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175B1 -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75B1
KR100912175B1 KR1020077011461A KR20077011461A KR100912175B1 KR 100912175 B1 KR100912175 B1 KR 100912175B1 KR 1020077011461 A KR1020077011461 A KR 1020077011461A KR 20077011461 A KR20077011461 A KR 20077011461A KR 100912175 B1 KR100912175 B1 KR 10091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adio base
destination
orig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676A (ko
Inventor
마사노리 하시모또
야스오 데즈까
아끼오 야바
가요 모또하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1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1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이 발신 단말기로부터 발신 요구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이 발신 요구의 착신처 단말기를 특정하고, 착신처 단말기가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기지국과 상이한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발신 요구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무선 기지국과 상이한 무선 기지국이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확립하는 것을 시도한다.
IP 네트워크, 무선 기지국, 발신 단말기, 착신처 단말기, 데이터 전송로, 발신 요구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DATA TRANSMISSION LINE ESTABLISHING SYSTEM BETWEEN MOBILE TELEPHON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소형 기지국을 이용한 통신 방식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네트워크, 예를 들면 제3세대 휴대 전화 네트워크(Third Generation mobile phone network)에서, 지도적으로 보아 서비스 에리어(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범위)이기는 하지만, 전파가 닿기 어려운 지역(「불감 지대」라고 부름)이 존재한다. 전파는 기본적으로 직진하기 때문에, 건물의 그림자, 옥내, 지하 등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전파가 충분히 닿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불감 지대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옥내가 있는데, 특히 단독 주택, 혹은 집합 주택에서의 개인 옥내가 있다. 이 개인 옥내에 소형 기지국을 배치하고, 개인 옥내에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의 전파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한 선행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 문헌1 및 2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표2004-50794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표2002-53588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불감 지대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치되는 소형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이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발신 요구의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상기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이한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요구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상이한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확립하는 것을 시도하는 시행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간이 직접 접속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데이터 전송로가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확립된다. 이에 의해, 단말기간의 데이터(유저 데이터)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 하지 않으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트래픽은 2회 IP 네트워크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간이 직접 접속된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트래픽이 IP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횟수는 1회로 된다. 이에 의해, IP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상기 IP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대체 데이터 전송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확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간을 직접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대체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된다. 이에 의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접속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동일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IP 네트워크에 설치되는 호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호 제어 장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이 휴대 전화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상기 IP 네트워크에 수용된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상기 복수의 무선 기지국의 하나로부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발신 요구를 수신 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판독된 경우에, 이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기지국을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 하여, 이 IP 어드레스 앞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사이에서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착신처 단말기에 송신한 상기 발신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호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취한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 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스템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동일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을 구비하고,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상기 복수의 무선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이 휴대 전화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상기 IP 네트워크에 수용된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검 색된 경우에, 이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기지국을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 하여, 이 IP 어드레스 앞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착신처 단말기에 송신한 상기 발신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취한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또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호 제어 장치, 상기한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특징을 갖는 데이터 전송로의 확립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불감 지대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치되는 소형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현행의 음성 데이터가 지나가는 베어러 루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가 지나가는 베어러 루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단말기 사이를 CABS에 의해 직접 접속 가능한 경우(제1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며,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단말기끼리 CABS에 의해 직접 접속 불가능한 경우(제2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로, 도 6에 대응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단말기끼리 CABS에 의해 직접 접속 가능한 경우(제3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로, 도 8에 대응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단말기끼리 CABS에 의해 직접 접속 불가능한 경우(제4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로,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제1 양태에서 착신측 미등록의 경우)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양태(제2 양태에서 착신측 미등록의 경우)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제1 양태에서의 CABS 직접 접속 가능한 경우(제1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제1 형태에서의 CABS 직접 접속 가능한 경우(제1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제1 형태에서의 CABS 직접 접속 불가능한 경우(제2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제1 형태에서의 CABS 직접 접속 불가능한 경우(제2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의 CABS 직접 접속 가능한 경우의 실시예의 시퀀스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의 CABS 직접 접속 불가능한 경우의 실시예의 시퀀스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의 착신측 CABS가 CA Server에 미등록인 경우의 시퀀스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의 착신측 CABS가 발신측 CABS에 미등록인 경우의 시퀀스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기지국(CAB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기지국에서의 상대처의 산출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CABS(무선 기지국)
19: CNT부(제어부, 프로토콜 변환부)
20: 단말기측 에뮬레이터
21: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
22: 제1 암호 처리부
23: 제2 암호 처리부
24: 베어러 셀렉터(절환부)
25: 톤 생성부
30: 호 제어 장치
31, 41: 메시지 수신부(수신부)
32, 42: 메시지 해석부
33, 43: 상대처 검색부(검색부)
34, 44: 메시지 생성부
35, 45: 메시지 송신부(송신부)
36, 46: 등록표 기억부(기억부)
36A, 46A: 등록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경위〕
가장 먼저, 본 발명의 경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불감 지대로서, 예를 들면 단독 주택이나 집합 주택에서의 개인집(user home)이 있다. 이러한 개인 옥내에 소형의 무선 기지국을 설치하여, 휴대 전화의 유저가 개인 옥내로부터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옥내용의 소형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이하의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옥내에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소형이고 염가이면서 서비스 에리어(소형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범위)가 협소하며, 전파가 저출력이다(다른 마찬가지의 기지국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전파 간섭을 작게 함).
(2)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에 물리 회선을 부설해야 한다. 이 물리 회선에서, 현재 개인집에 보급이 진행되고 있는 인터넷 접속용의 브로드밴드 회선(예: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회선 서비스, 혹은 CATV(Cable TV)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등)이 갖는 IP 패킷 전송로에 합승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3) 옥내용의 소형 기지국은 개인집의 유저가 비용을 지불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소형 기지국의 설치 유저(및 그 관계자)에게만 소형 기지국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 기능(단말기-소형 기지국 인증 기 능)이, 기지국 제어 장치(RNS: Radio Network Sub-system)와 소형 기지국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소형 기지국의 접속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MSC(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교환 이동국)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교환 처리 장치(교환기)이다. MSC는, 상호 접속됨과 함께, 적어도 1개의 RNS를 수용한다. RNS는, 관리 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이다. RNS는, 적어도 1개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를 수용한다. BTS는,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또는 user equipment(UE))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지국이다. 이상이,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이다.
또한, 도 1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예로서, 3G(IMT-2000)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UMTS는, 대략하여, 코어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네트워크(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로 이루어진다. UTRAN은 무선 부분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는 MSC는,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요소이고, RNS 및 BTS는 UTRAN에 포함되는 요소이다.
도 1에 도시하는 CABS(Cubicle Area BTS)가 옥내용의 소형 기지국 장치(very small BTS for home user)에 상당한다. CABS는, 일반 주택 내에 설치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RNS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네트워크 경유로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유저의 옥내에는, ISP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넷 접속용의 브로드밴드 회선(예를 들면 xDSL)이 도입되어 있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CABS는, 브로드밴드 회선으로서 이용되는 고정 전화 회선을 수용하는 xDSL 모뎀의 IP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xDSL 모뎀은, 고정 전화 회선으로부터 분배되는 xDSL 회선을 통하여 ISP 네트워크에 설치된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에 접속된다.
한편, RNS는, IWU(Inter-Working Unit)를 통하여 ISP 네트워크의 입구에 설치된 엣지 라우터(ER)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ISP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있다.
IWU는, IP 레이어와 현재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하위 레이어인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과의 변환 장치이다. RNS와 ER의 사이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의 호량에 따른 수의 회선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해서, CABS는, 물리적으로는 고정 전화 회선으로 접속된다. 또한, CABS는 RNS와 IP 인터페이스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어떤 IS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CABS의 전체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CABS를 옥내에 이미 부설되어 있는 브로드밴드 회선(ISP에의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휴대 전화 네트워크(RNS)에의 특별한 회선을 CABS가 설치되는 각 주택에 부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CABS의 도입에 따른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CABS는, 특정한 단말기에만 CABS 자신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CABS가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취한 경우에, RNS/MSC에서 CABS와의 대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CABS는, 인증 처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접속 요구원의 단말기가 접속 가능 단말기이면,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허가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CABS를 수용하는 방식에서, 단말기끼리 동일한 ISP에 수용되어 있는 CABS의 관리 하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단말기간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예를 들면 음성 호이면 음성 데이터)는, CABS1a-RNS1-MSC-RNS2-CABS2a의 경로(도면 내에서 화살표로 나타냄)를 통과한다. 이 때, 동일한 ISP 네트워크(IP 네트워크)를 2번 지나게 된다.
만약,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로를 이용하는 통신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가 CABS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에 의해 교환 가능하면, ISP 네트워크 내를 지나는 트래픽은 반으로 된다. 또한, CABS 사이의 트래픽은, ISP 네트워크의 상위에 위치하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으므로, 설비적으로 유리한 것은 분명하다.
각 CABS는, ISP 네트워크 내에서 유니크하게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다. CABS 사이에서 서로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있으면, IP 패킷(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IP 패킷)을 직접적으로(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형태는, 현재 많은 ISP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IP 전화에 의한 통신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ISP는 IP 전화 서비스를 행하기 위해서 ISP 네트 워크 내에 호 제어 서버(CA(Call Agent) server)를 설치하고, IP 전화 단말기와 호 제어 신호를 교환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기 + CABS의 세트를 IP 전화 단말기로 선정하면, 마찬가지의 수단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ISP 네트워크를 통하여 CABS 사이를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서비스를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큰 문제가 있다.
우선, 휴대 전화 단말기 및 CABS는, ISP가 통상 제공하고 있는 IP 전화의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과는 상이한 휴대 전화의 프로토콜(3GPP 표준)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 상황에서는 CABS와 호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교환은 불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는 언제나 CABS의 통신 범위에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ISP의 호 제어 서버는, 어떤 휴대 전화 단말기 + CABS로부터의 발신 요구에 대하여, 착신처가 등록되어 있을 CABS +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 요구를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이 착신 요구는 상대처의 CABS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착신 요구를 수신한 CABS의 통신 범위(CABS로부터의 착신 요구(무선 전파)가 닿는 범위)에 본래의 착신처인 휴대 전화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CABS의 통신 범위에 소재하지 않는 경우, 이 휴대 전화 단말기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 내의 어딘가의 임의의 BTS의 관리 하에 소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착신 요구가 그 BTS를 통하여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하도록 하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호 제어 서버가,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임의의 BTS의 관리 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는 없다. 또한, 호 제어 서버는, 해당 임의의 BTS에 착신 요구를 접속할 수도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IP 네트워크에 수용된 소형 기지국간을 통하여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ISP 네트워크(어드레스 부여 체계가 동일한 IP 네트워크)에 복수의 소형 기지국(CABS)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가 복수의 CABS의 하나로 수신된 경우에, 이 발신 요구의 착신처로서의 착신처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발신 요구를 수신한 발신측 CABS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를 관리 하에 갖는 착신측 CABS의 사이에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CABS 사이가 직접적으로 접속된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것을 시도한다.
상기한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를 통한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의 확립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ISP 네트워크 내에 설치되는 호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제1 양태). 또한, 본 발명은, 호 제어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제2 양태).
