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49B1 -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49B1
KR100909249B1 KR1020030007864A KR20030007864A KR100909249B1 KR 100909249 B1 KR100909249 B1 KR 100909249B1 KR 1020030007864 A KR1020030007864 A KR 1020030007864A KR 20030007864 A KR20030007864 A KR 20030007864A KR 100909249 B1 KR100909249 B1 KR 10090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
screen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71943A (en
Inventor
백원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249B1/en
Publication of KR2004007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에서 출력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주화면 처리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출력하는 부화면 처리부;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화면 처리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화면 처리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한 데이터 신호를 받아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화면 제어부; 상기 주화면 제어부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주화면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데이터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주화면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To this end,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multi-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means, and selectively outputs an externally input data signal by a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a controller. A switch unit; A main screen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s the data signal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A sub-screen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s the data signal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data signal, and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A main screen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data and outputs a data control signal; A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which receives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controller and output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 main screen gate driver for receiving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and outputting a gate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a main screen data driver for receiving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and outputting a dat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OF MULTI-MODE}Display device with a multi-mode function {DISPLAY APPARATUS OF MULTI-MODE}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a multi-mod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lti-mod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스위치부 10a : 주화면 스위치부10: switch unit 10a: main screen switch unit

10b : 부화면 스위치부 20 : 제어부10b: sub-screen switch unit 20: control unit

30 : 메모리부 40 : 디스플레이부30 memory unit 40 display unit

100 : 주화면 처리부 110 : 주화면 제어부100: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10: main screen control unit

120 :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 130 : 주화면 데이터 구동부120: main screen timing control unit 130: main screen data driver

140 : 주화면 게이트 구동부 200 : 부화면 처리부140: main screen gate driver 200: sub-screen processing unit

210 : 부화면 제어부 220 :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210: sub-screen control unit 220: sub-screen timing control unit

230 : 디멀티플렉서1(DEMUX1) 240 : 디멀티플렉서2(DEMUX2)230: Demultiplexer 1 (DEMUX1) 240: Demultiplexer 2 (DEMUX2)

250 :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 260 :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50: sub-screen data driver 260: sub-screen gate driv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중 모드 선택을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복 장착된 시스템의 공간소모를 줄일 수 있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multi-mode function that enables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multi-mode selection in a display apparatus and can reduce space consumption of a system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is redundantly installed.

최근 비디오 장치의 발전에 따라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통상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CRT 등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devices, products equipped with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s a display device that is commonly us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device (PDP), an electroluminescence (EL), a CRT, and the like are side by side.

그럼,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such a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in)를 받아 그래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 제어부(1)와, 상기 그래픽 제어부(1)에서 출력한 그래픽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2)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2)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4)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2)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3)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4)에서 출력한 게이트 구동 신호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3)에서 출력한 데이터 구동 신호를 받아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in)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로 구성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As shown in FIG. 1, a graphic controller 1 which receives an externally input image signal in and outputs a graphic control signal, and the graphic controller 1 A timing controller 2 receiving the output graphic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 gate driver 4 receiving the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2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gate driving signal; And a data driver 3 receiving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2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data driving signal, a gat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river 4, and the data driver 3. The display unit 5 receives the output data driving signal and displays an image signal in that is input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그래픽 제어부(1)에서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in)를 받아 데이터 처리하고, 그 처리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한 그래픽 제어신호를 출력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lated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graphic control unit 1 receives an image signal in input from the outside and processes the data, and outputs a graphic control signal for the processed image data signal.

타이밍 제어부(2)는 상기 그래픽 제어부(1)에서 출력한 그래픽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게이트 구동부(4)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2)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The timing controller 2 receives a graphic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graphic controller 1 and output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nd the gate driver 4 receives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2 and predetermined. Outputs a gate drive signal.

또한, 데이터 구동부(3)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2)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ata driver 3 receives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2 and outputs a predetermined data drive signal.

