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803B1 -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803B1
KR100910803B1 KR1020070089682A KR20070089682A KR100910803B1 KR 100910803 B1 KR100910803 B1 KR 100910803B1 KR 1020070089682 A KR1020070089682 A KR 1020070089682A KR 20070089682 A KR20070089682 A KR 20070089682A KR 100910803 B1 KR100910803 B1 KR 10091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water
washing
water level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590A (ko
Inventor
강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803B1/ko
Priority to CNB2007101609248A priority patent/CN100542473C/zh
Publication of KR2009002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는 세척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float); 및 상기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에 의해 감지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면서도, 세척조 내부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세척조에 과급수된 세척수가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위 감지, 세척조 내외, 플로트, 전달 부재, 승강 안내, 배수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of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 내부에 수용된 식기류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류 표면에 묻은 오물을 세척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로 식기류가 세척된 후, 건조될 수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급수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하여, 플로우 미터를 이용하여 급수량을 감지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상기 플로우 미터는 세척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급수되는 수량을 감지한다.
이러한 플로우 미터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에 의하면, 플로우 미터가 세척조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그러한 플로우 미터의 설치 공간만큼 세척조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플로우 미터가 세척조 외부에 설치되면서, 연결 배관 등에 의해 세척조와 연결되는데, 그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누수가 발생되면,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부분에 악영향을 미쳐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정확한 수량 감지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감지 방식에 의해서는, 소형 식기 세척기 등 그 사용되는 수량이 적은 경우, 세척수의 정확한 수량 감지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해 과급수가 감지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상 급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과급수된 물이 세척조 외부로 넘칠 수 있다. 이러한 넘침이 발생되면,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 특히 회로기판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오작동,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조 내의 수위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진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조에 과급수된 물을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부분에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일정한 유로를 통해 배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는 세척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float); 및 상기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는 세척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 상기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세척조 내에서 과급수가 이루어지면, 과급수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 외부로 배출되는 과급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과급수 배출 유로 형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플로트가 세척조 내부에 배치되고, 감지부가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므로,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에 의해 감지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면서도, 세척조 내부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세척조에 과급수된 세척수가 승강 안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척조의 외벽의 높이는 승강 안내부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과급수된 세척조 내의 세척수가 세척조의 외벽을 통해 넘치지 아니하고, 승강 안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척조에 과급수된 세척수가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감지부가 플로트의 승강 궤적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승강 안내부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감지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할 수 있어서, 정확한 수위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케이스(101) 내에 설치되는 세척조(110)와, 상기 세척조(110)를 개폐시키는 도어(102) 와, 상기 세척조(110) 내에 설치되어 식기류가 수납되는 랙(10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100)는 상기 세척조(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섬프(106)와, 상기 섬프(106) 내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임펠러(107)와, 상기 임펠러(107)를 구동시키는 세척 모터(10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100)는 상기 섬프(106)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세척 대상물인 식기류로 분사되는 노즐 장치(105)와, 회전 노즐(104)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 장치(105)는 상기 세척조(110)의 후측에 고정되어, 상기 식기류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노즐(104)은 상기 랙(103)의 하측에서 세척수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식기류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상기 식기류에 묻은 오물이 제거되고, 상기 식기류가 세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채용되는 플로트와, 전달 부재와, 감지부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채용되는 승강 안내부가 형성된 세척조의 부분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200)는 플로트(float)(210)와, 전달 부재(220)와, 감지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200)는 세척조(110)에 형성되는 승강 안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트(210)는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세척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 플로팅 몸체(211)와, 연장부(212)와, 가압 부재(213)와, 기체 가둠부(214, 215)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 몸체(211)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기체 가둠부(214, 215)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 가둠부(214, 215)는 상기 플로팅 몸체(211)의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플로팅 몸체(211)의 다른 부분은 밀폐된다. 이러한 기체 가둠부(214, 215)에 소정의 기체, 예를 들어 공기가 가두어진다. 이러한 기체 가둠부(214, 215)에 가두어진 기체에 의해 세척수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팅 몸체(211)가 승강될 수 있다.
