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451B1 -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51B1
KR100908451B1 KR1020070101961A KR20070101961A KR100908451B1 KR 100908451 B1 KR100908451 B1 KR 100908451B1 KR 1020070101961 A KR1020070101961 A KR 1020070101961A KR 20070101961 A KR20070101961 A KR 20070101961A KR 100908451 B1 KR100908451 B1 KR 10090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tank
oxygen supply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6747A (en
Inventor
유성열
Original Assignee
유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열 filed Critical 유성열
Priority to KR102007010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51B1/en
Publication of KR2009003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15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natural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성이 향상된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부에 구비된 흡입판이 수조의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위치되며, 펌프에서 제공된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흡입판을 통해 유입하여 상향으로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수조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배출된 물이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후 아래로 흐르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수평하게 고정된 필터가 다층으로 구비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측과 상측으로 교번하여 이동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되도록 구획된 유로가 형성되어 물에 존재하는 고형유기물 및 수용성 유기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조; 그리고 상기 여과조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여과조에서 흘러넘친 물이 고인 후 다시 넘쳐흘러 상기 수조로 낙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여러 단의 낙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d us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so that the suction plate provided at one end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he transfer pipe for flowing the water of the water tank through the suction plate by the suction pressure provided from the pump to convey upwardly; A filter unit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the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horizontally fixed to filter foreign matters while flowing down aft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filter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and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is increased by alternately mov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unit to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olid organic matter and the water-soluble organic matter present in the water are formed. A filter tank for filtering out substances; And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tank provides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downfall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er tank overflows and falls back into the water tank.

정수장치, 산소공급장치, 양식조, 양식어, 용존산소, 여과재 Water Purifier, Oxygen Supply Unit, Aquaculture Tank, Aquaculture Fish, Dissolved Oxygen, Filter Media

Description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water purification and oxygen supply system}Water purification and oxygen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성이 향상된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d usability.

일반적으로, 물고기를 인공적으로 기르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식조에는 양식어가 양식될 수 있도록 적당한 양과 질의 물(담수 또는 해수)과 사료가 공급되어 진다.In general, aquaculture tanks used to artificially raise fish are supplied with a suitable amount and quality of water (fresh water or seawater) and feed for farmed fish.

따라서, 양식조에는 양식조 내의 양식어 배설물과 사료 찌꺼기 등이 지속적으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에 따라 양식조의 물이 혼탁해지고 물속의 용존 산소가 모자라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미생물의 다량 증식으로 양식어에 질병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마다 양식조 내의 물을 어느 정도 빼낸 다음 바닥을 청소한 후 물을 다시 보충하거나, 지속적으로 새로운 깨끗한 물을 공급해야 한다.Therefore, in the culture tanks, fish droppings and food wastes in the tanks are continuously sinked. As a result, the water in the tanks becomes turbid,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is insufficient, or the large amount of undesired microorganisms causes disease in fish.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drain some of the water in the culture tank at regular intervals, clean the bottom and replenish the water, or continuously supply fresh water.

이때, 양식조 내의 물을 한꺼번에 교체함에 따라서 수온이 떨어지게 되고, 양식어를 다른 장소로 옮겼다가 다시 넣게 되는 과정에서 양식어가 스트레스를 받아 발육이 늦어지고 양식어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water temperature is dropped by replacing the water in the culture tank at once, the cultured fish is stress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ultured fish back to another place, and the growth is slow and the quality of the farmed fish falls.

한편, 최근에 지구상의 수산자원이 고갈되고, 고급어종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면서 담수 및 해수어의 양식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recent depletion of global fisheries and the demand for high-quality fish, the farming of freshwater and saltwater fish has increased.

그러나,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양식조에 양식어가 밀도 높게 사양되고, 그에 따라 양식어 배합사료량도 과잉에 가까울 정도로 공급되어짐으로써 양식어들이 먹고 남긴 배합사료 자체에 의한 수질 혼탁뿐만 아니라, 과밀된 양식어들에 의한 배설물로 인하여 양식조 내의 수질이 아주 빠르게 오염되게 되었다.However, the cultured fish is densely specified in the culture tank formed in a certain space, and thus, the amount of the mixed fish is also supplied to the excess so that the fish farms, as well as the water turbidity caused by the foods left by the fish, are overcrowded. Due to the excreta, the water quality in the tanks was very quickly contaminated.

