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580B1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580B1
KR100911580B1 KR1020090036555A KR20090036555A KR100911580B1 KR 100911580 B1 KR100911580 B1 KR 100911580B1 KR 1020090036555 A KR1020090036555 A KR 1020090036555A KR 20090036555 A KR20090036555 A KR 20090036555A KR 100911580 B1 KR100911580 B1 KR 10091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upercap
voltage
electric vehicl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189A (ko
Inventor
전순일
이준용
권상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5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에 관한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지 않는 연료전지 슈퍼캡 직결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시동 오프시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셧다운으로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비상모드에서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키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연료전지 단독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단독 모드인 경우에는 연료전지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전에 연료전지 셧다운시 요구되는 고전압 출력을 위해 전력변환기 부스트로 메인버스단의 전압을 승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전지 릴레이를 오프시킨 후, 연료전지 단독모드에서는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 승압된 메인버스단의 전압을 이용하거나, 연료전지 단독 모드가 아닌 하이브리드 모드에서는 수퍼캡 전압을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셧다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연료전지, 수퍼캡, 초기충전장치, 릴레이

Description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motoring sequence for fuel cell-super capacit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지 않는 연료전지 슈퍼캡 직결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시동 오프시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셧다운으로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비상모드에서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에서는 고전압 DC-DC컨버터가 연료전지와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여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전압차이를 완충시키며,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또는 연료전지의 파워제어를 수행하므로, 연료전지와 배터리 전압을 매칭시키기 위한 별도의 특화된 시동제어전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고전압 DC-DC컨버터를 사용하는 연료전지-수퍼캡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에서도 고전압 DC-DC컨버터를 이용해 액티브(Active)한 방식을 통해 수퍼캡 초기충전 및 주행 중 충방전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특화된 시동제어전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반면, 고전압 DC-DC컨버터를 사용하지 않는 연료전지-수퍼캡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에서는 연료전지와 수퍼캡 전압을 매칭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퍼캡 초기충전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시동제어개발이 필수적이다.
수퍼캡 초기충전장치로는 기존의 하나의 프리차지(Precharge) 저항과 프리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를 사용하는 타입 또는 인덕터와 고전력 스위치용 반도체(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이하, IGBT라 함)를 사용하는 컨버터 타입 등이 적용 가능한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등록번호 US06815100에는 차량 시동시 수퍼캡을 통해 연료전지 보기류 구동 및 모터 전압을 채운 후 연료전지와 전압이 떨어진 수퍼캡을 바로 연결하기 전에 DCDC 초퍼를 사용하여 전류 제한함으로써, 연료전지의 과도한 전압 하강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차량의 시동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 제2006-0003543호에는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시동시킨 후 수퍼캡 초기충전장치의 멀티 저항을 통해 연료전지 파워를 수퍼캡에 충전하는 연료전지 수퍼캡 하이브리드 및 그 시동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지 않는 연료전지 슈퍼캡 직결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그 시동 뿐만 아니라 시동 오프시에도 적절한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즉, 하이브리드 차량의 특성상 시동 오프시에도 스택 열화(carbon corrosion, 수소 crossover) 방지, 고전압 안전, 냉시동을 위한 물제거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차량 점검을 위해서는 고전압을 제거해야 하므로 수퍼캡에 존재하는 고전압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전지 셧다운(Shut Down;SD)이 완료될 때까지 슈퍼캡 및 저전압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SD으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료전지 이상시 연료전지에 의해 시동을 걸지않고 수퍼캡으로 차량 구동을 진행하며, 차량 점검시 고전압 히터용 저항을 통해 수퍼캡에 존재하는 고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연료전지 단독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단독 모드인 경우에는 연료전지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전에 연료전지 셧다운시 요구되는 고전압 출력을 위해 전력변환기 부스트로 메인버스단의 전압을 승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전지 릴레이를 오프시킨 후, 연료전지 단독모드에서는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 승압된 메인버스단의 전압을 이용하거나, 연료전지 단독 모드가 아닌 하이브리드 모드에서는 수퍼캡 전압을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셧다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 이상시 차량 초기 점검을 위한 전기차 모터링 시 연료전지 시동을 걸지 않고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 메인버스단의 전압을 수퍼캡으로 맞추는 단계; 상기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 및 초기충전장치의 메인릴레이를 온시키는 단계; 및 전력변환기 및 MCU 앞단 릴레이를 온시켜 전기차 