본 발명을 호 제어 장치의 이용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제1 양태)에는, ISP 네트워크에 호 제어 장치를 배치하고, 호 제어 장치가, 발신측의 CABS와 착신측의 CABS의 사이에서 메시지의 교환을 행함으로써, 호 제어 장치가 CABS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호 제어 장치로서, 전용의 호 제어 장치를 ISP 네트워크에 배치하고, CABS 사이의 호 접속(데이터 전송로의 확립)을 제어해도 된다. 그러나, 호 제어 장치로서, 종래부터 ISP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있는 IP 전화용의 호 제어 서버(「CA(call agent) 서버」라고 불림)를 이용하는 것이, 시스템 구축에 따른 코스트의 상승을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호 제어 서버는, SIP 등의 소정의 IP 전화용의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호 제어 서버는, 휴대 전화용의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발신측 CABS 또는 착신처 CABS로 되는 각 CABS에는,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과 IP 전화용 프로토콜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프로토콜 변환부)이 탑재된다.
CABS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발신 요구 등)를 호 제어 서버에서 인식 가능한 IP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호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형식으로 변환하 거나 한다.
또한, 호 제어 장치(호 제어 서버)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호 제어 장치에서, 발신 요구의 착신처 단말기가 발신측 CABS와 동일한 ISP 네트워크에 접속된 CABS를 이용 가능한 휴대 전화 단말기인지가 판단된다.
이와 같은 판단을 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발신측 CABS와 동일한 ISP 네트워크에 접속된 CABS의 IP 어드레스와, 이 CABS를 이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가 등록된 기억 장치(기억부)를 호 제어 장치가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호 제어 장치가, 발신측 CABS로부터의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해당 발신 요구의 송신원 IP 어드레스(발신측 CABS의 IP 어드레스)와 해당 발신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판단부)과,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이 상대처 정보에 포함되는 CABS의 IP 어드레스를 발신 요구의 착신처로서 결정하는 기능(결정부)이 필요하다.
호 제어 장치로서 IP 전화용의 호 제어 서버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호 제어 서버에 대하여, 상기 등록부 및 판단 기능(판단부)을 탑재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개량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 제어 서버는, IP 전화 단말기간의 접속 서비스를 행하기 위해서, IP 전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와 그 IP 전화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엔트리 리스트가 등록된 등록표와, IP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등록표 로부터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판독하여, 발신 요구의 착신처의 IP 전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산출하는 산출 기능(산출부)을 가지고 있다.
또한, 등록표의 각 엔트리에는, 실제로는, IP 전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및 전화 번호 외에 추가로, RTP/UDP(Real-time Transport Protocol/User Datagram Protocol)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포트 번호나 음성 부호화 방식이, 음성 호를 확립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서 더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등록표에, 전술한 바와 같은 상대처 정보(CABS의 IP 어드레스 및 이 CABS의 관리 하로 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를 등록하면, 호 제어 서버가 각 CABS + 이동 단말기를 IP 전화 단말기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호 제어 서버는 상기한 산출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처의 CABS + 이동 단말기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등록표의 엔트리에는,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라는 것의 식별 플래그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호 제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CABS의 관리 하에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기(착신처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 이것을 호 제어 서버가 판단(인식)하기 위한 메카니즘(구성(configuration))이 필요하다.
또한, 착신처 단말기가 등록 CABS의 관리 하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호 제어 서버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하여 발신 처리를 행하는 메카니즘(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을 호 제어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실현하는 경우(제2 양태)에는, CABS가 발신측 CABS로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발 신 요구의 착신처 단말기가, 발신측 CABS와 동일한 ISP 네트워크에 접속된 CABS를 이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CABS에는, 전술한 상대처 정보가 등록된 기억부가 설치된다. 또한, CABS에는,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기억부에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발신 요구의 착신처를 결정하는 결정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양태〕
이하, 본 발명의 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로서, ISP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IP 전화의 호 제어 서버를 통하여 소형 기지국간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케이스≫
도 4는, 제1 케이스로서, ISP 네트워크(이하, 단순히 「ISP」라고 표기함) 내에, 호 제어 장치로서의 호 제어 서버(CA Server)가 존재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calling terminal)로서의 이동 단말기(이하, 단순히 「단말기」라고 표기함) UE-a 및 착신처 단말기(called terminal)로서의 단말기 UE-b의 각각이 ISP1에 접속된 CABS1 및 CABS2와 각각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상태, 즉, 단말기 UE-b가 ISP1에 접속된 CABS2와 통신 가능한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UE-a가 발호하면, CABS1을 통하여, 단말기 UE-a와 호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호의 전처리(CALL PREPROCESSES)가 행해진다(SO1).
여기에서는, CABS1이 원래 전처리를 행하는 RNS1/MSC1의 대신으로 되어 프로토콜 종단을 대행하고 전처리를 행한다. 이 전처리는,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에의 인증과 암호화 키의 확정을 포함한다.
전처리에서의 네트워크 인증, 즉, 이 ISP1 내에서 단말기 UE-a가 통신을 행하여도 되는지는, 호 제어 서버에서 단말기 UE-a가 통신을 행하여도 되는 단말기로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판단된다. 이 때문에, 단말기와의 인증 요구의 교환을 호 제어 서버가 갖는 호 제어 프로토콜(IP 전화용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기능을 CABS1이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CABS1이 휴대 전화 네트워크측의 상위 장치(RNS/MSC)와의 프로토콜을 대행하여 종단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제1 특징이고, 단말기의 프로토콜과 호 제어 서버와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제2 특징이다. 단, 전처리가 단말기 UE-a와 CABS1 사이에서만 실시되도록(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처리가 종료하면, 발호 요구(호 접속 요구)인 SETUP 신호가 단말기 UE-a로부터 CABS1에 송신된다(S02). CABS1은, 이 SETUP 신호를 프로토콜 변환 기능에 의해 호 제어 서버를 처리할 수 있는 발호 상당의 신호(도 6에서는 SETUP 메시지를 예시)로 변환하여 송신한다(S03). 이것이 본 발명의 제3 특징이다.
CABS1로부터의 SETUP 메시지에는, CABS1의 IP 어드레스, 단말기 UE-a의 전화 번호(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착신처 단말기의 전화 번호(착신처 단말기의 식별 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호 제어 서버는, CABS1로부터의 SETUP 메시지를 수신하면, CABS1이 IP 전화 단말기라고 하는 인식에 의해 동작한다.
SETUP 메시지에는, 착신처 단말기인 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호 제어 서버는, 단말기의 식별 번호와 등록 정보(전술한 등록표에 등록된 정보)를 대조하여 착신처 CABS2를 산출한다. 즉, 단말기 UE-b에 대응하는 CABS의 IP 어드레스로서, CABS2의 IP 어드레스를 등록표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착신처 CABS를 산출할 수 있다. 호 제어 서버는, CABS2를 향하여 발호 메시지(SETUP)를 송신한다(S04). 이 동작은, CABS2를 IP 전화 단말기로서 간주한 동작과 동일하다.
CABS2는, 발호 메시지(SETUP)를 수취한 경우에는, 최초로, 단말기 UE-b(발호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번호에 의해 특정됨)가 관리 하에 소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착신 요구 메시지 "PAGE REQUEST"에 의해 단말기 UE-b에 대하여 착신 요구를 송신한다(S05). 이 때, CABS2는, CABS2 자신에 탑재된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발호 메시지를 단말기 UE-b에서 인식 가능한 "PAGE REQUEST"로 프로토콜 변환한다. 이 프로토콜 변환도 제3 특징이다.
단말기 UE-b가 CABS2의 통신 범위에 소재(존재권)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UE-b는, 착신 요구 "PAGE REQUEST"에 대한 응답을 CABS2로 되돌려 보낸다. CABS2가 응답을 수취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UE-a측과 동일한 호의 전처리(CALL PREPROCESSES)가 기동되고(SO6), 단말기 UE-b의 네트워크 인증이 실행된다.
단말기 UE-b의 네트워크 인증에 문제가 없으면, CABS2는 호 접속 요구의 SETUP 신호를 단말기 UE-b에 보낸다(SO7). 단말기 UE-b가 SETUP 신호에 응답함으로써, 다음 단계로 들어간다.
그런데, 호 제어 서버는, CABS1로부터의 SETUP 신호(발호 메시지: SO3)를 수신하고, 이 발호 메시지에 기초하여 착신처(CABS2)를 확인 가능한 시점에서, 그 착신처의 IP 어드레스(CABS2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는 응답 메시지 "SETUP ACK"를 CABS1에 송신한다(S08).
CABS1은,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메시지 "CALL PROCEEDING"을 단말기 UE-a에 보냄과 함께, CABS1과 UE-a의 사이에 무선 통신 채널 베어러(음성 데이터가 교환됨: 「무선 베어러」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를 확립시킨다(SO9: NEW BEARER SET).
한편, CABS2측에서는, CABS2가 단말기 UE-b로부터 SETUP 신호(S07)에 대한 "CALL CONFIRM" 메시지를 수신하면(S11), CABS2는, 단말기 UE-b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채널 베어러의 확립을 행한다(S12).
이 때, 단말기 UE-b는, 호출음을 발하여 단말기 UE-b의 유저 호를 알림과 함께, 베어러 확립을 계기로 호출 중 메시지인 ALERT를 CABS2에 보낸다(S13).
이 ALERT는, CABS2, 호 제어 서버, CABS1을 경유하여 단말기 UE-a에 전달된다(S14, S15, S16). 단말기 UE-a는 ALEAT를 수신함으로써, 단말기 UE-b의 호출 중 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 UE-a에 RBT(Ring Back Tone)를 들려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CABS1은, Tone(톤) 생성 기능을 갖는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제4 특징이다.
단말기 UE-b의 유저가 호출음에 따라서 단말기 UE-b를 오프 훅하고, 호출에 응답하면, 착호 단말기가 응답했음을 나타내는 CONNECT 메시지가 단말기 UE-b로부터 송신된다(S017).
CONNECT 메시지는, CABS2 및 호 제어 서버 경유로 CABS1에 보내진다(S18, S19). 그리고, CONNECT 메시지는, CABS1로부터 단말기 UE-a에 공급된다(S20).
CONNECT 메시지가 단말기 UE-a에 전해지면, CABS1과 CABS2의 사이에 VoIP(Voice over IP) 세션(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로)이 확립된 것으로 되어, 통신이 개시 가능하게 된다. 이후는,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CABS에 의해 패킷화되어 CABS1-CABS2 사이를 송수신된다.
CABS1-CABS2 사이에는, 베어러라고 하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IP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설명한 호 제어 신호의 교환에 의해, 상대처의 CABS의 IP 어드레스를 패킷의 수신처 IP 어드레스로 설정함으로써,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즉, 베어러가 확보되었다고 간주됨(Bearer Securing)).
또한, CONNECT 메시지(S20)가 단말기 UE-a에 닿아서 통신이 개시됨과 동시에, CABS1의 내부에서는, 단말기 UE-a에의 음성 루트 패스를 Tone 생성부로부터, CABS2와의 음성 데이터 통신에 내부적으로 절환을 행한다(S21). 이것은 본 발명의 제5 특징으로 된다.
또한, CABS2 및 단말기 UE-a의 각각은, CONNECT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것에 대한 응답 메시지 "CONNECT ACK"를 단말기 UE-b 및 CABS1에 각각 되돌려 보낸다(S22, S23). 그 후,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 사이에서 통화중(during communication)으로 된다(S24).
통신이 절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수순이 행해진다. 즉, 단말기 UE로부터의 절단 지시에 대하여, CABS1-호 제어 서버-CABS2-단말기 UE-b 사이에서 절단 신호의 교환(절단 처리: DISCONNECT PROCESS)이 행해진다(S25).