그리고, 이러한 수질혼탁은 유해 미생물을 발생시켜 다양한 어병(魚病)을 발생시키고, 양식어에 적합한 수중의 용존산소농도 유지를 어렵게 하여 양식어의 성장발육이 불균일해지므로 양식어의 품질도 떨어지고 폐사율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water turbidity causes harmful microorganisms to cause various fish disease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in the water suitable for farmed fish, resulting in uneven growth and development of farmed fish, resulting in poor quality and mortality.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ncreases.

또한, 양식조의 수질 개선을 위해 실시되는 양식조의 물 방류로 인해 양식장 외부수역의 수질오염이 발생하고, 양식어량의 과다로 인하여 양식조 내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와 같은 장치에 소요되는 전력량이 증가하는 등, 그 유지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ater pollution of the aquaculture tanks is caused by the discharge of aquaculture tank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aquaculture tank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is difficult, such as increa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성이 향상된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d us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부에 구비된 흡입판이 수조의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위치되며, 펌프에서 제공된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흡입판을 통해 유입하여 상향으로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수조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배출된 물이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후 아래로 흐르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수평하게 고정된 필터가 다층으로 구비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측과 상측으로 교번하여 이동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되도록 구획된 유로가 형성되어 물에 존재하는 고형유기물 및 수용성 유기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조; 그리고 상기 여과조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여과조에서 흘러넘친 물이 고인 후 다시 넘쳐흘러 상기 수조로 낙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여러 단의 낙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so that the suction plate provided at one end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of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late and conveyed upward by the suction pressure provided from the pump. Transfer pipe; A filter unit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the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horizontally fixed to filter foreign matters while flowing down aft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filter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and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is increased by alternately mov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unit to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olid organic matter and the water-soluble organic matter present in the water are formed. A filter tank for filtering out substances; And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tank provides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downfall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er tank overflows and falls back into the water tank.

여기서, 상기 낙수부는 상기 여과조에서 흘러넘친 물이 고인 후 다시 넘쳐흐를 수 있도록 상기 낙수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형상이 오목하게 라운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ripp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cave roun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p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er tank overflows again.

그리고, 상기 각 낙수부의 사이에는 상기 여과조로부터 흘러넘친 물에 존재하는 미립자 또는 수용성 영양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미생물 이 자랄 수 있는 여러 층의 부착망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icroorganisms are provided with a multi-layer attachment network between the respective dripping parts so that the microorganisms can be adsorbed by the microorganisms so that the microparticles or water-soluble nutrients present in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ration tank.

또한, 상기 여과조는 상기 여과조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하향 이동시키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구획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향 이동시켜 외부로 넘치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ltration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portion downward, an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member,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scharge portion to move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partition member upward to overflow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여과재는 활성탄, 식물성 섬유, 톱밥, 소결규조토 그리고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독 및 혼합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medium is preferably made of at least one of activated carbon, vegetable fiber, sawdust, sintered diatomaceous earth, and zeolite alone and mixed.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별도의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양식조 내의 물이 필터부와 여과조를 통과하면서 물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고형 및 수용성 유기물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이 다시 양식조에 낙하되어 공급될 때 낙하되는 물과 함께 산소가 공급될 수 있어 별도의 산소공급기가 없이도 용존산소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as the water in the culture tank passes through the filter section and the filter tank without wasting extra manpower and time, re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solid and water-soluble organic matter present in the water can be achieved. Oxygen can be supplied together with the water falling when it is supplied dropping to maintain the dissolved oxygen amount without a separate oxygen supply.

둘째, 양식조 내의 물이 필터부와 여과조를 거쳐 정화된 후 상기 양식조로 순환됨으로써, 양식어를 다른 장소로 옮기거나 양식조 내의 물을 빼내어 바닥을 청소한 후 다시 물을 보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Second, the water in the culture tank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 unit and the filtration tank, and then circulated to the culture tank, whereby the fish must be relocated to another place, or the water must be removed from the culture tank to clean the bottom, and then replenish water. The roam can be eliminated.

셋째, 양식조 내의 물을 한꺼번에 교체하지 않고서도 정화가 가능하므로 물을 한꺼번에 교체함에 따라 수온이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양식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양식어의 발육과 어종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Third, since it is possible to purify without replacing the water in the culture tank at once, the water temperature is prevented by changing the wat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sh can not be stressed, so the development of fish and the quality of fish can be improved. .