모터링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수퍼캡 방전 시퀀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점검이나 안전을 위해 수퍼캡 방전 모드로 진입하면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 및 초기충전장치의 메인릴레이를 온시키는 단계; 및 전력변환기를 오프시킨 후, 고전압 히터용 저항을 작동시켜 수퍼캡의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퀀스 제어방법에 의하면, 연료전지 셧다운이 완료될 때까지 슈퍼캡 및 저전압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셧다운으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료전지 이상시 연료전지에 의해 시동을 걸지않고 수퍼캡으로 차량 구동을 진행하며, 차량 점검시 고전압 히터용 저항을 통해 수퍼캡에 존재하는 고전압을 안 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퍼캡 초기충전장치(Precharge unit)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은 연료전지스택(10), 보조동력원, 저전압 전력변환기(LDC;12), 12V 보조 배터리(13)를 구비한다. 이때, 보조동력원은 수퍼 커패시터(이하,"수퍼캡")(11) 또는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전지스택(10)을 시동시키기 위해 고전압 보기류(14)(BOP;공기 블로워, 수소재순환 블로워, 물펌프등)이 작동되어야 하고, 연료전지스택(10)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고전압 보기류(14)의 전압레벨은 250 ~ 430V로 동일하다.
또한, 12V 보조배터리(13) 전원을 사용하는 부품들이 차량 운행 중 계속 파워를 소모하기 때문에 이를 충전해 주기 위한 저전압 전력변환기(12)가 필요하다.
상기 저전압 전력변환기(12)는 양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400V의 파워라인에서 400V의 전압을 12V로 다운시켜 12V 보조배터리를 운행중 충전하고, 초기 시동시 12V 전원을 이용해 400V로 승압시켜 연료전지 스택(10)을 시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15) 및 인버터는 연료전지스택(10)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파워 어시 스트 및 회생제동을 위해 슈퍼캡(11)이 초기충전장치(1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메인 버스단에는 전력 차단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각종 릴레이(17,18)가 설치 되어 있으며, 연료전지로 역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블로킹다이오드(Blocking Diod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기충전장치(16)는 벅 타입 컨버터(BUCK TYPE CONVERTOR)로서, 연료전지스택(10)과 수퍼캡(11) 사이에서 메인릴레이(19)와 별도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며, IGBT(20)의 듀티비 조절을 통해 급격한 전류의 흐름을 막아 메인릴레이(19)의 고착현상을 방지하며, 수퍼캡(11)을 충전한다.
연료전지스택(10)과 수퍼캡(11)의 양단 전압이 비슷해지면 IGBT(20) 작동을 멈추고 메인릴레이(19)를 온시켜 저항요소를 제거하여 수퍼캡(11)에 전원을 공급한다. 21은 슈퍼캡 전압 차단(cut-off)용 릴레이이며, 내부 커패시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오프 및 비상모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워넷 구성도이다.
도 3a에서 하이브리드(HEV)모드에서 시동오프시 수퍼캡(11) 출력을 통해 연료전지 보기류(14)를 작동시킨 후 셧다운을 진행한다.
도 3b에서 수퍼캡(11) 측 폴트(Fault)로 인해 연료전지 단독 모드에서 시동오프시 전력변환기(LDC) 부스트를 통해 연료전지 보기류(14)를 작동시킨 후 셧다운을 진행한다.
도 3c에서 연료전지 이상시 수퍼캡(11)을 통해 모터링한다.
도 3d에서 수퍼캡에 존재하는 고전압을 고전압 히터용 저항(24)을 통해 방전시킨다.
도 4는 도 1의 정상 셧다운 시퀀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동 오프(키 오프)신호가 전달되면, 연료전지 단독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연료전지 단독모드인 경우에는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 연료전지 릴레이(18)를 오프시킨다.
연료전지를 SD(Shut down)하기 위해서는 VLD(23) 작동(스택에 저항 연결을 통해 공기극의 산소를 제거하여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 연료전지 내부의 화학반응을 방지), 냉시동을 위한 스택(10) 내부 및 BOP 물 제거 과정 등의 준비 과정이 필요하며, 이때 고전압 출력이 어느정도 필요하다.
HEV 모드에서는 슈퍼캡(11)이 이 출력을 담당하면 되지만, 연료전지 단독 모드일 경우에는 연료전지 릴레이(18)를 끊기 전에 저전압 부스트를 통해 이 출력을 감당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VLD(23) 작동 및 냉시동을 위한 물제거에 의해 연료전지를 SD 완료하면, 전력변환기(12)를 오프시키고 초기충전장치(16)의 메인릴레이(19) 및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21)를 오프시킨다.
다음은 전기차 모터링(Electric Vehicle motoring)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EV 모터링은 연료전지이상시 차량 초기 점검을 위해 필요한 모드이다. 연료전지를 시동시키지 않고 초기충전장치(16)의 메인릴레이(19) 및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21)를 온시키고 수퍼캡(11)으로 차량 구동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이때, 초기충전장치 메인 릴레이(19)를 연결하기 전 버스단 전압(VLDC _ REF)을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서 수퍼캡 전압(VCAP)으로 맞추어 주는 과정이 필요하고, 메인 릴레이(19)를 온시킨 후에는 전력변환기(12)를 오프시킨다.
다음은 수퍼캡 방전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수퍼캡 방전 시퀀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수퍼캡 방전 모드는 차량 점검이나 안전을 위해 연료전지를 시동시키지 않고 초기충전장치(16)의 메인릴레이(19) 및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21)를 온시키고 슈퍼캡 전압(VCAP)을 PTC 히터(저항)를 통해 방전시키는 모드이다.
이때, 초기충전장치(16) 메인릴레이(19)를 연결하기 전 버스단 전압(VLDC _ REF)을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서 수퍼캡 전압(VCAP)으로 맞추어 주는 과정이 필요하고, 메인 릴레이(19)를 온시킨 후에는 전력변환기(12)를 오프시킨다.
상기 수퍼캡 전압(VCAP)이 0에 가깝게 되면, 초기충전장치(16)의 메인릴레이(19) 및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21)를 오프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퍼캡 초기충전장치(Precharge unit)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3a 및 도 3d는 도 1의 시동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파워넷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상 셧다운 시퀀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수퍼캡 방전 시퀀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전지스택 11 : 수퍼캡
12 : 저전압 전력변환기 13 : 보조배터리
14 : 고전압 보기류 15 : 모터
16 : 초기충전장치 17 : MCU 릴레이
18 : 연료전지 릴레이 19 : 메인릴레이
20 : IGBT 21 : 수퍼캡 전압차단용 릴레이
22 : MCU 23 : VLD
24 : 고전압 히터용 저항