그 후, 단말기 UE-a와 CABS1 사이의 무선 베어러의 해방 처리가 행해진다(S26). 또한, 단말기 UE-b와 CABS2 사이의 무선 베어러의 해방 처리가 더 행해진다(S27). 이 통신의 절단 처리는, 휴대 전화 단말기가 절단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망측의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케이스에서,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CABS1과, CABS1이 발신 단말기인 단말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발신 요구(SETUP)의 착신처 단말기(단말기 UE-b)가 CABS1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와 동일한 IP 네트워크(ISP1)에 접속된 상이한 무선 기지국(CABS2)을 이용하여 발신 요구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CABS1-CABS2 사이에서 ISP1을 통한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것을 시도하는 시행 수단을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제3 케이스에서는, 호 제어 서버가 시행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2 케이스≫
도 6은, 제2 케이스로서, 도 4에 도시한 착신측 단말기 UE-b가 일반 BTS(도 6에서는 BTS2)의 관리 하에 소재하는 경우에, 어떻게 발신 동작이 절환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케이스에서의 시퀀스도이다.
도 7에서, 단말기 UE-a로부터의 발호 수속은, 제1 케이스와 마찬가지이며, 호 제어 서버로부터의 SETUP 신호가 CABS2에 닿는다(S01∼S04). 또한, 제1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호 제어 서버로부터의 "SETUP ACK" 송신을 계기로, CABS1과 단말기 UE-a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채널 베어러가 확립된다(S08∼S10).
CABS2는, "SETUP"을 수취하면, 제1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착신 요구 "PAGE REQUEST"를 단말기 UE-b를 향하여 송신한다(SO5). 그러나, 단말기 UE-b는, 관리 하(CABS2의 통신 범위)에 소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말기 UE-b로부터의 응답은 없다.
한편, CABS2는, 착신 요구의 송신을 계기로, 착신 요구에 대한 응답을 타이머에 의해 감시한다(S106). CABS2는, 타이머가 타임아웃한 시점에서 CABS2의 관리 하에 단말기 UE-b가 없다고 판단하고, 호 제어 서버에 타임아웃을 통지하기 위해서, 호 제어 서버에 타임아웃 메시지를 보낸다(S1O7, P.REQ Timeout).
호 제어 서버가 타임아웃 메시지를 수취하면, 호 제어 서버는, 호 제어 서버가 속하는 ISP 내에서 CABS 사이를 직접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호 제어 서버는, CABS1에 발호를 다시 시키기 위한 메시지(재발호 요구 메시지. 도 7에서는 "P.REQ Timeout" 메시지를 예시)를 보낸다(S108).
CABS1은, 재발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휴대 전화 네트워크측을 향하여 발호의 재시도(재발호)를 행한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제6 특징이다.
여기에서 앞의 수순은, 현 상황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발호/착신 시퀀스와 동일한 처리이다. 그러나, CABS1이 단말기 UE-a의 대행 단말기로서, 호의 전처리부터 다시 한다는 점에서 종래와 상이하다. 이 상위점은, 단말기 UE-a가 이미 행한 처리를 반복할 수 없다는 점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CABS1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하여 발신 단말기로서 행동하여, CABS1과 단말기 UE-b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베어러를 확립시킨다. 그리고, CABS1은, 확립된 베어러를 CABS1과 단말기 UE-a의 무선 통신 채널 베어러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해서, CABS1은, 단말기 UE-a에 대하여, 단말기 UE-a 자신이 송신한 발호 요구에 의해 통신 호가 확립되었다고 가장한다.
이 경우, 단말기 UE-a와 CABS1 사이에서의 호 전처리(S01)에서 결정한 암호화 키와, CABS1과 RNS1/MSC1의 사이에서 결정한 암호화 키가 다른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CABS1은, CABS1을 지나는 모든 제어 메시지 및 통신 데이터를 부호화/재암호화 처리한다. 이것이 제7 특징으로 된다.
이러한 부호화 및 재암호화 처리는, 발신/착신 처리뿐만 아니라, 호의 절단 처리에서도 행해진다. 이에 의해, 현 상황과 동등한 시퀀스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을 이용하여, S108 이후의 처리(CABS1에 의한 발호/착신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는, 단말기 UE-b가, MSC2/RNS2의 관리 하에 존재하는 BTS2의 통신 범위에 소재하고 있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CABS1의 발호를 계기로 하여, CABS1과 RNS1/MSC1의 사이에서 호의 전처리(CALL PREPROCESS)가 행해진다(S1O9).
그 후, 발호 요구로서의 SETUP 신호가 RNS1을 통하여 CABS1로부터 MSC1에 공급된다(S11l). MSC1은, MSC1 자신의 관리 범위에 단말기 UE-b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 들면, MSC1의 관리 범위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이라고 불리는 단말기의 위치 관리 레지스터(도시하지 않음)에 단말기 UE-b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행해진다.
MSC1은, MSC1 자신의 관리 범위에 단말기 UE-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HLR(Home location Register: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등록된 모든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그 위치 정보가 등록되는 위치 관리 레지스터: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단말기 UE-b의 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단말기 UE-b가 MSC2의 관리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MSC1은, SETUP 신호를 MSC2에 보낸다(S111).
MSC2는, MSC2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RNS에 SETUP 신호를 보낸다(S112). 또한, MSC2는, MSC1에 대하여, 확인 메시지 "SETUP ACK"를 되돌려 보낸다(S113). "SETUP ACK"를 MSC1이 수취하면, MSC1은, "CALL PROCEEDING"을 CABS1에 송신한다(S113A). CABS1이 "CALL PROCEEDING"을 수신하는 것을 계기로, CABS1과 MSC1의 사이에서 RNS1을 통한 데이터 전송용의 베어러가 확립된다(S113B).
S112에서 MSC2로부터 송신되는 SETUP 신호는, MSC2의 관리 하에 속하는 RNS2에 도착한다. RNS2는, RNS2의 관리 하에 속하는 모든 기지국에 착신 요구된 "PAGE REQUEST"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PAGE REQUEST"는, BTS2를 통하여 단말기 UE-b에 닿는다(S114).
단말기 UE-b가 "PAGE REQUEST"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호의 전처리가 BTS2를 통하여 단말기 UE-b와 RNS2/MSC2의 사이에서 실행된다(S115).
그 후, MSC2로부터 단말기 UE-b에 발신 요구로서의 SETUP 신호가 공급된다(S116). 그렇게 하면, 단말기 UE-b로부터 MSC2에 확인 메시지 "CALL CONFIRM"이 송신된다(S117). 이에 의해, 단말기 UE-b와 MSC1 사이에서의 데이터(여기서는 음성 데이터) 전송용의 베어러가 확립된다(S118).
그 후, 단말기 UE-b로부터 메시지 "ALERT"가 송신된다(S119, S120, S121). CABS1이 단말기 UE-b로부터의 "ALERT"를 수신하면, CABS1은, 이 "ALERT"를 단말기 UE-a와의 사이에서 확립되어 있는 베어러에 접속한다(베어러의 절환을 행한다: S122).
그리고, CABS1은, MSC1로부터의 "ALERT"를 부호화 및 재암호화하고, 단말기 UE-a가 송신한 "SETUP"에 대한 "ALERT"로서 단말기 UE-a에 송신한다(S123).
그 후, 단말기 UE-b의 유저가 호출에 응답하면, 메시지 "CONNECT"가 단말기 UE-b로부터 송신된다(S124, S125, S126, S127). 단, CABS1은, S127에서, MSC1로부터의 "CONNECT"를 부호화 및 재암호화하여 단말기 UE-a에 보낸다.
그리고, MSC2가 "CONNECT"에 대한 "CONNECT ACK"를 단말기 UE-b에 송신하고(S128), 단말기 UE-a가 "CONNECT"에 대한 "CONNECT ACK"를 MSC1에 송신한다(S129, S130). 또한, CABS1은, S130에서, 단말기 UE-a로부터의 "CONNECT ACK"를 부호화 및 재암호화하여 MSC1에 보낸다. 이에 의해,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의 사이가 통화중(During Communication)으로 된다(S131).
상기한 제2 케이스에서,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에 확립되는 데이터 전송로가 제1 데이터 전송로에 상당하고, CABS1과 단말기 UE-b의 사이에 확립되는 데이터 전송로가 제2 데이터 전송로에 상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2 케이스에서, CABS1-CABS2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대체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수단(확립 수단)을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그 확립 수단은, CABS1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제2 양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양태로서, 제1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CABS 사이를 IS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 제어 서버가 ISP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호 제어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CABS 내에 상대처의 정보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신이 가능하다.
≪제3 케이스≫
도 8은, 제2 양태로서,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ISP 네트워크를 통하여 CABS 사이에서 직접적인 접속을 행하는 형태 <제3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 고, 도 9는, 제2 양태에서의 호 접속(시그널링)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제3 케이스는, 제1 양태에서의 제1 케이스에 상당한다.
제2 양태에서는, 호 제어 서버(CA Server)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BS1과 CABS2의 사이에서 메시지의 교환이 직접 행해진다는 점에서, 도 5에 도시한 제1 양태의 제1 케이스에서의 시퀀스와 상이하다.
CABS 사이에서 직접적인 교환을 하기 위해서, 각 CABS1, 2에는, 상대의 IP 어드레스, CABS 자신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전화 번호 등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적어도 등록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UE-a가 CABS1을 이용하여 발호를 행하는 경우에는, CABS1에서 그 상대처 정보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CABS2 경유로 단말기 UE-b에의 착신이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CABS1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CABS2 경유로 단말기 UE-b에 직접 발신 요구를 보낼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시퀀스(S201∼S224)는, 도 5에 도시하는 제1 양태와 다음과 같이 다르다. CABS1은, 발호 요구를 계기로 하여 호의 전처리(S201)를 행한 후, 단말기 UE-a로부터의 SETUP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상대처 정보의 체크를 행한다.
즉, CABS1은, "SETUP"에 포함되는 단말기 UE-b의 정보를 바탕으로, CABS1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대처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기 UE-b가 CABS2의 관리 하의 단말기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단말기 UE-b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CABS2의 IP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CABS1은, 단말기 UE-b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CABS2의 IP 어드레스를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CABS1은, 판독한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한 SETUP 메시지를 송신한다(S203). CABS2는, 착신 요구된 "PAGE REQUEST"를 단말기 UE-b에 송신함(S204)과 함께, "SETUP"에 대한 "SETUP ACK"를 송신한다(S205).
이와 같이, 호 제어 서버가 없기 때문에, CABS1과 CABS2의 사이에서 메시지의 교환이 행해지는 점을 제외하고, 동작은 도 5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단, 제2 양태에서는, 호 제어 서버에 대하여, 각 CABS가 자신을 IP 전화 단말기처럼 가장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제1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토콜 변환 기능은 필수적인 구성 요건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3 케이스에서,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CABS1과, CABS1이 발신 단말기인 단말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발신 요구(SETUP)의 착신처 단말기(단말기 UE-b)가 CABS1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와 동일한 IP 네트워크(ISP1)에 접속된 상이한 무선 기지국(CABS2)을 이용하여 발신 요구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CABS1-CABS2 사이에서 ISP1을 통한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것을 시도하는 시행 수단을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제3 케이스에서는, CABS1이 시행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4 케이스≫
도 10은, 제2 양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CABS2 의 관리 하에 단말기 UE-b가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인 BTS2의 관리 하에 존재하는 경우<제4 케이스>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4 케이스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제4 케이스는, 제1 양태에서의 제2 케이스에 상당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S201∼S207의 동작은, 제3 케이스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단말기 UE-b는, CABS2의 관리 하에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CABS2에서는, "PAGE REQUEST"(S204)의 송신을 계기로 기동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된다(S301). 이 경우, CABS2는, CABS1에 대하여 타임아웃 메시지를 송신한다(S302).
