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204B1 -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204B1
KR100905204B1 KR1020070048156A KR20070048156A KR100905204B1 KR 100905204 B1 KR100905204 B1 KR 100905204B1 KR 1020070048156 A KR1020070048156 A KR 1020070048156A KR 20070048156 A KR20070048156 A KR 20070048156A KR 100905204 B1 KR100905204 B1 KR 10090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minerals
deep
ceramic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400A (ko
Inventor
서희동
Original Assignee
서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동 filed Critical 서희동
Priority to KR102007004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20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7/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fluids from great depths, e.g. well pumps
    • F04B47/02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fluids from great depths, e.g. well pumps the driving mechanisms being situated at groun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를 수족관(水族館)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취수하여 수족관에 주입하고, 원적외선(遠赤外線: Far infrared ray)을 방사(放射)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Ceramics), 마이너스 이온(Minus ion)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磁鐵鑛) 또는 자성(磁性)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을 충전(充塡)한 충전탑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수족관 내의 어류의 생육이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해양 심츨수, 수족관, 원적외선, 마이너스 이온(Minus ion), 자화된 자철광, 자성 세라믹스, 어류

Description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A method to use deep-ocean water in an aquarium}
제1도는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족관 2: 충전탑
3: 충전물 4: 어류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취수하여 수족관에 주입하고, 원적외선(遠赤外線)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Ceramics), 마이너스 이온(Minus ion)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 또는 자성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을 충전한 충전탑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수족관 내의 어류의 생육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심층수는 통상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수를 해양 심층수라고 부르며, 표층해수와는 달리 햇빛이 닿지 않아 플랑크톤(Plankton) 및 생명체가 증식(增殖)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염류(營養鹽類)의 농도가 높으면서 수온에 따른 밀도차이로 표층해수와 혼합되지 않아 표층해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없으며, 표층해수와 비교하였을 때 저온안정성(低溫安定性), 오염물질과 유해세균이나 유기물이 매우 적은 청정성(淸淨性), 식물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무기영양염류(無機營養鹽類)가 풍부한 부영양성(富營養性)과 다양한 미네랄(Mineral) 성분이 균형있게 존재하는 미네랄밸런스(Mineral balance)특성과 고압 저온상태에서 긴 세월동안 물 분자의 집단(Cluster)이 소집단화(小集團化)되어 표면장력(表面張力)이 적어 침투성(浸透性)이 좋은 소집단수(小集團水: Microclustered water)로 숙성된 숙성성(熟成性) 등의 특성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표1의 내용과 같다.
표1 해양 심층수의 특성
저온안정성 표층해수의 수온은 계절에 따라서 큰 폭으로 변동하는 데 비해, 해양 심층수는 수온의 변동이 적으면서 저온으로 안정되어 있다.
청정성 해양 심층수는 심층에 있으므로 육상의 하천수, 대기로부터의 오염을 받기 어렵고, 화학물질, 세균 및 생물체, 현탁물(懸濁物)이 매우 적다.
부영양성 해양 심층수는 햇빛이 닿지 않는 깊은 곳에 있으므로 광합성을 하지 않고, 표층해수와 비교해서, 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미네랄특성 해양 심층수에는 다양한 필수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불순물이 적은 특성이 있다.
숙성성 해양 심층수는 고압 하에서 긴 세월을 지나면서 숙성되어 물 분자의 집단체(Cluster)가 소집단화(小集團化)되어 표면장력(表面張力)이 적어 침투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율이 높다.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는 표층해수(表層海水)에 비해서 오염물질 및 유해세균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으면서 표2의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 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류의 생육에 필요한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아연(Zn), 나트륨(Na) 등 70종류를 넘는 다종다양(多種多樣)한 미네랄성분이 포함 되어 있으면서 영양염류(營養鹽類), 생균 수, 수온은 상당한 차이가 있는 특성이 있다.