넷째, 특히 겨울에는 교체 수(水)량이 대폭 절감되므로 양식조의 수온유지를 위한 가열에너지 또한 대폭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Fourth, since the amount of replacement water is greatly reduced, especially in winter, the heating energy for maintaining the water temperature of aquaculture tanks can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는 이송관(20), 필터부(30), 여과조(40), 낙수부(50) 그리고 부착망(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20)의 일단부는 수조(10)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펌프(25)에서 제공된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10)의 물은 상기 이송관(20)으로 유입되어 상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이송관(20)의 타단부는 상기 수조(10)의 상측에 위치된 상기 필터부(30)의 유입구(31)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타단부를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필터부(30)로 유입된 후 상기 필터부(30)를 통과하면서 입자도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필터부(30)의 하측과 연결된 상기 여과조(40)를 통과하면서 물에 존재하는 입자도가 작은 고형유기물이 걸러지게 되며, 상기 여과조(40)의 외측으로 넘친 후 상기 여과조(40)의 외측에 다층으로 구비된 낙수부(50)로 이동하게 됨이 바람직 하다. 이때, 상기 각 낙수부(50)의 사이에는 부착망(70)이 구비되어 물에 존재하는 미립자 또는 수용성 영양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흡착되어 깨끗해진 후에 다시 상기 수조(10)로 낙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조(10) 내의 물의 오염물질의 제거와 산소의 공급이 가능해지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omprises a transfer pipe 20, the filter unit 30, the filtration tank 40, the downpour 50 and the attachment network 70 desirable. Here, one end of the transfer pipe 2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the water of the water tank 10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pipe 20 by the suction pressure provided from the pump 25 is upward Is transferred to.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is positioned to face the inlet 31 of the filter unit 30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is the filter unit After entering the 30, the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tank 4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30 to filter out the solid organic matter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present in the water, and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After overflowing with the water, it is preferable to move to the drip unit 50 provided in multiple layers on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At this time, the attachment network 70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drip 50, the fine particles or water-soluble nutrients present in the water is adsorbed by the microorganisms and can be dropped back to the water tank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ollutants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and to supply oxygen.

상세히, 수조(10)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25)가 연결된 이송관(20)의 하단부가 잠기는데, 이때, 상기 이송관(20)의 하단부는 상기 수조(10)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to which the pump 25 providing suction power is locked to the water tank 10 is locked,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is positioned to be close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 Is preferred.

이를 통하여, 상기 펌프(25)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상기 이송관(20)에 제공되면, 상기 이송관(20)의 하단부를 통해서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양식어의 배출물 및 사료 찌꺼기 등이 유입되게 된다.Through this, when the pump 25 is operated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the transfer pipe 20, the discharge and feed of the farmed fish san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10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Leftovers, etc. will flow.

여기서, 양식어의 배출물 및 사료 찌꺼기의 보다 원활한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조(10)의 바닥을 향해 확대된 형상의 흡입판(22)이 구비될 수 있다.Here, a suction plate 22 having a shape enlarged toward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farmed fish and feed residues can be made more smoothly. .

이때, 상기 흡입판(22)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과 상기 흡입판(22)의 사이로 양식어가 빨려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ction plate 22 preferably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suction plate 22 so as not to be sucked fish.

여기서, 상기 펌프(25)는 전원을 제공받아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통상의 모터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ump 25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otor pump that is supplied with power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그리고, 상기 이송관(20)의 상단부가 상기 수조(10)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20)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transfer pipe 2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can be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10).

한편, 상기 수조(10)보다 상측으로 상기 이송관(2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 이에는 필터부(30)와 여과조(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portion 30 and the filtration tank 40 is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above the water tank (10).

여기서, 상기 필터부(30)와 여과조(40)는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여과조(4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lter unit 30 and the filtration tank 40 is preferably made of a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lter unit 3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40).

