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046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046B1
KR100911046B1 KR1020080092870A KR20080092870A KR100911046B1 KR 100911046 B1 KR100911046 B1 KR 100911046B1 KR 1020080092870 A KR1020080092870 A KR 1020080092870A KR 20080092870 A KR20080092870 A KR 20080092870A KR 100911046 B1 KR100911046 B1 KR 10091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exposure
exposure informatio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0126A (en
Inventor
임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그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그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그로브
Publication of KR2009006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126A/en
Priority to CN200980145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16950A/en
Priority to JP2011527738A priority patent/JP2012503245A/en
Priority to PCT/KR2009/004237 priority patent/WO2010032918A2/en
Priority to US13/119,923 priority patent/US201201854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0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06F16/90348Query processing by searching ordered data, e.g. alpha-numerically orde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하여 추적 대상이 되는, 웹 사이트 정보, 컨텐츠 정보 및 검색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받고, 입력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추적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기초로, 웹 사이트상에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웹 컨텐츠 검색 모듈; 및 웹 컨텐츠 검색 모듈에 의하여 검색된 검색결과 화면상, 컨텐츠가 노출되는 페이지 및 노출페이지상 노출 순위를 포함하는 노출 정보를 추적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추적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인터넷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물품이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등재한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등재한 컨텐츠의 현재 노출 위치 즉, 컨텐츠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입력되었을 때 검색결과가 나타나는 웹 페이지상에서 몇번째 페이지의 몇번째 순위(랭크, 페이지상의 줄 수를 나타냄)로 노출되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e disclosed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put information including web site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which are to be tracked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result of track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 web content search module that searches for content on a web site based on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an interface module; And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module that tracks exp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ranking of the exposure page and the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exposed and the exposure page on the search result screen searched by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According to this, a search result is displayed when a user (content provider) listed in order to sell an item or a product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enters a current exposure position of the content that is listed, that is,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t is easy to determine what number of pages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by rank (rank, number of lines on the page).

쇼핑몰, 오픈마켓, 노출, 랭크, 검색, 키워드, 카테고리 Store, openmarket, impressions, rank, search, keyword, category

Description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컨텐츠 판매자나 제공자와 같은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검색시 검색결과의 웹페이지상에서 어디에 노출되고 있는지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where a user such as a specific content seller or a provider is exposed on a web page of a search result when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will be.

현재 컴퓨터 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급속하게 연결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인터넷)을 통하여 기존 오프라인 네트워크가 온라인 네트워크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world is rapidly connected to one network, and the existing offline network is being replaced with an online network through such a network (Internet).

이중 하나가 오프라인 시장 예를 들어 동네 시장, 슈퍼 마켓, 백화점 또는 할인점의 기존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물품의 판매 또는 구매 형태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물품의 판매 또는 구매 형태와 병행되거나 대체되어 가고 있다. One of them is the sale or purchase of goods through the existing offline network of the offline market, for example, a local market, a super market, a department store or a discount store, in parallel with or replaced with the sale or purchase of goods through the online network.

즉, 물품 구매자는 기존에 직접 시장, 슈퍼마켓, 백화점 또는 할인점을 방문하여 물품 판매자와 직접 대면하면서 물품을 구매하여야 했던 오프라인 네트워크로부터, 물품 구매자가 편안히 의자에 앉아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물품을 구 매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로 급속히 전환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That is, from the offline network, where a buyer of goods had to visit a market, supermarket, department store or discount store in person and face the seller of the goods, the buyer of the goods comfortably sits on a chair and purchases the necessary items while watching a computer screen. It is rapidly moving to an online network.

그러나, 그 네트워크의 속성만이 변하였을 뿐 물품의 판매나 구매(수요와 공급)에 대한 기본적인 속성은 변화가 없어 기존 오프라인 네트워크에서도 판매자는 타 판매자와 구별하거나 식별력을 키우기 위하여 매장 간판을 크게 해서 달거나 외부 또는 내부 인테리어를 특화하는 등의 차별화를 꾀하였던것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시장에서도 판매자(컨텐츠 제공자)는 타판매자와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다. However, only the properties of the network have changed, but the basic properties of the sale or purchase (demand and supply) of goods have not changed, so even in the existing offline network, sellers can store the store signboards with large store signboards to distinguish them from other sellers or increase their identification. Just as they have tri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such as specializing in the interior or interior, in the online market, sellers (content providers) are carrying out various forms of marketing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sellers.

이러한 온라인 네트워크에서의 마케팅 즉, 타 컨텐츠 제공자와 구별하기 위하여 포탈 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웹 화면상에 배너광고를 배치하는 마케팅 방식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너광고는 단순히 보여주기만 할 뿐 방문자에게 배너광고가 노출되었는지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Marketing in such an online network, that is, a marketing method of placing a banner advertisement on a web screen of a portal site, an online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has been provide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ntent providers. However, these banner advertisements merely show,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objectively check how effective the banner advertisement is exposed to the visitor.

이를 대체하여, 키워드 검색이 제공되었으며 포털 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방문자(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이나 상품(이하, '컨텐츠'라 한다)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되는 검색결과가 웹 페이지상에 표시되면 이를 보면서 원하는 컨텐츠의 이미지를 클릭함으로써 구매자에게 노출되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In place of this, keyword searches have been provided, and visitors (buyers) on portal sites, online shopping malls or online marketplaces enter keywords for the goods or products they wish to purch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and enter the keyword When the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determine whether it is exposed to the buyer by clicking the image of the desired content.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품이나 상품 판매자(이하, '컨텐츠 제공자'라 한다)는 자신이 판매하려고 하는 컨텐츠를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등에 등재하고 등재된 컨텐츠를 마케팅하기 위하여 특정 키워드로 검색되도록 키워드 지정을 해놓으면, 물품이나 상품 구매자(이하, '컨텐츠 구매자'라 한다)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사이트에 방문하여 키워드 창에 자신이 구매하려는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고, 화면상의 검색결과를 보면서 컨텐츠의 구매결정을 하게 된다. In more detail, an item or a seller of a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provider') designates a keyword to be searched by a specific keyword in order to list the content that he or she wants to sell in an online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and to market the listed content. In this case, a buyer of an item or a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buyer') visits an online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site, enters a keyword that represents the content he or she wants to purchase in the keyword window, and then searches the screen. Looking at the search results on the decision to purchase the content.