표2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 치
구 분 울릉도 현포 일본 고지현 무로도 (高知縣 室戶)
650m 해양 심층수 표층해수 374m 해양 심층수 표층해수
일 반 항 목 수온(℃) 0.5 23 11.5 20.3
pH 7.98 8.15
DO 용존산소(㎎/ℓ) 6 8 7.80 8.91
TOC 유기 탄소(㎎/ℓ) - - 0.962 1.780
CODMn(㎎/ℓ) 0.2 0.6 - -
용해성 증발잔류물(㎎/ℓ) 47,750 37,590
M-알칼리도 (㎎/ℓ) 114.7 110.5
주 요 원 소 Cℓ 염화물이온(wt%) NaCl로 3.41 NaCl로 3.45 2.237 2.192
Na 나트륨(wt%) 1.080 1.030
Mg 마그네슘(㎎/ℓ) 1,320 1,280 1,300 1,310
Ca 칼슘(㎎/ℓ) 393 403 456 441
K 칼륨(㎎/ℓ) 380 414 399
Br 취소(㎎/ℓ) 68.8 68.1
Sr 스트론튬(㎎/ℓ) 7.77 7.61
B 붕소 (㎎/ℓ) 4.44 4.48
Ba 바륨(㎎/ℓ) 0.044 0.025
F 불소 (㎎/ℓ) 0.53 0.56
SO4 2 -(㎎/ℓ) 2,833 2,627
영 양 염 류 NH4 +암모니아태질소(㎎/ℓ) 0.05 0.03
NO3 -질산태질소(㎎/ℓ) 0.28 0.04 1.158 0.081
PO4 3 -인산태인(㎎/ℓ) 0.06 0.012 0.177 0.028
Si 규소 (㎎/ℓ) 2.80 0.44 1.890 0.32
미 량 원 소 Pb 납 (㎍/ℓ) 0.11 0.102 0.087
Cd 카드뮴(㎍/ℓ) 0.05 0.028 0.008
Cu 구리(㎍/ℓ) 0.26 0.153 0.272
Fe 철(㎍/ℓ) 0.217 0.355
Mn 망간(㎍/ℓ) 0.265 0.313
Ni 니켈(㎍/ℓ) 0.36 0.387 0.496
Zn 아연(㎍/ℓ) 0.45 0.624 0.452
As 비소(㎍/ℓ) 0.04 1.051 0.440
Mo 몰리브덴(㎍/ℓ) 5.095 5.565
Cr 크롬(㎍/ℓ) 0.021
균 수 생균 수(개/㎖) 0 520 0 540
대장균 수(개/㎖) 음성 음성 음성 음성
종래의 수족관에 주입하는 용수는 표층해수를 주입하였으며, 표층해수는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집중 등으로 인하여 해역이 오염되면서 오염물질과 유해성 미 생물이 함유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으면서, 어류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염류의 농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의 경우는,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양 심층수에는 햇빛이 닿지 않아 플랑크톤(Plankton) 및 생명체가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류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염류(營養鹽類)의 농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면서, 수온에 따른 밀도차이로 표층해수와 혼합되지 않아 표층해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면서 유해세균이 매우 적은 청정한 특징이 있다.
물이 원적외선(遠赤外線)을 방사(放射)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Ceramics), 마이너스 이온(Minus ion)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磁鐵鑛) 또는 자성(磁性)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의 충전물 층을 통과하면 물 분자의 집단(Cluster)이 소집단화(小集團化)하여 활성수로 되면서 어류의 생육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공급하여 수족관의 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청정한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 주입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 또는 자성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을 충전한 충전탑을 수족관 내부에 설치하고, 충전탑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수족관 내의 어류의 생육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적외선(遠赤外線: Far infrared ray)을 방사(放射)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Ceramics), 마이너스 이온(Minus ion)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磁鐵鑛) 또는 자성(磁性)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의 충전물(3)이 충전된 충전탑(2)이 내장된 수족관(1)에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된 해양 심층수를 공급한 다음, 어류(4)를 주입하고 충전탑(2)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수족관 내의 어류의 생육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충전탑(2)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를 하면 공기와 함께 물이 에어 리프팅(Air lifting) 되면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 또는 자성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의 충전물의 층을 통과하면서 물 분자의 집단(集團)이 소집단화되어 소집단수(Microclustered water)로 처리되면서 어류의 생육이 활발하게 된다.
충전탑(2)에 충전하는 충전물(3)은 수족관(1)에 공급한 해양 심층수 1㎥당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 또는 자성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을 각각 0.5∼1.5㎏을 충전하고, 충전탑(2)의 용량은 충전물(2) 용량의 1.5∼2배의 용량으로 한다.
충전탑(2) 하부로 공급하는 공기의 량은, 폭기강도(Intensity of aeration)
2∼4㎥(공기량)/㎥(수족관 용적)·시간으로 하고,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은 유량에 따른 마찰 손실두, 수족관의 깊이에 따른 수두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수족관(1), 충전탑(2)과 배관 등의 재질은 염수에서 내식성 재질을 사용한다.
25℃에서 원적외선 방사량이 400~2500㎠ 범위의 방사 에너지 방사율이 80~95% 규칙적으로 방사하는 전기석이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스 제품 중에서 한 종류를 사용한다.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하는 광물은 천매암(千枚岩)이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하는 세라믹스 제품 중에서 마이너스 이온 발생량이 1,000개/㎠ 이상 되는 것 중에서 한 종류를 사용한다.