이를 위하여, 상기 여과조(40)의 하측에는 일단부는 상기 수조(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여과조(4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조(40)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6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30)와 여과조(40)는 상기 수조(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To this end, a lower end of the filtration tank 4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is provided with a column frame 60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tank 40 Preferably, through this, the filter unit 30 and the filtration tank 40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여기서, 상기 기둥프레임(60)은 상기 필터부(30)와 여과조(40)가 상기 수조(10)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시된 하나의 예일 뿐으로, 상기 필터부(30)와 여과조(40)는 어떠한 특정의 방법에 의해서 상기 수조(10)의 상측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pillar frame 60 is just one example presented so that the filter unit 30 and the filtration tank 40 can be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10, and the filter unit 30 and the filtration tank 40 are provided. Is not to be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10 by any particular method, of course,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그리고, 상기 필터부(30)의 상부는 개방되어 유입구(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구(31)는 상기 이송관(20)의 상단부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20)의 상단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관(20)의 상단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30 is preferably opened, the inlet 31 is formed, the inlet 31 is transport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can be dropped into the inle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20, it is preferably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tube (20).

여기서, 상기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외부로 손실됨 없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31)와 상기 이송관(20)의 상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inlet 31 and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pipe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ipe 20 may be introduced without being lost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필터부(30)에는 상기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된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필터(3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35)는 상 기 여과조(40)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 구획부재(42)의 상부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unit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lter 35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ipe 20, the filter 35 is the filter tank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42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여기서, 상기 필터(35)는 상기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되어 하향 이동하는 물이 여러 차례 걸러질 수 있도록 수평하게 다층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lter 35 is preferably provided in a multi-layered horizontally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ipe 20 can be filtered several times.

그리고, 상기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필터(35)를 통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35)는 상기 구획부재(42)의 상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35 corresponds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artition member 42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ipe 2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35. It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또한, 상기 필터(35)는 결합구(32)에 의해 다수개의 필터(35)가 다층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35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filters 35 are combined in a multi-layer by the coupler (32).

여기서, 상기 결합구(32)는 하부가 상기 필터(35)의 하측에 접하여 상기 필터(35)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35)의 외측을 클램프부(34)가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다수개의 필터(35)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coupler 32 may be formed such th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er 32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35 to support the filter 35 and the clamp portion 34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filter 35, respectively.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filters 35 may be integrally combined.

그리고, 상기 각 클램프부(34)의 외측에는 고정핀(33)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핀(33)은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in 33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each clamp portion 34, the fixing pin 3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outward direction.

이를 통해서, 필터(35)가 결합된 상기 결합구(32)는 상기 유입구(31)를 통해 상기 구획부재(4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핀(33)의 일측이 상기 구획부재(42)의 내측면을 탄발 지지하게 되면서 상기 구획부재(42)에 고정이 가능해진다. Through this, the coupler 32 to which the filter 35 is coupled may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member 42 through the inlet 31, wherein one side of the fixing pin 33 is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er 42 is elastically supported while being fixed to the partition member 42.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술한 고정 순서의 역순에 의해 상기 결합구(32)가 상기 구획부재(42)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35)의 청소 및 재활용도 가 능해진다.And, if necessary, since the coupler 32 can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member 42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sequence, cleaning and recycling of the filter 35 are also possible.

여기서, 상기 필터(35)는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목적에 부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Here, since the filter 35 mainly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water, products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can meet the purpose, but preferably nonwoven fabrics may be used.

한편, 상기 필터부(30)의 하측에는 여과조(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여과조(40)는 상기 구획부재(42)와, 토출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ration tank 40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unit 30, the filtration tank 40 preferably comprises the partition member 42 and the discharge portion 45.

여기서, 상기 구획부재(42)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30)가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부(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구획부재(42)의 내측에서 상기 구획부재(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하도록 안내되어 진다.Here, since the filter unit 3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42,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42 from the inside of the partition member 42. Guided to move downward along.

그리고, 상기 토출부(45)는 상기 구획부재(42)의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45 is preferably provided outside the partition member 42.

이때, 상기 구획부재(42)는 사각 기둥 또는 원기둥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member 4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pillar or a cylinder, and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shape.

그리고, 상기 토출부(45)는 상기 구획부재(4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부재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여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획부재(42)의 외면을 전부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부재(42)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소정의 각도 간격을 이루며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4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member 42 to form a continuous flow path with the partition member so that water can move, and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4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ty, and preferably, at least one or more outside the partition member 42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

즉, 상기 구획부재(42)가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토 출부(45)는 상기 구획부재(42)의 각 모서리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구획부재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부는 상기 구획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을 이루며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토출부는 상기 구획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artition member 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he discharge portion 45 is preferably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partition member 42. Of course, when 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ischarge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rtition member Can be.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42)의 하단부와 상기 토출부(45)의 하단부는 서로 통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42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45 are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구획부재(42)의 내측에서 하향 이동한 물은 상기 구획부재(42)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토출부(45)의 하단부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부(45)의 내측에서 상기 토출부(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moved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partition member 42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45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42, and discharges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art 45. It moves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45.

