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505B1 -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505B1
KR100904505B1 KR1020027001942A KR20027001942A KR100904505B1 KR 100904505 B1 KR100904505 B1 KR 100904505B1 KR 1020027001942 A KR1020027001942 A KR 1020027001942A KR 20027001942 A KR20027001942 A KR 20027001942A KR 100904505 B1 KR100904505 B1 KR 10090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cation
participant
remot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773A (ko
Inventor
피터 맥더피 화이트
Original Assignee
텔레포텍,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포텍, 인크. filed Critical 텔레포텍, 인크.
Publication of KR2002004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원격지에 있는 사람에게 홈위치의 원격현실감 제공하는 한편, 원격지로부터 전송된 사람의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를 홈위치에서 3차원 설정체로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은 배경위에 사람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프리젠테이션 시스템과; 상기 설정체와 상기 사람의 중첩 비디오 이미지를 뷰잉하는 양방향 미러와; 상기 사람의 중첩 이미지의 시선에 배치된 비디오 카메라 또는 한쌍의 카메라와; 및 상기 홈위치와 원격지간의 망접속을 포함한다. 입체뷰잉은 상기 양방향 미러 및 재귀반사성 표면과 함께 원격지 사람의 실물크기의 자동입체 라이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이용된다.
입체상, 원격전송, 양방향 미러, 카메라, 투사기

Description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3차원 설정체안에 중첩된(superimposed) 사람의 실물크기 이미지를 전송하여 아이컨택(eye contact)을 달성하는 비디오 회의에 특히 적합한,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당사자간에 동영상 및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회의라고 알려져 있는 시스템들은 두 장소간에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해 ISDSN 같은 망접속을 이용한다.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하며, 가정에 있는 사용자들의 이미지를 포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 모니터 위에 구비한다.
사용자들이 모니터상에 영상으로 나타난 사람들과 통신하는 것이 일반적인 비디오 회의 형태이다. 이런 유형의 통신은 사용자들이 통신하는 동안 서로를 똑바로 바라볼 수 없다는 점에서 부자연스럽다. 이는 카메라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사람의 눈의 위치에 맞춰있지 않고 모니터보다 높게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가정에 있는 사용자가 모니터상의 사람을 바라보면, 사용자는 카메라에서 시선을 돌리게 된다. 결국, 원격지에서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카메라에서 시선 을 돌린 사람을 나타내게 된다. 이 때문에 상대방의 눈을 바라보며 자연스럽게 통신할 수 없게 된다.
몇몇 특허는 양방향 미러(two way mirror)를 사용하여 모니터 또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사람의 시선(line of sight)을 카메라의 반사된 시선(line of view)에 일치시키는 원리를 다루고 있다. 이들 발명은 사용자와 원격지에 있는 사람의 전송 이미지 사이에 아이컨택을 달성한다. 그러나, 전송된 사람이 평면 스크린상에 보여지기 때문에 한 공간내에 있다는 현존감(sense of presence)을 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라, 가정에 있는 사용자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원격지를 바로 앞에서 본다. 본 발명은 실제로 그곳에 있는 것처럼 원격지의 광경을 나타냄으로써 원격현실감(telepresence)을 제공한다.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은 가정에 있는 사용자를 강의책상 뒤로 중첩(superimposed)되거나 테이블에 앉아 있는 실물크기의 이미지로 보게 된다. 이러한 중첩된 실물크기의 이미지는 가정에 있는 사용자의 원격현실감을 위한 시야에 카메라를 일치시키도록 배치된다.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은 자연스러운 인간 통신을 위한 원격현실감을 갖는 사람의 실물크기의 이미지를 보기 때문에 이 기술을 "원격전송(teleportation)"이라고 한다.
원격전송된 사람과 마주보는 것(eye to eye contact)은 보다 자연스러운 통신을 조성하는 현존감을 구축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형태에 의해, 사람들은 보다 잘 표현할 수 있고 감정과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제스쳐나 표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회의를 갖는 대신 "원격전송회의(teleportation conference)"라는 이름의 새로운 형태의 통신을 만들어 낸다.