이때 컨텐츠 구매자는 통상적으로 검색결과 화면의 첫페이지만을 주로 확인하고 이후 페이지에 대한 관심도는 현저하게 떨어지며, 동일한 페이지라하여도 상위 순위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하위 순위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보다 월등하게 크다. At this time, the content buyer usually checks only the first page of the search result screen, and the interest level of the subsequent pages is markedly decreased, and even the same page has a greater interest in the contents of the upper rank than the interest in the contents of the lower rank. .

이러한 키워드 검색 방식의 특성상 컨텐츠 판매자는 타 컨텐츠 제공자와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컨텐츠가 검색결과의 상위에 노출되기를 원하며, 해당 컨텐츠가 키워드 검색에서 자주 노출될 수 있도록 여러 복수개의 키워드를 설정하게 되며, 계속하여 키워드창에 본인이 설정한 키워드를 입력한 후 본인이 제공하는 컨텐츠가 상위에 노출되고 있는지 또는 노출되어가고 있는지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word search method, the content seller wants to display his or her content above the search results in order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content providers, and sets a plurality of keywords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frequently exposed in the keyword search. After entering the keywords set by the user in the keyword window,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ether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user are being exposed to the upper level or are being exposed.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키워드가 점점 상위 페이지 또는 상위 순위로 노출되어 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노출이 효과적으로 되지 않는 키워드는 구매자의 관심도가 떨어짐으로 노출이 효과적으로 되는 키워드만 중점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에 어느 컨텐츠가 노출 순위가 높은지 판매량이 늘어가고 있는지 파악하여야할 필요가 있다. Determin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keywords is being exposed to the top page or the top position is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focusing on only the keywords that are not exposed effectively because keywords that are not effective exposure If there is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ich contents have a higher exposure order or increase in sales volume.

그러나, 종래에는 키워드 관리 또는 컨텐츠 관리를 위해서는 컨텐츠 제공자가 복수개의 키워드를 일일이 키워드창에 입력한 후 검색결과 화면을 확인하면서 자신이 제공하는 컨텐츠가 검색결과 화면상의 몇페이지에 노출되는지 몇번째로 노출되고 있는지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근자에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 점을 보면 이들을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문제가 커지고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for a keyword management or content management, a content provider inputs a plurality of keywords into a keyword window and checks the search result screen, and then, how many pages are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displayed. There was a discomfort that must be checked by hand. In recent years, as contents provided by content providers are diversifying, problems are increasing so that it is impossible to manage th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포털 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컨텐츠 제공자가 용이하게 컨텐츠에 대응되는 키워드 및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easily manage the keywords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in the portal site, online shopping mall or online marketplace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하여 추적 대상이 되는, 웹 사이트 정보, 컨텐츠 정보 및 검색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추적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웹 사이트상에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웹 컨텐츠 검색 모듈; 및 상기 웹 컨텐츠 검색 모듈에 의하여 검색된 검색결과 화면상, 상기 컨텐츠가 노출되는 페이지 및 상기 노출페이지상 노출 순위를 포함하는 노출 정보를 추적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추적 모듈;을 포함한다.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put information including web site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which are to be tracked by a user, and tracks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 result to the user; A web content retrieval module for retrieving the content on the web site based on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terface module; And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module for tracking exp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exposed and an exposure ranking on the exposure page on the search result screen searched by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이로써, 인터넷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물품이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등재한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등재한 컨텐츠의 현재 노출 위치 즉, 컨텐츠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입력되었을 때 검색결과가 나타나는 웹 페이지상에서 몇번째 페이지의 몇번째 순위(랭크, 페이지상의 줄 수를 나타냄)로 노출되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a user (content provider) registered to sell an item or a product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enters the current exposure position of the content in which the user is listed, that is, a web in which a search result appears It is easy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ges on which the page is exposed in the rank (rank, indicating the number of lines on the page).

여기서, 상기 컨텐츠 검색 모듈 및 컨텐츠 노출정보 추적 모듈은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content search module and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module is preferably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이로써, 하루를 기준으로 하거나 시간을 기준으로하거나 기설정된 주기로 주기적으로 컨텐츠의 노출 페이지수 및 순위를 추적함으로써 컨텐츠에 해당되는 키워드의 검색결과가 정렬(sorting)되어 나타나는 웹페이지상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또는 노출되고 있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is allows you to track the number of impression pages and rankings of your content on a daily, time-based, or periodic basis, so that you can effectively manage the search results of keywords that correspond to your content. Or it can be easily determined whether it is exposed.

또한, 상기 컨텐츠 노출정보 추적 모듈에 의하여 추적된 상기 컨텐츠의 노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module that stores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racked by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module.