이와 같이, 상기 여과조(40)의 내부가 상기 구획부재(42)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상기 여과조(40)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상기 여과조(40)의 내부에서 물이 상하 방향으로 교번하여 이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함으로서 물의 이동거리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물은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상기 여과재(47)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과적인 물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42, so that the water flows alternate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filtration tank 40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filtration tank 40. It is possible to form a longer moving distance of the water by forming a, through which the water can pass through the filter medium 47 for a longer tim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urify the water.

여기서, 상기 여과조(40)에 형성되는 유로는 반드시 상하 방향으로 교번되도록 형성하는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로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low path formed in the filtration tank 40 is not necessarily to be formed to altern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f the length of the flow path can be long.

한편, 상기 토출부(45)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향 이동된 물은 상기 토출부(45)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넘쳐 흐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45 is preferably formed to open, so that the upwardly moved water overflows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45).

이때, 상기 토출부(45)의 상단에는 상기 토출부(45)의 상단부보다 낮은 턱으 로 형성된 방류부(4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물은 상기 방류부(46)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넘치는 것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ion 46 formed with a lower jaw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45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45,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a constant direction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46 It becomes possible to overflow.

한편, 상기 여과조(40)에는 여과재(47)가 충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여과재(47)는 톱밥 이외에도 활성탄, 식물성 섬유, 소결규조토 그리고 제올라이트(zeolite) 등이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tank 40 is preferably filled with a filter medium 47, the filter material 47 may be used alone or mixed in addition to sawdust, activated carbon, vegetable fibers, sintered diatomaceous earth and zeolite (zeolite).

이와 같이, 상기 여과재(47)가 활성탄, 소결규조토 그리고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짐으로써 물에 존재하는 부유물질과 고형 유기물의 흡착 제거와 이온성 중금속의 흡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filter material 47 is made of porous minerals such as activated carbon, sintered diatomaceous earth, and zeolite, so that the adsorption removal of suspended solids and solid organic matter in water and the adsorption of ionic heavy metals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42)에 채워진 여과재(47)는 상기 필터부(30)로부터 상기 필터(35)가 분리된 후 보다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material 47 filled in the partition member 42 may be more easily replaced after the filter 35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part 30.

또한, 상기 필터부(30)에는 다수개의 필터(35)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여과조(40)에는 여과재(47)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필터(35) 및 여과재(47)의 분리 제거 및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부(30)와 여과조(40)를 통과하는 동안 물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고형유기물의 양은 상당량 감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detachably, and the filter tank 40 is filled with a filter medium 47 to separate and remove and recycle the filter 35 and the filter medium 47. Not only can this be easily achieved, but also the amount of suspended solids and solid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 and the filtration tank 40.

한편, 상기 방류부(46)를 통해 흘러 넘친 물은 상기 여과조(40)의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한 낙수부(50)로 유입되고, 다시 넘쳐 상기 수조(10)로 낙하하게 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46 is preferably introduced to the dripping portion 50, which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it is preferable to overflow again falling into the water tank (10).

여기서, 상기 낙수부(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낙수부(50)는 상기 여과조(4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 다.Here, the dripping portion 5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ripping portion 5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to be detachable.

그리고, 상기 낙수부(50)로 유입된 물의 일정량이 저수될 수 있도록 상기 낙수부(50)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형상이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ownfall portion 50 is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downfall portion 50 is sto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이를 통하여, 상기 낙수부(50)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낙수부(50)에 소정 시간 동안 저수된 후, 상기 낙수부(50)에서 다시 넘쳐 상기 수조(10)로 낙하하면서 공기가 상기 수조(10)로 유입될 수 있어 상기 수조(10)의 물에 용존산소가 공급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ipping unit 50 is stored in the dripping unit 5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overflows from the dripping unit 50 again falls into the water tank 10 while the air falls into the tank (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10 may be the effect of supplying dissolved oxygen.

