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634B1 - Deck plate that the fulcrum of bottom surface of upper plate is moved inboard - Google Patents
Deck plate that the fulcrum of bottom surface of upper plate is moved in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4634B1 KR100904634B1 KR1020090028642A KR20090028642A KR100904634B1 KR 100904634 B1 KR100904634 B1 KR 100904634B1 KR 1020090028642 A KR1020090028642 A KR 1020090028642A KR 20090028642 A KR20090028642 A KR 20090028642A KR 100904634 B1 KR100904634 B1 KR 100904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upper plate
- longitudinal direction
- ribs
- perfor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 하부를 지지하는 측판을 상판 측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지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처짐등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측판의 내,외측에 상판 하부의 다른 지점을 지지할 수 있는 사이드 패널, 격벽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중지점을 제공하여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하중강도가 우수하며 내구성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plat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the side plat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a point located inward from the side end of the upper pl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eformation such as deflection due to external force, By installing side panels and bulkheads that can support other points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inside and outside, multi-points can be provided to distribute the load on the top plate, and the load strength is excellent and the dur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It is about a perforated plate.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을 보다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In general, the duplex plate is used to cover the road to make traffic more smooth when digging roads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0)은 차량이 지나가기 위한평평한 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하시설의 공사를 위해 형성한 공사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보(8)의 상측에 수십 내지는 수백개의 복공판(10)이 배 열되어 임시적인 노면을 형성하게 되고, 그 위를 차량이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와 같은 복공판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2)과 측판(14) 및 격벽(16)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above-described perforated plate includes an
상기 상판(12)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단위부재(13)가 병렬로 용접되고, 자동차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상판(12)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단위부재(13)의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데, 그에 따라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저면을 항하여 돌출된 리브들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측판(14)은 상기 상판(12)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12)의 양측 끝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상기와 같은 측판(14)은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저면이 공사구의 지지보(8)에 결합된다.The
또한, 상기 상판(12)의 저면에는 상기 상판(1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격벽(16)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bottom wall of the
상기 격벽(16)은 상기 상판(12)의 저면을 소정간격으로 상기 측판(14)에 지지한다.The
상기 복공판(10)의 너비를 a, 길이를 b 라고 할 때, 상기 복공판(10)의 너비방향의 변형(Ⅰ)은 하측으로 호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When the width of the
한편, 상기 복공판(10)의 길이방향의 변형(Ⅱ)은 하측으로 호의 형태를 이루 되, 상기 격벽(16)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은 불연속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deformation (II)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상기 복공판(10)에 하중 w가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복공판(10)은 너비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최대변형이 발생하며, 그 변형량(δa)은 아래와 같다.Assuming that the load w acts on the
여기서, α는 상기 하중이 집중하중일 때의 계수이며, β는 상기 하중이 분포하중일 때의 계수이다. 또한, 상기 E는 탄성계수이며, I는 2차 단면 모멘트 값이다.Here, α is a coefficient when the load is a concentrated load, and β is a coefficient when the load is a distributed load. In addition, E is the elastic modulus, I is the secondary cross-sectional moment value.