이로써, 주기적으로 과거의 노출 정보(노출 페이지수 또는 노출 순위)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해당 컨텐츠의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노출 정보가 효과적으로 나오는 즉, 상위 페이지 또는 상위 순위로 노출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보다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이를 나타내는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가 복수개 있을 수 있으며, 복수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중 상위 페이지 또는 상위 순위에 노출될 수 있는 키워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중점적 으로 관리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ast exposure information (the number of exposure pages or the exposure rank) is periodically stored, so that the histor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easily managed, and the exposure information is effectively displayed, that is, the keyword exposed to the top page or the top rank. You can market more aggressively. That i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keywords or categories indicating the same for one content, and among the plurality of keywords or categories, keywords that may be exposed to an upper page or an upper rank may be easily identified and centrally manag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텐츠의 노출 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로 변화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변화 판단모듈;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state in which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changes at a predetermined period; further includes.

이로써, 과거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보다 현재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지 하위로 변해하고 있는지 판단하여,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에 중점적으로 마케팅 역량을 집중할 수 있고 반면에 하위로 변해가고 있을 때는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변경 및 가격을 낮추거나 프로모션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impression page or impression rank is changing to higher or lower position than the previous impression page or impression ranking, so that the marketing capability can be focused on keywords or categories for the content that is changing to the upper level. As you move down into, you can increase your competitiveness through keyword or category changes, lower prices, or promotions.

또한, 상기 정보변화 판단모듈에 의하여 판단된 컨텐츠의 노출정보 변화 상태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e of exposure information change of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is output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이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상위로 가고 있는지 하위로 가고 있는지를 그래프나 그림으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전략적인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서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s a tool that the user can utilize as strategic data by displaying in graph or picture whether the exposure page or the exposure ranking of the keyword or categor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oing up or down.

이때, 상기 검색 조건은,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이며, 상기 웹 컨텐츠 검색 모듈의 검색결과 정렬(sorting)은 히트(hit) 건수, 판매 건수, 문의 건수 및 구매 후기 건수를 포함하는 집합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earch condition is a keyword or category search, and the sorting of the search results of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is selected from a set including hits, sales, inquiries, and reviews. Do.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즉 컨텐츠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키워드 중 어느 키워드가 많이 히트 또는 클릭되는지(그 키워드에 대한 마케팅 강화), 여러 컨텐츠 중 어느 컨텐츠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지(그 컨텐츠에 대한 마케팅 강화), 컨텐츠 구매자의 해당 컨텐츠에 대한 문의 사항이 많은지(그 컨텐츠에 대한 사용 설명서 보강 등), 컨텐츠 구매자의 구매후기가 많은 컨텐츠(그 컨텐츠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 분석 및 인기도 판단)가 무엇인지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us, which keywords of the plurality of keywords desired o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re hit or clicked a lot (reinforce marketing for the keyword), which content is sold a lot (reinforced marketing for the content),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content buyers have a lot of inquiries about the content (such as supplementing the instruction manual for the content), and what content the content buyers have many reviews about (content analysis of the consumer's needs and judgment of popularity). Can b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 정보 추적 방법은, 추적대상이 되는 웹 사이트 정보, 컨텐츠 정보 및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 단계; 상기 정보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웹 사이트에서 상기 컨텐츠가 검색되는 컨텐츠 검색 단계; 상기 컨텐츠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검색결과 화면상에서 상기 컨텐츠가 노출되는 페이지 또는 상기 노출 페이지상 노출 순위를 포함하는 노출정보가 추적되는 노출정보 추적 단계; 및 상기 노출정보 추적 단계에서 추적된 노출정보가 표시되는 노출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the input information including the web site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the search condition to be tracked; A content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the content in the web site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An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step of tracking exp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exposed or an exposure ranking on the exposure page on the search result screen searched in the content search step; And an exposure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exposure information track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step.

이로써, 인터넷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물품이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등재한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등재한 컨텐츠의 현재 노출 위치 즉, 컨텐츠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입력되었을 때 검색결과가 나타나는 웹 페이지상에서 몇번째 페이지의 몇번째 순위(랭크, 페이지상의 줄 수를 나타냄)로 노출되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a user (content provider) registered to sell an item or a product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enters the current exposure position of the content in which the user is listed, that is, a web in which a search result appears It is easy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ges on which the page is exposed in the rank (rank, indicating the number of lines on the page).

여기서, 상기 컨텐츠 검색 단계 및 노출정보 추적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content search step and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step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a predetermined cycle.

이로써, 하루를 기준으로 하거나 시간을 기준으로하거나 기설정된 주기로 주기적으로 컨텐츠의 노출 페이지수 및 순위를 추적함으로써 컨텐츠에 해당되는 키워드의 검색결과가 정렬(sorting)되어 나타나는 웹페이지상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또는 노출되고 있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is allows you to track the number of impression pages and rankings of your content on a daily, time-based, or periodic basis, so that you can effectively manage the search results of keywords that correspond to your content. Or it can be easily determined whether it is expos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출정보 추적 단계에서 추적된 노출정보가 저장되는 노출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exposure information track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tracking step; further includes.

이로써, 주기적으로 과거의 노출 정보(노출 페이지수 또는 노출 순위)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해당 컨텐츠의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노출 정보가 효과적으로 나오는 즉,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에 중점적으로 마케팅 역량을 집중할 수 있고 반면에 하위로 변해가고 있을 때는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변경 및 가격을 낮추거나 프로모션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As a result, the past exposure information (the number of exposure pages or the exposure rank) is periodically stored to easily manage the histor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exposure information is effectively displayed, that is, the keyword or category for the content that is changing upward. Can focus on marketing competencies, while changing to lower keywords or categories, lower prices, or promote promotions.

또한, 상기 노출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로 변화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노출정보 변화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exposure information chang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 state in which the exposure information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cycle.

이로써, 과거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보다 현재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지 하위로 변해하고 있는지 판단하여,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를 중점적으로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exposure page or the exposure ranking is changing to a higher or lower level than the previous exposure page or the exposure ranking, and thus, the keyword or category for the content that is changing to the upper level can be used for marketing.