디스플레이부(5)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4)와 데이터 구동부(3)에서 각각 출력한 소정의 게이트 구동 신호와 데이터 구동 신호를 받아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5 receives a predetermined gate driving signal and a data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river 4 and the data driver 3, respectively, and displays an externally input image sign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장치가 필요한 시스템에서 별도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며, 그에 따른 전력 소모와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main display device in a system that requires a device to display additional display information, thereby ensuring power consumption and additional installation space There was a problem to be done.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기능별 효율적인 분배로 1개 또는 적은 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멀티모드 기능의 디스플레 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having a multi-mode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system by using only one or a small number of display devices with efficient distribution for each function in a system requir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요구하는 시스템을 1개 또는 적은 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multi-mode function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implementing a system requir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using only one or a small number of display devi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된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외부에서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한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받고, 그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주화면 처리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한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받고, 그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출력하는 부화면 처리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 소정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화면 처리부와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부화면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comprising a plurality of switching means, and inputs the input predetermined data signal from the outside A switch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 main scree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switch unit, processing the data signal for predetermined data, and outputting the predetermined data signal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A sub-screen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 predetermined data signal outputted from a switch unit, processes the data signal into a predetermined area, and outputs the data signal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predetermined switching control by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data signal. Outputs a signal and communicates predetermined data with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through.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mod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featur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소정의 데이터 신호(IN)를 외부에서 입력 된 소정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10)와, 상기 입력된 소정의 데이터 신호(IN)를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와, 상기 스위치부(10)에서 출력한 소정의 데이터 신호(IN)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주화면 처리부(100)와, 상기 스위치부(10)에서 출력한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일부 영역에 출력하는 부화면 처리부(200)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0)로 소정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화면 처리부(200)와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부화면 처리부(200)로 출력하는 제어부(20)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30)로 구성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mod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lectively outputs a predetermined data signal IN input by a predetermined switching control signal externally, as shown in FIG. The switch unit 10 to display the predetermined data signal IN on the whole or a partial region, and the predetermined data signal IN output from the switch unit 10. A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00 that receives the predetermined data and outputs it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40,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10 to process the predetermined data to display the display unit (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outputs to a part of the area 40,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data signal, and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Control unit 2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through a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and a memory unit 30 for sto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bout the data signal input to the display device do.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0)는 입력된 데이터 신호(IN)를 받아 상기 주화면 처리부(100)로 출력하는 주화면 스위치부(10a)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IN)를 받아 상기 부화면 처리부(200)로 출력하는 부화면 스위치부(10b)를 구비하여 구성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as shown in FIG. 2, the switch unit 10 receives an input data signal IN and outputs it to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00. The main screen switch unit 10a, and the sub-screen switch unit 10b for receiving the input data signal IN and outputting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are configured.

또한, 상기 주화면 처리부(100)는 상기 스위치부(10)에서 출력한 데이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화면 제어부(110)와, 상기 주화면 제어부(110)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120)와,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120)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하 는 주화면 게이트 구동부(140)와,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120)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하는 주화면 데이터 구동부(13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00 receiv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10 and outputs a predetermined data control signal,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main screen control unit 110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120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nd receives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120 to transmit a predetermined gate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40. A main screen data driver 130 for outputting a main screen gate driver 140 and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120 to output a predetermined dat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40; It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부화면 처리부(200)는 상기 스위치부(10)에서 출력한 데이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제어부(210)와, 상기 부화면 제어부(210)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220)와, 상기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220)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한 소정의 제어신호(CS1, CS2)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1(DEMUX1)(230), 디멀티플렉서2(DEMUX2)(240)와,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1(230)에서 출력한 소정의 데이터를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일부영역으로 소정의 데이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50)와,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2(240)에서 출력한 소정의 데이터를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일부영역으로 소정의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6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부화면 처리부는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receiv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10 and outputs a predetermined data control signal,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sub-screen control unit 210 A sub-screen timing controller 22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screen timing controller 220, and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CS1 output from the controller 20. And a demultiplexer 1 (DEMUX1) 230 and a demultiplexer 2 (DEMUX2) 240 for selectively outputting predetermined data by CS2), and a plurality of data drivers, and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1 230. A sub-screen data driver 25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data driving signal to a partial region of the display unit 40 and a plurality of gate drivers, and outputting the data from the demultiplexer 2 240. The sub-screen gate driver 260 is configured to receive a predetermined data and output a predetermined gate driving signal to a partial region of the display unit 40.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may configure one or more.