CABS1은, 타임아웃 메시지를 수신하면, CABS2의 관리 하에 단말기 UE-b가 소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제2 케이스에서의 CABS1과 마찬가지로, 단말기 UE-a 대신에 호 접속 처리(시그널링)를 대행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ABS1이 CABS2의 관리 하에 단말기 UE-b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의 동작은, 도 7에 도시한 제2 케이스와 마찬가지이다(도 11, S109∼S131). 이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제2 양태에 따르면, 제3 케이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CABS 사이에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호 접속(데이터 전송로 확립)을 행하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케이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처의 CABS의 관리 하에 상대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화 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제3 케이스에서,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에 확립되는 데이터 전송로가 제1 데이터 전송로에 상당하고, CABS1과 단말기 UE-b의 사이에 확립되는 데이터 전송로가 제2 데이터 전송로에 상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4 케이스에서, CABS1-CABS2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대체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수단(확립 수단)을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그 확립 수단은, CABS1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제3 양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양태에서는, 호 제어 서버 혹은 CABS에 상대처(착신처) 정보(CABS의 IP 어드레스 및 상대처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발신 시에, 이 발신에 대한 상대처 정보가 호 제어 서버나 CABS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도 7이나 도 11에서 도시한 착신처에서의 타임아웃을 기다리지 않고(애당초 착신처가 불분명하므로, 착신 처리를 할 수 없음), 호 제어 서버나 발신원의 CABS에 의해 착신 불가라고 판단하여, 원래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사용한 발신으로 절환한다.
제3 양태에 따른 시퀀스를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다. 도 12는, 제1 양태에서, 호 제어 서버에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 우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 제어 서버는, CABS1로부터의 SETUP 메시지(S03)를 수취한 경우에, 이 SETUP에 포함되는 상대처의 단말기 UE-b의 식별 정보로부터 착신처의 CABS를 산출한다.
이 때, 호 제어 서버는, 착신처의 CABS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착신처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 S401)에는, 착신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존재 메시지(도 12에서는, "Don't Exist")를 CABS1에 회신한다(S402).
CABS1은, 부존재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제2 케이스(도 7)에서 설명한 S109∼S113A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제2 케이스(도 7)와 달리, CABS1은, 호 제어 서버로부터의 "SETUP ACK"의 수신을 계기로, 단말기 UE-a에 대하여 "CALL PROCEEDING"을 송신할 기회가 없다.
이 때문에, CABS1은, MSC1로부터 "CALL PROCEEDING"을 수신하는 것을 계기로, 단말기 UE-a에 대하여 "CALL PROCEEDING"을 송신한다(S411). 이것을 계기로, 단말기 UE-a와 MSC1의 사이에서, CABS1 및 RNS1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용의 무선 베어러가 확립된다(S412). 이와 같이, 무선 베어러를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타이밍이 상이하다.
그 후에서의, 통화중에 이르기까지의 동작은, 제2 케이스(도 7)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또한, CABS1은, CABS1 자신을 통과하는 메시지나 데이터에 대하여 부호화 및 재암호화를 행하는 점은, 제2 케이스와 마찬가지이다.
도 13은, 제3 양태로서, 제2 양태(ISP 네트워크 내의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 지 않는 경우)에서, 발신측의 CABS에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에서, CABS1은, 제4 케이스(도 11)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UE-a와 전처리를 행하고(S2O1), 단말기 UE-b에의 발신 요구로서의 SETUP 신호를 수취한다(S202).
이 때, CABS1은, 단말기 UE-b에 대한 상대처 정보로서 CABS2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착신 불가(상대처 미등록))고 판단하는 경우에는(S421),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용의 베어러를 확립하기 위한 수순을 행한다. 이 수순은, 도 12에 도시한 S109 이후의 수순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양태>
제1∼제3 양태에 따른 설명에서는, 호 제어 서버(CA Server)나 CABS 내에, 단말기의 착신처를 등록하는 데이터로서 CABS의 정보(CABS의 IP 어드레스)를 등록하고 있다. 제1∼제3 설명에서는, 착신처 단말기와 착신측 CABS의 대응 관계는 1대1로 설명했다. 단, 이 대응 관계를 1대N(N은 자연수)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착신측 CABS로서, 복수의 CABS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호 제어 서버 또는 발신측의 CABS는 등록된 모든 CABS에 착신 요구를 송신하고, 착신 요구에 응답한 CABS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착신 요구를 송신한 모든 CABS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호 제어 서버 또는 발신측의 CABS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의 절환을 행하고, 발신을 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임의의 단말기가 관리 하에 소재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CABS를 등록함으로써, 단말기의 유저에의 편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현 상황의 단말기 및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CABS를 제외함), CABS 사이에서 직접적으로(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베어러(데이터 전송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ISP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 휴대 전화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호의 접속 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ISP 주체의 트래픽은, ISP에의 수익의 가능성을 늘리고, ISP를 이용함에 따른 설비의 축소가 가져오는 코스트 다운은, 휴대 전화 캐리어의 이익을 끌어 올리고, 유저에게 그 이익이 환원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휴대 전화 캐리어, ISP, 및 유저의 삼자에게 이익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3세대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이하 「3GNW」)에서의, 구체적인 시퀀스를 예시한다. 또한, ISP(IP 네트워크) 내의 프로토콜은, 예로서, IP 전화에서 가장 잘 채용되어 있는 SIP 프로토콜이 적용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로서, 제1 양태에서의 제1 케이스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 명한다. 도 1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단말기 UE-a가 CABS1의 관리 하에 있고, 단말기 UE-b가 CABS2의 관리 하에 있는 경우에서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즉, 도 14는, ISP 네트워크 내의 호 제어 서버(CA Server)를 통하여, CABS1-CABS2 사이에서 직접적인 통신(데이터 전송로의 확립)이 가능한 경우를 도시한다.
최초로, 각 CABS1 및 CABS2는, CABS 자신을 사용 가능한 단말기를 호 제어 서버에 등록한다(등록 수순). 등록 수순에 의해, 호 제어 서버 내에, 상대처 정보로서 이용되는 정보가 등록된다. 상대처 정보로서 등록해야 할 정보는, CABS의 IP 어드레스, 이 CABS를 사용 가능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 기타의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등록해야 할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호 제어 서버측에서 결정된다.
등록 수순의 구체적인 수순은 다음과 같다. 도 14에는, 예로서, CABS1에 의한 등록 수순이 도시되어 있다. CABS1은, CABS1 및 CABS1을 이용 가능한 단말기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SIP 메시지에 의한 등록 요구(도 14에서는 메시지 "REGISTER")를 호 제어 서버에 송신한다(S501).
호 제어 서버는, CABS1로부터의 "REGISTER(SIP 메시지)"에 대하여, 일단 그 정보 키를 "401 unauthorized" 메시지로 보내고, 등록해야 할 정보의 송신을 재촉한다(S502).
CABS1은, "401 unauthorized"에 따라서, REGISTER 메시지에 등록해야 할 정보를 실어 재송신한다(S5O3). 호 제어 서버는, "REGISTER"로부터 등록해야 할 정 보를 추출하고, 호 제어 서버 내의 소정의 등록 위치에 등록한다. 예를 들면, 호 제어 서버는, 등록표 내에 등록해야 할 정보를 등록한다.
호 제어 서버는, 등록을 완료하면, CABS1에 대하여 메시지 "200 OK"를 송신한다(S504). 이와 같이 해서, 등록 수순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CABS1을 사용 가능한 단말기 UE-a가 호 제어 서버에 등록된다.
전술한 단말기 등록 수순(S501∼S504)은, CABS2-호 제어 서버간에서도 행해진다(S505). 이에 의해, CABS2는, CABS2를 사용 가능한 단말기로서, 단말기 UE-b를 호 제어 서버에 등록한다.
전술한 S501∼S504(S505)와 같은 등록 수순은, CABS를 최초로 IP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에, 1회만 행해진다.
단말기 UE-a가 CABS1의 관리 하에 소재하고, 발신을 행하면, 호 전처리(CALL PREPROCESS)가 행해진다(S5O6). 구체적으로는, 제어용의 무선 링크가 단말기 UE-a와 CABS1 사이에 설정되고, 인증 수속(Authentication Procedure)과, 암호화를 위한 키를 확정시키기 위한 교환(Security Procedure)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전처리는, 단말기 UE-a로부터 보아 기존의 휴대 전화의 발신 처리전에 행해지는 전처리와 변함이 없다. 단, 본래적으로는, 이러한 전처리는, CABS1이 통상의 기지국(BTS)이라고 가정한 경우에는, 단말기 UE-a와 CABS1의 상위 장치인 RNS나 MSC 사이에서 행해진다.
S506에서는, CABS1은, 단말기 UE 단말기 UE-a로부터의 전처리를 위한 신호를 종단하고, RNS/MSC 대신에 전처리를 단말기 UE-a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이와 같 이, CABS1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전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서, 단말기 UE-a의 네트워크 인증이나 암호화 키의 확정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회피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 호 확립(시그널링)을 위한 제어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된다. 상기한 CABS1에 의한 전처리는, RNS나 MSC가 갖는 전처리에 관한 기능을 CABS에 탑재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호 제어 서버에 대하여 인증 요구를 보내지 않는(호 제어 서버가 네트워크 인증에 관하지 않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처리가 끝나면, 단말기 UE-a는, 상대처 전화 번호(단말기 UE-b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발신 요구인 "SETUP"을 CABS1에 송신한다(S507).
CABS1은, 단말기 UE-a로부터의 "SETUP"을 수신하면, 이 "SETUP"을, SIP의 발신 요구 메시지인 INVITE 메시지로 변환하여(S5O8), 호 제어 서버에 송신한다(S509).
호 제어 서버는, CABS1로부터의 INVITE 메시지를 분석하고, 발신원과 착신처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510).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호 제어 서버는, INVITE 메시지의 송신원 어드레스로부터 발신측 CABS(CABS1)의 IP 어드레스를 특정한다. 또한,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는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로부터 발신 단말기를 특정한다. 이들 IP 어드레스 및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의 엔트리가 등록표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호 제어 서버는, 발신측의 CABS +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호 제어 서버는,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키로 하여, 대응하는 CABS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의 엔트리를 등록표로부터 검색한다. 이에 의해, 착신측의 CABS +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등록 수순(S501∼S504, S505)에 의해, 발신측 및 착신측이 대응하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호 제어 서버는, 발신 요구의 발신원 및 착신처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착신처 단말기(단말기 UE-a)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CABS2의 IP 어드레스를 발신 요구의 착신처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호 제어 서버는, 처리중이라는 취지의 100 Trying 메시지를 CABS1에 응답한다(S511). 또한, 호 제어 서버는, CABS2의 IP 어드레스 앞으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착신 동작을 시작한다(S512).
CABS1은 100 Trying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 요구가 접수된 것을 인식하고, 발신 요구가 접수된 것을 CALL PROCEEDING 메시지로 단말기 UE-a에 통지한다(S513).
