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909B1 -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 Google Patents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909B1
KR100907909B1 KR1020090033615A KR20090033615A KR100907909B1 KR 100907909 B1 KR100907909 B1 KR 100907909B1 KR 1020090033615 A KR1020090033615 A KR 1020090033615A KR 20090033615 A KR20090033615 A KR 20090033615A KR 100907909 B1 KR100907909 B1 KR 10090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lasma
blood
separation
separ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필우
박상진
김유창
김덕종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3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77Flow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에 혈액을 유동시켜 혈장을 분리하는 혈액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채널 일측에 추가적인 바이패스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채널이 막히는 경우에도 상기 추가된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혈액을 분리할 수 있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에 관한 것이다.
혈액 분리, 마이크로 채널, 연속 분리, 모세관 현상, 바이패스 채널

Description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Blood separator and bio chip using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 채널에 혈액을 유동시켜 혈장을 분리하는 혈액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마이크로 채널 일측에 추가적인 바이패스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마이크로 채널이 막히는 경우에도 상기 추가된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혈액을 분리할 수 있는 연속식 마이크로 채널 혈액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액이라고 하는 것은 혈관 속을 흐르고 있는 액상의 조직을 말한다.
상기 혈액은 크게 혈구와 혈장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이 포함된다.
상기 혈액의 주된 역할은 각종 물질의 운반이며, 폐에서 섭취한 산소나 소화관에서 흡수한 영양소 등을 전신으로 보내고 세포에서 만들어진 탄산가스나 노폐물 을 운반해서 폐, 신장, 피부 등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한다.
또 골격근이나 간과 같이 열생산이 왕성한 곳에서 다른 부분으로 열을 옮겨서 체열(體熱)의 분포를 균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림프와 함께 체내의 면역체계에도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혈액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백질 칩은 상기 혈액에서 특정한 단백질의 검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특정 단백질은 주로 혈장에 내포하는 관계로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는 마이크로 채널에 혈액을 유동시켜 혈장과 혈구를 분리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은 마이크로 채널에 의해 혈액을 분리하는 종래의 혈액 분리기(10)의 개념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혈액 분리기(10)는 상판(11)과 하판(12)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판(12)에 마이크로 채널(C)이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채널(C)은 높이(또는 깊이)가 미세한 일종의 요홈부이다.
이러한 마이크로 채널(C)을 혈액이 통과하게 되는데, 그 동력은 모세관 압력이다.
한편 상기 혈액은 상술된 바와 같이 혈장과 혈구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혈장은 수분이 주 성분이어서 혈구와 유속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유속차에 의해 혈액이 혈장과 혈구로 분리된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혈액 투입부(11a)를 통해 마이크로 채널(C)로 투입된 혈액이 유동함에 따라 혈장과 혈구로 나누어짐을 2개의 화살표로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종래의 혈액 분리기(10)를 도 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 는 종래의 혈액 분리기(1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단면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종래의 혈액 분리기(10)는 상판(11)과 하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1)에는 분리용 혈액이 투입되는 혈액 투입부(11a) 및 분리된 혈액이 배출되는 혈액 배출부(11b)가 형성된다.
상기 혈액 투입부(11a) 및 혈액 배출부(11b) 사이에는 마이크로 채널(C)이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채널(C)는 하판(12)상에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판(11) 및 하판(12)에 각각 형성되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혈액 투입부(11a)를 통해 투입된 혈액은 상기 마이크로 채널(C)측으로 유동하여 혈장은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마이크채널(C)로 유동하고, 나머지 분리된 혈액은 상기 혈액 배출부(11b)측으로 유동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채널(C)로 유동하는 혈장은 양측의 개방부(11c,11d)를 통해 배출되어 혈장을 혈액으로부터 분리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S는 상하판(11,12)을 적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스 페이서이다.
상술한 종래의 혈액 분리기(10)에 바이오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바이오 센서가 부착된 혈액 분리기(10)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혈액 분리기(10)는 혈액 투입부(11a)를 통해 분리하고자 하는 혈액이 투입된다.
상기 투입된 혈액은 유동 채널(20)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유동 채널(20)의 일측에는 혈장 분리 채널(30)이 형성된다.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은 모세관 현상이 일어 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채널(20)보다 깊이가 낮다.