도면 번호 214는 외 기체 가둠부로, 도면 번호 215는 내 기체 가둠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는 상기 플로팅 몸체(211)의 저면에서 그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연장부(212)는 그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212)의 내부에는 상기 내 기체 가둠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213)는 상기 연장부(212)를 관통하여 상기 플로팅 몸체(211)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가압 부재(213)는 상기 플로팅 몸체(211)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전달 부재(220)를 가압하여, 상기 플로트(210)의 승강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213)는 상기 플로팅 몸체(211)에서 연장되는 별도의 부재로 정의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가압 부재(213)는 상기 연장부(212)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가압 부재(213)의 형성없이 상기 연장부(212)의 말단부가 상기 가압 부재(213)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달 부재(220)는 상기 가압 부재(213)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로트(210)의 승강을 상기 감지부(230)로 전달한다. 상기 전달 부재(220)는 걸림 돌기(221, 223)와, 피가압부(222)와, 연결부(224)와, 회전 축(225)과, 돌출부(226)와, 단자 가압 돌기(227)를 포함한다.
상기 피가압부(222)는 상기 가압 부재(213)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 소정 면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221, 223)는 상기 피가압부(222)의 양 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가압부(222)에서 상기 가압 부재(213)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그러면, 동작 중에, 상기 피가압부(222)에서 상기 가압 부재(213)가 이탈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4)는 상기 피가압부(222)를 상기 회전축(225)과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224)는 상기 세척조(110)의 외벽에 닿지 아니하도록 소정 횟수로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돌기(221, 223)와, 상기 피가압부(222)와, 연결부(224)는 레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225)은 상기 연결부(224)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225)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 축(225)에서 돌출된 돌출부(226)의 일 측으로 연장된 단자 가압 돌기(227)도 함께 회전된다. 회전된 단자 가압 돌기(227)는 상기 감지부(230)의 단자(232)를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부(230)는 상기 전달 부재(220)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플로트(21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세척조(110)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230)는 스 위치 등이 배치된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232)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232)는 상기 단자 가압 돌기(227)에 의해 가압되면 접속되고, 가압 해제되면 접속이 해제된다. 이러한 단자(232)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부(230)에서 일정한 수위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30)는 상기 세척조(110)의 정상 수위, 과급수 수위, 공수위(空水位)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세척조(110)의 정상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승강 안내부(112)는 상기 세척조(110)의 바닥면(111)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상기 승강 안내부(112)의 내부에는 플로트 승강 홀(1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플로트 승강 홀(113)에 상기 플로트(210)의 연장부(212)가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플로트(210)가 승강될 때, 상기 연장부(212)가 상기 승강 안내부(1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플로트(210)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110)의 외벽의 높이는 상기 승강 안내부(112)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h)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안내부(112)는 상기 세척조(110)의 급수 수위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세척조(110) 내에 정상 수위를 넘는 수위의 세척수가 수용되면, 상기 플로트 승강 홀(113)을 통해 과급수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110) 외부로 배수되는데, 상기 세척조(110)의 외벽의 높이가 상기 승강 안내부(112)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됨으로써, 과급수된 상기 세척조(110) 내의 세척 수가 상기 세척조(110)의 외벽을 통해 넘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110) 외부에 배치된 각종 요소들, 예를 들어 회로기판 등에 넘친 세척수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승강 홀(113)은 상기 세척조(110) 내에서 과급수가 이루어지면, 과급수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110) 외부로 배출되는 과급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승강 안내부(112)는 과급수 배출 유로 형성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승강 홀(113)에 상기 플로트(210)의 연장부(212)가 삽입되면, 상기 연장부(212)와 상기 승강 안내부(112) 내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과급수 배출 유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트(210)는 상기 세척조(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230)는 상기 세척조(110)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세척수에 의해 상기 감지부(230)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면서도,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의 작동을 보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서 플로트가 하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로트가 정상 수위 이하의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로트가 정상 수위를 넘는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110) 내부에 세척수가 없거나 일정 수위 이하이면, 상기 플로트(210)가 하강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플로트(210)의 가압 부재(213)가 전달 부재(220)를 가압하고, 가압된 전달 부재(220)는 회전 축(225)을 중심으로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이하 동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단자 가압 돌기(227)가 상기 감지부(230)의 단자(232)를 가압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플로트(210)의 승강에 따라 그 승강 방향으로 상기 가압 부재(213)가 이동되면서 상기 전달 부재(220)를 가압하고, 가압된 상기 전달 부재(220)가 상기 승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가압력을 전환하여, 상기 감지부(230)에 전달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230)는 상기 플로트(210)의 승강 궤적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거리(d)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 안내부(112)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감지부(230)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세척수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플로트(210)도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승은 상기 플로팅 몸체(211) 내의 기체 가둠부(214, 215)에 가두어진 공기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로트(21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압 부재(213)도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달 부재(220)는 상기 회전 축(22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전달 부재(22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탄성 부재(미도시)가 더 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달 부재(220)가 회전되면, 상기 단자(232)에 대한 상기 단자 가압 돌기(227)의 가압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단자(232)의 접속이 해제되어, 상기 감지부(230)에서 이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자(232)가 접속 해제되면, 상기 감지부(230)는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수위가 정상 수위에 도달되었다는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수위가 정상 수위에 도달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지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상기 세척조(11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플로팅 몸체(211)는 더 상승하게 된다.