또 한편, 상기 복공판(10)은 길이방향으로도 (Ⅱ)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는데, 상기 복공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은 하중에 의한 변형 외에도 상기 복공판(10)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량(δa)의 프와송 비에 의한 추가변형량이 더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복공판(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변형량은 상기 복공판(10)의 너비방향에 따른 변형량에 의한 상기 복공판(10)의 재료 특성치에 해당하는 프와송 비율만큼 추가적으로 발생되게 된다.That is, the deformation amou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따라서, 상기 복공판(10)의 너비방향에 따른 변형량(δa)이 커질수록 상기 복공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량 또한 커지게 되며, 이는 복공판(10)의 내구성을 취약하게 함으로써, 복공판(10)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량(δa)을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 제기된다.Therefore, the larger the deformation amount δa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또한, 종래의 복공판(10)의 각 단위부재 및 측판(14), 격벽(16)등은 각 결합개소가 모두 용접되는데, 측판(14)이 "ㄴ"자 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측판(14)의 수평으로 연장된 저면이 복공판(10)의 중앙측으로 향하고 있어 격벽(16)을 용접할 때 용접공간이 협소하며, 이는 작업성 저하 및 용접품질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unit member,
또한, 상기 격벽(16)의 상단에는 상기 상판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리브가 삽입되는 슬릿(18)들을 복수개 형성해야 하는데, 이를 치수에 맞게 가공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측판(14)의 저면이 내측을 향하고 있어, 복공판(10)의 조립시 격벽(16)을 측판(14)보다 먼저 결합한 후 측판(14)을 결합해야 하며, 상기와 같은 공정은 반드시 순서를 지켜져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종래에도 강성을 높인 복공판이 여러 가지 제시되었으나, 각각의 구조들이 서로 독특하여, 종래 널리 쓰이는 구조물을 활용하지 못하고 새로 제작하여야하므로 대규모 설비라인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variety of perforated plates have been proposed, but each structure is unique,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scale facility line is additionally needed because new structures must be newly manufactured without using a structure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또한, 종래 복공판(10)의 경우 측판(14)이 상판(12)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므로 복공판(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상판(12)의 양측 끝단에 집중되어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 상판(12)의 양측 끝단과 측판(14)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구성요소에서 추가되거나 변형되는 구성요소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상기 복공판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량이 최소화되면서 상기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복공판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components to be added or deformed in the conventional components,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amount of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length of the perforated plate It is to provide a perforated plate that can minimize the amount of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또한, 상판을 "ㄷ"형상의 단위패널을 병렬로 상호결합하여 저면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리브에 측판, 격벽, 사이드 패널 및 인너패널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다중지지점을 제공하여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중강도가 우수하며, 내구성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복공판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on the bottom surface by mutually combining the unit panels of the "C" shape in parallel to the top plate by providing a multi-support point to support the side plate, barrier ribs, side panels and inner panels on the plurality of ribs To provide a perforated plate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excellent load strength, and dur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양측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리브를 갖는 "ㄷ"자 형상의 단위부재가 복수개 병렬로 상호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도로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판 중 양측단부로부터 내측에 위치한 다수의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브를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 shaped unit member having a rib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s made of a plurality of mutually coupled in parallel,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d 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end portion comprises a pair of side plates each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ribs of the plurality of ribs located i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up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do.
그리고,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상판 중 양측단부로부터 내측에 위치한 다수의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브를 각각 지지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en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ribs of the plurality of ribs located i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It may comprise a horizontal portion.
또한, 상기 상판의 저면 중 상기 한쌍의 측판 사이에 상기 상판의 너비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plate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of the bottom of the top plate.
아울러, 상기 격벽은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설치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그리고, 상기 격벽은 상기 다수개의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리브의 끝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lit in which the end of the rib is insert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ibs.
또한,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상판의 양측단부에 각각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한쌍의 측판 일측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사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may include a pair of side panel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one end of each of which is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side plates,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한쌍의 측판 사이에 위치한 다수개의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브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측판 일측에 지지되는 인너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anel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panel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rib among a plurality of rib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side plate. have.
여기서, 상기 인너 패널은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ner panel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첫째, 복공판의 너비방향 변형량이 최소화 되므로 프와송 비에 의해 복공판의 길이방향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그에 따라 복공판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deformation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minimized, the longitudinal deform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minimized by the Poisson's ratio,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erforated plate.
둘째, 상판을 "ㄷ"형상의 단위패널을 병렬로 상호결합하여 저면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리브에 측판, 격벽, 사이드 패널 및 인너패널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다중지지점을 제공하여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중강도가 우수하며, 내구성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upper panel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on the bottom surface by mutually combining the "c" shaped unit panels in parallel to provide multiple support points to support the side plates, partition walls, side panels and inner panels on the plurality of ribs. There is an effect to disperse the load applied, excellent load strength, and significantly increased durability.
셋째, 복공판에 보다 적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종래와 동일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복공판을 경량화 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공판을 지지하는 지지보등의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 또한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고 이는 공사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Third, even if less material is used for the perforated plate, the same strength as in the prior art can be maintained,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load on the structures such as the support beams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is also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There is a saving effect.