이때 상기 유동 채널(20)을 유동하는 혈액의 혈장은 상술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에서 유동하는 혈장은 혈장 배출 채널(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혈장을 분석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B)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40)에 장치된다.
상기 바이오 센서(B)를 장치하기 위해 상기 혈장 배출 채널(40)은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의 깊이 보다 더 깊도록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에서 혈장이 유동하는 힘은 모세관 현상에 기한다.
그런데, 상기 혈장 배출 채널(40)의 깊이가 급격히 깊어져서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에 발생하는 모세관 현상이 상기 혈장 배출 채널(40)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어 혈장이 상기 혈장 배출 채널(40)측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혈장이 유동하다가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유동이 중지되고, 이에 의해 혈액 분리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혈액을 분리하는 채널 일측에 모세관 현상을 발생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채널이 막히더라도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혈액을 분리할 수 있는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과, 상기 유동 채널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연속식 혈액 분리기를 이용한 바이오 칩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혈액을 분리하는 채널 일측에 바이 패스 채널을 형성 하여 상기 채널이 막히더라도 상기 바이 패스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혈액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9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의 개념을 도시하는 개념도 및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에 의해 혈액을 분리한 것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종래 기술에서는 "마이크로 채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채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의 "마이크로 채널"과 동일한 것임을 밝혀둔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100)는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110)과, 혈장이 분리되는 혈장 분리 채널(120)과, 혈장이 토출되는 혈장 토출 채널(130) 그리고 바이패스 채널(140)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 채널(110)은 분리하고자 하는 혈액이 투입되어 유동하는 채널이다.
이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혈액 투입부(150)를 형성한 후 상기 혈액 투입부(150)를 통해 혈액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유동 채널(110)에 직접 혈액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은 상기 유동 채널(1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측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은 상기 유동 채널(110)보다 채널의 높이가 낮아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기 유동 채널(110)에 유동하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분리되어 상기 혈액 분리 채널(120)측으로 유동하게 된다.(도 6 참조)
상기 혈장 토출 채널(130)은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은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로 혈장을 이송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은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보다 채널의 폭이 좁아 삼투압 현상에 의해 혈장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로부터 혈장 배출 채널(130)측으로 유동하게 한다.
즉,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은 채널의 높이(즉, 깊이)가 낮아 삼투압 현상 을 발생시키는데 비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은 폭을 좁혀 삼투압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혈장 분리 채널(30, 도 4참조)과 혈장 배출 채널(40, 도 4참조)가 직접 연통된다.
따라서 종래 혈장 배출 채널(40)측에서는 삼투압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분리된 혈장이 유동할 수 없어 연속적인 혈액 분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바이패스 채널(140)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측으로 상기 분리된 혈장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혈액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에 발생하는 삼투압 현상은 상기 채널(140)의 폭이 좁아서 발생하는 것임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 채널(110)은 상기 혈액 투입부(150)와 연결되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111) 및 상기 제1수직부(11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수평부(112)와, 상기 제1수평부(112)에 연결되는 제2수직부(113) 및 제2수평부(114)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된다.
이때,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은 상기 제1수직부(111)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형성되되 그 길이는 상기 제1수직부(111)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은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좌측 일부분에 형성되되 그 높이는 상기 유동 채널(110)의 높이(즉, 깊이)와 동일하도록 형성 된 것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의 하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그 폭과 깊이는 상기 제1수평부(112)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상기 유동 채널(110)은 혈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유동 채널(110)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은 삼투압 현상에 의해 혈장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은 삼투압 현상에 의해 혈장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로부터 혈장 배출 채널(130)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바이패스 채널(140)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은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60)상에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이 음각되어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이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16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상판(170)과 하판(180)을 구비하여 상기 상판(170)과 하판(180)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상기 상판(170)과 하판(180)의 합체에 의해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혈액 분리기(100)는 판체 형상의 상판(170) 및 하판(180)과, 상기 상판(170) 또는 하판(180)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상기 상판(170)과 하판(180)의 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혈액 분리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혈액 분리 채널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110)과, 상기 유동 채널(1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120)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130)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로부터 상기 혈 장 배출 채널(130)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상하판(170,180)은 폴리디메틸실로세인(poly-dimethyl silox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불소화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ethylenepropylene) 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을 형성함에 있어 레이저 제거법(laser ablation)이나 리프트 오프법(lift off)을 이용하여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을 정밀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하판(170,180)은 열간 접합 또는 점착제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등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판(180)에 각 채널(110,120,130,140)을 음각한 후 상판(170)을 덮어 채널을 형성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각 채널(110,120,130,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혈액의 유동 , 분리, 이송등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각 채 널(110,120,130,140)이 하판(180)에 음각되든지, 혹은 양각되든지, 혹은 상판(170)에 음각 또는 양각되든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100)에 의해 실제 혈장을 연속적으로 분리한 실험을 사진을 통해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폭이 5um인 경우 혈장이 분리되는 것을 찍은 사진이다.