또한, 상기 노출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노출정보 변화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노출정보 변화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xposure information display step,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exposure information change state determin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step.

이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상위로 가고 있는지 하위로 가고 있는지를 그래프나 그림으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이를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may intuitively determine this by displaying a graph or a picture whether the exposure page or the exposure ranking of the keyword or categor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oing up or down.

이때, 상기 검색 조건은,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 및 검색결과의 정렬(sorting)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방식은, 히트(hit) 건수, 판매 건수, 문의 건수 및 구매 후기 건수를 포함하는 집합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earch condition includes a keyword or category search and a sorting method of the search results, wherein the sorting method includes a hit including a hit, a sale, a query, and a late purchase. It is preferred to be selected.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즉 컨텐츠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키워드 중 어느 키워드가 많이 히트 또는 클릭되는지(그 키워드에 대한 마케팅 강화), 여러 컨텐츠 중 어느 컨텐츠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지(그 컨텐츠에 대한 마케팅 강화), 컨텐츠 구매자의 해당 컨텐츠에 대한 문의 사항이 많은지(그 컨텐츠에 대한 사용 설명서 보강 등), 컨텐츠 구매자의 구매후기가 많은 컨텐츠(그 컨텐츠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 분석 및 인기도 판단)가 무엇인지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us, which keywords of the plurality of keywords desired o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re hit or clicked a lot (reinforce marketing for the keyword), which content is sold a lot (reinforced marketing for the content),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content buyers have a lot of inquiries about the content (such as supplementing the instruction manual for the content), and what content the content buyers have many reviews about (content analysis of the consumer's needs and judgment of popularity). Can b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물품이나 상품을 판매하는 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등재한 컨텐츠의 현재 노출 위치 즉, 컨텐츠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입력되었을 때 검색결과가 나타나는 웹 페이지상에서 몇번째 페이지의 몇번째 순위(랭크, 페이지상의 줄 수를 나타낼 수 있다)로 노출되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 content provider who sells an item or a product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a search result appears when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s entered, that is, the current exposure position of the content that the user has listed It is easy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ges on which a web page is exposed in the rank (rank, the number of lines on the page).

또한, 월단위, 주간단위, 일단위, 시간단위를 기준으로 하거나 기설정된 주기로 주기적으로 컨텐츠의 노출 페이지수 및 순위를 추적함으로써 컨텐츠에 해당되는 키워드의 검색결과가 정렬(sorting)되어 나타나는 웹페이지상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또는 노출되고 있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racking the number of impression pages and ranking of content on a monthly, weekly, daily, or hourly basis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earch results of the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re sorted. It is easy to determine how effectively they are being managed or exposed.

또한, 주기적으로 과거의 노출 정보(노출 페이지수 또는 노출 순위)가 순차 적으로 저장되어 해당 컨텐츠의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노출 정보가 효과적으로 나오는 즉, 상위 페이지 또는 상위 순위로 노출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보다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st exposure information (exposure page number or exposure rank) is periodically stored to easily manage the histor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exposure information is effectively coming out, that is, keywords that are exposed to the top page or the top rank You can market more aggressively.

또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이를 나타내는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가 복수개 있을 수 있으며, 복수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중 상위 페이지 또는 상위 순위에 노출될 수 있는 키워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keywords or categories indicating the same for one content, and among the plurality of keywords or categories, keywords that may be exposed to an upper page or an upper rank may be easily identified and centrally managed.

또한, 과거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보다 현재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지 하위로 변해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판단하여,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에 중점적으로 마케팅 역량을 집중할 수 있고 반면에 하위로 변해가고 있을 때는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변경 및 가격을 낮추거나 프로모션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impression page or impression rank is moving up or down than the previous impression page or impression rank, and can concentrate marketing capabilities on keywords or categories for the content that is changing upward. On the other hand, if you are changing to the bottom, you can increase your competitiveness by changing keywords or categories, lowering prices, or promoting them.

또한, 해당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의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상위로 가고 있는지 하위로 가고 있는지를 그래프나 그림으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이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determine this by displaying a graph or a picture whether the exposure page or the exposure ranking of the keyword or categor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oing up or down.

또한,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즉 컨텐츠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키워드 중 어느 키워드가 많이 히트 또는 클릭되는지(그 키워드에 대한 마케팅 강화), 여러 컨텐츠 중 어느 컨텐츠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지(그 컨텐츠에 대한 마케팅 강화), 컨텐츠 구매자의 해당 컨텐츠에 대한 문의 사항이 많은지(그 컨텐츠에 대한 사용 설명서 보강 등), 컨텐츠 구매자의 구매후기가 많은 컨텐츠(그 컨텐츠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 분석 및 인기도 판단)가 무엇인지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ich of the plurality of keywords desired by the content provider, i.e., the content is hit or clicked a lot (enhanced marketing for that keyword), which content is sold a lot of the content (enhanced marketing for the content)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buyer has many inquiries about the content (eg, supplementing the instruction manual for the content), and what content the content buyer has many purchase reviews about (consumer's needs analysis and popularity judgment on the content) can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인터넷망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Internet network shown in FIG. 1 are connected.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1), 웹 컨텐츠 검색 모듈(103),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105) 및 데이터베이스 모듈(107)을 포함한다. 1 and 2,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module 101,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103,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5 and Database module 107.

인터페이스 모듈(101)은 물품이나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또는 포털 사이트에 등재하여 판매하려고 하는 컨텐츠 제공자(사용자)와 본 시스템(100)을 매개하는 것으로서, 컨텐츠 제공자가 본인이 관리하려고 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검색 조건 및 웹 사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하면 이를 수신받아 처리되도록 하며, 후술할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105)에서 처리된 노출정보를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The interface module 101 mediates the system 100 and a content provider (user) who intends to sell an item or product on an online shopping mall, an online marketplace or a portal site, and the content provider wants to manage. When the inpu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the search condition and the web sit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terminal 200, it is received and processed, and the exposur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5 to be described later It transmits to the provider terminal 200.