상기 플로팅 몸체(211)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 안내부(112)의 상단부보다 더 높게 상승하게 되면, 상기 플로팅 몸체(211)의 하단부와, 상기 승강 안내부(112)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세척수가 상기 플로트 승강 홀(113)로 유입된다. 상기 플로트 승강 홀(113)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연장부(212)와, 상기 승강 안내부(112)의 내벽 사이를 통해 하강되어, 상기 세척조(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플로트가 세척조 내부에 배치되고, 감지부가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므로,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에 의 해 감지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면서도, 세척조 내부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세척조에 과급수된 세척수가 승강 안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척조의 외벽의 높이는 승강 안내부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과급수된 세척조 내의 세척수가 세척조의 외벽을 통해 넘치지 아니하고, 승강 안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척조에 과급수된 세척수가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감지부가 플로트의 승강 궤적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승강 안내부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감지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할 수 있어서, 정확한 수위 감지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에 의해 감지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면서도, 세척조 내부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채용되는 플로트와, 전달 부재와, 감지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 채용되는 승강 안내부가 형성된 세척조의 부분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에서 플로트가 하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로트가 정상 수위 이하의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로트가 정상 수위를 넘는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세척조 112 : 승강 안내부
113 : 플로트 승강 홀 210 : 플로트
211 : 플로팅 몸체 212 : 연장부
213 : 가압 부재 214, 215 : 기체 가둠부
220 : 전달 부재 221, 223 : 걸림 돌기
222 : 피가압부 224 : 연결부
225 : 회전 축 227 : 단자 가압 돌기
230 : 감지부 232 : 단자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세척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
    상기 세척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세척조 내에서 과급수가 이루어지면, 과급수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 외부로 배출되는 과급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과급수 배출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안내부는 상기 세척조의 급수 수위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급수 배출 유로는 상기 플로트와 상기 승강 안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외벽 높이는 상기 승강 안내부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급수 배출 유로는 상기 감지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20070089682A 2007-09-04 2007-09-04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91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82A KR100910803B1 (ko) 2007-09-04 2007-09-04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CNB2007101609248A CN100542473C (zh) 2007-09-04 2007-12-15 洗碗机的水位感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82A KR100910803B1 (ko) 2007-09-04 2007-09-04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590A KR20090024590A (ko) 2009-03-09
KR100910803B1 true KR100910803B1 (ko) 2009-08-04

Family

ID=3940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682A KR100910803B1 (ko) 2007-09-04 2007-09-04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0803B1 (ko)
CN (1) CN100542473C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5764U (ko) * 1975-05-16 1976-11-24
KR0136456Y1 (ko) * 1996-02-15 1999-02-01 김광호 식기세척기용 수위감지장치
JP2004283563A (ja) 2003-12-18 2004-10-14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KR100749059B1 (ko) 2006-08-25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5764U (ko) * 1975-05-16 1976-11-24
KR0136456Y1 (ko) * 1996-02-15 1999-02-01 김광호 식기세척기용 수위감지장치
JP2004283563A (ja) 2003-12-18 2004-10-14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KR100749059B1 (ko) 2006-08-25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590A (ko) 2009-03-09
CN100542473C (zh) 2009-09-23
CN101176647A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587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KR101981679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US20100126235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llecting apparatus for leakage water
KR100856783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658845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가이드 체결 구조
KR100910803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105297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100749059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1866B1 (ko) 식기세척기
KR20090025626A (ko) 식기 세척기
KR20090114602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0863859B1 (ko) 식기 세척기
KR100844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26793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063B1 (ko) 수위 감지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0141764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장치
CN219846439U (zh) 一种清洗机
KR20130059701A (ko)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20100104561A (ko) 식기세척기
KR19980014796U (ko)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80006230A (ko) 수위감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0140595B1 (ko) 식기세척기용 이상수위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