그리고, CABS1과 단말기 UE-a 사이의 무선 베어러의 확립 수순이 실행된다. 즉, CABS1은, RADIO BEARER SETUP 메시지를 보낸다(S514). 단말기 UE-a는 RADIO BEARER SETUP 메시지에 대한 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를 되돌려 보낸다(S515). 이에 의해, 단말기 UE-a와 CABS1 사이의 무선 베어러가 확립한다. 이 때, CABS1 내에서는, 이 무선 베어러의 접속처가 CABS1 내의 Tone(톤) 생성부에 설정된다(S516).
한편, CABS2에서는, INVITE 메시지(S512)가 수신되면, 호 제어 서버에 100 Trying 메시지를 회신한다(S517). 또한, CABS2는, INVITE 메시지 내의 착신처 전화 번호(UE-b의 전화 번호)를 착신 요구인 Paging Type 메시지에 실어서 송신한다(S518).
단말기 UE-b는, Paging Type 1 메시지를 수취하면, CABS2와의 사이에서 호의 전처리를 시작한다(S519). 이 전처리는,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에서 행해진 전처리(S506)와 동일한 처리이다.
전처리가 종료하면, 발신원 정보(단말기 UE-a의 정보: INVITE(S512)에 포함되어 있음)가 포함된 SETUP 메시지가 CABS2로부터 단말기 UE-b에 송신된다(S520).
단말기 UE-b는, SETUP 메시지에, CALL CONFIRM 메시지로 응답한다(S521). 그 후,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기 위해서, RADIO BEARER SETUP 메시지가 CABS2로부터 단말기 UE-b에 보내지고(S522), 단말기 UE-b가 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로 응답한다(S523). 이에 의해, CABS2와 단말기 UE-b의 사이에 무선 베어러가 확립된다.
단말기 UE-b는,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면 ALERTING 메시지를 CABS2에 보낸다(S524). 이와 동시에, 단말기 UE-b는, 단말기의 착신음을 울려(S525), 착신이 있음을 단말기 UE-b 유저에게 알린다.
ALERTING 메시지는, CABS2에서 SIP의 호 메시지에 상당하는 180 Ringing 메시지로 변환되어(S526), 호 제어 서버에 송신된다(S527). 180 Ringing 메시지는, 호 제어 서버를 경유하여 CABS1에 보내진다(S528).
CABS1은, 180 Ringing 메시지를 ALERTING 메시지로 복귀시켜(S529), 단말기 UE-a에 보낸다(S530). 이 때, CABS1은, CABS1 내의 Tone 생성부로부터 호출음(Ring Back Tone: RBT)을 단말기 UE-a의 무선 베어러에 보낸다(S531). 이것으로서 UE-a의 스피커로부터는 RBT가 들린다.
단말기 UE-b가 오프 훅에 의해 호출에 응답하면, CONNECT 메시지가 CABS2에 송신된다(S532). CABS2는, CONNECT 메시지를 SIP의 응답 메시지인 200 OK 메시지로 변환하여(S533), 호 제어 서버에 보낸다(S534). 호 제어 서버는, CABS2로부터의 200 OK 메시지를 CABS1에 전송한다(S535).
CABS1은, 200 OK 메시지를 CONNECT 메시지로 복귀시켜(S536), 단말기 UE-a에 보낸다(S537). 이와 동시에, CABS1은, 단말기 UE-a와의 무선 베어러를 본래의 CABS2측에 접속한다(S538). 이에 의해, 단말기 UE-a는, 발신에 대한 응답을 인식할 수 있어, 무선 베어러를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단말기 UE-a는, CONNECT 메시지에 대한 CONNECT ACK 메시지를 CABS1에 송신한다(S539). CABS1은, CONNECT ACK 메시지를 SIP에 기초한 ACK 메시지로 변환하여(S540), 호 제어 서버에 보낸다(S541).
호 제어 서버는, ACK 메시지를 CABS2에 전송한다(S542). CABS2는, ACK 메시지를 CONNECT ACK 메시지로 변환하여(S543), 단말기 UE-b에 송신한다(S544). 이에 의해, 단말기 UE-b는,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200 OK 메시지가 CABS1에 도착한 시점에서, CABS1과 CABS2의 사이에 실질적인 베어러가 확보된 것으로 인식되어,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 및 CABS2와 단말기 UE-b의 사이에서는, 무선 베어러에 의한 음성 데이터 통신로가 형성되고, CABS1과 CABS2의 사이에는, VoIP에 의한 패스(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로)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의 사이에서, 쌍방향의 음성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통신 중인 상태로부터의 절단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15에서, 단말기 UE-a의 유저가 온 훅(절단 동작)를 행하면, DISCONNECT 메시지가 단말기 UE-a로부터 CABS1에 보내진다(S601).
CABS1은, DISCONNECT 메시지를 SIP 프로토콜의 BYE 메시지로 변환하여(S602), 호 제어 서버(CA Server)에 보낸다(S6O3). BYE 메시지는, 호 제어 서버를 경유하여 CABS2에 보내진다(S604).
또한, CABS1은, 단말기 UE-a에 대하여 RELEASE 메시지를 보내고(S605), 단말기 UE-a가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CABS1에 반송한다(S6O6). 이에 의해, 절단 처리가 합의되었음이 인식된다.
BYE 메시지를 수신한 CABS2는, BYE 메시지를 DISCONNECT 메시지로 변환하여(S607), 단말기 UE-b에 보낸다(S608). 단말기 UE-b는 RELEASE 메시지로 응답한다(S609).
이렇게 하면, CABS2는, 호 제어 서버 경유로 절단에의 응답(BYE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인 200 OK 메시지를 CABS1에 보낸다(S610, S611).
200 OK 메시지를 CABS1이 수취함으로써, CABS1과 CABS2 사이의 절단이 완료 된다. 한편, CABS2는, 단말기 UE-b에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보내어 절단 합의를 통지한다(S612).
절단이 합의된 상태로 된 CABS1은, 단말기 UE-a와의 무선 제어 링크를 절단하기 위해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보내어 무선 제어 링크의 절단을 요구한다(S613).
단말기 UE-a는,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에 대한 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 메시지에 의해 응답하고, 양자간의 무선 제어 링크를 해방한다(S614).
마찬가지로 CABS2와 단말기 UE-b의 사이에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와 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 메시지의 송수신이 행해지고(S615, S616), 양자간의 무선 제어 링크가 해방된다.
도 14 및 도 15의 설명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CABS1-호 제어 서버-CABS2 사이에서의 시퀀스는, SIP 프로토콜에 의한 발신/착신/절단 제어와 하등 변함이 없다(단,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는 일부 추가되어 있으며, 호 제어 서버가 추가 파라미터를 참조하는 처리가 추가되어 있음).
또한, 각 단말기 UE-a 및 UE-b로부터 본 발신/착신/절단 시퀀스는, 현 상황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발신/착신/절단 동작과 변함이 없다.
호 제어 서버의 개변은, 전술한 등록 수순에 의해 CABS로부터의 등록해야 할 정보를 접수하여 소정 위치에 등록하는 처리, 및 호 제어 서버가 CABS로부터의 INVITE에 포함된 착신처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참조하여, 이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상대처의 CABS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메시지를 소정의 수신처에 송신하는 처리를 추가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처리는, 호 제어 서버에 탑재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개변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특별한 하드웨어를 탑재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1 양태에서의 제2 케이스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신처의 단말기 UE-b가, CABS2가 아니라 BTS2의 관리 하에 소재하는 경우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즉, CABS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고, 또한 호 제어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의 시퀀스이다.
도 16의 시퀀스에서는, 호 제어 서버(CA Server)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한 등록 수순(S501∼S504, S505)에 의해, 미리 CABS1/2와 그 관리 하의 단말기 UE-a/b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기 UE-a가 발신을 요구하기 위해서 전처리를 시작하고(S5O6), SETUP 메시지를 송신하고(S507), SETUP 메시지가 CABS1에서 INVITE 메시지로 변환되어(S508), 호 제어 서버에 송신되고(S509), CABS2에 보내지기(S512)까지의 수순은, 도 14와 동일하다.
CABS2는, 착신 요구로서 Paging Type 1 메시지를 관리 하(CABS2의 통신 범위)에 송신한다(S518). 그러나, 메시지에 응답해야 할 단말기 UE-b가 존재하지 않 는다. 이 때문에, CABS2는, 단말기 UE-b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Paging Response"를 수신할 수 없다.
CABS2는, Paging Type 1 메시지를 송신하면, "Paging Response"의 수신을 접수하는 타이머를 설정한다(S701). 이 경우,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된다. CABS2는, 타임아웃을 검출하면, 단말기 UE-b가 관리 하에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한다.
이 경우, CABS2는, 타임아웃을 SIP에 기초한 메시지 "408 Request Timeout"으로 호 제어 서버에 통지한다(S7O2). 호 제어 서버는, "408 Request Timeout"을 그대로 CABS1에 보낸다(S703).
CABS1은, "408 Request Timeout"을 수신하면, 단말기 UE-b와의 통신은 CABS2를 통하여 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CABS1은, 원래 CABS1이 소속된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하여 발신 수속을 시작한다. 이 수속은 RNS1/MSC1측(도 6)으로부터 보아, 단말기가 보통으로 발신 동작하여 오도록 보여야 한다.
이 때문에, CABS1은, 단말기 동작 기능을 가지며, 이것을 사용하여, 단말기 UE-a가 앞서 행한 전처리 등의 발신 동작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UE-a의 대행 발신 동작을 행한다.
즉, CABS1은, S506의 전처리의 실행에 의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RNS1과의 사이에서 호의 전처리를 행하고(S704), MSC1에 대하여 발호 요구인 "SETUP"을 송신한다(S705).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는, 통상의 발호가 있었던 것과 동일한 동작을 행하여, BTS2의 관리 하에 위치하는 단말기 UE-b에 Paging Type 1 메시지를 착 신시킨다(S706∼S708). 단말기 UE-b는, Paging Type 1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S706에서, "SETUP"은, MSC간 통신에 적용되는 B-ISUP(Broad-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User Part) 메시지의 하나인 IAM(어드레스(Initial Address)) 메시지로 MSC1로부터 MSC2에 전송된다.
이후의 수순(S709∼S719)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통상의 발착신 시퀀스와 완전 동일한 시퀀스이다. 이에 의해, CABS1과 MSC1의 사이에 음성 데이터 통신용의 베어러가 확립되고(S712), 또한 MSC1과 단말기 UE-b의 사이에 음성 데이터 통신용의 베어러가 확립된다(S719).
또한, MSC2는, IAM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확인 메시지인 IAA(어드레스 확인(IAM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MSC1에 송신한다(S710). 또한, MSC2는, MSC1에 대하여, ACM(어드레스 완료(Address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S711).
그 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UE-b로부터 호출 중을 나타내는 ALERTING 메시지가 송신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기 UE-a에 전달된다(S720∼S724).
또한, 단말기 UE-b의 유저가 오프 훅 동작을 행하는 것을 계기로, 단말기 UE-b로부터 단말기 UE-b의 착신 응답을 나타내는 CONNECT 메시지가 송신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기 UE-a에 전달된다(S725∼S729).
그리고, CONNECT 메시지를 수신한 MSC2가 응답 메시지 "CONNECT ACK"를 단말기 UE-b에 통지하고, 또한 단말기 UE-a가 "CONNECT ACK"를 MSC1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의 사이가 음성 통신 중인 상태로 된다(S734).