이때, 컨텐츠 정보로는 물품명이나 상품명, 상표, 크기, 색상 등으로 세부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색 조건으로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컨텐츠가 분류될 수 있는 카테고리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방이라는 컨텐츠에 대하여 상표, 소형, 파란색의 컨텐츠 정보가 입력되고, 키워드로 상표, 책가방, 가방, 지갑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웹 사이트 정보로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웹 사이트 도메인이 입력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presenting detailed characteristics such as a product name, a product name, a trademark, a size, a color, and the like, and a search condition may include a keyword or a category in which the content may be classified. For example, a trademark, a small size, and blue content information may be input to a content called a bag, and a keyword, a backpack, a bag, a wallet, or the like may be input as a keyword. In addition, as the website information, a website domain of an online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may be input.

웹 컨텐츠 검색 모듈(103)은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통하여 입력정보가 수신되면 입력정보 중 웹 사이트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웹 사이트의 검색 엔진(300)으로 입력정보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정보를 추출한다.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101,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103 analyzes the web site information among the input information, searches the input information with the search engine 300 of the corresponding web site, and extracts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105)은 웹 컨텐츠 검색 모듈(103)로부터 추출된 검색결과로부터 입력정보에 해당되는 컨텐츠의 노출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노출정보로는 검색결과의 웹 화면상 몇번째 페이지에 노출되고 있는지 또는 노출 순위(랭크)가 추출된다.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5 extracts exposure information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extracted from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103. At this time, as the exposure information, which page on the web screen of the search result is exposed or the exposure rank (rank) is extracted.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시스템 사용자)가 판매하려고 하는 컨텐츠가 가방이고, 키워드가 'aa'상표를 나타내는 'aa'가 입력된 경우, 특정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검색 엔진(300)에 의하여 추출된 검색결과 리스트는 검색자가 검색 단말기(400)를 통하여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키워드 창에 키워드를 입력하여(도 3a의 A) 검색한 결과 리스트와 동일한 정보가 추출되고 여기에는 다른 컨텐츠 제공자가 등재한 컨텐츠도 검색되어 복수개의 검색결과 화면이 도 3b의 B와 같이 나타난다. For example, when a content provider (system user) wants to sell a bag and a keyword 'aa' representing a 'aa' trademark is input, a search extracted by the search engine 300 of a specific online marketplace In the result list, the searcher inputs a keyword in the keyword window of the online marketplace through the search terminal 400 (A of FIG. 3A) to extract the same information as the search result list, and also searches for contents listed by other content providers. As a result, a plurality of search result screens appear as shown in B of FIG. 3B.

수많은 검색결과 화면에서 컨텐츠 제공자(사용자)의 판매 컨텐츠가 예를 들어 노출 페이지가 5페이지(도 3c의 C)에 있는 경우, 종래에는 이를 일일이 기억하거나 수동으로 입력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일일이 수동으로 페이지를 넘겨가면서 자신의 컨텐츠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aa'라는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특정날짜 및 시간에 5페이지에 노출되고 있다라는 이력이 자동으로 관리된다. In the case of numerous search result screens, the content of the sale of the content provider (user) is, for example, when the impression page is on page 5 (C of FIG. 3C), there has been inconvenience of having to memorize or manually manage them manually.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user while manually turning the page manuall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word 'aa' is automatically input, the history of being exposed to five pages on a specific date and time is automatically displayed. Managed.

한편, 노출 페이지로 컨텐츠의 이력이 관리될 수 있지만 전체 노출 순위(랭크)로 관리되어도 무방하다. 즉, 'aa'라는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총 100개의 검색결과가 나온 경우 컨텐츠 제공자가 등재한 컨텐츠는 이중 몇번째 순위로 노출되는지가 관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of the content can be managed in the exposure page, but may be managed in the overall exposure ranking (rank). That is, when a keyword “aa” is input, when a total of 100 search results are output, it may be managed to which rank among the contents listed by the content provider is exposed.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는 특정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등재한 자신의 컨텐츠가 현재 어느 페이지에 또는 어느 순위로 노출되고 있는지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자신이 등재한 컨텐츠가 여러개인 경우 및 여러 컨텐츠에 대한 여러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라도 쉽게 노출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As such, content providers can instantly determine which pages or rankings their content currently in a particular online marketplace is exposed to, including multiple keywords and multiple keywords for multiple content. Even if is input, the exposure information can be easily manag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컨텐츠 관리나 해당 컨텐츠의 노출정보를 관리 및 이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주기적으로 웹 컨텐츠 검색 모듈(103) 및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105)이 구동되어 검색결과로부터 노출정보를 획득한다. 이로써, 과거의 노출정보 및 현재의 노출정보를 구비하게 되어 해당 컨텐츠의 노출이 상위에 변해가고 있는지 하위로 변해가고 있는지 판단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content retrieval module 103 and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5 periodicall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 order to manage the content management or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history management. ) Is driven to obtain exposure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s. As a result, the past exposur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exposur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hich may serve as a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xposur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changing to the upper or lowe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의 노출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07)을 더 포함하며, 컨텐츠 노출 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로 변화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변화 판단모듈(109)을 포함한다. To this e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database module 107 that stores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109 for determ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period; Include.

