는 베어링(135)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130)의 외주면에는 톱니(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과 회전판(130) 사이, 상기 하판(120)과 회전판(130) 사이에는 수밀부재(170a)(170)가 각각 위치한다. 상기 수밀부재(170a)에는 공(孔)(172a)(174a)이 형성된다. 상기 공(孔)(172a)(174a)은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2관통공(114)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밀부재(170)에도 공(孔)(172)(174)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孔)(172)(174)은 상기 제3관통공(122) 및 제4관통공(124)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밀부재(170a)(170)에는 삽입공(176a)(17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76a)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176)에는 상기 하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21)가 삽입된다. 상기 수밀부재(170a)(170)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판(130)은 상기 회전판구동수단(14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회전판구동수단(140)은 상기 회전판(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미도시)와 맞물리는 톱니(미도시)가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디스크(142)와, 상기 구동디스크(14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디스크(142)는 상기 하우징(110)의 플랜지(116)에 형성된 삽입홈(117)과 상기 삽입홈(117)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판(120)에 형성된 삽입홈(127)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130)과 결합한다.
상기 회전량감지수단(150)은 상기 구동모터(144)와 구동디스크(142)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디스크(142)와 동시에 회전하는 디스크(152)와, 눈금감지센 서(15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152)는 상기 플랜지(116)에 형성된 안착홈(119)에 놓여지고, 상기 디스크(152)에는 복수개의 눈금(156)이 그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예컨대 1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눈금감지센서(154)는 상기 눈금(156)을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눈금(156)의 개수를 카운팅한 후, 그 카운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44)를 제어한다.
상기 초기위치설정수단은 상기 회전판(130)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130)의 일측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62)와, 상기 하판(12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트(162)를 감지하는 센서(1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마그네트(162)가 상기 센서(164)로부터 소정 범위, 예컨대 3mm 이내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회전판(130)이 초기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센서(164)는 상기 마그네트(162)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44)를 제어한다.
이하, 상기 세곡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최초에 상기 회전판(130)은 초기위치에 놓여져 있다. 이때, 상기 배수공(132)은 상기 제1관통공(112)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배출공(134)은 상기 제2관통공(114)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배수공(136)은 상기 제2관통공(114)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32)은 상기 제1관통공(112) 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곡물과 물이 유입되어 곡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44)를 구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판(1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공(132)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량감지수단(150)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 각도와 설계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배수공(132)과 제1관통공(112)의 이격 각도가 일치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44)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수공(132)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게 된다.
배수공(132)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일치하면 곡물은 상기 거름망(131)에 의해 걸러지고 곡물을 세척한 물만 상기 제1관통공(112), 배수공(132) 및 제3관통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곡물을 세척한 물이 완전히 배수되면 상기 구동모터(144)가 다시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13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위와 같은 작업이 2~4회 정도 반복된 후, 상기 하우징(110)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44)를 구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출공(134)이 상기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량감지수단(150)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 각도와 설계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배출공(134)과 제2관통공(114)의 이격 각도가 일치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 터(144)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출공(134)이 상기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과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게 된다.