자화된 자철광은 150가우스(Gauss) 이상 착자(着磁)된 자철광이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150가우스 이상 착자된 자성 세라믹스 제품 중에서 한 종류를 사용한다.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은, 유문암(Rhyolite), 대사이드(Dacite) 질의 화산분출물이 퇴적된 부석(Pumice) 중에서 2가·3가 철 함량이 3.0wt% 이상 되는 것을 사용한다.
삭제
[실시 예1]
25℃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92%인 전기석 1㎏,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량이 2500개/㎠인 천매암 1㎏, 250가우스로 착자된 자철광 1㎏, 2가·3가 철 함량이 3.2wt%인 대사이드질 부석(浮石) 1㎏을 충전한 충전탑이 내장된 1.2㎥ 용량의 수족관에 수심 650m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 1㎥를 주입하고, 광어 10수와 우럭 10수를 주입하고, 공기를 2∼4㎥/시간으로 공급하면서 어류의 상태를 점검하였을 때, 1주일을 경과할 때까지 폐사되는 어류가 없이 어류의 상태는 양호하였다.
[비교 예1]
1.2㎥ 용량의 수족관에 표층해수 1㎥를 주입하고, 광어 10수와 우럭 10수를 주입하고, 공기를 2∼4㎥/시간으로 공급하면서 어류의 상태를 점검하였을 때, 4일 만에 우럭 3수와 광어 1수가 폐사하였으며, 5일이 되면서 모든 어류의 상태가 불량하면서 6일이 되면서 상태가 모두 불량하여 시험을 중단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마이너스 이온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 또는 자성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을 충전한 충전탑이 내장된 수족관에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고, 공기를 충전탑 하부로 공급하였을 때 어류의 생육상태가 표층해수를 수족관에 공급한 경우에 비해서 양호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해양 심층수가 수족관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원적외선(遠赤外線: Far infrared ray)을 방사(放射)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Ceramics), 마이너스 이온(Minus ion)을 방사하는 광물 또는 세라믹스, 자화된 자철광(磁鐵鑛) 또는 자성(磁性) 세라믹스 및 미네랄 공급이 용이하면서 2가·3가 철이 함유한 광물의 충전물(3)이 충전된 충전탑(2)이 내장된 수족관(1)에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된 해양 심층수를 공급한 다음, 어류(4)를 주입하고 충전탑(2)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수족관 내의 어류의 생육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2. 삭제
KR1020070048156A 2007-05-17 2007-05-17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KR10090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156A KR100905204B1 (ko) 2007-05-17 2007-05-17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156A KR100905204B1 (ko) 2007-05-17 2007-05-17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646A Division KR20080101819A (ko) 2008-06-24 2008-06-24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00A KR20080101400A (ko) 2008-11-21
KR100905204B1 true KR100905204B1 (ko) 2009-07-02

Family

ID=4028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156A KR100905204B1 (ko) 2007-05-17 2007-05-17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2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544A (ja) * 2005-09-30 2007-04-12 Kumaishicho 海洋深層水を用いる飼育施設および水質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544A (ja) * 2005-09-30 2007-04-12 Kumaishicho 海洋深層水を用いる飼育施設および水質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00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134B1 (ko)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이용한 해조류의 양식방법
KR20150051436A (ko) 생태계류원의 복합수질정화시스템
KR100818807B1 (ko) 탈염한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재배방법
Xu et al. Effect of hydraulic loading rate on the efficiency of effluent treatment in a recirculating puffer aquaculture system coupled with constructed wetlands
CN103833140A (zh) 一种生态浮床
KR100869033B1 (ko)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JP6512467B1 (ja) 養殖槽の改質方法、および養殖方法
KR100905204B1 (ko)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CN101983938B (zh) 一种甘蔗渣基生物膜的制备方法
KR101626793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Durai et al. Importanc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Whiteleg shrimp (Penaeus Vannamei) farming
CN115417505A (zh) 一种利用工业废气co2增加水体碳汇及缓解富营养化的方法
KR20110002235U (ko) 농축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가두리양식장
KR101170880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JP5134200B2 (ja) 水底土壌改良剤並びにそれによる水底土壌の改良方法
KR20080101819A (ko)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KR100871804B1 (ko) 해저 심층수를 용승하는 방법
KR100838058B1 (ko)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20090113131A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기능성 계란을 만드는 방법
KR20130015266A (ko)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KR20100018216A (ko) 해양 심층수를 수족관에 이용하는 방법
KR20090099285A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계란을 개질 하는 방법
Jana et al. Water quality in aquaculture-Impact and management: A review
KR101237762B1 (ko) 수질향상 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69898B1 (ko) 자체 정화 어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