도 8은 바이패스 채널의 폭이 50um인 경우 혈장이 분리되는 것을 찍은 사진이다.
상기 도 7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100)에 의해 연속적으로 혈장을 혈액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채널의 폭이 넓은 경우 보다 많은 혈액 분리가 가능하나, 상기 폭이 너무 넓은 경우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폭의 제한이 있을 것이다.
실시예4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혈액 분리기(200)는 실시예1과 동일하나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혈장 분리 채널, 바이패스 채널 및 혈장 배출 채널을 구비한 점이 상이하다.
즉, 혈액이 투입되는 혈액 투입부(250)와, 상기 혈액 투입부(250)에 연통되어 상기 투입된 혈액이 유동하는 다수개의 유동 채널(210,210-1,210-3)과, 상기 유동 채널(210,210-1,210-3)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220,220-1,220-2,220-3)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 (220,220-1,220-2,220-3)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230,230-1,230-2,230-3)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220,220-1,220-2,220-3) 각각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230,230-1,230-2,230-3)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220,220-1,220-2,220-3)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230,230-1,230-2,230-3)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240,240-1,240-2,240-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채널(210,210-1,210-3), 혈장 분리 채널(220,220-1,220-2,220-3), 혈장 배출 채널(230,230-1,230-2,230-3), 바이패스 채널(240,240-1,240-2,240-3)이 다수개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200)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혈장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5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혈액 분리기를 이용한 바이오 칩(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설명하되, 후술하는 바이오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실시예2 와 동일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이오 칩(bio chip)이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생물의 효소, 단백질, 항체, DNA, 미생물, 동식물 세포 및 기관, 그리고 신경 세포 등과 같은 생체 유기물과 반도체 같은 무기물을 조합하여 기존의 반도체 칩 형태로 만든 혼성 소자(Hybrid Device)를 말한다.
즉, 본 발명의 바이오 칩은 판체 형상의 상판(170) 및 하판(180)과, 상기 상판(170) 또는 하판(180)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상기 상판(170)과 하판(180)의 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혈액 분리 채널과 상기 혈액 분리 채널에 장치되는 바이오 센서(B, 도4 참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혈액 분리 채널은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110)과, 상기 유동 채널(1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120)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130)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120)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140)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오 센서(B, 도 4참조)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130)에 장치된다.
즉, 실시예2의 혈액 분리기(100)에 바이오 센서(B)를 더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혈액 분리기(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바이오 센서(B)는 생물기능을 모사하여 전자 공학을 응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받은 물리,화학적 자극을 감지 할 수 있는 생명소자를 말한다.