또한,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에서 출력한 전원을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제어한다. 즉, 입력된 데이터 신호가 주화면 스위치부(10a)로 입력되면 부화면 처리부(200)로 입력되는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부화면 스위치 부(10b)로 입력되면 주화면 처리부(100)로 입력되는 전원을 오프시킨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power output from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each uni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data signal. That is, when the input data signal is input to the main screen switch unit 10a, the power input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is turned off. When the data signal is input to the sub-screen switch unit 10b,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00 Turn off the power input.

그리고, 부화면 스위치부(10b)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50)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60)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디멀티플렉서1(230)과 디멀티플렉서2(240)에 의해 입력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받는 구동부에만 인가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0)의 영역1-1에 외부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표시할 경우 그 영역과 연결된 각 구동부, 즉,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1(SD1)과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1(SG1)에만 전원을 인가한다.When the data signal is input to the sub-screen switch unit 10b, the power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constituting the sub-screen data driver 250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260 is supplied to the demultiplexer 1 230 and the demultiplexer. It is applied only to the driver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input by 2 (240). For example, when an externally input data signal is displayed in the region 1-1 of the display unit 40 illustrated in FIG. 3, each driver connected to the region, that is, the sub-screen data driver 1 (SD1) and the sub-screen are displayed. The power is applied only to the gate driver 1 (SG1).

또한, 상기 일부영역에 해당하는 구동부에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부에서 출력한 전원을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각각의 구동부로 인가하면 되고, 상기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의 출력은 제어부(20)에서 출력한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power only to the driver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region,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pplied to each driver using two demultiplexers (not shown), and the outputs of the two demultiplexer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Is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utput from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모드(예를 들어, PC 모드, TV 모드, 라디오 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면, 그 선택한 모드에 대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mode among the modes (for example, PC mode, TV mode, and radio mod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 data signal for the selected mode is input.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디스플레이부(4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주화면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일부 영역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부화면 모드로 나누고, 상기 주화면 모드의 예로 PC 모드를 상기 부화면 모드의 예로 TV 모드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main screen mode for displaying using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40 and a sub-screen mode for displaying using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40, and the main screen mode. As an example, the PC mode will be described using the TV mode as an example of the sub picture mode.                     

먼저, 디스플레이부(4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는 주화면 모드인 PC 모드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PC 모드 버튼을 입력하면, 그 PC 모드에 대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20)에서 그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 즉, 주화면 모드와 부화면 모드를 구분할 수 있는 특정 데이터를 읽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IN)를 주화면 처리부(100)로 출력하기 위해 주화면 스위치부(10a)로 온(On)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부화면 스위치부(10b)로 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First, a PC mode that is a main screen mode using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40 will be described. When a user inputs a PC mode button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a data signal for the PC mode is inputted, and the controller In operation 20, the predetermined data included in the input data signal, that is, the specific data for distinguishing the main screen mode and the sub-screen mode is read, and the input data signal IN is output to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00. To this e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main screen switch unit 10a is output,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sub screen switch unit 10b.

그리고, 제어부(20)는 전원공급부에서 출력한 전원을 제어하여 부화면 처리부(200)를 구성하는 각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urn off the power applied to each unit constituting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200.

주화면 스위치부(10a)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받아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주화면 제어부(110)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main screen switch unit 10a receiv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and outputs the input data signal, and the main screen control unit 110 processes the data signal and outputs the data control signal.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주화면 제어부(110)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120 receives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controller 110 and output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된 데이터 신호(예를 들어, 영상신호)를 주화면 제어부(110)에서 R, G, B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고, 그 변환 처리된 R, G, B 데이터를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120)에서 받아 그 데이터에 대한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more detail, the main screen controller 110 converts the input data signal (for example, an image signal) into R, G, and B data, and converts the converted R, G, and B data into the main screen. The timing controller 120 receive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for the data.

주화면 데이터 구동부(130)는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120)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데이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주화면 게이트 구동 부(140)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소정의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한다.The main screen data driver 130 receives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120 and outputs a predetermined data driving signal, and the main screen gate driver 140 also receives the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the gate drive signal.