Claims (1)

  1.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 이상시 차량 초기 점검을 위한 전기차 모터링 시 연료전지 시동을 걸지 않고 전력변환기 부스트를 통해 메인버스단의 전압을 보조동력원으로 맞추는 단계;
    상기 보조동력원 전압차단용 릴레이 및 초기충전장치의 메인릴레이를 온시키는 단계; 및
    전력변환기 및 MCU 앞단 릴레이를 온시켜 전기차 모터링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KR1020090036555A 2009-04-27 2009-04-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KR10091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555A KR100911580B1 (ko) 2009-04-27 2009-04-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555A KR100911580B1 (ko) 2009-04-27 2009-04-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517A Division KR100906910B1 (ko) 2007-12-13 2007-12-13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오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189A KR20090063189A (ko) 2009-06-17
KR100911580B1 true KR100911580B1 (ko) 2009-08-10

Family

ID=4099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555A KR100911580B1 (ko) 2009-04-27 2009-04-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0845A (zh) * 2011-08-17 2011-12-21 丁宏 一种复合电源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714A (ja) * 1999-02-03 2000-08-11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機付車両
KR20070060752A (ko)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퍼캡-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버스 시스템 및 시동 제어방법
KR20080054281A (ko) * 2006-12-12 2008-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파워다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714A (ja) * 1999-02-03 2000-08-11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機付車両
KR20070060752A (ko)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퍼캡-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버스 시스템 및 시동 제어방법
KR20080054281A (ko) * 2006-12-12 2008-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파워다운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0845A (zh) * 2011-08-17 2011-12-21 丁宏 一种复合电源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189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910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오프 제어방법
KR100974759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퀀스 제어방법
CN110303907B (zh) 车辆的电力供应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993654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449299B1 (ko) 연료전지차량의 비상시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666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70065741A (ko) 점프 스타트를 위한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2125137A (ja) 電気自動車の高電圧システム
US11211813B2 (en) Battery char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of vehicle
JP200925416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50045200A (ko) 연료 전지 차량의 시동 장치 및 방법
JP2006254610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6201871A (ja) 蓄電システム
US9849805B2 (en) Fuel cell vehicle
KR100936323B1 (ko) 차량 전원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9827857B2 (en) Power supply device
KR100911581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보조동력원 방전 시퀀스 제어방법
US9312584B2 (en) Emergency starting system and method for fuel cell hybrid vehicle
JP6133623B2 (ja) 2電源負荷駆動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自動車
KR20170021055A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통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1580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차 모터링 시퀀스 제어방법
KR101448757B1 (ko) 연료전지자동차의 비상시동장치
KR100488738B1 (ko)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용 직류 변환장치의 프리 차지제어방법
US11605855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KR20190043733A (ko) 컨버터 시스템의 과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