본 발명은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사람들의 이미지의 눈의 상대적인 위치에 카메라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아이투아이 통신(eye to eye communition)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진 않지만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이미지 포착장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투사장치, 해당 참가자가 점유하는 관찰구역, 및 이미지들이 뷰잉되는 양방향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포착장치 각각은
(a) 홈위치 관찰구역을 점유하는 참가자를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과하는 시선을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뷰잉하도록 배치되며,
(b) 포착된 이미지가 홈위치로 부터 원격위치로 전송되어 해당 양방향 미러를 통해 뷰잉되도록 원격위치에서 투사되게끔 상대방 이미지 투사장치에 링크되는 제1및 제2 위치와;
관찰구역으로 부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볼 수있는 시각 뎁스큐 수단을 포함하여, 원격 참가자의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가 상기 시각 뎁스큐 수단이 제공하는 3차원 설정체내에서 중첩되어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각뎁스큐수단은 해당 위치의 관찰자가 두드러지게 볼 수 있게 적절히 위치한 하나이상의 물체 또는 양방향 미러 너머에 위치한 추가의 이미지 디스프레이(일례로, 스크린 또는 배경막에 투사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설정체"란 용어는 관찰자에게 원격 포착된 이미지를 양방향 미러 너머의 3차원 공간내에 위치한 것으로 임프레션을 주게 하는 배열로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3차원 설정체는 평면 또는 입체의 추가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일례로, 배경)이 디스프레이되는 하나이상의 추가 평면으로부터 뷰어의 시선을 따라 이격된 평면내에 상기 원격포착된 이미지(평면 또는 입체)를 위치시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양상은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각기 비디오 카메라 형태의 이미지 포착 장치와, 양방향 미러와, 이미지 디스프레이의 구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원격 위치에 망을 통해 접속된 홈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사용자의 동영상을 포착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장치라도 좋다. 상기 카메라는 표준 비디오 포맷, 또는 인터넷을 통한 전송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과 같이 망용으로 적합화된 포맷으로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미러는 일례로 부분 미러구조를 갖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막 재료로 이루어진 반투명소자 또는 다른 형태의 빔 분할구성체일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미러는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리 또는 플라스 틱시트가 적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미지 디스프레이는 배면투사 스크린, 전면투사 스크린, 역반사면, 또는 플라즈마 스크린, LCD 스크린 또는 모니터와 같은 대형 디스프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원격이동 회의의 기점위치에서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는 원격위치로 지칭되는 또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의 실물크기 이미지를 보고자 한다. 상기 사용자의 전면에 위치한 양방향 미러는 이미지 디스프레이상에 디스프레이되는 사람의 이미지를 반사할 수 있게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일 위치에서 뷰어가 보는 이미지는 원격위치의 참석자의 미러 이미지가 아니게 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소형 미러를 장착하거나 비디오 처리에 의해 이미지를 측방으로 플립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양방향 미러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이미지 디스프레이를 반사시킬 수 있게 아래로 경사지게 또는 그 위에 위치하는 이미지 디스프레이를 반사시킬 수 있게 위로 경사지게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디스프레이와 미러는 그이미지 디스프레이의 반사 이미지를 테이블 또는 강의대의 타측에 있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테이블을 갖는 구성의 경우, 원격이동된 사람은 의자에 착석한 것으로 나타나고, 카메라는 홈위치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게 상기 사용자쪽으로 면한 카메라와 함께 높은 등받이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강의대를 갖는 구성의 경우, 카메라는 강의대 뒤의 늘어진 배경막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구성의 경우나, 원격이동된 사람의 눈의 위치는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시선과 일치할 수 있는 위치에 디스프레이된다.
위치들간의 시각적인 개인-대-개인 링크는 그 위치들 간의 컴퓨터 링크의 의해 보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원격위치의 사람(들)과 공유할 내용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그의 전방에 위치하는 컴퓨터 모니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홈위치의 컴퓨터는 원격위치의 호환 컴퓨터와 인터넷, 전화통신 접속, 또는 사설망을 통해 망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홈 위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프레이되는 이미지들은 원격 위치의 사람의 면전에 위치한 모니터에 그리고/또는 원격 위치의 청중이 볼 수 있는 스크린 상에 디스프레이될 수 있게 특정 소프트웨이 및 망 접속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각 위치의 사용자들은 홈위치 및 원격위치 모두의 컴퓨터 스크린상에 시각화될 스크린상에 표시를 이루게 하도록 스타일러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적용예는 본점은행의 은행원과 지점은행의 고객간의 원격이동 미팅을 들 수 있고, 여기서 은행원은 고객 컴퓨터 프로그램내의 적절한 그래픽 및 서식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은행원과 고객은 얼굴-대-얼굴 통신의 원격이동 시각 디스프레이를 통해 디스프레이되는 그래픽과 재정자료들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고객에게 관심이 되는 정보는 추후의 검토 및 숙고를 위해 가져갈 수 있도록 고객 옆의 소형 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다. 은행원은 고객을 도와 서식에 정보를 타이핑하여 기입하거나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적합한 박스들을 체킹하고, 보증 및 평가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눈-대-눈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완성된 서식은 은행지점에서 인쇄한 후 은행본점으로 송달할 수 있게 고객이 사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홈위치의 사람은 원격위치의 강의대에 디스프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홈위치의 컴퓨터 스크린상에 디스프레이되는 시각 내용은 청중의 시야에 있는 대형 스크린상에의 디스프레이를 위해 원격위치에 망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적용예로서, 본 발명은 프리젠터를 보는 경우 및 프리젠테이션의 내용을 보는 경우 모두에 관심이 있는 경우 교습,훈련, 또는 통합 프리젠테이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타일러스의 사용에 따라, 프리젠터는 준비한 프리젠테이션의 내용을 강조할 수 있는 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청중의 면전에 있는 화면은 "대화식 보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대화식 보드는 컴퓨터 입력으로서 그 보드상에 형성된 모든 표시들을 등록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상의 표시는 원격위치의 청중에 의한 모든 입력의 디스프레이를 프리젠터가 볼 수 있게 하도록 프리젠터의 컴퓨터에 망 접속될 것이다.
