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03B1 -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03B1
KR100908503B1 KR1020080073487A KR20080073487A KR100908503B1 KR 100908503 B1 KR100908503 B1 KR 100908503B1 KR 1020080073487 A KR1020080073487 A KR 1020080073487A KR 20080073487 A KR20080073487 A KR 20080073487A KR 100908503 B1 KR100908503 B1 KR 10090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signal
size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화
Original Assignee
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일 filed Critical 한상일
Priority to KR102008007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카오디오(Car Audio),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음원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부와;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설정된 비율로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에서 축소된 음원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용 음향증폭장치로 송신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은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 후 증폭하여,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하므로, 상기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가 상기 축소되어 증폭된 음원신호를 다시 한 번 증폭하더라도 상기 음원신호의 감쇄없이 사용자가 좋은 음질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음원신호, 가변저항, 증폭, 앰프, amp

Description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sound source control}
본 발명은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생된 음원신호를 처음 발생된 음원신호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하여 증폭한 후, 상기 축소된 음원신호를 자동차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하여 다시 한 번 증폭함으로써, 상기 음원신호에 대한 증폭을 두 번 수행하더라도 사용자가 음원을 손상없이 청취하는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차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자동차는 부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빠른 이동이 필요한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어버린 것이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 많아짐에 따라, 자동차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구비되는 다양한 제품들이 속속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게 되었다. 대표적인 제품이 카 오디오(Car audio),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 또는 이러한 독립적 기능을 하는 하나의 제품을 자동차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카오디오, 차량용 네비게이션, DMB 수신기 또는 각각의 기능을 하는 외부기기를 차량용 스피커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원신호가 차량용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상기 음원신호의 일부가 감쇄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카오디오, 차량용 네비게이션, DMB 수신기 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기기 내에 포함된 증폭부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된 음원신호가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를 거쳐 또 한 번 증폭된다. 이 때, 상기 외부기기의 증폭부로 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음원신호가 상기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입력되기 전, 오디오링크가 상기 음원신호 중 고주파 또는 저주파에 해당하는 음원신호의 일부를 일괄적으로 감쇄시킨다. 이에 따라 감쇄된 음원신호는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입력되고, 상기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는 감쇄된 음원신호를 또 한 번 증폭한 후, 외부로 출력한다.
결국 사용자는 도 4의 네 번째 그래프와 같이 감쇄된 음원신호를 증폭한 음원을 청취하게 되므로, 상기 외부기기에서 발생되는 원래의 음원신호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에 해당하는 음원신호는 감쇄되므로 사용자가 좋은 음질의 음원을 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서 본 발명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은 음원신호를 축소시켜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하므로, 사용자가 음원을 감쇄없이 청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카오디오(Car Audio),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음원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부와;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설정된 비율로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에서 축소된 음원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용 음향증폭장치로 송신하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는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에 대한 축소크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부로 송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는 온오프 및 저항값 제어가 가능하여 상기 수신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는 가변저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카오디오(Car Audio),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음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를 수신된 음원신호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제어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단계에서 축소된 음원신호를 증폭하고, 차량용 음향증폭장치로 송신하는 증폭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은 상기 제어신호생선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음원신호의 축소크기를 입력받는 축소크기입력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은 온오프 및 저항값이 제어가능한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며, 프로세서에서 상기 가변저항을 제어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은 발생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 후 증폭하여,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하므로, 상기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가 상기 축소되어 증폭된 음원신호를 다시 한 번 증폭하더라도 상기 음원신호의 감쇄없이 사용자가 좋은 음질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는 프로세서부(100)와 음원신호크기제어부(200)와 증폭부(300) 및 사용자입력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부(100)는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200)는 카오디오(Car audio), 네비게이션(Navigat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및 DVD 플레이 기능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음원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음원신호를 상기 증폭부(300)로 송신한다.
상기 증폭부(300)는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200)로부터 축소된 음원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음원신호를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신호의 축소크기를 입력받는다. 이 때,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음원신호의 축소크기 범위는 -10dB부터 -40dB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은 카오디오(Car audio), 네비게이션(Navigat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및 DVD 플레이 기능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음원신호가 입력된다(S501).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신호를 축소하고자 하는 크기를 수신한다(S502). 보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 상기 축소하고자 하는 음원신호의 크기는 -10dB부터 -40dB중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로부터 축소하고자 하는 음원신호의 크기를 입력 받은 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음원신호를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된다(S503).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축소크기만큼 상기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고(S504), 상기 축소된 크기를 갖는 음원신호를 증폭한다(S505).
상기 증폭된 음원신호를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와 연결된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한다(S506).
결국 차량용 스피커 내부의 증폭부로 입력된 음원신호를 또 한 번 증폭하고,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좋은 음질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음원신호에 대해 도 3에 나타난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오디오(Car audio), 네비게이션(Navigat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및 DVD 플레이 기능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원신호는 첫 번째 그래프와 같 이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음원신호에 대한 축소크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축소크기 만큼 상기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면, 두 번째 그래프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소된 음원신호는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내부에 포함된 증폭부로 입력되어,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다. 이 때,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음원신호는 세 번째 그래프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내부에 포함된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음원신호에 있어서, 고주파 또는 저주파에 해당하는 일부 음원신호에 대한 감쇄없이 차량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스피커 증폭부는 감쇄없이 증폭된 음원신호를 수신하고 재증폭한다. 이 때, 재증폭된 음원신호는 네 번째 그래프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원신호가 처음 생성되었을 때의 원신호 그대로 증폭되므로, 사용자는 감쇄없는 원신호 그대로 증폭된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좋은 음질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은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 후 증폭하여, 자동차용 스피커의 증폭부로 송신하므로, 상기 자동차용 스피커의 증폭부가 상기 축소 후 증폭된 음원신호를 다시 한 번 증폭하더라도 상기 음원신호의 감쇄없이 사용자가 좋은 음질의 음원을 청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 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 중 음원신호의 크기변화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원신호의 크기변화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로세서부 200: 음원신호크기제어부
300: 증폭부 400: 사용자입력부