즉, 정보변화 판단모듈(109)은 t-T(주기), t 및 t+T(주기)의 시간에서 노출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노출 페이지가 상위 페이지로 변화되고 있는지 하위 페이지 로 변화되고 있는지, 노출 순위(랭크)가 상위 랭크로 변화되고 있는지 하위 랭크로 변화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That is, th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109 compares the exposure information at the times of tT (cycle), t, and t + T (cycle) to determine whether the exposure page is changing to the upper page or the lower page, and the exposure order. It is determined whether (rank) is changed to an upper rank or a lower rank.

예를 들면, '가방'이라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aa'로 한 경우 'aa'에 대한 키워드로 검색되는 컨텐츠 제공자의 가방이라는 컨텐츠에 대한 노출 페이지(노출 랭크)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상위로 변해가고 있는 경우와, 동일한 '가방'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bb'로 한 경우 'bb'에 대한 키워드로 검색되는 컨텐츠 제공자의 가방이라는 컨텐츠에 대한 노출 페이지(노출 랭크)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하위로 변해가고 있는 경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에서 변화가 없는 경우, 컨텐츠 제공자는 좀더 'aa'라는 키워드를 더 마케팅에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것을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keyword for the content of 'bag' is set to 'aa', an impression page (exposure rank) for the content of the bag called the content provider searched for the keyword for 'aa' is shown in FIG. 4A. As shown in FIG. 4B, the exposure page (exposure rank) for the content of the bag, which is the content provider's bag, searched for the keyword 'bb' when the keyword for the same 'bag' content is changed to 'bb', as shown in FIG. 4B. In the case of gradually changing downward as shown in the figure or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lower direction as shown in FIG. 4C, the content provider can immediately determine that the keyword 'aa' needs to be used for more marketing.

비록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두개의 키워드만을 상정하여 예를 들었지만, 복수개의 컨텐츠와 그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도 더 많은 경우에는 컨텐츠 및 키워드를 관리하기가 종래에는 힘들었으나, 본원 발명에 의하면 즉각적으로 이를 판단할 수 있어 필요없는 키워드는 삭제하고 상승세에 있는 키워드만 집중적으로 관리하면 타 컨텐츠 제공자보다 경쟁우위에 설 수 있게 된다. Although only two keywords are assumed for one piece of content,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and therefore more keywords are used, it is difficult to manage content and keywords in the related art. Determining unnecessary keywords and intensively managing only the keywords that are on the rise will lead to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content providers.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매칭하여 설명하였지만, 키워드 대신 컨텐츠를 분류하는 카테고리가 매칭되어도 동일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atching content and keyword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same is true even if a category for classifying the content is matched instead of the keyword.

이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자가 시각적으로 이러한 변화상태를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그래프화하여 컨텐츠 제공자에게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단말 기(200)로 전송한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101 to output th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er by graphing as shown in Figure 4a to 4c so that the content provider immediately recognizes the change state visually. Send to 200.

한편,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105)은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200)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정보 중 입력조건에 정렬방식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렬방식으로는 해당 컨텐츠의 히트(hit)건수, 판매 건수, 문의 건수 또는 구매 후기 건수로 정렬될 수 있다. 각각에 따라 동일한 키워드 및 컨텐츠라 하여도 노출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의 해석 또한 달라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5 preferably inputs the information on the sorting method to the input condition of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content provider terminal 200, the hit method of the content (hit) It can be sorted by the number of cases, the number of sales, the number of inquiries or the number of reviews. In each case, even the same keyword and content may have different exposure pages or exposure ranking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may also vary.

예를 들어, 히트 건수는 컨텐츠 구매자(구매 예정자)가 해당 컨텐츠를 검색결과 화면에서 클릭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일종의 인기도를 가늠할 수 있으며, 판매 건수는 실제로 판매된 것을 나타냄으로 인기도 또는 매출추이를 판단할 수 있으며, 문의 건수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구매자의 문의가 많은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설명서를 보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형화된 Q&A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기 건수는 컨텐츠가 실제로 판매된 것을 전제하는 것으로 컨텐츠에 대한 인기도 뿐만 아니라 컨텐츠 구매자의 니즈를 분석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number of hits indicates that the content purchaser (purchaser) clicked on the content in the search result screen, which can be used as a measure of popularity, and the number of sales indicates that the content was actually sold. In addition, the number of inquiries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many inquiries from the content buyers about the contents, and may take measures such as reinforcing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and provide standard Q & A. In addition, the number of late reviews presupposes that the content is actually sold, and thus may be used for marketing by analyzing not only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but also the needs of the content buyer.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여 컨텐츠 제공자는 자신이 특정 사이트에 등재한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간단하게 인지할 수 있어 마케팅이나 특정 컨텐츠에 대한 트랜드를 파악할 수 있어, 차후 전략적으로 끌고 나갈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예를 들어 가방이라는 컨텐츠는 노출 순위가 상위에 있어 인기도나 판매가 호조를 보이나(도 4a) 서적이라는 컨텐츠는 노출 순위가 거의 하위에 있는 경 우(도 4b)(도 4c) 전략적으로 가방이라는 컨텐츠 위주로 판매전략을 짜는 것이 유리함으로 이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는 타 컨텐츠 제공자보다 경쟁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r can easily recognize the content and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listed on the specific site, thereby grasping the trend for the marketing or the specific content, and the content to be strategically drawn out in the future. For example, if the content of a bag has a higher exposure ranking and shows a higher popularity or sales (Fig. 4a), the content of a book is a lower level of exposure (Fig. 4b) (Fig. 4c). It is advantageous to design a sales strategy centered on content,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and conveniently recognized, so that content providers can stand out from other content providers.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추적 방법을 설명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tracking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방법은, 컨텐츠에 대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 단계(S110),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게 컨텐츠가 검색되는 컨텐츠 검색 단계(S120), 검색결과에서 컨텐츠의 노출정보를 추출하는 노출정보 추출 단계(S150) 및 추출된 노출정보가 표시되는 노출정보 표시 단계(S180)를 포함한다.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110),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ntent is input, the content search step (S120) to search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he search results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150) for extracting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exposure information display step (S180) in which the extracted exposure information is displayed.