배출공(134)이 상기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과 일치하면 세척된 곡물과 물은 상기 제2관통공(114), 배출공(134) 및 제4관통공(124)을 통해 밥솥(미도시)으로 공급된다. 세척된 곡물과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 제2관통공(114) 및 제4관통공(124)이 상기 회전판(130)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동모터(144)가 다시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곡물의 세척과정에서 발생한 곡물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하우징(110) 내부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으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물에 의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세척작업이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44)를 구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판(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공(136)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량감지수단(150)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 각도와 설계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배수공(136)과 제1관통공(112)의 이격 각도가 일치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44)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수공(136)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공(136)이 상기 제1관통공(112) 및 제3관통공(122)과 일치하면 하우징(110) 내부를 세척한 물은 상기 제1관통공(112), 배수공(136) 및 제3관통 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10) 내부를 세척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구동모터(144)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13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센서(164)가 상기 마그네트(162)를 감지하는 순간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44)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130)이 초기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구성 및 제어가 간단하고, 세곡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곡물 찌꺼기가 거름망에 걸러지지 아니하고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8)
- 세척하고자 하는 곡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바닥면에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3 및 제4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하판;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고, 곡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수공 및 세척된 곡물과 물을 밥솥으로 유출할 시 상기 제2 및 제4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회전판; 및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구동수단;을 포함하되,상기 배수공에는 거름망이 설치되고,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의 개방과 상기 제2 및 제4관통공의 개방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판구동수단은,구동모터; 및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시 상기 제1 및 제3관통공을 개방하는 배수공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판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량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량감지수단은,상기 회전판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일측면 외주면을 따라 눈금이 형성된 디스크; 및상기 디스크에 형성된 눈금을 감지하는 눈금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판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초기위치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초기위치설정수단은,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부착된 마그네트; 및상기 하판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곡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세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 취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3108A KR100912245B1 (ko) | 2007-09-13 | 2007-09-13 |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3108A KR100912245B1 (ko) | 2007-09-13 | 2007-09-13 |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7916A KR20090027916A (ko) | 2009-03-18 |
KR100912245B1 true KR100912245B1 (ko) | 2009-08-14 |
Family
ID=4069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3108A KR100912245B1 (ko) | 2007-09-13 | 2007-09-13 |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224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21004A (zh) * | 2016-12-07 | 2017-06-13 | 杭州点厨科技有限公司 | 智能电饭煲 |
CN109567557A (zh) * | 2018-11-26 | 2019-04-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饭煲的检测方法和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659B1 (ko) * | 2008-06-10 | 2010-07-07 | 주식회사 큐리프 | 세척조 및 이를 구비한 취사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7113Y1 (ko) * | 1993-06-09 | 1997-07-16 | 최태언 | 자동취사장치 |
KR200152963Y1 (ko) | 1996-12-31 | 1999-08-02 | 조기형 | 자동 취사기용 상부 케이스 |
-
2007
- 2007-09-13 KR KR1020070093108A patent/KR1009122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7113Y1 (ko) * | 1993-06-09 | 1997-07-16 | 최태언 | 자동취사장치 |
KR200152963Y1 (ko) | 1996-12-31 | 1999-08-02 | 조기형 | 자동 취사기용 상부 케이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21004A (zh) * | 2016-12-07 | 2017-06-13 | 杭州点厨科技有限公司 | 智能电饭煲 |
CN109567557A (zh) * | 2018-11-26 | 2019-04-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饭煲的检测方法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7916A (ko) | 2009-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02535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washing flow of dishwasher | |
EP2338400B1 (en) |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 |
JP4645577B2 (ja) | 回転円盤フィルタおよび濾過装置 | |
EP1512363B1 (en) | Dishwasher filter | |
KR101406817B1 (ko) |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 |
KR100912245B1 (ko) | 세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 |
JP2014534070A (ja) | フィルタードラムによる加圧逆洗方式のフィルター装置 | |
JP2012011018A (ja) | 自動洗米炊飯器 | |
CN216986544U (zh) | 一种水性聚氨酯树脂生产用过滤器 | |
CN109998356B (zh) | 一种旋转滤漏装置及烹调机 | |
CN208193833U (zh) | 一种智能全自动反冲洗式过滤器 | |
CN210078973U (zh) | 反冲洗式自洁式过滤设备 | |
JP2005334027A (ja) | 洗浄機 | |
CN218900955U (zh) | 一种板式自清洁净水设备 | |
CN219578689U (zh) | 烹饪设备 | |
WO2012067518A1 (en) | Filter arrangement for removal of particles in a liquid, and method for selective flushing of the filter arrangement | |
US20240156322A1 (en) | Dishwashing appliance and filter having a visual fill volume indication | |
JP2004141849A (ja) | 連続式ろ過装置 | |
KR100474140B1 (ko) |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교반익 구동 장치 | |
KR20030063028A (ko) |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구동 장치 | |
CN219048172U (zh) | 具有自动投料功能的烹饪设备 | |
KR200144695Y1 (ko) | 자동 취사기의 쌀 세척 용기 | |
JP2006081774A (ja) | 食器洗い機 | |
KR100551359B1 (ko) | 자동 취사 장치 | |
JP2811166B2 (ja) | 浸漬及び水切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