Claims (6)

  1. 음원증폭기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카오디오(Car Audio),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음원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부와;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를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에서 축소된 음원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용 음향증폭기로 송신하는 증폭부 및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에 대한 축소크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부로 송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부는 온오프 및 저항값 제어가 가능하여 상기 수신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는 가변저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네비게이션(Navigation), 카오디오(Car Audio),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음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를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하는 음원신호크기제어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음원신호의 축소크기를 입력받는 축소크기입력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제어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단계에서 축소된 음원신호를 증폭하고, 차량용 음향증폭장치로 송신하는 증폭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신호크기제어단계는 온오프 및 저항값이 제어가능한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수신된 음원신호의 크기를 축소하며, 프로세서에서 상기 가변저항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원신호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80073487A 2008-07-28 2008-07-28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0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87A KR100908503B1 (ko) 2008-07-28 2008-07-28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87A KR100908503B1 (ko) 2008-07-28 2008-07-28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503B1 true KR100908503B1 (ko) 2009-07-22

Family

ID=4133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487A KR100908503B1 (ko) 2008-07-28 2008-07-28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5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050A (ko) * 1996-12-11 1998-09-15 임경춘 자동차용 오디오의 초기신호 여과장치 및 방법
KR20060098140A (ko) * 2005-03-09 2006-09-18 주식회사 신흥정밀 차량 에이브이기기용 자동 볼륨조절장치
JP2006262181A (ja) * 2005-03-17 2006-09-28 Alpine Electronics Inc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KR200440416Y1 (ko) * 2008-03-06 2008-06-12 종 선 박 카오디오 시스템용 오디오링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050A (ko) * 1996-12-11 1998-09-15 임경춘 자동차용 오디오의 초기신호 여과장치 및 방법
KR20060098140A (ko) * 2005-03-09 2006-09-18 주식회사 신흥정밀 차량 에이브이기기용 자동 볼륨조절장치
JP2006262181A (ja) * 2005-03-17 2006-09-28 Alpine Electronics Inc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KR200440416Y1 (ko) * 2008-03-06 2008-06-12 종 선 박 카오디오 시스템용 오디오링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2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active noise reduction
EP2494792B1 (en)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WO2015192711A1 (zh) 拾音装置及拾音方法
US20050013443A1 (en) Audio correcting apparatus
KR20150008471A (ko) 적응형 잡음 제거(anc)를 갖는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들에서 주파수 및 방향 의존 주변의 사운드 조절
JP2009541144A (ja) エンジン速度決定アクティブ雑音減少
US99800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balance between frequency components of an audio signal
US20150092951A1 (en) Headphone with active noise cancelling and auto-calibration method thereof
CN101690258A (zh) 使用单个声源的人体声音传输系统及方法
US2019007399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158254A (ja) 音響装置
US9628907B2 (en) Audio device and method having bypass function for effect change
US20200043510A1 (en) Noise elimination device, noise elimination method, and noise elimination program
US20200389726A1 (en) Low-latency compensating audio filters using negative group delay
KR101625455B1 (ko) 단말에 포함된 전압 공급 회로
JP6283890B1 (ja) 騒音スペクトル分布検出方法と対騒音音量音質制御方法
KR100908503B1 (ko) 차량용 음원신호제어장치 및 방법
US10726873B2 (en) Polymorphic playback system with signal detection filters of different latencies
US9161127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9025793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circuit
US20090220106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5175772A (ja) 音響再生装置
JP2016134645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5526832B2 (ja) ラジオ受信装置
JP2007173967A (ja) ディジタル音声放送受信機及び擬似ノイズ付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