정보입력 단계(S110)는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자신이 관리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컨텐츠에 대한 입력정보로는 컨텐츠를 판매하려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웹 사이트에 정보, 컨텐츠 정보 및 검색조건을 포함한다. 컨텐츠 정보로는 물품명이나 상품명, 상표, 색깔,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검색조건은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인지에 대한 설정 및 정렬방식에 대한 설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정렬방식은 검색결과를 정렬(sorting)하기 위하여 컨텐츠에 대한 히트(hit) 건수, 판매 건수, 문의 건수 및 구매 후기 건수 등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정렬방식에 따라 컨텐츠의 노출정보가 다를 수 있어 그에 맞게 향후 마케팅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a user (content provider) inputs information on content that he / she wants to manage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terminal 200. Include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search criteria on the online marketplace's Web sit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product name, a product name, a trademark, a color, a size, and the like. The search condition may include a setting for whether a keyword or category is searched and a setting for sorting, and the sorting method sorts the search results. To do this, the content may be sorted by the number of hits, sales, inquiries, and purchases of the content, and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rting method, and the future marketing strategy may be set accordingly.

이후, 정보입력 단계(S110)에서 입력된 입력정보 중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S120), 선택된 웹사이트에 해당되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입력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검색한다(S120). Thereafter, information on the website is selected from the input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110 (S120), and content is searched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 an online shopping mall or an online marketpla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ebsite (S120). ).

컨텐츠 검색 단계(S120)에서 입력된 웹사이트의 검색엔진(300)으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해당되는 키워드로 검색결과를 추출하고, 추출된 검색결과를 입력된 정렬방식으로 정렬한 후(S140),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가 정렬된 검색결과 화면상에서 몇번째 페이지에 노출되는지 또는 몇번째 순위(랭크)로 노출되는지 추출한다(S150). After the search results are extracted from the search engine 300 of the website input in the content search step S120 with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extracted search results are sorted by the input sorting method (S140). The number of pages is displayed on the sorted search result screens and the number of pages (or ranks) is extracted (S150).

이후, 추출된 노출정보가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200)로 제공되어 컨텐츠 제공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이라는 키워드(A)로 입력정보가 입력되었다면, 도 3b와 같이 전체 '가방'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결과(B)가 제공되며 도 3c와 같이 5페이지에 본인의 컨텐츠가 노출되고 있는 것(C)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extracted expos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er terminal 200 so that the content provid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using the keyword 'A' as shown in FIG. 3A. The search result (B) is provided by the keyword, and as shown in FIG. 3C,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the user's content is exposed on page 5 (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어 실행되며, 이러한 노출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로 변화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노출정보 변화판단 단계(S17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eries of processes are repeated and execut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es an exposur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step S170 for determining a state in which such exposure information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cycle.

이로써, 현재 본인의 컨텐츠가 어디에 노출되고 있는지 뿐만 아니라 과거에 컨텐츠가 어디에 노출되고 있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어, 컨텐츠의 노출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노출정보가 어떻게 변화 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노출정보 변화상태를 표시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not only where the contents of the user are currently exposed, but also where the contents have been exposed in the past,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how the contents are exposed. Display changes in exposure information so that you can immediately see if something is changing.

도 4a 내지 도 4c는 이를 간략하게 예시한 것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노출이 점점 상위에 노출되고 있는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노출이 점점 하위로 밀려나고 있는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노출에 변화가 없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도 4a에 도시된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공격적 또는 적극적으로 판매 또는 마케팅을 강화하는 전략을 짤 수 있게 된다. 4A to 4C briefly illustrate this, and as shown in FIG. 4A, the exposur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radually being exposed to the upper part, and as shown in FIG. 4B, the exposur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radually being pushed downwar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it is possible to visually recognize whether there is no change in the exposur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evise a strategy to more aggressively or aggressively strengthen sales or marketing for the content shown in FIG. 4A.

이때, 노출정보 변화상태는 월단위, 주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posure information change state may be set to be determined on a monthly basis, weekly basis or hourly basis.

또한, 이러한 컨텐츠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노출정보 추출단계(S150)에서 추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정보는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160). In addition, the exposure information for the content extract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150) is preferably stored to manage the history of such content (S160).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과 다른 네트워크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and another network;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의 노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3A to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exposure information of content by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가 관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content is managed by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 101 : 인터페이스 모듈100: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1: interface module

103 : 웹 컨텐츠 검색 모듈 105 :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모듈103: web content search module 105: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7 : 데이터베이스 모듈 109 : 정보변화 판단 모듈107: database module 109: information change judgment module

200 :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 300 : 검색 엔진200: content provider terminal 300: search engine

400 : 검색 단말기 N : 인터넷망400: search terminal N: Internet network

Claims (14)

