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444A -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444A
KR20070087444A KR1020060017856A KR20060017856A KR20070087444A KR 20070087444 A KR20070087444 A KR 20070087444A KR 1020060017856 A KR1020060017856 A KR 1020060017856A KR 20060017856 A KR20060017856 A KR 20060017856A KR 20070087444 A KR20070087444 A KR 2007008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de
screen
setting button
mode setting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444A/en
Publication of KR2007008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creen mode of a dual view monitor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easily to set up a screen mode by operating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creen mode of a dual view monitor comprises the followings: a video display unit(20) which is composed of two monitors which displays image information and are physically connected; a screen mode setting button(21) which selects a screen mode setting command to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video display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r more screen modes; a micom(microcomputer)(22) which generates a screen mod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and a main body(10) which controls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video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icom.

Description

듀얼 뷰 모니터 화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of a screen mode control apparatus of a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뷰 모니터를 보인 실시 예 도면.Figure 2 is an embodiment showing a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설정에 따른 출력화면 예.3 is an example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screen mode setting of the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본체 11, 23: USB 포트10: main body 11, 23: USB port

12: 응용프로그램 13: 그래픽카드12: Application 13: Graphics Card

13a: 제어부 13b, 13c: 영상신호출력부13a: control unit 13b, 13c: video signal output unit

20: 모니터 21: 화면모드 설정버튼20: Monitor 21: Screen Mode Setting Button

22: 마이컴 24, 25: 영상신호처리부22: micom 24, 25: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26, 27: LCD모듈26, 27: LCD module

본 발명은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니터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화면모드 설정버튼의 조작으로 영상정보를 두 개의 출력화면으로 선택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듀얼 뷰 모니터 화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mode of a dual view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view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d display image information on two output screens by operating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implemented in hardwa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screen mo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컴퓨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작업들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는 여러 개의 작업창을 열어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한정된 모니터 화면에서 여러 개의 작업창을 열어두고 작업하는 경우 일일이 작업창을 열고 닫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작업창을 열어두고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As tasks that can be performed using a computer increase, users often work with multiple task windows open. As such, when working with a plurality of work windows open on a limited monitor screen, the work windows open and close frequently. Therefore, when working with several work windows open,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두 가지 기술이 이용되었다.Two techniques have conventionally been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첫째는 화면이 큰 대형 와이드 모니터(wide monitor)를 사용하는 것이다. 와이드 모니터는 화면분리 기능을 가지므로, 복수 개의 영상신호를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게 한다.The first is to use a large wide monitor with a large screen. Since the wide monitor has a screen separation function,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can be output at the same time.

둘째는, 하나의 PC에 두 대의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PC에 두 대의 모니터가 연결하고, 운영체제상에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환경을 각각 설정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모니터에 서로 다른 화면이 각각 출력되게 하고자 하면 화면모드를 듀얼 뷰 모드로 설정한다. 또는, 같은 화면이 두 개의 모니터에 각각 출력되도록 하려면 운영체제상에서 화면모드를 밀러 뷰 모드로 설정한다.The second is to connect two monitors to one PC. Two monitors are connected to one PC, and each monitor's display environment is set in the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if you want to display different screens on two monitors, set the screen mode to dual view mode. Or, if you want the same screen to be displayed on two monitors, set the screen mode to Miller view mode on the operating system.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와이드 모니터는 액정을 크게 제작해야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드 모니터는 액정크기에 따라 가격 증가폭도 증가하여 고가이다.First, wide monitors have to produce large liquid crystals, thereby increasing production costs. Therefore, wide monitors are expensive due to the increase in price depending on the size of liquid crystals.

그리고, 듀얼 모니터는 와이드 모니터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지만, 두 개의 모니터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은 일반사용자가 처리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화면모드 설정시마다 PC의 운영체제상에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dual monitors are less expensive than wide monitors, but installing and configuring two monitors is difficult for general users to handle. And every time the screen mode is set, there is a hassle to set 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C.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본체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화면모드 설정버튼을 모니터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모니터의 화면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뷰 모니터 화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ual-view monitor to implement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main body in the monitor hardwa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t the screen mode of the moni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mo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는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두 개의 모니터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영상표시부;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화면모드 설정명령을 선택하는 화면모드 설정버튼;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화면모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그리고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부로의 영상정보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creen mode control apparatus of the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consisting of two monitors that are physically connected to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for selecting a screen mode setting command to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one or more screen modes; A microcomputer generating the screen mod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And a main bod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computer.

상기 화면모드는 밀러 뷰 모드, 듀얼 뷰 모드, 와이드 뷰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mode may be divided into a Miller view mode, a dual view mode, and a wide view mode.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은 조작시 상기 화면모드가 순차적으로 지정되는 원터치형태의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may be a one-touch button in which the screen mode is sequentially designated during operation.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각각 구비된다.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s are provided with buttons for selecting the one or more screen modes, respectively.