단, S720∼S724의 시퀀스에서, CABS1은 RNS1/MSC1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ALERTING 및 CONNECT의 메시지를, CABS1 자신이 단말기로서 동작했을 때에(S704의 전처리에서) 정한 암호로 일단 복호한다. 그리고, CABS1은, 단말기 UE-a가 발신 동작을 행했을 때에 CABS1이 RNS1/MSC1을 대행하여 행한 전처리(S506)에서 정한 암호로, ALERTING 및 CONNECT의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단말기 UE-a측에 송신한다(S723, S728).
반대로, CABS1은, 단말기 UE-a로부터의 CONNECT ACK 메시지에 대하여, 단말기 UE-a와의 전처리(S506)에서 결정한 암호에 의해 복호하고, CABS1이 단말기로서 행한 전처리(S704)에서 결정한 암호에 의해 암호화한다(S732).
그 후, 단말기 UE-a측으로부터 통신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절단 수순과 마찬가지의 수순이 단말기 UE-a측 및 단말기 UE-b측에서 행해진다(S735∼S755).
구체적인 수순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 UE-a의 유저가 절단 조작(온 훅)을 행하면, 단말기 UE-a로부터 DISCONNECT 메시지가 송신된다(S735). CABS1은, DISCONNECT 메시지에 대한 복호 및 재암호화를 행한(S736) 후, RNS1을 통하여 MSC1에 송신한다(S737).
MSC1은, DISCONNECT 메시지에 대한 RELEASE 메시지를 단말기 UE-a를 향하여 송신한다(S738). RELEASE 메시지는, CABS1에서 복호 및 재암호화되고(S739), 그 후, 단말기 UE-a에 송신된다(S740).
단말기 UE-a는, RELEASE 메시지에 대한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 다(S741). CABS1은,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복호 및 재암호화하여(S742), MSC1에 보낸다(S743). 이와 같이 해서, 단말기 UE-a-MSC1 사이의 베어러가 해방된다.
MSC1은, 단말기 UE-a(CABS1)로부터의 RELEASE 메시지를 수취하면, DISC(절단) 메시지를 MSC2에 보낸다(S744). MSC2는, DISC 메시지에 대한 REL(해방) 메시지를 MSC1에 되돌려 보낸다(S745). 그렇게 하면, MSC1은, RLC(해방 완료) 메시지를 MSC2에 송신한다(S746). 이와 같이 해서 MSC1과 MSC2 사이의 베어러가 해방된다.
MSC1은, 단말기 UE-a와 RNS1 사이의 무선 제어 링크의 해방을 지시하기 위한 IU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RNS1에 보낸다(S747). 이렇게 하면, RNS1과 단말기 UE-a의 사이에서 무선 제어 링크의 해방 처리가 행해진다(S748). 해방 처리가 종료되면, RNS1로부터 MSC1에 해방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IU RELEASE COMPLETE 메시지가 통지된다(S749).
그런데, MSC2는, MSC1로부터의 DISC 메시지에 따라서, DISCONNECT 메시지를 단말기 UE-b에 보낸다(S75O). 단말기 UE-b는, DISCONNECT 메시지에 대한 RELEASE 메시지를 MSC2에 보낸다(S751). MSC2는, RELEASE 메시지에 대한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단말기 UE-b에 보낸다(S752). 이에 의해, 단말기 UE-b와 MSC2 사이의 베어러가 해방된다.
MSC2는, 단말기 UE-b와 RNS2 사이의 무선 제어 링크의 해방을 지시하기 위한 IU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RNS2에 보낸다(S753). 그렇게 하면, RNS2와 단말기 UE-b의 사이에서 무선 제어 링크의 해방 처리가 행해진다(S754). 해방 처리가 종료되면, RNS2로부터 MSC2에 해방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IU RELEASE COMPLETE 메시지가 통지된다(S755).
이상의 동작에서, CABS1은, 단말기 UE-a와의 교환에서는, 단말기 RNS1/MSC1의 동작으로 보이도록 동작하고, RNS1/MSC1측과의 교환에서는, 단말기 UE-a의 동작으로 보이도록 동작한다.
이 때문에, CABS1은, 호 접속 시퀀스에서의 메시지, 통신 중인 음성 데이터, 절단 시퀀스에 관한 메시지에 대하여, 부호화 및 재암호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S723, S728, S732, S734A, S736, S739, S742).
그러나, 시퀀스 자체는, 종래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교환과 변함이 없다. 이러한 CABS1을 이용하면, 단말기나 휴대 전화 네트워크 자체에 하등 변경을 가하지 않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2 양태에서의 제3 케이스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호 제어 서버(CA Server)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시퀀스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도 14)를 비교하면, 제1 실시예의 시퀀스와의 상위점은, SIP 메시지를 CABS1과 CABS2의 사이에서 직접 교환하는 점뿐이다(도 18, S509A, S517A, S527A, S534A, S541A, S603A, S610A를 참조). 이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18에 도시하는 시퀀스를 실현하기 위해서, CABS1 및 CABS2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상대측의 IP 어드레스나 단말기의 식별 정보(전화 번호) 등의 상대처 정보가 서로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CABS1이 착신처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도록(S508)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2 양태에서의 제4 케이스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서, 착신처 단말기(단말기 UE-b)가, CABS2의 관리 하에 소재하지 않는 경우(도 10참조)에서의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시퀀스와, 제2 실시예의 시퀀스(도 16)를 대비하면, 두 개의 시퀀스의 차분은, SIP 메시지가 CABS1과 CABS2의 사이에서 직접 교환되고 있는 점뿐이다(도 19, S509A, S517A, S702A 참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BS1이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S704 이후의 시퀀스가 실행된다. 해당 시퀀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3 양태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의 호 제어 서버나 제2 실시예에서의 CABS에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이다.
도 2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호 제어 서버가 이용되는 경우에서, 호 제어 서버에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O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S5O6)부터 INVITE 메시지의 송신(S509)까지의 처리는, 제1 및 제2 실시예(도 14, 16)와 마찬가지이다.
호 제어 서버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INVITE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대처 정보의 체크를 행한다(S510). 단, 여기에서는, 상대처 정보로서, 착신처 단말기인 단말기 UE-b에 대응하는 CABS2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호 제어 서버는, 등록표로부터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를 판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호 제어 서버는, 상대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404 Not Found 메시지를 CABS1에 송신한다(S511A).
그러면, CABS1은, 발신 단말기로서 행동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호 접속 시퀀스(시그널링)를 시작한다. 이 시퀀스는, 도 16에 도시한 S704∼S719의 수순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단, 도 20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는, 발신 단말기인 단말기 UE-a에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회신할 기회가 없다(100 Trying 메시지를 CABS1이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이 때문에, CABS1은, CABS1 자신에 대하여 송신된 CALL PROCEEDING 메시지(S709)를 MSC1로부터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단말기 UE-a로부터의 SETUP(S5O7)에 대한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생성하고(S709A), 단말기 UE-a에 송신한다(S709B). 그 후, 단말기 UE-a와 MSC1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 확립 수순이 실행된다(S712A). 이들의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1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호 제어 서버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서, 발신측의 CABS에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1에서, 전처리(S5O6) 및 SETUP 송신(S507)은, 제3 및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CABS1은, SETUP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S508A). 이 때, 상대처 정보로서, 착신처 단말기인 단말기 UE-b에 대응하는 CABS2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CABS1은, 발신 단말기로서 행동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호 접속 시퀀스(시그널링)를 시작한다. S508A 이후의 처리는, 도 20에 도시한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로서, CABS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CABS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구성을 갖는 CABS는, 전술한 제1∼제5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도 22에서, CABS는, 송신 안테나(11)가 접속된 송신부(Tx)(12)와 수신 안테나(13)가 접속된 수신부(Rx)(14)로 이루어지는 무선 처리부(RF)(15)와, 제어 채널(Cch) 및 유저 채널(Uch)에 대한 다중/분리부(Cch/Uch-Mux/Dmux)(16)와, 취입/삽입부(Drop/Insert)(17)와, IP 다중/분리부(IPMux/Dmux)(18)와, 제어부(controller: CNT(IMT/SIP Converter))(19)(제어 수단에 상당)와, 단말기측 에뮬레이터(Terminal Side Emulator)(2O)와,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Network Side Emulator)(21)(대행 수단에 상당)와, 단말기측의 암호화 처리부(Cipher Decipher)(22)(제1 암호 처리부에 상당)와, 네트워크측의 암호화 처리부(23)(제2 암호 처리부에 상당)와, 베어러 셀렉터(Bsel)(24)와, 톤 생성부(Tone Generator)(25)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UE)로부터의 무선 신호는, RF(15)에서 수신되어, 다중/분리부(16)에서 제어 채널과 유저 채널로 나뉜다. 이들 신호는, 취입/삽입부(17)에서, IP 네트워크측의 통신 상대에 의해, CNT부(19),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 중 어디로 인도(드롭(Drop))할지가 결정된다.
즉,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이한 CABS와의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신호는 CNT부(19)에 보내진다. 이 때, 휴대 전화(예를 들면 IMT-2000)용의 프로토콜을 IP 전화용 프로토콜(예를 들면 SIP)로 변환하는 기능(IMT/SIP 컨버터: 프로토콜 변환부)이 작용하여, 상대처의 CABS 또는 호 제어 서버와 통신한다. IP 전화용 프로토콜은, CNT부(19)에서 종단된다.
상이한 CABS와 통신할 수 없어,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단말기가 CABS 자신을 네트워크측으로 인식하고, 네트워크측이 CABS를 단말기로 인식하도록 동작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부(21)와 단말기측 에뮬레이터부(20)가 CABS(10)에 탑재되고, 이들로 단말기로서의 기능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을 에뮬레이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부(21)는, RNS/MSC 대신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전처리를 위한 교환을 행하는 기능이나, RNS/MSC 대신에 단말기에 송신해야 할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메시지를 생 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는, CABS1이 발신 단말기로서 행동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는, CABS1이 발신 단말기로서 RNS/MSC와의 사이에서 전처리를 행하거나, 호 접속을 위한 메시지의 교환을 행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상의 블록에서 변환된 제어 신호는 취입/삽입부(17)에서 삽입된 후, IP 다중/분리부(18)에서 IP 다중(IP 패킷화를 포함함)되어 필요한 상대(CABS, 호 제어 서버, RNS 중 어느 하나)에 보내진다. 네트워크측으로부터의 신호는 이 역 루트에 의해 무선 처리부(15)에 보내져, 단말기에 송신된다.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퀀스에서, 단말기 UE-a로부터의 "SETUP"(S507)는, 수신 안테나(13), 수신부(14), 다중/분리부(16)를 거쳐서 취입/삽입부(17)에 입력되고, CNT부(19)에서 저장된다. 그렇게 하면, CNT부(19)는, "SETUP"을 "INVITE"로 변환하여, 취입/삽입부(17)에 전달한다. "INVITE"는, IP 다중/분리부(18)로부터 호 제어 서버에 송신된다. 단말기 UE-a로부터의 "CONNECT ACK"(S53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호 제어 서버로부터의 "100 Trying"(S511)은, IP 다중/분리부(18)를 통하여 취입/삽입부(17)에 입력된다. 취입/삽입부(17)는, "100 Trying"을 CNT부(19)에 전달한다. CNT부(19)는, "100 Trying"을 단말기 UE-a에서 인식 가능한 "CALL PROCEEDING"으로 변환하고, 취입/삽입부(17)에 전달한다. "CALL PROCEEDING"은, 다중/분리부(16), 송신부(12), 송신 안테나(11)를 거쳐서 단말기 UE-a에 송신된다. 호 제어 서버로부터의 "180 Ringing"(S528)이나 "200 OK"(S5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 호 제어 서버로부터의 "408 Request Timeout"(S703)은, IP 다중/분리부(18)를 거쳐서 취입/삽입부(17)에 입력된다. "408 Request Timeout"은, CNT부(19)에 전달된다. CNT부(19)는, "408 Request Timeout"을 프로토콜 변환한 후,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에 전달한다.