더욱이, 상기 낙수부(50)는 상기 여과조(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됨으로써, 상기 낙수부(50)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상기 낙수부(50)의 외측으로 물이 넘쳐날 수 있게 되어 낙하되는 물에 보다 많은 산소가 용존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dripping portion 5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ration tank 40,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dripping portion 50 is long, so that water can overflow to the outside of the dripping portion 50 and falls down. More oxygen can be dissolved in the water.

그리고, 상기 각 낙수부(50)의 사이에는 부착망(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부착망(70)에는 미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부착망(70)을 통과하는 물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ment network 70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falling down part 50, the attachment network 70 is preferably to allow microorganisms to grow, through this, the attachment network 70 Purification of the fin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it can be made.

이와 같이, 상기 수조(10)의 물이 상기 필터부(30)와 여과조(40) 그리고 부착망(70)을 거치면서 정화된 후, 다시 상기 수조(10)로 환송됨으로써 물이 버려지거나 소모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해 운영 효율이 향상되고 경비절감도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after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 the filtering tank 40, and the attachment network 70, the water is returned to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ter is not discarded or consumed. It can be reused without modification,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reducing cost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45)는 상기 구획부재(42)의 모서리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각 토출부(45)의 하단부는 상기 구획부재(42)의 모서리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통하게 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ischarge parts 45 may be provid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the corners of the partition member 42, an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discharge parts 45 is divided into the partitions.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ember 42,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구획부재(42)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토출부(45)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토출부(45)로 유입되어 위로 차오른 후, 상기 방류부(46)를 통해 넘치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ipe 20 and passed downward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42 flows into the discharge part 45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45 and rises upward. It overflows through the discharge part 46.

한편, 상기 각 토출부(45)는 상기 구획부재(42)의 각 모서리부에 구비되되, 상기 구획부재(42)보다 작은 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구획부재(42)를 통과하여 상기 각 토출부(45)로 유입된 물의 유속은 증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discharge portion 45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partition member 42,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maller volume than the partition member 42, through which,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42 Thus, the flow rate of water introduced into each discharge portion 45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상기 방류부(46)에서 넘치는 물은 상기 토출부(45)를 타고 넘쳐 흐르는 것이 아니라 상기 토출부(45)로부터 토출되어 넘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overflowing from the discharge portion 46 may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45 rather than flowing over the discharge portion 45 and overflowed.

따라서, 상기 방류부(46)에서 토출된 물이 상기 낙수부(50)로 낙하되면서 보다 많은 산소가 용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낙수부(50)로부터 상기 수조(도 1의 10)로 낙하되는 물에는 더욱 많은 산소가 포함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more oxygen may be dissolved a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46 falls into the dripping portion 50, and thus, from the dripping portion 50 to the water tank (10 in FIG. 1). It is possible for the falling water to contain more oxygen.

낙수부(50)는 상기 여과조(40)의 외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여러 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낙수부(50)는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됨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다.The downfall portion 50 is preferably provided in several stag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40. At this time, the downfall portion 50 has the same width, regardless of wheth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낙수부(50)의 외측 테두리는 하측으로 밴딩되어 그 단부가 바 로 아래에 구비되는 낙수부의 상면을 향하는 가이드부(5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edge of the downfall portion 50 is bent to the lower sid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uide portion 55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fall portion provided immediately below its end.

이를 통하여, 상기 낙수부(50)로부터 넘치는 물은 상기 가이드부(55)를 따라 흐르게 되어 외측으로 벗어남 없이 하측에 위치되는 다른 낙수부(5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overflowing water from the downfall portion 50 flows along the guide portion 55 to move to another downpour portion 50 located below without escaping outward.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55)는 상기 낙수부(5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낙수부(5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guide portion 55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pping portion 50, but may be coupled to the dripping portion 50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이때, 제일 하측에 위치하는 낙수부(50)에는 상기 가이드부(55)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part 55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dripping part 5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side.

상기 가이드부(55)는 낙수부(50)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외부로 벗어남 없이 바로 아래에 있는 다른 낙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만족한다면 특정한 형상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guide portion 55 is mainly intended to allow the water falling from the downfall portion 50 to be introduced into the other downfall portion directly below without escaping to the outside, so if this function is satisfied various shapes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shape It may be made of.