넷째, 종래의 측판의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복공판 구성요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요소 제작이 최소화 되므로 제작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only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side plate can make the most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components can be utilized to minimize the production of additional additional components can also reduce the production cost, in the fiel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다섯째, 측판과 상판 및 격벽의 결합면이 종래에 비하여 보다 외부로 많이 개방되어 접합작업의 공간이 광대화 되며, 이는 접합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접합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ifth, the joining surface of the side plate, the top plate and the partition wall is more open to the outside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 space of the joining work is vast,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joining work and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joining quality. Can be.
여섯째, 측판 및 격벽의 설치 시 서로 독립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공정이 보다 유연화 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Sixth, since the side plate and the partition wall can be installed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independently, the work process can be more flexibl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t the work sit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과 측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상판(110)은 양측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리브(114)를 갖는 "ㄷ"형상의 단위부재(112)가 복수개 병렬로 상호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즉, "ㄷ"형상의 단위부재(112)는 리브(114)가 양측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차량이 지나갈 수 있는 도로의 바닥면을 이루게 되며, 저면은 복수개의 리브(114)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는 구조인 것이다.The
여기서 리브(1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판(110)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판(110)의 전단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상판(110)이 차량 및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변형되는 변형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측판(120)과,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격벽(130) 또는 사이드 패널(140) 및 인너 패널(150)이 동반 지지될 수 있도록 다중의 지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측판(120)은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종래와 같이 측판(120)이 상판(110)의 양측 끝단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판(110)의 양측 끝단보다 내측의 지지점 즉, 상 판(110)의 리브(114)에서 제공하는 다중의 지지점 중 상기 상판(110)의 양측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한 지점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측판(120)이 상판(110)을 지지하는 위치는 상판(11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내측의 임의의 지점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where the
상기 측판(120)은 수직부(122)와 수평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122)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124)는 상기 수직부(122)의 하측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형성된다. The
여기서, 측판(120)의 수평부(124)는 외측으로만 절곡형성되어 한 쌍의 측판(120)이 "┛┗"의 형상을 이루거나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 ┻"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상기와 같은 측판(120)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측판(14)과 동일한 형태 및 치수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종래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나 상기 상판(110)과 결합되는 구조가 다른 것이다.Th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격벽(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0)은 상기 상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판(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격벽(130)은 사각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120)의 양 수직부(122) 사이에 상판(1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다수의 리브(114)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의 지지점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30)이 복공판(100)의 길이 b의 1/4 지점마다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따라서, 상기 격벽(130)을 상기 측판(120)의 양 수직부(122) 사이에 끼워넣어 위치시킨 후에 용접 및 접합할 수 있어 측판(120)과의 접합부위 및 상판(110)과의 접합부위가 작업자에게 보다 넓게 개방되어 접합작업 면적이 광대화되며 그에 따라 작업편의성이 향상되어 접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격벽(130) 또는 측판(120)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먼저 상판(110)에 결합시킨 후 나머지를 결합할 수 있어 작업공정상 유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4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10) 저면에 형성된 리브(114)의 돌출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리브(114) 중 양측단부의 리브(114)의 돌출 길이가 다른 리브(114)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돌출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otrusion lengths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복공판(100)이 공사구에 설치되어 차량등에 의해 하중을 받을 때 발생하는 거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behavior that occurs when the porous plate 100 mad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construction zone and subjected to a load by a vehicle or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복공판(100)의 너비는 a 이며, 상기 복공판(100)의 길이는 b로서 종래와 동일하다.The width of the porous plate 100 is a, the length of the porous plate 100 is b as in the prior art.
상기 측판(120)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간의 거리는 c 이며, 상기 측판(120)에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상판(110)의 측면 끝단까지의 거리는 d 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supported by the
그리고, 상기 복공판(100)의 상판(110)에 분포하중 w가 작용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orm in which the distribution load w acts on the
한편, Ⅰ는 종래 복공판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 형태를 그린 곡선이며,Ⅱ는 종래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 형태를 그린 곡선이다.On the other hand, I is a curve which shows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form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and II is a curve which shows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for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상기 복공판(100)의 상판(110)에 분포하중 w가 작용되었을 때, 본 발명의 복공판(100)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 형태는 Ⅲ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판(120)이 상기 상판(110)의 양측단부로부터 내측으로 d 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상판(110)의 저면을 지지하므로, 전체적인 변형의 형태는 물결과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When the distribution load w is applied to the
이 때, 상기 복공판(100)의 너비방향에 대한 최대 변형은 복공판(100)의 중심지점에서 발생되며, 그 크기(δc)는 아래와 같다.At this time, the maximum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100 is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perforated plate 100, the size (δc) is as follows.
