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056B1 - 열전도 실험키트 - Google Patents

열전도 실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056B1
KR100905056B1 KR1020070111453A KR20070111453A KR100905056B1 KR 100905056 B1 KR100905056 B1 KR 100905056B1 KR 1020070111453 A KR1020070111453 A KR 1020070111453A KR 20070111453 A KR20070111453 A KR 20070111453A KR 100905056 B1 KR100905056 B1 KR 10090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unit
heat medium
heat
circul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566A (ko
Inventor
최형기
고종철
최현근
전유신
Original Assignee
최형기
고종철
최현근
전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기, 고종철, 최현근, 전유신 filed Critical 최형기
Priority to KR102007011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0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본체 및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바닥재유닛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 다수의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전도 변화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된 실험값을 신속하게 연산 및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료의 축적이 용이하여 정확한 실험값의 산출이 가능한 열전도 실험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는 전면에 다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안착면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각각 출납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바닥재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놓여진 바닥재유닛의 내부에 열매체를 순환가능하게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와, 상기 안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면에 놓여진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변화를 측정하는 열변화 측정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열매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열변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연산 및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도, 바닥재, 실험키트

Description

열전도 실험키트{THERMAL CONDUCTION TRAINING K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바닥재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전도 실험키트 10 : 본체
11 : 수납공간 12 : 안착면
13 : 전면패널 14 : 고정돌기
20 : 바닥재유닛 21 : 바닥재본체
22 : 순환관 30 : 열매체 공급부
31 : 보일러 32 : 급수관
32a, 34a : 패킹 33 : 자동급수분배기
34 : 환수관 35 : 자동환수분배기
40 : 열변화 측정부 41 : 제 1 온도센서
42 : 제 2 온도센서 50 : 제어부
51 : 디스플레이패널 52 : 입력버튼
본 발명은 열전도 실험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본체 및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바닥재유닛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 다수의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전도 변화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된 실험값을 신속하게 연산 및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료의 축적이 용이하여 정확한 실험값의 산출이 가능한 열전도 실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는데, 온수를 이용한 난방은 개별적으로 설치된 보일러 또는 원격지에서 난방수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고온의 온수는 배관을 통해서 온수분배기로 이동된다.
온수분배기는 각 실 마다 별도로 매설된 난방배관을 통하여 온수를 공급하여 실내 바닥을 가열하게 되는데, 실내 바닥을 가열함으로써 열을 빼앗긴 온수는 온수분배기로 회수된 후 배관을 통해서 보일러 또는 난방수 공급 장치로 이동되어 다시 가온된 후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재순환됨으로써 난방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 다.
이렇듯, 가온 된 온수를 배관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을 가열하는 난방 방법은 실내 바닥에 사용되는 바닥재를 어떠한 재질을 쓰는지와 배관을 어떠한 재질을 쓰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바닥재 및 배관 제조업체나 관련 학문을 연구하는 학교나 연구소에서는 바닥재와 배관의 재질에 따른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가장 효율적인 난방 방법을 찾아내기 위한 실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바닥재 및 배관은 각각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닥재 및 배관의 조합 역시 다양한 경우의 수로 선택될 수 있어 이러한 각각의 바닥재 및 배관의 열전도도를 용이하게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실험기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본체 및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바닥재유닛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 다수의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전도 변화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열전도 실험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된 실험값을 신속하게 연산 및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료의 축적이 용이하여 정확한 실험값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한 열전도 실험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다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안착면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각각 출납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바닥재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놓여진 바닥재유닛의 내부에 열매체를 순환가능하게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와, 상기 안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면에 놓여진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변화를 측정하는 열변화 측정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열매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열변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연산 