상기 본체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상기 본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응용프로그램;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영상신호출력부와 제2영상신호출력부로 구성되는 영상신호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computer to be recognized by the main body;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command of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an image signal output unit including a first image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image signal output unit respectively outputting image signal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방법은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화면모드 설정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화면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모니터에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mode of a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one or more screen modes;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switch to the set screen mode according to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input; And displaying an image signal on two monitors that are phys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을 조작시마다 상기 화면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mode is sequentially changed every time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is operated.

상기 화면모드는 밀러 뷰 모드, 듀얼 뷰 모드, 와이드 뷰 모드인 것을 특징 으로 한다.The screen mode may be a mirror view mode, a dual view mode, or a wide view mod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화면모드 설정버튼을 통해 화면모드 설정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creen mode setting can be conveniently changed through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implemented in hardwar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뷰 모니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mode control apparatus of a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화면모드 설정명령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컴퓨터 본체(이하, "본체"라 함)(1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0)로 구성된다.A computer main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10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creen mode setting command and a monitor 20 for displaying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상기 모니터(20)와 데이터 통신하는 제 1 USB 포트(11)와 상기 제 1 USB 포트(11)를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를 상기 본체(10)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응용프로그램(12)을 구비한다.The main body 10 has a form in which the main body 10 can recognize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USB port 11 and the first USB port 11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 20. An application 12 for converting is provided.

상기 응용프로그램(12)은 변환한 제어신호를 그래픽카드(13)로 전송된다. 상기 그래픽카드(13)는 상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부(13a)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영상신호 출력부(13b, 13c)로 구성된다.The application program 12 transmits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graphics card 13. The graphics card 13 includes a controller 13a for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 first and second video signal for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It consists of output parts 13b and 13c.

상기 모니터(20)는 화면모드 설정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을 구비한다.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은 기 설정된 화면모드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도록 원터치식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화면모 드가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설정된다.The monitor 20 has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for inputting a screen mode setting command.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may be configured as a one-touch button to sequentially set a preset screen mode. For example, the screen mode shown in FIG. 3 is sequentially switched and se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마이컴(22)는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후술되는 제 2 USB 포트(23)를 통해 상기 본체(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USB 포트(23)는 상기 본체(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환경을 제공한다.The microcomputer 22 having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as an input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econd USB port 23 described later. do. Here, the second USB port 23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10.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출력부(12, 13)의 출력을 각각 입력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처리부(24, 25)는 영상신호를 샘플링 및 스케일링 등 일련의 신호처리를 통해 출력한다.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s 24 and 25, which respectively output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 output units 12 and 13, output the image signal through a series of signal processing such as sampling and scaling. do.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처리부(24, 25)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 제 1 및 제 2 LCD 모듈(26, 27)은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LCD 모듈(26, 27)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 모듈(26, 27)의 일측면이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CD 모듈(26, 27)의 물리적인 연결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and second LCD modules 26 and 27 that receive the imag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s 24 and 25 display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LCD modules 26 and 27 ar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LCD modules 26 and 27 are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physical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LCD module (26, 27) is a known techniqu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뷰 모니터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al view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의 조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22)로 인가되고, 상기 마이컴(22)은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신호는 USB 포트(11, 23)를 통해 응용프로그램(12)으로 전송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12)는 수신한 제어신호를 그래픽카드(13)의 제어부(13a)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한다. 상기 변환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3a)는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출력부(13b, 13c)의 출력형태를 제어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출력부(13b, 13c)는 상기 제어부(13a)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영상신호를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처리부(24, 25)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신호처리부(24, 25)는 상기 영상신호를 샘플링 및 스케일링 등의 일련의 영상신호처리를 통해 제 1 및 제 2 LCD모듈(26, 27)에 표시한다.When a signal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it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22, and the microcomputer 22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12 via the USB ports 11 and 23. The application program 12 converts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13a of the graphic card 13. According to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13a controls the output forms of the first and second video signal output units 13b and 13c.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 output units 13b and 13c transmit respective image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s 24 and 25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a.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s 24 and 25 display the image signal on the first and second LCD modules 26 and 27 through a series of image signal processing such as sampling and scaling.

그와 같이 상기 LCD모듈(26, 27)에 영상신호를 표시함에 있어,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 입력에 따라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As such, in displaying the image signals on the LCD modules 26 and 27,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which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이 한번 조작시마다 밀러 뷰 모드, 듀얼 뷰 모드, 와이드 뷰 모드를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의 첫번째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13a)는 밀러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을 상기 LCD모듈(26, 27)에 각각 표시한다.When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is set to support the Miller view mode, the dual view mode, and the wide view mode at each operation, the control unit 13a performs the Miller view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on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perate in mode. As shown in Fig. 3A, one screen is displayed on the LCD modules 26 and 27, respectively.