여기서, α는 상기 하중이 집중하중일 때의 계수이며, β는 상기 하중이 분포하중일 때의 계수이다. 또한, 상기 E는 탄성계수이며, I는 2차 단면 모멘트 값이다.Here, α is a coefficient when the load is a concentrated load, and β is a coefficient when the load is a distributed load. In addition, E is the elastic modulus, I is the secondary cross-sectional moment value.
한편, 종래와 같이 상판(110)의 양측 끝단부가 지지될 때 변형 형태는 I와 같이 이루어지며, 최대변형량(δa)는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both ends of the
여기서, 상기 E와 I는 물성치 및 단면 형태에 관한 수치이므로 동일하고, 분포하중 w는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a가 c에 비해크며, 상판(110)의 변형량은 a와 c의 차이의 4제곱에 비례하므로, 상기δc가 δa 에 비하여 현격히 작음을 알 수 있다.Here, E and I are the same as the numerical values for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the same, the distribution load w acts the same, as shown in Figure 6 a is larger than c,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또한, 상기 측판(120)부터 상판(110)의 측면 끝단부의 변형량 δd 은 아래와같다.In addition, the deformation amount δd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γ는 하중의 형태에 따른 계수이다. 상기 δd를 δa와 비교하여보면, d의 길이가 a의 길이보다 매우 짧음을 알 수 있어 상기 δd는 δa보다 작다.Is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Comparing the δd with δa,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of d is much shorter than the length of a, and δd is smaller than δa.
여기서,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상판(110) 측면 끝단까지의 거리d 는 a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δd가 δa보다 작게되는 d의 범위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distance d from the support point to the side end of the
또한,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상판(110) 측면 끝단까지의 거리d 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측판(120)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간의 거리 c와 같거나 c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range of the distance d from the support point to the side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상판(110) 측면 끝단까지의 거리d 의 값을 측판(120)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간의 거리 c와 같거나 c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d의 값이 c의 값보다 클 경우 상판(110)의 중앙부분의 전단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반면에 상판(110)의 양측단부에 대한 전단강도는 상판(110)의 중앙부분에 대한 전단강도에 비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value of the distance d from the support point to the side end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공판이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서로 이웃하는 양 복공판의 d를 합한 값이 c값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양 복공판의 δd와 δc 가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values of d of the neighboring two perforated plates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value of c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the perforated plates, so that δd and δc of both perforated plates are balanced. .
한편, 상기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 형태는 Ⅳ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전체적인 형태는 종래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 형태인 Ⅱ와 유사하나, 종래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 형태인 Ⅱ는 하중 w 에 의해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에 더하여 복공판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량 δa에 의한 포아송 비에 따른 변형도 추가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formation 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made as IV. That is, the overall shape is similar to II, which is a deformation for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but II, which is a deformation for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is adde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n addition to the deform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by the load w.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Poisson's ratio by the amount of deformation δa also occurred.
물론, 본 발명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 또한 복공판의 너비방향에 대한 변형량 δc의 포아송 비에 의한 변형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δc가 δa 보다 작으므로 포아송 비율에 의해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변형에 끼치는 영향이 작음을 알 수 있다. Of course, the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occurs a deformation due to the Poisson's ratio of the deformation amount δc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but as described above, since δc is smaller than δa,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n the deformation is small.
따라서, 본 발명의 복공판의 길이방향에 대한 최대 변형량은 종래의 복공판 길이방향에 대한 최대 변형량 보다 작다.Therefore, the maximum deformation amou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ous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eformation amou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porous plate.