및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실험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바닥재유닛은 황토, 원목 및 시멘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바닥재본체와, 양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매설되되 동, 스테인리스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순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열매체 공급부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와, 일단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순환관 중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열매체를 상기 순환관에 공급하는 급수관과, 일단은 상기 순환관 중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관에서 순환된 열매체를 상기 보일러로 회수하는 환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급수관 상에는 자동급수분배기가 설치되고, 상기 환수관 상에는 자동환수분배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열변화 측정부는, 상기 바닥재유닛 하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 상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안착면 상에 놓여진 바닥재유닛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의 일측에서 상기 바닥재유닛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개략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바닥재유닛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1)는 전면에 다수의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안착면(12)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수납공간(11) 내에 출납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11)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면(12)에 놓여지는 바닥재유닛(20)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12)에 놓여진 바닥재유닛(20)의 내부에 열매체를 순환가능하게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30)와, 상기 안착면(12)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면(12)에 놓여진 바닥재유닛(20)의 열매체에 의한 열변화를 측정하는 열변화 측정부(4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열매체 공급부(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열변화 측정부(4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연산 및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전면에 다수의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안착면(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어 열전도 실험을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수납공간(11)은 추후에 설명될 바닥재유닛(20)이 서랍의 형태로 수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고, 본체(10)의 배면측에는 상부방향으로 전면패널(13)이 구비되어 추후에 설명될 열매체 공급부(30), 제어부(50) 및 디스플레이패널(51)이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안착면(12)은 실험을 위해 수납공간(11) 내에서 인출된 바닥재유닛(20)이 놓여지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되 안착된 바닥재유닛(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바닥재유닛(20)의 양측면과 배면측 가장자리에는 고정돌기(14)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고정돌기(14)가 형성되는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는 바닥재유닛(20)이 출납가능하게 수납되는데, 이 바닥재유닛(20)은 수납공간(11)으로부터 인출 된 후 열전도 실험을 위해 안착면(12)에 놓여지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재유닛(20)은 황토, 원목 및 시멘트 등 많은 바닥재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바닥재본체(21)와, 양단이 노출되도록 본체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내부순환 매개체로 이용되는 많은 것들 중에 동, 스테인리스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순환관(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과,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 및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과 같은 다양한 조합의 바닥재유닛들(2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닥재유닛(20)은 실험에 있어서 대조군이 바닥재본체(21)이고 실험군이 순환관(22)일 경우 황토재질의 바닥재본체(21)에 각각 동, 스테인리스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순환관(22)이 매설된 바닥재유닛(20) A, A', A" 세 개를 수납공간 (11) 내에서 각각 인출하여 안착면(12)에 놓고 실험을 진행한다.
또한, 대조군이 순환관(22)이고 실험군이 바닥재본체(21)일 순환관(22) 중 하나인 동 순환관(22)이 매설된 황토 재질의 바닥재본체(21), 원목 재질의 바닥재본체(21) 및 시멘트 재질의 바닥재본체(21)로 이루어지는 바닥재유닛(20) A, B, C 세 개를 수납공간(11) 내에서 각각 인출하여 안착면(12)에 놓고 실험을 진행한다.
또한, 대조군 및 실험군의 설정 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바닥재유닛(20)을 인출해 내어 실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순환관(22)은 추후에 설명될 열매체가 바닥재본체(21) 내에서 순환하여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양단은 추후에 설명될 급수관(32) 및 환수관(34)과 연결되기 위해 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열매체의 열에너지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바닥재본체(21) 내에서 다수회 절곡되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에는 열매체 공급부(30)가 설치되는데, 이 열매체 공급부(30)는 전술한 안착면(12)에 놓여진 바닥재유닛(20)의 순환관(22)에 열매체를 순환가능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매체 공급부(30)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31)와, 일단은 보일러(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순환관 중 일단에 연결되어 열매체를 순환관(22)에 공급하는 급수관(32)과, 일단은 순환관(22) 중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일러(31)에 연결되어 순환관(22)에서 순환된 열매체를 보일러(31)로 회수하는 환수관(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일러(31)는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보일러인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열매체는 전술한 온수 보일러를 통해 가열되는 물인 것으로 한다.
전술한 보일러(31)를 통해 가열된 열매체는 급수관(32)을 통해 순환관(22)으로 공급되고, 순환관(22)에서 순환된 열매체는 다시 환수관(34)을 통해 보일러(31)로 회수된다.