이때, 상기 주화면 데이터 구동부(130)와 주화면 게이트 구동부(140)에서 각각 출력한 구동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0) 전체 영역으로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40)에서 상기 각 구동부(130, 140)에서 출력한 데이터 구동 신호와 게이트 구동 신호를 받아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 신호(IN)를 표시한다.In this case, the driving signals output from the main screen data driver 130 and the main screen gate driver 140 are output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40, and the respective driving units 130 and 14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The data driving signal and the gat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display board receive the data signal IN.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0)의 일부 영역을 사용하는 부화면 모드인 TV 모드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부화면 모드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부(40)가 1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TV mode, which is a sub-screen mode using a part of the display unit 40, will be described below.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sub picture mode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display unit 40 includes 16 areas.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부화면 모드인 TV 모드를 선택하고, 장치의 OSD(On Screen Display)에서 각 화면 영역에 대한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그 설정된 채널 중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그럼, 상기 설정한 채널 및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제어부(20)를 통해 메모리부(30)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The user selects a TV mode, which is a sub-screen mode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sets a channel for each screen area in the OSD (On Screen Display) of the device. The channel to be watched is selected from the set channels. Then, the set information data about the channel and the display area are stored in the table in the memory unit 30 through the control unit 20.

이렇듯 사용자가 부화면 모드를 선택하고,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제어부(20)에서 입력되는 상기 채널에 대한 데이터 신호(IN)를 받아 그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화면 모드를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읽어 부화면 스위치부(10b)로 온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화면 스위치부(10a)로 오프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서 주화면 처리부(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As such, when the user selects a sub picture mode and selects a channel to be watched,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a data signal IN for the channel and reads data for distinguishing the screen mode included in the data signal.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sub-screen switch section 10b is output,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main screen switch section 10a. Then, the controller 20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00.

부화면 제어부(210)에서 상기 부화면 스위치부(10b)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받으면, 상기 제어부(2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그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 예를 들어, 채널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20)는 상기 부화면 제어부(21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채널 정보를 읽어 메모리부(30)에 기 저장된 채널 정보 및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어신호(CS1, CS2)를 출력한다.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원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채널을 표시하는 방법은 이 후 디멀티플렉서1(230)과 디멀티플렉서2(240)에 대한 동작에서 설명한다.When the sub-screen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sub-screen switch unit 10b, predetermined data included in the data signal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20, for example, channel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20. That is, the controller 20 reads channel information of the data signal input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ub-screen controller 210 and us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CS1 by using channel information and area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 CS2). A method of displaying a channel in a desired display area by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operations of the demultiplexer 1 230 and the demultiplexer 2 240.

또한, 부화면 제어부(210)에서 입력된 채널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220)는 상기 부화면 제어부(210)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sub-screen controller 210 processes the data signal for the input channel and outputs a data control signal, and the sub-screen timing controller 220 receives the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screen controller 210.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re output.

디멀티플렉서1(230)은 상기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220)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한 소정의 제어신호(CS1)에 의해 그 수신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50)를 구성하는 있는 네 개의 데이터 구동부(SD1, SD2, SD3, SD4) 중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로 출력한다.The demultiplexer 1 230 transmits the timing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sub-screen timing controller 220 to the sub-screen data driver by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CS1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0. The data is output to one of the four data drivers SD1, SD2, SD3, and SD4 constituting 250.