한편, 상기 격벽(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30)의 상측면 에 상기 상판의 리브(114)가 삽입되는 슬릿(134)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슬릿(134)을 형성하지 않고 리브(124)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지지점에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10)의 측면 양 끝단부는 지지되지 않는 자유단이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110)의 양 끝단부를지지하는 한쌍의 사이드 패널(140)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of the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단면도, 도 9b 및 9c는 도 9a의 사이드 패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d는 도9a 및 도9c의 사이드 패널의 저면도이다.9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ous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B and 9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ide panel of FIG. 9A, and FIG. 9D is a bottom view of the side panel of FIGS. 9A and 9C.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과, 측판(120) 및 격벽(1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 패널(140)은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상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상판(110)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리브(114)에 각각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한쌍의 측판(120) 일측에 각각 지지된다.As shown in FIG. 9A, the pair of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 패널(140)은 내측으로 1단 절곡된 "ㄴ"자 형상의 판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패널(1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9b 및 9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40)은 평면의 플레 이트로 형성되어 상판(110)의 양측단부로부터 상기한 수평부(124)의 끝단부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는 도9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사이드 패널(140)이 상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일실시 예일 뿐 상기한 복수개의 사이드 패널(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D,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사이드 패널(140)은 상판(110)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면서 상판(110)의 양측단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공판(100)을 병렬로 다수개 결합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복공판(100)의 측판(120)사이에 위치하는 상판(110)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판(110)의 너비방향에 따른 변형폭을 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uch a
사이드 패널(140)을 상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경우 상판(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측판(120)과 사이드 패널(140)에 분산되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판(110)의 양측단부가 손상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When the
구조해석 결과, 도 9a와 같은 지지구조에서 상판(110)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하중이 사이드 패널과 측판에 약 3 : 7의 비율로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120)사이에서 상기 상판(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인너 패널(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an
상기 인너 패널(150)은 일단부가 한쌍의 측판(120)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리브(114) 중 어느 하나의 리브(114)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측판(120) 일측에 지지되어 상판(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중 지점을 통해 분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너 패널(150)은 리브(114)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의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측판(1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데, 균형을 위하여 양측에 대칭적으로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The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리브(114)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지점 중 한쌍의 인너 패널(150)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지점이 서로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한쌍의 인너 패널(150) 사이에는 상판(110)의 너비방향으로 전술한 격벽(130)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a pair of points supported by a pair of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인너패널(150)이 상기 상판(110)의 정중앙부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아울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패널(150)은 상기 상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이 때, 복수개의 인너 패널(150)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인너 패널(150) 사이에는 전술한 격벽(130)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또한, 도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9b의 복공판 중 격벽(130)을 생략하고, 격벽(130) 대신 인너 패널(150)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상판(110)을 이루는 단위부재(112)로서, 단면이 "ㄷ"자형인 것이 상호 복수개 결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진 단위부재(112)의 사용 또한 가능하다. 일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 측부에 구비되는 단위부재는 'H'형 단면을 가진 단위부재가 사용되고 내측에는 "ㄷ"형 단면을 가진 단위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단면을 가진 단위부재의 일괄사용 및 조합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the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공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철판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목재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다양한 재질로 형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erforated plat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n iron plate, or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ade of a material such as wo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Having looked at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종래의 복공판의 설치 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도 2는 종래의 복공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도 3은 종래의 복공판의 하중부하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according to the load load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도 4는 본 발명의 복공판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리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ri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복공판의 하중부하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according to the load load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4의 격벽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partition of FIG. 4; FIG.