그렇게 하면,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는,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에서 행해진 전처리(S506)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에 전달한다.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는,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RNS1/MSC1과의 사이에서 전처리(S7O4)에 관한 메시지의 교환, "SETUP"의 송신(S7O5), 무선 베어러의 확립 수순(S712)을 행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 MSC1로부터의 "ALERTING"(S722)은, 취입/삽입부(17)로부터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에 드롭된다.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는, "ALERTING"을 전처리(S704)에서 결정한 암호화 키에 의해 복호하여,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에 전달한다.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는, "ALERTING"을 전처리(S506)에서 결정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취입/삽입부(17)에 전달한다(S723의 복호/재암호화 처리).
"ALERTING"은, 취입/삽입부(17), 다중/분리부(16), 송신부(12), 송신 안테나를 거쳐서 단말기 UE-a에 송신된다. MSC1로부터의 "CONNECT"(S727), "RELEASE"(S738)에 대해서도 "ALERTING"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 단말기 UE-a로부터의 "CONNECT ACK"(S731)는, 취입/삽입부(17)로부터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에 드롭된다.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는, "CONNECT ACK"를 전처리(S506)에서 결정한 암호화 키에 의해 복호하여,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에 전달한다.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는, "CONNECT ACK"를 전처리(S704)에서 결정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취입/삽입부(17)에 전달한다(S732의 복호/재암호화 처리). "CONNECT ACK"는, IP 다중/분리부(19)를 거쳐서 MSC1에 송신된다(S733). 단말기 UE-a로부터의 "DISCONNECT"(S727), "RELEASE COMPLETE"(S743)에 대해서도 "CONNECT ACK"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전술한 CABS(10) 내에서의 동작은, 도 18∼도 21에서의 동작에서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단,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할지의 여부에 의해, CABS1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처가 호 제어 서버와 상이한 CABS의 사이에서 변경된다.
도 22에서, 유저 채널도 또한, 네트워크측의 통신 상대가 호 제어 서버 또는 상이한 CABS인지, RNS/MSC인지에 의해 2개의 루트로 분리된다. 즉, RNS측으로의 유저 채널과, CABS/호 제어 서버측으로의 유저 채널로 분리된다.
통신 상대가 CABS인 경우에는, 단말기로부터의 암호를 풀기만 하여도 되며, 암호 처리부(22)만을 지나는 루트(제1 루트)로 유저 데이터가 CABS(10) 내를 전송된다.
즉, 수신부(14)에서 유저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유저 데이터는 다중/분리부(16)를 거쳐서 암호 처리부(22)에 입력된다. 암호 처리부(22)는, 네트워크측 에 뮬레이터(21)로부터 얻어지는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복호하여, 베어러 셀렉터(24)에 출력한다. 이 때, 베어러 셀렉터는, CNT부(19)의 제어에 의해, 암호화 처리부(22)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를 직접 IP 다중/분리부(18)에 전달한다. 그리고, IP/다중 분리부(18)로부터 CABS에의 유저 채널에 유저 데이터가 송출된다.
이에 대하여, 통신 상대가 RNS인 경우에는, 단말기로부터의 유저 데이터에 실시된 암호를 푼 후, RNS측의 암호에 의해 암호화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유저 데이터는 CABS 내에서, 암호 처리부(22 및 23)를 지나는 제2 루트를 통과한다. 이러한, 유저 데이터가 암호화 처리부를 통과하는 횟수는, CNT부(19)에서 판단되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베어러 셀렉터(24)가 제어된다.
즉, 수신부(14)에서 유저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유저 데이터는 다중/분리부(16)를 거쳐서 암호 처리부(22)에 입력된다. 암호 처리부(22)는,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로부터 얻어지는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복호하여, 베어러 셀렉터(24)에 출력한다. 이 때, 베어러 셀렉터는, CNT부(19)의 제어에 의해, 암호화 처리부(22)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부(23)에 전달한다. 암호화 처리부(23)는,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로부터의 암호화 키에 의해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IP 다중/분리부(18)에 전달한다. 그리고, IP/다중 분리부(18)로부터 RNS에의 유저 채널에 데이터가 송출된다.
CABS나 RNS로부터 수신되는 유저 데이터(역 루트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유저 데이터의 복호/암호화나 베어러 셀렉터(24)의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베어러 셀렉터(24)는, 절환부로서 기능하고, CNT부(19)는, 절환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IP 네트워크 통신 시나, 발호 절환 시에는, 발신 단말기의 유저에게 이들을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들을 톤(혹은 메시지)으로 들려주기 위한 톤 생성부(25)가 CABS(10)에 설치되어 있고, CNT(19)로부터의 지시로 절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CNT부(19)는, 도 14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 "ALERTING"을 단말기 UE-a에 송신하면(S530), 톤 생성부(25)에 RBT의 출력 지시를 내린다. 톤 생성부(25)는, RBT를 생성하고, 베어러 셀렉터(24)에 출력한다. 또한, CNT부(19)는, 베어러 셀렉터(24)에 대하여, RBT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RBT가 베어러 셀렉터(24)를 통하여 암호화 처리부(22)에 입력되어, 암호화된다. 그리고, RBT는 송신부(12)를 거쳐서 단말기 UE-a에 송신된다(S531).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 단말기 UE-a에 "CONNECT"를 송신하면, CNT부(19)는, 톤 생성부(25)에 RBT의 생성을 정지하는 지시를 부여함과 함께, 베어러 셀렉터(24)에 대하여, IP 다중/분리부에서의 유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상대처 단말기(단말기 UE-b)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를 단말기 UE-a에 전송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톤 생성부(25)는, 호출음 생성부로서 기능하고, CNT부(19)는, 호출음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 CABS1이 "408 Request Timeout"을 수신한 경우에는, 발호처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RNS)로 절환된다. 이 경우, 발신 단말기의 유저의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톤 생성부(25)가 발호처가 절환되었음을 나타내는 특별한 톤을 생성함과 함께, 이 특별한 톤을 발신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이미 확립된 유저 채널에 접속하고, 유저에게 발호처가 절환되었음이 통지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특별한 톤의 접속 처리는, CNT부(19)에 의한 베어러 셀렉터(24)의 제어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톤 생성부(25)는, 통지음 생성부로서 기능하고, CNT부(19)는, 통지음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른 CABS는, 기본적인 CABS의 구성에 도 22의 굵은 테 및 굵은 글씨로 나타내어진 기능이 더 탑재된 장치로서, 이들 기능을 구비한 CABS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각 기능은, 전용의 하드웨어 칩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혹은, 소정의 프로그램이 프로세서(CPU 등)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7 실시예>
마지막으로, 실시예에 따른 호 제어 서버 및 CABS에 의한 착신처의 산출 기능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1, 제2 및 제5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호 제어 장치(호 제어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에서, 호 제어 장치(30)는, CABS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31)(수신부에 상당)와, 메시지 수신부(31)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는 메시지 해석부(32)와, 메시지 해석부(32)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메시지의 전송처나 응답 메시지의 송신처를 검색하는 상대처 검색 부(33)(검색부, 판단부, 결정부에 상당)와, 해석 결과에 따라서 메시지의 편집이나 응답 메시지의 작성을 행하는 메시지 생성부(34)와, 메시지 생성부(34)로부터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35)(송신부에 상당)와, 상대처 검색부(33)에 의해 참조·검색되는 등록표(36A)를 기억한 등록표 기억부(36)(기억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메시지 수신부(31)는, CABS로부터의 제어 채널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메시지(예를 들면 SIP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 해석부(32)는, 메시지 수신부(31)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해석하고, 메시지와 해석 결과를 메시지 생성부(34)에 전달한다.
상대처 검색부(33)는, 메시지 해석부(32)로부터, 등록표(36A)를 참조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수취하고, 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엔트리를 등록표(36A)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엔트리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메시지 생성부(34)에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34)는, 메시지의 해석 결과와, 상대처 검색부(33)의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편집이나, 응답 메시지의 작성을 행하고, 메시지 송신부(35)에 전달한다.
메시지 송신부(35)는, 메시지 생성부(34)로부터 수취한 메시지를, CABS에의 제어 채널에 송출한다.
등록표(36A)에는, 호 제어 장치(10)가 설치된 ISP 네트워크에 접속된 CABS에 관한 상대처 정보의 엔트리가 등록된다. 각 엔트리에는, CABS의 IP 어드레스 와, 그 CABS를 이용 가능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서의 단말기 전화 번호와, 그 밖의 필요한 정보(기존의 등록표에 등록되는 정보 등)가 등록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CABS1의 IP 어드레스와, CABS1을 이용 가능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서의 단말기 UE-a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의 엔트리와, CABS2의 IP 어드레스와, CABS2를 이용 가능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서의 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대처의 엔트리가 도시되어 있다.
호 제어 장치(30)의 구체적인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4의 시퀀스에서, CABS1로부터 송신되는 "INVITE"(단말기 UE-a로부터의 발신 요구: S5O9)는, 메시지 수신부(31)에서 수신된다. 이렇게 하면, S510의 처리로서, 다음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즉, 메시지 해석부(32)는, "INVITE"의 송신원 IP 어드레스와, "INVITE"에 포함되는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및 착신처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검색 파라미터로서 추출하여, 상대처 검색부(33)에 부여한다.
상대처 검색부(33)는, 가장 먼저, 송신원 IP 어드레스 및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엔트리를 등록표로부터 검색한다. 이 때, 등록표(36)로부터, 대응하는 엔트리로서 엔트리 번호 1의 엔트리(CABS1의 IP 어드레스 및 단말기 UE-a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엔트리)가 검색된다. 이에 의해, 상대처 검색부(33)는, 발신측의 CABS +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대처 검색부(33)는, 착신처 단말기(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를 키로 하여, 대응하는 엔트리를 등록표(36)로부터 검색한다. 이 때, 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CABS2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엔트리 번호 2의 엔트리가 검색된다.
이렇게 하면, 상대처 검색부(33)는, 발신측 및 착신측의 쌍방이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CABS간 직접 접속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검색된 CABS2의 IP 어드레스를 "INVITE"의 수신처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이 착신처의 IP 어드레스(CABS2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결정 결과는, 상대처 검색부(33)로부터 메시지 생성부(34)에 공급된다.
메시지 생성부(34)는, 메시지 해석부(32)로부터 "INVITE"을 수취함과 함께, 상대처 검색부(33)로부터 CABS2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결정 결과를 수취한다. 이렇게 하면, 메시지 생성부(34)는, "INVITE"의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호 제어 장치(30)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함과 함께, 수신처 어드레스에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메시지 송신부(35)에 부여한다. 메시지 송신부(35)는, CABS2를 향하여 "INVITE"을 송신한다(도 14, S512).
이에 대하여, 상대처 검색부(33)가, "INVITE"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엔트리(여기에서는, 엔트리 번호 2의 엔트리)가 등록표(36)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처 검색부(33)는, 대응하는 엔트리를 검색할 수 없다. 이 경우, 상대처 검색부(33)는, 착신처가 미등록(즉, CABS간 직접 접속을 실시할 수 없음)이라고 판정한다(도 20, S510 참조).