한편, 전술한 급수관(32) 상에는 자동급수분배기(33)가 설치되고, 환수관(34) 상에는 자동환수분배기(35)가 설치됨으로써 이를 통해 열매체를 각각의 바닥재유닛(20)으로 공급하고 바닥재유닛(20)을 순환한 열매체를 다시 보일러(31)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환수관(34)의 양단에 연결되는 급수관(32) 및 순환관(22)의 단부에는 패킹(32a, 34a)이 각각 구비되어 바닥재유닛(20)이 안착면(12)의 정위치에 놓여지면 바닥재유닛(20)의 일면에 노출되는 환수관(34)의 단부가 각각 급수관(32) 및 순환관(22)의 단부와 맞닿아 상호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 연결되는 환수관(34)-급수관(32) 및 환수관(34)-순환관(22)은 전술한 패킹에 의해 밀실하게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열매체 공급부(30)가 설치되는 본체(10)의 안착면(12)에는 열변화 측정부(40)가 설치되는데, 이 열변화 측정부(40)는 전술한 안착면(12)에 놓여진 바닥재유닛(20)의 열매체에 의한 열변화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변화 측정부(40)는, 바닥재유닛(20) 하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 도록 안착면(12) 상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41)와, 안착면(12) 상에 놓여진 바닥재유닛(20)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안착면(12)의 일측에서 바닥재유닛(20)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1 온도센서(41)는 바닥재유닛(20) 하부면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안착면(12)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고, 전술한 제 1 온도센서(41)는 바닥재유닛(20) 상부면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고정돌기(14) 상에 설치되되, 제 1 온도선세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개수로 설치된다.
전술한 열변화 측정부(40)가 설치되는 본체(10)의 전면패널(13) 상에는 제어부(50)가 설치되는데, 이 제어부(50)는 전술한 열매체 공급부(3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열변화 측정부(4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연산 및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어부(50)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 1 온도센서(41) 및 제 2 온도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을 입력받게 되며, 측정값을 입력받은 제어부(50)는 제 1 온도센서(41)로부터 바닥재유닛(20) 하부면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 2 온도센서(42)로부터 바닥재유닛(20)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바닥재유닛(20) 별로 열매체로부터 전달받은 열에너지의 열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면패널(13) 일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51)에는 제어부(50)로부터 측정된 실험값을 실험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 또는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해 주고, 전술한 제어부(50)에 별도의 프린터(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경우 도시되는 도표 또는 그래프의 출력이 가능하며 열매체 공급부(30) 및 열변화 측정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버튼(52)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종래기술에 따른 PC인 것으로 하되, 이 PC는 열전도 실험키트(1)의 전체전원과, 각각의 구성부재의 동작에 대한 ON/OFF를 제어하고, 측정된 실험값을 수신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공 및 처리를 수행하며, 별도의 프린터(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경우 전술한 디스플레이패널(5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는 실험값의 출력도 가능하다.
이하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자는 수납공간(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바닥재유닛(20) 중 실험하고자 하는 세 개의 바닥재유닛(20), 즉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과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 및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 인출하여 안착면(12) 상에 각각 안착시킨다.
이때, 각각의 바닥재유닛(20)은 고정돌기(14) 내측에 정확하게 놓여지도록 하며 동시에 순환관(22)의 단부가 환수관(34) 및 급수관(32)과 패킹(32a, 34a)에 의해 밀실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50)의 입력버튼(52)을 눌러 열매체 공급부(30)의 작동을 시작하여 열매체를 급수관(32)을 통해 바닥재유닛(20)의 순환관(22)으로 공급하여 열에너지를 전달하고, 순환관(22)에서 순환된 열매체는 다시 환수관(34)을 통해 열매체 공급부(30)로 회수하는데, 열매체 공급부(30)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 실시하게 된다.
보일러(31)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바닥재유닛(20)의 순환관(22)을 통해 열에너지를 바닥재본체(21)에 전달하게 되고, 전달된 열은 바닥재본체(21) 내에서 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제 1 온도센서(41)와 제 2 온도센서(42)는 바닥재유닛(20)의 하부면과 상부면 각각의 온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바닥재본체(21)와 순환관(22)의 재질에 따른 열전도도를 데이터화 할 수 있게 된다.