두번째 조작시, 상기 제어부(13a)는 모니터(20)가 듀얼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문서작업과 웹서핑을 동시에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모드를 도 3(b)에 도시한 듀얼 뷰 모드로 전환한다.In the second operation, the controller 13a controls the monitor 20 to operate in the dual view mode. For example, when the document work and the web surfing are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mode is switched to the dual view mode shown in FIG.

세 번째 조작시, 상기 제어부(13a)는 모니터(20)가 와이드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영화를 보는 경우에는 하나의 영상화면을 2개로 분배하여 일부는 제 1 LCD모듈(26)로 출력하고 다른 일부는 제 2 LCD모듈(27)로 출력하여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한다.In the third operation, the control unit 13a controls the monitor 20 to operate in the wide view mo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watching a movie, one image screen is divided into two, partly outputted to the first LCD module 26, and partly outputted to the second LCD module 27, as shown in FIG. 3 (c). As one screen displays.

한편, 원터치식 화면모드 설정버튼에 한정 설명하고 있지만 화면모드 수에 따라 각각 버튼을 구비하고, 각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동작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21)은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각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a)(b)(c)와 같이 화면모드가 3종류이면, 모니터의 소정 위치에 상기 3개의 화면모드를 설정할 각각의 설정버튼(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only one-touch screen mode setting buttons are described, the button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creen modes,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21 may be provided with respective buttons for selecting one or more screen modes. For example, if there are three types of screen modes as shown in Figs. 3A, 3B and 3C, respective setting buttons (not shown) for setting the three screen mode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monitor.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20)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손쉽게 화면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 다중작업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mode can be easily switched by operating a butt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onitor 20, and a plurality of screens can be displayed, thereby enabling multitasking.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화면모드 설정버튼을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화면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by implementing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in hardware, the user can easily set the screen mode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그리고, 여러 개의 작업창을 동시에 열어두고 서로 비교분석하는 다중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allowing multiple tasks to be opened simultaneously and compared and analyzed.

Claims (8)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두 개의 모니터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영상표시부;An image display unit configured to physically connect two monitors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화면모드 설정명령을 선택하는 화면모드 설정버튼;A screen mode setting button for selecting a screen mode setting command to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one or more screen modes;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화면모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그리고A microcomputer generating the screen mod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And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부로의 영상정보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And a main body for controlling output of image information to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면모드는 밀러 뷰 모드, 듀얼 뷰 모드, 와이드 뷰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And the screen mode is divided into a mirror view mode, a dual view mode, and a wide view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은 조작시 상기 화면모드가 순차적으로 지정되는 원 터치형태의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is a screen mode control apparatus of a dual view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touch type button is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screen mode during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And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selecting the one or more screen mode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상기 본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응용프로그램;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computer to be recognized by the main body;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부; 그리고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command of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영상신호출력부와 제2영상신호출력부로 구성되는 영상신호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장치.And a video signal output unit comprising a first video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video signal output unit respectively outputting video signal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하나 이상의 화면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etting at least one screen mode; 화면모드 설정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화면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신 호를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switch to the set screen mode according to a screen mode setting button input; And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모니터에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방법.And displaying an image signal on two monitors that are phys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화면모드 설정버튼을 조작시마다 상기 화면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방법.And the screen mode is sequentially changed every time the screen mode setting button is operat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화면모드는 밀러 뷰 모드, 듀얼 뷰 모드, 와이드 뷰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뷰 모니터의 화면모드 제어방법.And the screen mode is a mirror view mode, a dual view mode, and a wide view mode.
KR1020060017856A 2006-02-23 2006-02-23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KR200700874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856A KR20070087444A (en) 2006-02-23 2006-02-23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856A KR20070087444A (en) 2006-02-23 2006-02-23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44A true KR20070087444A (en) 2007-08-28

Family

ID=3861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856A KR20070087444A (en) 2006-02-23 2006-02-23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744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20200129631A (en) 2019-05-09 2020-11-18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multi-moni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20200129631A (en) 2019-05-09 2020-11-18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multi-moni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456B2 (en) On-screen display systems
US20070200858A1 (en) KVM switch and a computer switching method
WO2006112873A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s
KR100381422B1 (en) Computer system and osd controlling methode therof
JP200724947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828624B1 (en) Share apparatus of input/output device and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300948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JP2003211799A5 (en)
KR101708441B1 (en) The Multi-Connecting Display Device
KR20070087444A (en)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screen mode of dual view monitor
AU2017338476A1 (en) Touch scree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42643A (en) Sharing devices to synchronize the external image and input device
CN110737492A (en) Operation method and related operation system
KR20100052396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882673A (en) Collage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1100231A (en) Switching device, display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7016299A (en) Console system
KR200434598Y1 (en) Share apparatus of input/output device and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756674B1 (en) Computing system for using a numerous monitor
KR20200128979A (en) KVM switching apparatus used in monitor with PBP function
KR20030017721A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8884B1 (en) Network Monitor and the controlling
KR20010057334A (en) Graphic adaptor including double output ports
KR20200129606A (en) A display switching system for touch monitor
JPH10240213A (en) Video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