디멀티플렉서2(240)는 상기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220)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한 소정의 제어신호(CS2)에 의해 그 수신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60)를 구성하는 있는 네 개의 게이트 구동부(SG1, SG2, SG3 ,SG4) 중 하나의 게이트 구동부로 출력한다.The demultiplexer 2 240 outputs the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screen timing controller 220 to the sub-screen gate driver by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CS2 output from the controller 20. An output to one gate driver of four gate drivers SG1, SG2, SG3, and SG4 constituting 260 is performed.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0)에서 디멀티플렉서(230, 240)를 제어하기 위해 2비트 길이를 갖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신호 값이 '00'이면 첫번째 구동부(SD1, SG1)로, '01'이면 두번째 구동부(SD2, SG2)로, '10'이면 세번째 구동부(SD3, SG3)로, '11'이면 네번째 구동부(SD4, SG4)로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가 영역 1-4에 표시하고자 한다면, 제어부(20)에서 디멀티플렉서1(230)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는 '11'이고, 디멀티플렉서2(240)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는 '00'이 되어,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4(SD4)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1(SG1)이 구동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having a 2-bit length in order to control the demultiplexers 230 and 240. That is, if the control signal value is '00', the first driver SD1, SG1 is, if '01' is the second driver SD2, SG2, '10' is the third driver SD3, SG3, and '11' is The tim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fourth driving units SD4 and SG4. For example, if the input data signal is to be displayed in the areas 1-4,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to the demultiplexer 1 230 is '11'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o the demultiplexer 2 240 is At 00, the sub-screen data driver 4 SD4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1 SG1 are driven.

또한,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는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50)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60)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즉,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에 해당하는 구동부를 제외한 모든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킨다. 예를 들어, 영역 1-4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표시하고자 한다면, 제어부(20)에서 각 구동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4(SD4)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1(SG1)에 전원을 인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power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constituting the sub-screen data driver 250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260. That is, the power applied to all the driving units except for the dr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area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is turned off. For example, if a data signal input to the area 1-4 is to be displayed, the sub-screen data driver 4 (SD4) uses the power of two demultiplexers to supply power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ers constituting each driver in the controller 20. Power is applied to the sub-screen gate driver 1 (SG1).

여기서, 상기 각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디멀티플렉서1(230)과 디멀티플렉서2(2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동일하다.Here, the control signals input to the two demultiplexers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s are the same as the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demultiplexer 1 230 and the demultiplexer 2 240.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이 하나가 아닌 다수일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 1-1과 영역 1-2에 두개의 채널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각 채널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영역 1-1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먼저 표시하고, 영역 1-2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그 다음에 표 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to a case where a user wants to watch a plurality of channels instead of one. For example, if two channels are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1-1 and area 1-2, the data signal for each channel is sequentially received, the data signal for the area 1-1 is displayed first, and the area 1 is displayed. The data signal for -2 is then displayed. Then, this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상기 내용을 제어부(20)와 디멀티플렉서1(230) 그리고 디멀티플렉서2(240)를 이용하여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에서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를 받고,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채널 및 영역 정보를 읽어 소정의 제어신호, 예를 들어, '00'을 디멀티플렉서1(230)과 디멀티플렉서2(240)로 출력한다.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control unit 20, the demultiplexer 1 230, and the demultiplexer 2 240, and receive the predetermined data included in the data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20, and the memory unit 30. ) Reads channel and region information of the input data signal stored in the < RTI ID = 0.0 >) and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e.

또한, 전원을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50)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60)에 인가하기 위한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에도 상기와 같은 제어신호 '00'을 입력한다.The control signal '00' is also input to the two demultiplexers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screen data driver 250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260.

그럼, 상기 전원과 소정의 데이터를 받아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1(SD1)과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1(SG1)에서 각각 소정의 데이터 구동신호와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그 구동신호를 받은 디스플레이 영역 1-1에 상기 입력된 채널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Then, in response to the power and the predetermined data, the sub-screen data driver 1 SD1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1 SG1 output predetermined data driving signals and gate driving signals, respectively, and display area 1 receiving the driving signals. Outputs a data signal for the input channel at -1.

그리고, 연속해서 입력된 영역 1-2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영역 1-2에 출력하기 위해, 제어부(20)에서 디멀티플렉서1(230)로 제어신호 '01'을 출력하고, 디멀티플렉서2(240)로 제어신호 '00'을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control signal '01' to the demultiplexer 1 230 and outputs the demultiplexer 2 240 to the data signal for the continuously inputted area 1-2. Output the control signal '00'.

또한, 전원을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50)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260)에 인가하기 위한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에도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에 각각 제어신호 '01'과 '00'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s '01' and '00' are also output to the driving unit which applies power to the two demultiplexers for applying the power to the sub-screen data driver 250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260, respectively.