한편, 상기 각 낙수부(50)의 사이에는 부착망(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ment network 70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falling part (50).

여기서, 상기 부착망(70)에는 상기 여과조(40)를 통과한 물에 존재하는 미립자 또는 수용성 영양물질이 흡착되어 미생물이 자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부착망(70)을 통과시 물속에 함유한 미세한 부유물까지도 정화될 수 있다.Here, the attachment network 70 is adsorbed microparticles or water-soluble nutrients present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ank 40 can grow microorganisms, through which,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attachment network 70 contained in the water Even a fine float can be purified.

상기 부착망(70)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부착망(70)에 의한 미립자 또는 수용성 영양물질의 흡착이 보다 많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더욱 높은 정수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ttachment network 7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rough which the adsorption of fine particles or water-soluble nutrients by the attachment network 70 may be made, and thus higher water purification may be achieved.

그리고, 상기 부착망(70)은 상기 가이드부(55)를 통해 낙하하는 물이 바로 아래에 있는 다른 낙수부(50)의 중앙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낙수부(50)의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ttachment network 70 is predetermin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dripping portion 50 so that water falling through the guide portion 55 can mov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other falling portion 50 directly below.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한편, 상기 각 낙수부(50)의 바닥면에는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보조 부착망(75)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부착망(75)은 상기 부착망(7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이 접하게 되는 미생물의 양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물속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의 정화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downfalls 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attachment network 75 that can grow microorganisms, the auxiliary attachment network 75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ttachment network 70 In this way,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in contact with water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purification of the fine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water may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낙수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에서는 전술한 낙수부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짐으로써 가이드부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각 낙수부의 사이에 부착망이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lling part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dripping portion is formed with different widths according to the position, so that no guide portion is provided and no attachment network is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dripping portions.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에서는 낙수부(150)가 수직방향을 따라 다층으로 구비되되, 하측에 위치되는 낙수부일수록 바로 상측에 위치되는 낙수부보다 큰 폭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in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wnfalls 150 are provided in multiple lay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ownfall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has a larger width than the downfall portion located directly on the upper side. Preferably formed.

즉, 제일 하측에 구비된 낙수부(153)의 폭은 바로 상측에 구비된 낙수부(15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낙수부(152)의 바로 상측에 구비되는 또 다른 낙수부(151)는 그 폭이 상기 낙수부(15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width of the downfall portion 153 provided on the lowermost side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ownfall portion 152 provided immediately above, another downfall portion provided directly above the downfall portion 152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15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alling part 152.

이와 같이, 상기 낙수부(150)가 하측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이룸으로써, 상 측에 위치한 낙수부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튀어져 나가 손실됨이 없이 하측에 위치된 낙수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downfall portion 150 has a wider width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downfall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may flow into the downflow portion located below without leaking or splashing out. Will be.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각 낙수부(150)에는 상기 가이드부(도 4의 55)가 없어도 되어 부품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each of the falling parts 150 can be made without the guide portion (55 of FIG. 4) can be reduced the parts can be improved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한편, 상기 각 낙수부(150)의 바닥면에는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보조 부착망(175)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downfalls 15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attachment network 175 through which microorganisms can grow.

여기서, 상기 보조 부착망(175)은 상기 부착망(도 4의 7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이 접하게 되는 미생물의 양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물속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의 정화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attachment network 175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ttachment network (70 in Figure 4), through which,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in contact with water is further increased to purify the fin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made more effecti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예시도.1 is a configuratio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의 단면예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수조 20: 이송관10: tank 20: transfer pipe

22: 흡입판 30: 필터부22: suction plate 30: filter unit

32: 결합구 35: 필터32: coupling sphere 35: filter

40: 여과조 42: 구획부재40: filtration tank 42: partition member

45: 토출부 46: 방류부45: discharge portion 46: discharge portion

47: 여과재 50,150: 낙수부47: filter medium 50,150: drainage part

55: 가이드부 70: 부착망55: guide portion 70: attachment net

75,175: 보조 부착망75,175: secondary attachment net

Claims (5)