도 1은 마이크로 채널에 의해 혈액을 분리하는 종래의 혈액 분리기의 개념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혈액 분리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바이오 센서가 부착된 혈액 분리기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의 개념을 도시하는 개념도 및 일부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에 의해 혈액을 분리한 것을 도시하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혈액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혈액 분리기 110 : 유동 채널
120 : 혈장 분리 채널 130 : 혈장 배출 채널
140 : 바이패스 채널 200 : 혈액 분리기
B : 바이오 센서

Claims (9)

  1.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과,
    상기 유동 채널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2. 혈액이 투입되는 혈액 투입부와,
    상기 혈액 투입부에 연통되어 상기 투입된 혈액이 유동하는 다수개의 유동 채널과,
    상기 유동 채널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 각각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3. 판체 형상의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의 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혈액 분리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혈액 분리 채널은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과,
    상기 유동 채널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은 상기 유동 채널보다 채널의 높이가 낮아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기 유동 채널에 유동하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분리되어 상기 혈액 분리 채널측으로 유동하게 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혈장 분리 채널보다 채널의 폭이 좁아 삼투압 현상에 의해 혈장이 상기 혈장 분리 채널로부터 혈장 배출 채널측으로 유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은 폴리디메틸실로세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불소화에틸렌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 또는 혈장 분리 채널 또는 혈장 배출 채널 또는 바이패스 채널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제거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 또는 혈장 분리 채널 또는 혈장 배출 채널 또는 바이패스 채널 중 어느 하나는 리프트 오프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열간 접합 또는 점착제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
  9. 판체 형상의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의 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혈액 분리 채널과 상기 혈액 분리 채널에 장치되는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혈액 분리 채널은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 채널과,
    상기 유동 채널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 유입되는 혈장 분리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혈장이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 채널과,
    상기 혈장 분리 채널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연통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장 분리 채널로부터 상기 혈장 배출 채널로 혈장을 이송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에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혈액 분리기를 이용한 바이오 칩.
KR1020090033615A 2009-04-17 2009-04-17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KR10090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615A KR100907909B1 (ko) 2009-04-17 2009-04-17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615A KR100907909B1 (ko) 2009-04-17 2009-04-17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909B1 true KR100907909B1 (ko) 2009-07-16

Family

ID=4133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615A KR100907909B1 (ko) 2009-04-17 2009-04-17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67B1 (ko) 2006-01-04 2006-05-08 한국기계연구원 무동력 미세 혈액 분리기
KR100735898B1 (ko) 2006-08-25 2007-07-04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KR20070099223A (ko) * 2006-04-04 2007-10-09 정연관 모발 보호제 조성물
JP2008188124A (ja) 2007-02-01 2008-08-21 Allied Laser:Kk 血漿分離技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67B1 (ko) 2006-01-04 2006-05-08 한국기계연구원 무동력 미세 혈액 분리기
KR20070099223A (ko) * 2006-04-04 2007-10-09 정연관 모발 보호제 조성물
KR100735898B1 (ko) 2006-08-25 2007-07-04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JP2008188124A (ja) 2007-02-01 2008-08-21 Allied Laser:Kk 血漿分離技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 et al. Recent advances in microfluidic cell sorting systems
US107457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thesizing a target polynucleotide within a droplet
Rafeie et al. Multiplexing slanted spiral microchannels for ultra-fast blood plasma separation
Warkiani et al. Large-volume microfluidic cell sorting for biomedical applications
Toner et al. Blood-on-a-chip
US8968543B2 (en) Microfluidic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for subsequently cultivating, and subsequent analysis of complex cell arrangements
JP2017527299A5 (ko)
EP3523003B1 (en) Particle isolation/enrichment using continuous closed-loop micro-fluidics
CN109289951B (zh) 液滴分裂微流控芯片及应用
US10584367B2 (en) Cell-sp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are cell
ATE309041T1 (de) Mikrofluidischer reaktionsträger mit drei strömungsebenen
JP6746619B2 (ja) マイクロ流体デバイス
CN106423319B (zh) 一种试样分析芯片及其使用方法
CN110124758A (zh) 微流控芯片的进样腔及单指标微流控芯片
CN207268741U (zh) 多通道微流控板
KR100889727B1 (ko) 모세관력을 이용한 개방형 혈장 분리 필터 소자
US10946381B2 (en) Microfluidic hydrodynamic shuttling chip device for highthroughput multiple single cells capture
KR100907909B1 (ko)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WO2007115378A1 (en) Microfluidic package housing
Shirinkami et al. Red blood cell and white blood cell separation using a lateral-dimension scalable microchip based on hydraulic jump and sedimentation
CN112946305A (zh) 基于微流控的检测芯片及检测方法
KR101113727B1 (ko) 수직 적층식 마이크로 믹서 및 그 제조방법
DK1725330T3 (da) Mikrofluid chip
CN107090399A (zh) 痰液样品中病原菌的快速提纯装置及快速提纯方法
US20180264474A1 (en) Folded Multi-Material Microfluidic Devices for Tissue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