이 경우에는, 상대처 검색부(33)는, 착신처가 미등록이라는 결정 결과를 메 시지 생성부(34)에 전달한다. 이렇게 하면, 메시지 생성부(34)는, 메시지 해석부(32)로부터의 "INVITE"에 대한 "404 Not Found" 메시지를 생성하고, 메시지 송신부(35)에 전달한다. 이 때, 메시지의 수신처 IP 어드레스는, "INVITE"의 송신원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CABS1에 설정된다. 메시지 송신부(35)는, "404 Not Found" 메시지를 CABS1에 송신한다(도 20, S511A).
도 24는, CABS 내에 설치되는 발신 요구의 상대처의 산출 기능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서의 구성(상대처의 산출부(40))은, 도 22에 도시하는 CNT부(19)(제어 수단에 상당)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에서, 상대처의 산출부(40)는, 메시지 수신부(41)(수신부에 상당), 메시지 해석부(42), 상대처 검색부(43)(검색부, 판단부, 결정부에 상당), 메시지 생성부(44), 메시지 송신부(45)(송신부에 상당), 및 등록표(46A)를 기억한 등록표 기억부(46)(기억부에 상당)로 구성할 수 있다. 각 부의 일반적인 기능은, 도 23에 도시한 각 부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산출부(40)의 구체적인 동작예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UE-a로부터의 "SETUP"이 CNT부(19)(도 22)에 입력되면, "SETUP"은 메시지 수신부(41)를 거쳐서 메시지 해석부(42)에 입력된다.
메시지 해석부(42)는, "SETUP"으로부터 착신처 단말기의 식별 정보(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여, 상대처 검색부(43)에 부여한다. 상대처 검색부(43)는, 등록표(46)로부터 대응하는 엔트리를 검색한다. 여기에서는, 대응하는 엔트리로서 CABS2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엔트리 번호 1의 엔트리가 검색된다 (여기에서는, 도 24에서, 엔트리 번호 1의 엔트리만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함). 이에 의해, 상대처 검색부(43)는, "SETUP"의 수신처를 CABS2에 결정하고, 이 결정 결과를 메시지 생성부(34)에 부여한다.
메시지 생성부(44)는, 메시지 해석부(42)로부터 "SETUP"을 수취하면, IMT/SIP 컨버터(도 22)를 이용하여 "SETUP"을 "INVITE"로 변환하고, "INVITE"의 수신처 IP 어드레스에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메시지 송신부(45)에 전달한다. 메시지 송신부(45)는, 취입/삽입부(17)(도 22)에 "INVITE"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INVITE"가 CABS1로부터 CABS2에 송신된다(도 18, S509A).
그런데, 상대처 검색부(43)가, 착신처 단말기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여기에서는, 엔트리 번호 1의 엔트리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요구의 상대처가 미등록(CABS 사이의 직접 접속은 불가능)이라고 판단하여, 발신 요구의 착신처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 결정하여(도 21, S508A), 그 결정 결과를 메시지 생성부(44)에 전한다.
이렇게 하면, 메시지 생성부(44)는,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도 22)에,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에 의한 발신을 시작할 것을 지시하는 발신 개시 지시(CABS 내의 내부 메시지임)를 생성하고, 메시지 송신부(45)에 전달한다. 메시지 송신부(45)는, 발신 개시 지시를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측 에뮬레이터(21)로부터 전처리에 관한 정보가 단말기측 에뮬레이터(20)에 전달되고, 단말기측 에뮬레이터가 도 21의 S704 이후의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등록표(46)의 엔트리 번호 2의 엔트리는, 단말기 UE-b가 CABS2와 CABS3(도시하지 않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단말기와 CABS의 관계가 1:N(N은 자연수)인 경우)를 상정한 엔트리이다.
이 경우에는, CABS2 및 CABS3의 각각의 앞으로 보낸 "INVITE"가 CABS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이러한 엔트리를 호 제어 장치(30)의 등록표(36)에 등록하고, 호 제어 장치(30)로부터의 "INVITE"가 CABS2 및 CABS3에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2 및 도 24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CABS가 IMT/SIP 컨버터를 갖고,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CABS 사이에서 메시지가 직접 교환되는 경우에는, 프로토콜 변환을 행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IMT/SIP 컨버터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의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사이에서 동일한 ISP(IP) 네트워크에 접속된 두 개의 CABS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두 개의 CABS 사이가 직접 접속된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고, 이 데이터 전송로를 이용하여 단말기 사이의 유저 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SP 네트워크의 트래픽량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발신측의 CABS에서, 가장 먼저, 휴대 전화 네트워크측(RNS)이 아니라, 호 제어 서버 또는 착신측의 CABS에 발신 요구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제어용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ISP망에 설치된 IP 전화용의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CABS 사이의 직접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는, 각 CABS에 프로토콜 변환부가 설치되고, 호 제어 서버가 각 CABS를 IP 전화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호 제어 서버에 대한 개변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에 요하는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1SP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변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즈음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한 개변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호 제어 서버를 이용할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착신측의 CABS의 관리 하에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착신측의 상대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측의 CABS가 단말기로서 기능하고, 착신처 단말기와의 접속 처리를 행하고, 이 접속 처리에 의해 확립한 베어러를, 발신측 CABS와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확립된 베어러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발신 단말기가 행한 발신 동작(전처리를 포함함)을 헛되게 하지 않고,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의 접속을 보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한 개변은 불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도입 코스트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동일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수용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IP 네트워크에 설치되는 호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호 제어 장치는,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IP 네트워크에 수용된, 상기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대처(相手先)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상기 복수의 무선 기지국의 하나로부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발행하여 송신한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판독된 경우에, 이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기지국을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 하여, 이 IP 어드레스 앞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사이에서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각각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각각과 휴대 전화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과,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각각과 상기 호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IP 전화용 프로토콜 사이에서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프로토콜 변환부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프로토콜을 갖는 발신 요구 및 상기 호 제어 장치에 송신해야 할 메시지의 형식을 상기 IP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형식으로 변환한 후에, 상기 호 제어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프로토콜 변환부에서, 상기 호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IP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프로토콜을 갖는 발신 요구 및 상기 착신처 단말기에 송신해야 할 메시지의 형식을 상기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형식으로 변환한 후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에 송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착신처 단말기에 송신한 상기 발신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호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취한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접속해야 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1 암호에 의해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1 암호/복호 처리부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2 암호에 의해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2 암호/복호 처리부를 갖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는, 검색된 각 IP 어드레스 앞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착신처 단말기를 관리 하에 갖는 상기 복수의 IP 어드레스를 각각 갖는 무선 기지국 중 하나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9. 동일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수용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을 구비하고,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상기 복수의 무선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는,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IP 네트워크에 수용된, 상기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의해 발행된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검색된 경우에, 이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기지국을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 하여, 이 IP 어드레스 앞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착신처 단말기에 송신한 상기 발신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취한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더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1 암호에 의해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1 암호/복호 처리부와,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2 암호에 의해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2 암호/복호 처리부를 갖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는, 검색된 복수의 IP 어드레스의 각각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착신처 단말기를 관리 하에 갖는 상기 복수의 IP 어드레스를 각각 갖는 무선 기지국 중 하나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14.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으로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호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의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상기 호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데이터 전송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확립하는 제어부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음을 생성하는 호출음 생성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가 확립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고 나서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상기 호출에 응답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로에 상기 호출음 생성부로부터의 호출음을 접속하는 호출음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P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지의 여부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과,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호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IP 전화용 프로토콜 사이에서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호 제어 장치에 송신해야 할 메시지의 형식을 상기 IP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호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IP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해야 할 메시지의 형식을 상기 휴대 전화용 프로토콜에 기초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호 제어 장치가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해야 할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을 찾아낼 수 없는 경우에,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때에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하여 발신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착신처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 사이의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발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보아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 보이고, 또한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보아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이 발신 단말기로 보이도록,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1 암호/복호 처리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2 암호/복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2.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으로서,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IP 네트워크에 수용된, 상기 착신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대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기지국의 IP 어드레스가 검색된 경우에, 이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기지국을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 하여, 이 IP 어드레스 앞으로 상기 발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IP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지의 여부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발신측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의 관리 하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수신부가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발신 요구에 대응하는 상대처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발신측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때에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하여 발신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착신처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 사이의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발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보아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 보이고, 또한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보아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이 발신 단말기로 보이도록,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1 암호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1 암호/복호 처리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제2 암호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제2 암호/복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암호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암호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암호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암호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복호화하고 또한 복호화된 제어 신호 및 유저 데이터를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에서 암호화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의 내부에는, 유저 데이터가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만을 통과하는 제1 루트와, 유저 데이터가 상기 제1 암호/복호 처리부 및 제2 암호/복호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2 루트가 설치되고,
    상기 유저 데이터의 상기 무선 기지국 내부에서의 전송 루트를 상기 제1 루트와 제2 루트의 사이에서 절환하는 절환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환부에 제1 루트를 선택시키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로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환부에 상기 제2 루트를 선택시키는 절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음을 생성하는 호출음 생성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가 확립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고 나서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상기 호출에 응답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로에 상기 호출음 생성부로부터의 호출음을 접속하는 호출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31. 제17항에 있어서,
    통지음 생성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을 발신 단말기로 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제1 데이터 전송로에 상기 통지음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통지음을 접속하는 통지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
  32.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에서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호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요구의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상기 호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데이터 전송로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호 제어 장치를 통하여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음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자신과 상기 착신측 무선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 통신로가 확립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고 나서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상기 호출에 응답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로에 상기 호출음을 생성하는 단계로부터의 호출음을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무선 기지국에서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33. 삭제
KR1020077011461A 2007-05-21 2004-10-20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KR10091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1461A KR100912175B1 (ko) 2007-05-21 2004-10-20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1461A KR100912175B1 (ko) 2007-05-21 2004-10-20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676A KR20070064676A (ko) 2007-06-21
KR100912175B1 true KR100912175B1 (ko) 2009-08-14

Family

ID=3836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461A KR100912175B1 (ko) 2007-05-21 2004-10-20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69B1 (ko) * 2009-02-02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셀에서의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5886A1 (en) 2002-06-25 2004-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terminal, radio terminal controlling apparatus and location registration auxiliar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5886A1 (en) 2002-06-25 2004-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terminal, radio terminal controlling apparatus and location registration auxilia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676A (ko)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077B1 (ko)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US7822004B2 (en) Data transmission line establishing system between mobile telephone terminals
US6061341A (en) Use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within packet data service transmissions in a mobile network
AU2007262746B2 (en) Network selection
AU8424898A (en) Security arrangement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O2006068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vate voice call service to mobile subscriber and wireless soft switch apparatus therefor
KR20040063926A (ko) 네트워크로의 활성 데이터 접속을 갖고 있지 않은 무선장치에 대한 데이터 전송 방법
Meier-Hellstern et al. Network protocols for the cellular packet switch
US7366180B2 (en) Hybrid base station transceiver for plural networks
KR100912175B1 (ko)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CN101854737B (zh) 移动电话终端间的数据传送路径建立系统
JP3830388B2 (ja) ハイブリッド型セルラー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いて移動ステーションを伴うセキュリティ手順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4032505A (ja) 通信システム
US20020196943A1 (en)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KR20080018062A (ko) Wcdma를 이용한 사설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