측정된 실험값은 디스플레이패널(51)을 통해 실험자에게 보여지며, 그 밖에 프린터(도시되지 않음) 및 인터넷을 통해서 여러가지 형태로 가공 및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실험이 종료된 후에는 안착면(12)에 놓여져 있던 바닥재유닛(20)을 수납공간(11) 내에 다시 수납하여 보관하고, 또 다른 실험이 연속적으로 필요한 경우 다시 다른 바닥재유닛(20)을 인출하여 안착면(12) 상에 놓은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반복 진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실험키트는 건축물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본체 및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바닥재유닛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 다수의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전도 변화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된 실험값을 신속하게 연산 및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료의 축적이 용이하여 정확한 실험값의 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전면에 다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안착면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납공간 내에 각각 출납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바닥재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놓여진 바닥재유닛의 내부에 열매체를 순환가능하게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
    상기 안착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안착면에 놓여진 바닥재유닛의 열매체에 의한 열변화를 측정하는 열변화 측정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열매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열변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연산 및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재유닛들은,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과,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과, 황토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A")과,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과,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과,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B")과,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동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과,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과,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본체(21)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순환관(22)이 매설되는 바닥재유닛(20,C")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매체 공급부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와, 일단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순환관 중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열매체를 상기 순환관에 공급하는 급수관과, 일단은 상기 순환관 중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관에서 순환된 열매체를 상기 보일러로 회수하는 환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변화 측정부는, 상기 바닥재유닛 하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 상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안착면 상에 놓여진 바닥재유닛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의 일측에서 상기 바닥재유닛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실험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상에는 자동급수분배기가 설치되고, 상기 환수관 상에는 자동환수분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실험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111453A 2007-11-02 2007-11-02 열전도 실험키트 KR10090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53A KR100905056B1 (ko) 2007-11-02 2007-11-02 열전도 실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53A KR100905056B1 (ko) 2007-11-02 2007-11-02 열전도 실험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566A KR20090045566A (ko) 2009-05-08
KR100905056B1 true KR100905056B1 (ko) 2009-06-30

Family

ID=4085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453A KR100905056B1 (ko) 2007-11-02 2007-11-02 열전도 실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14B1 (ko) 2011-12-27 2014-01-08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열 전도 실험방법
KR102050856B1 (ko) * 2018-08-02 2019-12-04 주식회사 이즈원산업 실내바닥재의 열전달 성능을 계측하기 위한 실험용 온수순환 실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481B1 (ko) * 2010-02-03 2012-03-20 김규호 열전도 실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738A (ja) * 2003-01-27 2005-08-04 Shinsung Electronics Co Ltd 熱伝導を利用した温度環境実験機とその制御方法及び温度特性の測定方法
KR200434146Y1 (ko) * 2006-09-29 2006-12-18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냉각수단을 구비한 지중 열전도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738A (ja) * 2003-01-27 2005-08-04 Shinsung Electronics Co Ltd 熱伝導を利用した温度環境実験機とその制御方法及び温度特性の測定方法
KR200434146Y1 (ko) * 2006-09-29 2006-12-18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냉각수단을 구비한 지중 열전도도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14B1 (ko) 2011-12-27 2014-01-08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열 전도 실험방법
KR102050856B1 (ko) * 2018-08-02 2019-12-04 주식회사 이즈원산업 실내바닥재의 열전달 성능을 계측하기 위한 실험용 온수순환 실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566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nterić Building Physics
KR100905056B1 (ko) 열전도 실험키트
Rahim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radiation and free convection in an enclosure with a radiant ceiling heating system
CN101915776B (zh) 混凝土热扩散率的测定方法及试验装置
WO2007090405A2 (en) Control of a system with a large thermal capacity
Souza et al. Experimental study of a partially heated cavity of an integrated collector storage solar water heater (ICSSWH)
T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pulsed flow control method for radiant slab system
Brehob et al. Numerical model of upward flame spread on practical wall materials
CN103675018A (zh) 一种织物热性能测试仪
Furbo et al. Smart solar tanks for small solar domestic hot water systems
US6783368B2 (en) Transient heat conduction using thermocouples, thermochromic liquid crystals, and numerical simulation
Videcoq et al. Heat source identification and on-line temperature control by a branch eigenmodes reduced model
Bertolin et al. Laboratory tests for the evaluation of the heat distribution efficiency of the Friendly-Heating heaters
Yuan et al. Simplified correlations for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heat flux density of radiant ceiling panels
Bacon Basic heat transfer
Dantas et al. Parameter estimation in moist capillary porous media by using temperature measurements
CN213957207U (zh) 一种测量精确的导热系数测试仪
JP2017036939A (ja) 土壌熱物性測定装置
Bishara et al. Thermal optimiz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n innovative wooden radiant heating system made for room temperature control—Laboratory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prototypes
JP2007024322A (ja) 床暖房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並びに床暖房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060206B2 (ja) 熱消費量算出システム
Lee et al. Deriving mean radiant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measuring indoor surface temperature
Roman Experiments Demonstrate Geothermal Heating Process
RU25304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основных теплофиз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твердого тела
Meyer et al. The influence of return loop flow rate on stratification in a vertical hot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a heat pump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