일단부에 구비된 흡입판이 수조의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위치되며, 펌프에서 제공된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흡입판을 통해 유입하여 상향으로 이송하는 이송관;A suction pipe provid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close to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 transfer pipe configured to transfer water of the water tank through the suction plate and upwardly by suction pressure provided from a pump; 상기 수조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배출된 물이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후 아래로 흐르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수평하게 고정된 필터가 다층으로 구비된 필터부;A filter unit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the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horizontally fixed to filter foreign matters while flowing down aft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측과 상측으로 교번하여 이동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되도록 구획된 유로가 형성되어 물에 존재하는 고형유기물 및 수용성 유기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조; 그리고The filter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and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is increased by alternately mov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unit to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olid organic matter and the water-soluble organic matter present in the water are formed. A filter tank for filtering out substances; And 상기 여과조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여과조에서 흘러넘친 물이 고인 후 다시 넘쳐흘러 상기 수조로 낙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여러 단의 낙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Water purification and oxygen supply device is pro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ration tank is accumu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verflow overflow and fall into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낙수부는 상기 여과조에서 흘러넘친 물이 고인 후 다시 넘쳐흐를 수 있도록 상기 낙수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형상이 오목하게 라운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The dripping portion is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roun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p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er tank overflows aga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낙수부의 사이에는 상기 여과조로부터 흘러넘친 물에 존재하는 미립자 또는 수용성 영양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여러 층의 부착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oxygen supply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layers of the multiple microorganisms to grow microorganisms or water-soluble nutrients in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filtration tank to be adsorbed by the microorganisms between each of the dripping section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여과조는 상기 여과조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하향 이동시키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구획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향 이동시켜 외부로 넘치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ltration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portion downward, and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member,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the partition member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unit for moving up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overflow to overflow.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여과재는 활성탄, 식물성 섬유, 톱밥, 소결규조토 그리고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독 및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The filter medium is purified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ny one of the activated carbon, vegetable fiber, sawdust, sintered diatomaceous earth and zeolite is made alone and mixed.
KR1020070101961A 2007-10-10 2007-10-10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KR100908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61A KR100908451B1 (en) 2007-10-10 2007-10-10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61A KR100908451B1 (en) 2007-10-10 2007-10-10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47A KR20090036747A (en) 2009-04-15
KR100908451B1 true KR100908451B1 (en) 2009-07-20

Family

ID=4076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961A KR100908451B1 (en) 2007-10-10 2007-10-10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441B (en) * 2018-11-02 2023-07-25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Open inflatable upflow cultivation device and cultivation method for intermediate cultivation of bivalve fr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573A (en) * 2001-02-21 2002-08-27 Sanyuu:Kk Method for cleaning water
JP2007069124A (en) * 2005-09-07 2007-03-22 Daiken Kagaku Kogyo Kk Water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573A (en) * 2001-02-21 2002-08-27 Sanyuu:Kk Method for cleaning water
JP2007069124A (en) * 2005-09-07 2007-03-22 Daiken Kagaku Kogyo Kk Water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47A (en)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206B1 (en) Multi -process system for aquaculture waste water with package type bio-filter
KR101934267B1 (en) Internal TSS(Total Suspended Solids) Removal Filter for Biofloc Technology System
KR101782735B1 (en) The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of sea fish water tank for exhibition
JP3840249B2 (en) Closed circulation aquaculture equipment
KR101058492B1 (en) Sterilization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Live Fish Aquarium and Live Fish Aquarium with the Same
KR20090116023A (en) Aquarium water filtration device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100908451B1 (en) Water and Oxygen Supply Device
US7311822B2 (en) Aquarium
CN211746312U (en) A filtration system for aquarium water quality purifies
CN210352765U (en) Aquaculture effluent treatment plant
KR102237734B1 (en) A multi-stage seawater filtration and sterilizing water purifier
KR100928151B1 (en) Aquarium filtration system equipped with
KR20100047777A (en) Debris Removal Device in Live Fish Tank
KR100714227B1 (en) filtering clean water apparatus
KR101514439B1 (en) Water filtering tank with package type bio-filter device for the improvement of filter material utility
KR102131792B1 (en) Sea water tank purification system
CN107318751B (en) Circulating water aquaculture system
KR101784886B1 (en) Continuous Filtration Apparatus using Distribution Chamber
JP6208918B2 (en) Aquaculture equipment
KR102053706B1 (en)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JP5311301B2 (en) Filtration device with foam separation tank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KR100987740B1 (en) water purification and oxygen supply system
KR200355750Y1 (en) water-purifying device of live fish an aquar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