도 9a는 도 5에 사이드 패널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9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ide panel is provided in FIG. 5;
도 9b 및 9c는 도 9a의 사이드 패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9B and 9C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ide panel of FIG. 9A;
도 9d는 도9a 및 도9c의 사이드 패널의 저면도;9D is a bottom view of the side panel of FIGS. 9A and 9C;
도 10은 본 발명의 복공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저면도; 그리고,11 is a bottom view of FIG. 10; And,
도 12는 도 10의 인너 패널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inner panel of FIG. 10;
도 13은 도 12의 인너 패널의 또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inner panel of FIG. 12;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복공판 112: 단위부재 100: perforated plate 112: unit member
120: 측판 124: 수평부 120: side plate 124: horizontal portion
134: 슬릿 150: 인너 패널 134: slit 150: inner panel
110: 상판 114: 리브 110: top 114: rib
122: 수직부 130: 격벽 122: vertical portion 130: partition wall
140: 사이드 패널 140: side panel
δa : 종래의 복공판의 너비방향 최대 변형량δa: maximum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δb : 종래의 복공판의 길이방향 최대 변형량δb: maximum longitudinal deformation of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δc : 본 발명의 복공판의 너비방향 최대 변형량δc: maximum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δd : 측판에 의한 지지점부터 상판의 측면 끝단부의 최대 변형량δd: maximum deformation of side edge of top plate from supporting point by side plate
Ⅰ: 종래 복공판의 너비방향 변형 곡선Ⅰ: Deformation cur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Ⅱ: 종래 복공판의 길이방향 변형 곡선II: Longitudinal deformation curve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Ⅲ: 본 발명의 복공판의 너비방향 변형 곡선III: Width Deformation Curve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Ⅳ: 본 발명의 복공판의 길이방향 변형 곡선IV: longitudinal deformation curve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173 | 2008-10-17 | ||
KR20080102173 | 2008-10-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4634B1 true KR100904634B1 (en) | 2009-06-24 |
Family
ID=4098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8642A KR100904634B1 (en) | 2008-10-17 | 2009-04-02 | Deck plate that the fulcrum of bottom surface of upper plate is moved in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463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76650A (en) * | 2013-06-06 | 2013-09-04 | 宁波华缘复合新材料有限公司 | Road maintenance guard boar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394Y1 (en) | 1999-07-06 | 2000-02-15 | 부세산업주식회사 | Covering plate for construction |
KR200438042Y1 (en) | 2007-02-02 | 2008-01-21 |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Deck Plate |
KR20080057555A (en) * | 2006-12-20 | 2008-06-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Integrated lining board |
KR100892926B1 (en) | 2008-10-17 | 2009-04-09 | 박상현 | Deck plate having reinforce member |
-
2009
- 2009-04-02 KR KR1020090028642A patent/KR10090463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394Y1 (en) | 1999-07-06 | 2000-02-15 | 부세산업주식회사 | Covering plate for construction |
KR20080057555A (en) * | 2006-12-20 | 2008-06-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Integrated lining board |
KR200438042Y1 (en) | 2007-02-02 | 2008-01-21 |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Deck Plate |
KR100892926B1 (en) | 2008-10-17 | 2009-04-09 | 박상현 | Deck plate having reinforce memb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76650A (en) * | 2013-06-06 | 2013-09-04 | 宁波华缘复合新材料有限公司 | Road maintenance guard 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3559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 |
KR102030510B1 (en) | Cantilever-type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06583B1 (en) | U-shaped composite beam | |
KR100911451B1 (en) | Composite temporary bridge be combind main girder and deck plate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 |
KR102252648B1 (en) | Structure Of Assemble For Steel Frame | |
KR100904634B1 (en) | Deck plate that the fulcrum of bottom surface of upper plate is moved inboard | |
KR101547540B1 (en) | Hybrid beam having different type flange | |
KR20180001721A (en) | Hybrid Beam Consisted Of Compressive U-Shaped Flange And U And H-Shaped End Blocks | |
KR100699040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s | |
CA3103422A1 (en) | Heavy duty spanning form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JP5904052B2 (en) | Connecting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floors of thin lightweight steel structure | |
KR100932105B1 (en) | Steel roof frame gider and temporary bridge using the same and method constructing thereof | |
KR100892926B1 (en) | Deck plate having reinforce member | |
CN212801948U (en) | High-strength stiff column-beam column connecting joint | |
KR101732719B1 (en) | Hybrid beam having tube-type flanges | |
CN110939228B (en) | Assembled low-rise building structure | |
JP2017193946A (en) | Heavy equipment support mechanism | |
KR101729122B1 (en) | A reinforced earthquake-proof device of split type | |
CN219137968U (en) | Top structure unit of extension workshop and container | |
KR102609879B1 (en) | Maintenance type soundproof wall using a vertical load transfer prevention fixture | |
JP4249104B2 (en) |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and beam reinforcement method | |
KR102436993B1 (en) | Composite Beam with H-Shaped Steel for Layer Savings | |
KR102268469B1 (en) | Steel beam having horizontal support offset type | |
KR20030048301A (en) | Frame for construction | |
JPH05148907A (en) | Building composed of dwell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