그럼, 상기 전원과 소정의 데이터를 받아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2(SD2)와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1(SG1)에서 각각 소정의 데이터 구동신호와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그 구동신호를 받은 디스플레이 영역 1-2에 상기 입력된 채널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Then, in response to the power and the predetermined data, the sub-screen data driver 2 (SD2) and the sub-screen gate driver 1 (SG1) output predetermined data driving signals and gate driving signals, respectively, and display area 1 receiving the driving signals. Outputs a data signal for the input channel at -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기능별 효율적인 분배로 1개 또는 적은 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system by using only one or a small number of display devices by efficient distribution for each function in a system requir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또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요구하는 시스템을 1개 또는 적은 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a system requir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using only one or a small number of display devices,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Claims (7)

다수의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에서 출력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A switch unit ha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means and selectively outputting an externally input data signal by a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주화면 처리부;A main screen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s the data signal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출력하는 부화면 처리부; 및A sub-screen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s the data signal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화면 처리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data signal, and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상기 주화면 처리부는,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한 데이터 신호를 받아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화면 제어부;A main screen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s a data control signal; 상기 주화면 제어부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A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which receives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controller and output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주화면 게이트 구동부; 및A main screen gate driver for receiving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and outputting a gate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상기 주화면 타이밍 제어부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받아 데이터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주화면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And a main screen data driver for receiving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creen timing controller and outputting a dat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unit,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화면 처리부로 출력하는 주화면 스위치부; 및A main screen switch unit for outputting the input data signal to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부화면 처리부로 출력하는 부화면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ub-screen switch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 data signal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한 데이터 신호를 받아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제어부;A sub-scree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s a data control signal; 상기 부화면 제어부에서 출력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받아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A sub-screen timing controller which receives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screen controller and outputs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상기 부화면 타이밍 제어부에서 출력한 타이밍 제어신호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1, 디멀티플렉서2;A demultiplexer 1 and a demultiplexer 2 for selectively outputting data based on a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screen timing controller and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1에서 출력한 데이터를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으로 데이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 및A sub-screen data driver having a plurality of data drivers and receiving data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1 and outputting a data driving signal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2에서 출력한 데이터를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으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ub-screen gate dr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data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2 and output a gate driving signal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처리부는 상기 부화면 데이터 구동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디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5.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demultiplexer configured to control power of a plurality of data driving units configuring the sub-screen data driver.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처리부는 상기 부화면 게이트 구동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디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demultiplexer for controlling power of a plurality of gate driving units constituting the sub-screen gate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처리부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기능의 디스플레이 장치.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is one or more.
KR1020030007864A 2003-02-07 2003-02-07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KR100909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864A KR100909249B1 (en) 2003-02-07 2003-02-07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864A KR100909249B1 (en) 2003-02-07 2003-02-07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943A KR20040071943A (en) 2004-08-16
KR100909249B1 true KR100909249B1 (en) 2009-07-27

Family

ID=3735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864A KR100909249B1 (en) 2003-02-07 2003-02-07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24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943A (en)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0036B2 (en) Television receiver that produces a contracted image
KR100753089B1 (en) A controling method of a video display system with muti signal source
KR1006624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EP0950944A3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CN104978919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121794A (en) Screen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ulti-display unit
US20040017519A1 (en) Wireless monitor cradle having a TV tuner
KR100909249B1 (en) Display device with multi-mode function
JPH05145973A (en) Programmable remote controller
JP3157757B2 (en) Digital signal switching device
KR1002206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ing a key signal of remote controller
KR100487559B1 (en) Pip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KR100995331B1 (en) Display device
KR100407951B1 (en) Double Faces Display with Plasma Display Panel
KR100514552B1 (en) Television having monitor control unit
KR20070087444A (en)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KR100495814B1 (en)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System
KR20020061402A (en) Moni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70017778A (en) Du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57589A (en) How to adjust the setting status of the display device
KR19980016863A (en) Portable computer with tuner
KR200249708Y1 (en) Digital display
KR19980015542A (en) Remote control system
KR0172010B1 (en) Lcd projection with function of switchover of charactor color
KR20070020122A (en) A controling method of a video display system with muti signal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