본 발명의 대규모 구성의 경우에는 머리로부터 발끝까지의 대체로 전신이 대체로 실물크기로 디스프레이된다. 이 전신은 극장에서 디스프레이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격이동된 사람이 무대에 있는 것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원격이동된 사람이 청중의 일원들과 자연적인 회화를 통해 대화할 수 있도록 청중의 대형 스크린 디스프레이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위 인사, 연기자, 음악가, 스포츠 스타, 명사들이 전세계의 청중들과 얼굴-대-얼굴 접촉을 할 수 있다.
영화 프로덕션용으로는 원격이동된 사람들의 중첩 이미지들뒤에 배경막을 투사하는 제 2 투사수단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위치들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시간 발생되는 가상환경일 수 있는 투사된 배경막의 면전에 원격이동된 사람이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게 하는 라이브 성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이동 회의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의 경우, 홈위치의 사용자는 일례로 양방향 미러를 통해 회의실의 3차원 설정체 및 의자 전방의 평면내에서 테이블 뒤의 위치로 중첩되는 원격 사용자의 이미지를 보게 될 것이다. 상기 의자 및 테이블은 원격 사용자의 이미지를 3차원 설정체에서 볼 수 있게 시각 뎁스큐를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각 위치의 사용자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뷰잉을 행한다. 비디오 또는 컴퓨터이미지는 스크린상에 디스프레이되는 이미지가 바로 사용자의 이미지가 될 수 있게 하도록 흑색으로 되는 배경을 갖는다. 이 흑색배경은 사용자를 흑색배경에 대해 촬영하거나, 청색과 같은 색을 흑색배경으로 대치하도록 크로마키(chromakey)기술을 이용하거나, 카메라렌즈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핵심광을 갖는 역반사재료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이동 회의에 참여하는 3개이상의 위치들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위치는 원격위치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사람에 대한 별도의 이미지 디스프레이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의 각 뷰용으로는 별도의 카메라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원격위치 또는 원격위치들로 전송되는 입체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도록 약 65 mm의 오프셋을 이루는 두대의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 두대의 카메라는 그의 시야각이 양방향 미러에서의 사용자의 반사를 커버할 수 있도록 양방향 미러의 위에 위치한다. 상기 두대의 카메라들의 정확한 위치는 원격위치의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원격위치의 사용자의 눈의 정확한 위치는 헤드트래킹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며, 그 좌표는 홈위치로 전송된다. 홈위치에서, 카메라들은 양방향 미러 뒤에서의 원격사용자의 상대위치와 매칭될 수 있도록 미러위의 선택된 위치로 이동된다.
본 구성에 있어서, 스크린은 역반사재료로 구성되고, 이미지들은 전면투사된다. 두 프로젝터들은 단일 렌즈들을 사용하며, 반사된 이미지들의 초점을 사용자의 두눈의 위치들과 각기 매칭시킬 수 있게 위치가 결정된다. 헤드트래킹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좌표는 원격위치의 프로젝터들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젝터들은 역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초점에 위치될 위치까지 이동하는 변환단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동 입체 영상을 보게 될 것이다.