사용자에 의하여 추적 대상이 되는, 웹 사이트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웹 사이트 정보, 사용자가 관리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관리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추적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Receives input information including websi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omain of the website to be tracked by the user,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o be managed by the user, and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keywords or categories for the content to be managed. An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tracking result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웹 사이트상에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웹 컨텐츠 검색 모듈; 및 A web content retrieval module for retrieving the content on the web site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terface module; And 상기 웹 컨텐츠 검색 모듈에 의하여 검색된 검색결과 화면상, 상기 컨텐츠가 노출되는 페이지 또는 노출 순위를 포함하는 노출 정보를 추출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And a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exp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page or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expos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searched by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검색 모듈 및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은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And the content retrieval module and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re oper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컨텐츠의 노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And 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컨텐츠의 노출 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로 변화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변화 판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And an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state in which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cycle.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정보변화 판단모듈에 의하여 판단된 컨텐츠의 노출정보 변화 상태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Content chan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state of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컨텐츠 노출정보 추출 모듈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컨텐츠의 노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 정보 관리 시스템. And 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exposu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검색 조건은,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이며, The search condition is a keyword or category search, 상기 웹 컨텐츠 검색 모듈의 검색결과 정렬(sorting)은 히트(hit) 건수, 판매 건수, 문의 건수 및 구매 후기 건수를 포함하는 집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시스템. The sorting of the search results of the web content search module is selected from a set including hits, sales, inquiries, and reviews. 추적대상이 되는, 웹 사이트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웹 사이트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 단계; Information input for in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website information including a domain of a website to be tracked,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managed by a user, and search conditions including keywords or categories for managed content step; 상기 정보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정보에 따라서, 상기 웹 사이트에서 상기 컨텐츠가 검색되는 컨텐츠 검색 단계; A content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the content in the web site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상기 컨텐츠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검색결과 화면상에서 상기 컨텐츠가 노출되는 페이지 및 상기 노출 페이지상 노출 순위를 포함하는 노출정보가 추출되는 노출정보 추출 단계; 및 An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exp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page to which the content is exposed and an exposure ranking on the exposed page on the search result screen searched in the content search step; And 상기 노출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노출정보가 표시되는 노출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And exposure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단계 및 노출정보 추출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ent searching step and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are per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노출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적된 노출정보가 저장되는 노출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The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storing the exposure information track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노출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로 변화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노출정보 변화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And determining the exposure information change to determine a state in which the exposure information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cyc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정보 표시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exposure information comprises: 상기 노출정보 변화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노출정보 변화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And displaying the exposure information change state determin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step.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노출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노출정보가 저장되는 노출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And exposure information storing step in which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exposure information extracting step is stored.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상기 검색 조건은,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 및 검색결과의 정렬(sorting)방식을 포함하며, The search condition includes a keyword or category search and a sorting method of search results. 상기 정렬방식은, 히트(hit) 건수, 판매 건수, 문의 건수 및 구매 후기 건수를 포함하는 집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정보 관리 방법. The sorting method is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set including the number of hit (hit), the number of sales, the number of inquiries and the number of late purchase.
KR1020080092870A 2007-12-07 2008-09-2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 KR100911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452959A CN102216950A (en) 2008-09-22 2009-07-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isplay information
JP2011527738A JP2012503245A (en) 2008-09-22 2009-07-29 Content expos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CT/KR2009/004237 WO2010032918A2 (en) 2008-09-22 2009-07-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isplay information
US13/119,923 US20120185463A1 (en) 2008-09-22 2009-07-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ispla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40 2007-12-07
KR20070126940 2007-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126A KR20090060126A (en) 2009-06-11
KR100911046B1 true KR100911046B1 (en) 2009-09-10

Family

ID=4099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70A KR100911046B1 (en) 2007-12-07 2008-09-2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0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06B1 (en) * 2009-08-28 2009-12-31 (주)이즈포유 Content search managing system using indicator displayed by keyword search result and method thereof
KR102588300B1 (en) * 2021-06-02 2023-10-12 주식회사 스토어링크 Shopping mall product exposu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674A (en) * 2004-08-11 2005-01-10 이원희 Method of Advertising Using Keyword Searching Window
KR20050079608A (en) * 2004-02-12 2005-08-10 엔에이치엔(주) Method for offering a search-word advertisement and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in response to the search-demand of a searcher and a system thereof
KR20050109106A (en) * 2004-05-13 2005-11-17 엔에이치엔(주) Internet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search results efficiently
KR20080032512A (en) * 2006-10-10 2008-04-15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weight classified by ran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608A (en) * 2004-02-12 2005-08-10 엔에이치엔(주) Method for offering a search-word advertisement and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in response to the search-demand of a searcher and a system thereof
KR20050109106A (en) * 2004-05-13 2005-11-17 엔에이치엔(주) Internet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search results efficiently
KR20050002674A (en) * 2004-08-11 2005-01-10 이원희 Method of Advertising Using Keyword Searching Window
KR20080032512A (en) * 2006-10-10 2008-04-15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weight classified by ran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126A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050B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offering and displaying a product information
US110108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601677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comparison of items
CN107835994A (en) Pass through the task focused search of image
US20090287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ty-Based Comparison Shopping Based on Social Bookmarking
KR102309373B1 (en) System for building the contents automatically for planning sales and method therefor
US10409877B2 (en) Search engine results declumping method
KR101707660B1 (en) An e-commerce system based on interest category using related keywords
CN113450178A (en) Internet-based e-commerce accurate marketing system
JP601833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O2010032918A9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isplay information
KR20190055963A (en) Goods exposure system in online shopping mall with keyword analyzing
KR20140133633A (en) Goods exposure system in online shopping mall with keyword analyzing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1009110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exposure-information of contents
US201402016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web site information aggregation with concurrent web site access
KR1014989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product seller related document
JP2020119062A (en) Card company system for acquiring article information from image posted to sns, program of terminal, and sns system and method
US20230334516A1 (en) Product/service ordering system, product/service ordering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KR20180092053A (en) Intelligent shopping managing system
Liu et al. Research on assistant decision-makings of E-commerce platform with refinement tools
Yeruva et al. Appare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ntent-Based Filtering
Li et al. Construction of multi-agent system for decision support of online shopping
CN113095904A (e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demands
CN110020136B (en) Object recommendat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115880034B (en)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