홈위치에서, 사용자는 원격위치의 사용자의 자동 입체 영상을 보게 될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보게 되는 프로젝터들이 카메라들의 시야에 포함될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이러한 프로젝터들의 밝기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터상에 편광필터를 설치하고, 카메라상에 제 2 세트의 편광필터들을 90도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원격 위치의 영상에 대한 투사와 홈위치의 영상에 대한 포착간의 교번을 위해 서로 동기되는 카메라와 프로젝터들 모두에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입체 영상을 얻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광이 통과후에도 극성을 유지시켜 주는 배면 투사 스크린상에 서로 90도의 각도로 설치된 편광필터들을 사용하여 입체쌍을 제공하도록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원격위치의 두대의 독립된 카메라들을 사용하여 얻은 두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비록 정상적인 배면투사 스크린 재료의 경우 편광을 확산시키나, 광의 극성은 일측부상에 위치한 프레즈넬 렌즈와 타측부상에 위치한 렌즈배열과 함께 투명한 스크린 재료를 사용하여 보유할 수 있다. 고이득 배면 투사 스크린상에 투사된 입체 이미지쌍은 양방향 미러에 의해 반사되고, 결과의 입체영상은 3차원 편광 글래스를 통해 뷰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타측위치의 한쌍의 카메라들로부터 참가자의 좌,우측 뷰들간을 교번시키도록 LCD 셔터들을 사용하는 글래스 또는 고글을 사용하여 동일한 입체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스크린을 편광을 확산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셔터 글래스는 좌, 우 이미지들의 디스프레이를 교번할 수 있는 CRT 모니터, LCD 모니터, 플라즈마 스크린 또는 다른 형태의 전자 이미지디스프레이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있어서는 디스프레이된 이미지가 양방향 미러의 너머에 위치한 3차원 설정부내에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도록 양방향 미러에 의해 반사되게끔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편광 글래스 또는 LCD 고글의 사용없이 입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3차원 설정체내에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도록 양방향 미러에 의한 반사를 위한 한 세트의 오프셋 뷰들을 디스프레이하는 랜티큘러 스크린을 모니터에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여러 위치들로부터의 동시 입체 뷰잉의 경우 이상적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디스프레이의 크기는 입수가능한 고해상 모니터들의 크기 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입체 디스프레이에 따라, 사람이 흑색 배경을 갖는 스크린상에 투사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입체 이미지는 뷰어의 면전의 3차원공간 내에서 보이도록 반사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들에 의해 포착된 사람 및 모든 물체들은 3차원 공간내에서 보임에 따라 실제 깊이를 가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반사 이미지의 단일 평면내에 있는것으로 보일 단일 영상과는 달리, 입체영상내의 사람은 양방향 미러 뒤의 3차원 공간내에서 근접 또는 이격이동 하는 것으로 보이고, 심지어는 양방향 미러의 전방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특징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람의 실물크기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 내에 물체를 포함할 수 있는 3차원 설정체로 보이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원격위치의 사람의 이미지가 물체들 중 하나의 물리적 위치와 교차될 때 수행되어야 할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원격포착된 이미지와 홈위치의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임프레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격위치의 사용자 부분에 대한 작용이 홈위치의 3차원 설정체의 물체들과 상호 연관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원격위치의 사람이 이미지 영역 내 버튼의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기능을 트리거시킬 수 있다. 원격위치의 사람이 실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기능은 손의 이동이 예정된 기능에 할당된 영역에 들어가게 되면 그 이동을 감지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위치의 사람이 실제 원격위치에 실제로 위치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을 등록하는 또다른 방법은 홈위치의 사람이 홈위치의 물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물리적 접촉은 일련의 측정가능한 압력들 및(또는) 물리적 이동들로 등록될 것이다. 이들 등록된 물리적 압력 및(또는) 이동은 유사한 물체에 대한 원격위치에서 활성화되어 홈위치에서 취해진 행동을 모방할 것이다. 이는 실제 물리적 이동 또는 물리적 변화를 3차원 공간의 물체로 활성화시키는 원격위치의 사람의 이미지를 좌표로 디스프레이할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훈련 또는 실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사람의 2차원 실물크기 이미지와 3차원 공간내의 물체들간의 상호작용는 상기 물체들이 평면 이미지의 평면내에 있다면 유효하게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공간내에서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원격위치로부터의 실물크기의 사람의 입체 이미지를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두 위치에서의 개인-대-개인 시각통신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의 범위내에서, 각 위치의 사람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타측 위치의 사람과 최소한 시각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된 또 다른 위치가 존재케 하여 구성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원격지 사용자의 이미지가 장면속에 중첩되고 카메라가 양방향 미러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함과 아울러 의자를 구비하여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해 설정체로 광경을 제공하는 양방 향 미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테이블에 앉아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2는 홈위치와 완전히 동일한 특징의 미러 이미지를 갖는 원격지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홈위치에 있는 단신의 사람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4는 홈위치의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낮은 위치에서 사용자을 향하고 있는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지의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양방향 미러 아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와 의자에 위치한 원격지 사람의 중첩 이미지를 구비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원격지 사람이 커튼 배경앞에 중첩된 이미지가 강의책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7은 반사면상의 이미지를 투사하는 한쌍의 투사기와 사용자의 반사 이미지를 포착하는 한쌍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원격지 사람의 자동입체 뷰잉을 위해 이용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8은 원격지 시스템의 자동입체 구성을 도시한 도.
도 9는 재귀반사성 스크린으로부터의 상대거리를 맞추는 투사기의 위치를 조정하여 홈위치 사용자가 근접 뷰잉 위치에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10은 홈위치의 사용자의 상대거리를 원격지의 상용자에 맞추기 위해 근접 이동하는 사용자를 향한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11은 스테이지위에 중첩되어 청중들에게 보이도록 홈위치 사람의 전신이 양방향 미러 위에 위치한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12는 전신 이미지를 갖는 스크린을 아래로 반사하기 위해 양방향 미러가 경사져 있는 극장 설정체에서의 또다른 시스템 구성도.
도 13은 사용자의 전신 높이의 모습이 홈위치에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고 사용자가 대형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원격지 청중의 모습을 볼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서있는 일단의 사람들이 홈위치 사용자의 중첩된 이미지를 볼수 있는 전시회 강단의 시스템 구성도.
도 15는 카메라 앵글이 일단의 사람들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전시회 강단의 시스템 구성 평면도.
도 16은 원격지의 카메라 앵글이 전시회 강단을 바라보는 일단의 사람들을 향한 시야각에 위치한 이미지를 홈위치의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시스템의 평면도.
도 17은 보다 넓은 영역을 커버하여 일단의 사람들을 보여주는 2대의 카메라를 구비한 전시회 강단의 시스템 구성 평면도.
도 18은 원격지 그룹을 향한 카메라 앵글을 맞추는 두개의 스크린을 구비한 홈위치에서의 시스템 구성의 평면도.
도 19는 3자간의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삼각테이블의 평면도.
도 20은 3방향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홈위치에서의 시스템 구성의 평면도.
도 21은 3방향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제1 원격지에서의 시스템 구성의 평면도.
도 22는 3방향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제2 원격지에서의 시스템 구성의 평면도.
도 23은 원격지 사람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후면 투사 스크린과 반사 이미지의 평면상에 위치한 제어물체를 구비한 구성도.
도 24는 서로 다른 심도에 위치한 다수의 제어물체들을 이용하여 입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후면 투사 스크린을 구비한 구성도.
도 1은 참조하면, 사용자(1)는 원격전송 회의(teleportation conference)를 위한 홈위치(home location)에 있다. 사용자(1)은 양방향 미러(2)의 형태의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된 스크린(3)상의 이미지를 보기위해 앞을 바라본다. 양방향 미러(2)과 스크린(3)은 반사 이미지가 위치(4)에서 테이블(8) 뒤의 3차원 설정체안에 중첩되어 의자(7) 및 배경벽(background wall)(101)의 앞에 있는 것으로 보이도록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의자와 테이블은 관찰자의 가시성 뎁스큐(visible depth cue)로 이용된다. 후면 투사 스크린(3)은 미러(9)에서 반사된, 투사기(10)에 의해 투사된 이미지를 갖는다. 카메라(5)는 양방향 미러(2)를 통해 사용자(1)의 이미지를 포착한다.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실시예는 아님) 카메라는 상기 양방향 미러와 이미지(4)를 통과하는 시야를 따라 상기 참가자를 똑바로 바라본다. 사용자(1)는 크로마키용 색상인 검정색이거나 재귀반사성(retroreflective) 물질로 이루어진 배경벽(102)을 배경으로 관찰된다. 사용자(1)는 표준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또한 포함하는 콘솔(6)의 키보드를 통해 컴퓨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원격지(remote location) 사용자(21)는 위치(24)에서 테이블(28) 뒤와 의자(27) 및 배경벽(104) 앞에 존재하는 3차원 설정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스크린(23)의 반사 이미지를 보기 위해 양방향 미러(22)를 통해 본다. 위치(24)에서의 이미지는 도 1의 사용자(1)이 카메라 5에 의해 보여진 것이다. 사용자(21)은 도 1에 도시된 홈위치의 콘솔(6)에 망에 의해 링크되어 있는 콘솔(26)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컴퓨터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25)는 사용자(21)의 양방향 미러(22)을 통해 이미지를 포착하여, 포착된 이미지를 도 1의 스크린(3)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홈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과 의자는 마찬가지로 가시성 뎁스큐로 이용된다.
도 3은 도 1의 처음 사용자보다 단신인 홈위치의 다른 사용자(12)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사용자(21)와 동일한 원격지 사용자를 도시한다. 카메라(25)의 위치는 카메라(25)의 높이를 도 3의 단신 사용자(12)의 눈 위치에 일치시키기 위해 도 2의 위치보다 낮다. 카메라(25)의 출력은 사용자(2)가 자신의 시야각(angle of view)과 일치하는 시야각으로 위치(4)에서 반사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망을 통해 홈위치로 전송되어 도 3의 스크린(3)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5는 사용자의 눈 위치가 정확히 카메라(17)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높이를 조절(120)할 수 있는 의자(20)에 앉아 있는 사용자(11)를 도시한다. 상기 사람의 눈높이를 정확히 맞추기 위해, 카메라(17)의 출력이 위치(16)에 중첩된 이미지로 보여지도록 모니터(15)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정확한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할수 있도록 모니터(15)에는 정렬기준(alignment reference)이 디스플레이된다. 카메라는 사용자(11), 의자(20) 및 배경(106)을 본다. 의자(20)과 배경(106)은 크로마키(chromakey) 물질 또는 재귀반사성 물질인 검은색이므로, 최종 이미지는 검은 배경을 등지고 있는 사용자(11)만의 이미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7)는 또한 반사된 천장(107)을 보게 되지만, 천장이 검은색이기 때문에 카메라(17)에 이미지로 기록되지는 않는다. 사용자(11)는 양방향 미러(14)에 의해 반사되어 비디오 디스플레이(15)에 디스플레이된 원격지 사람의 중첩 이미지(16)와 함께 의자(19) 및 배경벽(105)을 보기 위해 앞을 바라본다. 사용자는 망에 접속된 컴퓨터(18)를 통해 원격지 사람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은 가시성 뎁스큐 수단인 강의책상을 이용하여 3차원 설정체의 중첩 이미지(16)를 나타내기 위한 양방향 미러(14)위에 반사된 비디오 디스플레이(15)를 구비한 강의책상 앞에 위치한 사용자(13)를 도시한다. 카메라(17)는 늘어뜨려진(draped) 배경(68)안에 감춰져 있다.
도 7은 자동입체(autostereoscope)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구성을 갖는 홈위치 시스템의 사용자를 도시한다. 사용자(31)는 재귀반사성 스크린(34)을 보기 위해 양방향 미러(32)를 통해 정면을 바라본다. 사용자(31)는 또한 양방향 미러(32)에서 반사된 천장(39)를 보게 된다. 그러나, 천장(39)는 검은색이므로 재귀반사성 물질(34)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위에 아무런 중첩 이미지도 추가되지 않는다. 투사장비(35)는 사용자의 전형적인 눈간편차(interocular offset)에 근접하기 위해 약 65mm 수평으로 상쇄되는 수렴을 갖는 투사 경로를 갖는 한쌍의 투사기를 홀드(hold)하고 있다. 두개의 투사기를 보유하는 투사장비(35)는 양방향 미러(32)에서 반사되어 재귀반사성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위치한다. 재귀반사성 스크린에서 반사된 빛은 양방향 미러를 통과하여 사용자(31)의 우안 및 좌안에 각각 초점이 모아진다. 카메라 장비(33)은 두개의 카메라가 이미지의 입체쌍들을 포착하기 위해 이들의 시야가 약 65mm 상쇄되도록 하기 위해 이들 두개의 카메라를 홀드한다. 상기 카메라들은 사용자(31)의 입체상을 포착하기 위한 각도로 상기 양방향 미러를 향한다.
사용자(31)는 자신의 눈위치의 좌표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헤드트래킹장치(36)를 착용한다. 사용자(31) 눈의 상대적인 위치를 일치시키는 위치로 투사장비(35)를 이동시키는 변환스테이지(translation stage)(37)에 의해 투사장비(35)의 위치가 유지된다. 사용자의 눈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대신, 사람의 동작영역을 뷰잉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여 양위치에 있는 투사기쌍의 위치에 대한 눈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고정 카메라(stationary camera)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자동입체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원격지의 사용자를 도시한다. 사용자(41)는 재귀반사성 스크린(44)을 보기위해 양방향 미러를 통해 바라본다. 투사장비(45)는 도 7의 카메라 장비(33)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를 투사하는 두개의 투사 기를 구비한다. 카메라 장비(43)는 시야가 양방향 미러(42)에서 반사된만큼 보이는 사용자(41)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카메라 장비(43)내의 두개의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는 도 7에 도시된 홈위치로 전송되어 사용자(31)가 재귀반사성 스크린(34) 상에서 입체상을 볼 수 있도록 카메라 장비(35)에 구비된 한쌍의 투사기에 의해 투사된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 참가자의 눈이 이미지(34)를 통해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카메라(33, 43)가 양방향 미러를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시선을 따라 참가자를 본다를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9는 원격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가 재귀반사성 스크린(34)에 디스플레이될 때 이를 보다 짧은 근거리에서 보기 위해 몸을 구부리는 홈위치의 사용자(31)를 도시한다. 헤드트래킹장치(36)는 사용자(31)의 눈위치 좌표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변환스테이지(37)는 상대거리와 사용자(31)의 시야각을 맞추기 위해 투사 장비(35)를 보다 가까이 이동시킨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홈위치에서 헤드트래킹장치에 의해 검출된 홈위치 사용자(31)의 상대적인 눈위치를 맞추기 위해 변환스테이지(48)가 카메라 장비(43)를 보다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킨 원격지를 도시한다.
도 11은 극장형태의 원격지에서 청중과 함께 원격전송 회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청중(69)은 스테이지(64) 전면의 관찰구역에서 통해 스테이지(64)와 배경막(68)을 보기 위해 양방향 미러(65)를 바라 본다. 투사기(66)는 스크린(63)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반사키시는 미러(67) 위에 이미지를 투사한다. 청중은 3차원 스테이지 설정체내의 위치(62)에 스테이지 설정체로 중첩되어 나타나는 스크린(63)의 반사 이미지를 보게된다. 카메라(61)는 양방향 미러(65)를 통해 청중의 이미지를 포착한다. 스테이지 플로어(stage floor)(64)는 미러(65)로부터의 반사가 카메라(61)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위로 어떠한 빛도 중첩시키지 않도록 뒤쪽으로 배치된다. 제2 투사기(130)는 배경막(68) 위로 투사하여, 사람(62)의 이미지 중첩을 위해 배경막 설정체를 제공함과 아울러 또한 가시 뎁스큐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2는 스크린(63) 상의 이미지를 반사하여 위치(62)에서 스테이지(64) 위 및 배경막(68) 전면에서 설정체내로 중첩되게 나타나도록, 양방향 미러(65)를 비스듬히 배치한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2 투사기(131)는 배경막(68) 위의 배경 이미지를 투사하기 위해 미러(65) 보다 높게 배치된다.
도 13은 스테이지(55) 위에 서 있는 사용자(51)와의 원격전송 회의를 위한 홈위치를 도시한다. 카메라(53)은 스크린(54)내의 작은 구멍을 통해 볼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신 높이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시선을 갖는다. 사용자는 도 11의 카메라(61)과 같은 시야각을 가지고 정면을 바라보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격지에 있는 청중의 광경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린(54) 상에 디스플레이된 청중을 보게 된다.
도 14는 강의대(64) 뒤 및 배경막(68) 전면의 위치(62)에서 강단으로 중첩된, 홈위치에서 전송된 사용자를 보기 위해 강단을 바라보고 있는 일단의 사람들(69)이 있는 전시회 강단으로서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카메라(61)는 양방향 미러(65)를 통해 보이는 일단의 사람들(69)의 광경을 포착한다.
도 15는 카메라(61)에 의해 보여지는 시야(70) 내의 일단의 사람들을 구비한 전시회 강단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원격지에서 도 15의 카메라(61)와 동일한 시야각(70)에서 시야(71)을 나타내는 모니터나 스크린(54)을 바라보는 사용자(51)를 구비한 홈위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전시회 강단과, 설정 시야각(70)의 커버영역(coverage)에서 일단의 사라들(69)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61)를 구비하는 원격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2 카메라(71)는 더 많은 사람들(79)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시야각(72)을 커버한다.
도 18은 도 17의 원격지 카메라(61)의 시야각(70)과 일치하는, 모니터 또는 스크린(54)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시야(71)을 갖고 홈위치에 있는 사용자(51)를 도시한다. 도 17의 원격지 카메라(71)의 시야각(72)과 일치하는 제2 시야(73)는 모니터 또는 스크린(75)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19는 사용자(1)가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81)의 이미지와 다른 원격지 사용자(82)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3자간 원격전송 회의 구성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들(81,82)도 역시 서로를 바라보고 통신할 수 있다.
도 20은 사용자(81)의 뷰잉을 위한 정확한 각도로 사용자(1)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83)와 사용자(82)를 위한 정확한 시야각으로 사용자(1)으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84)를 구비하는 홈위치의 사용자(1)를 도시한다. 양방향 미러(91)은 사용자들(81,82)의 이미지들을 위치(94,95)에 각각 중첩시키기는 데 이용된다.
도 21은 원격지 사용자(82)의 뷰잉을 위한 정확한 각도로 사용자(81)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85)와 홈위치의 사용자(1)의 정확한 시야각으로 사용자(81)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86)와 사용자(81)를 도시한다. 양방향 미러(92)는 사용자들(1,82)의 이미지들을 위치(96,97)에 각각 중첩시기키는 데 이용된다.
도 22는 사용자(81)를 위한 정확한 시야각으로 사용자(82)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87)와 홈위치의 사용자(1)를 위한 정확한 각도로 사용자(82)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88)와 사용자(82)를 도시한다. 양방향 미러(93)는 사용자들(1,81)의 이미지들을 위치(98,99)에 각각 중첩시기키는 데 이용된다.
도 23은 원격지 사용자의 이미지를 참조번호 209로 표시한 평면상, 즉 미러(203) 뒤의 3차원 설정체내에 프리젠트되도록 나타내기 위해 양방향 미러(203)상에 반사된 스크린(204)을 뷰잉하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카메라(206)는 이미지(209)를 통해 사용자(201)를 뷰잉한다. 투사기(205)는 원격지 사용자의 이미지, 즉 미러(211)위에 반사되고 있는 이미지를 투사하여 후면 투사 스크린(204)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물체(212)는 에패런트 이미지(apparent image)(209)의 평면상에 존재한다. 테이블 윗면 같은 물리적 성분이 중첩된 이미지의 바닥과 일치하는 시각장벽(visual barrier)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도 24는 한쌍의 편광 글래스(polarzing glasses) 또는 LCD 셔터 글래스(LCD shutter glasses)(302)를 착용한 사용자(301)를 도시한다. 한쌍의 투사기(305)는 후편 투사 스크린(304)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미러(311)위에 반사된 이미지들을 투사한다. 스크린(304) 상에 투사된 한쌍의 이미지는 서로에 대해 90도로 평면에 서 편광되거나 또는 번갈아 가면서 빠르게 연속적으로 투사될 수 있다. 양방향 미러(303)는 이미지들이 평면(309)에 나타나도록 스크린(304) 상에 반사시킨다. 상기 평면(309)에는 시각잔존(persistence of vision) 현상 때문에 이미지들이 입체상으로 보이도록 중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자가 편광 글래스 또는 LCD 셔터 글래스를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사 이미지(309)의 평면 또는 평면(309)의 전면 또는 후면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나타날 입체상을 보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다수의 특징들이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의 일부 또는 전체의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live 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프리젠테이션 시스템(video present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람에게 홈위치의 원격현실감 제공하는 한편, 홈위치에서 원격지로부터 전송된 사람의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를 실제로 디스플레이하는 배치로 구체화 될 수 있다.
양방향 미러를 통해 사용자는 3차원 설정체 및 사람의 중첩된 비디오 이미지를 함께 볼 수 있다.
아이투아이 컨택(eye to eye contact)을 보장기 위해 사람의 중첩된 이미지의 시선에 카메라가 배치된다.
홈위치와 원격지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비디오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홈위치와 원격지 사이에 망접속이 존재한다.
그리고, 두개의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사람들간의 아이투아이 컨택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오디오 장비, 조명, 배경 및 장비가 이에 관련된다.
원격지 사람의 비디오 이미지의 배경은 검은색이고,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보이는 3차원 설정체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모니터의 주변에 어떠한 가시표시(visible indication)도 존재하지 않는 3차원 설정체내에 사람의 중첩 이미지가 실물크기의 라이브 사람(liver persion)으로 보이도록 밝게 빛날 수 있다.
카메라의 높이 또는 카메라에 의해 뷰잉되는 사람의 높이는, 원격지에 대한 정밀한 원격현실감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의 눈높이를 해당 높이의 카메라 높이에 일치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명 이상의 사람들의 이미지는, 실물크기의 머리 및 어깨의 라이브 이미지 또는 콘솔 뒤 및 의자의 정면으로 중첩된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람이 실제로 의자에 앉아 있거나, 강의대 뒤 및 배경막 전면에 있거나, 데이블, 작업대 또는 카운터 뒤 및 배경벽 전면에 존재하는 것같은 임프레션(impression)을 제공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한명 이상의 사람들의 완전한 전신이 스테이지 위 및 배경막 전면에 중첩된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된다.
필요한 경우, 셔터를 번갈아 바꿈으로써 카메라로 투사되는 빛을 회피하거나 최소화 하기 위해 카메라 및 투사기에 셔터나 편광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망접속은 ISDN 접속용 표준 비디오 회의 프로토콜(standard vidio conference protocol)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다수의 특징들이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의 일부 또는 전체의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live 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프리젠테이션 시스템(video present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람에게 홈위치의 원격현실감 제공하는 한편, 홈위치에서 원격지로부터 전송된 사람의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를 실제로 디스플레이하는 배치로 구체화 될 수 있다.
양방향 미러를 통해 사용자는 3차원 설정체 및 사람의 중첩된 비디오 이미지를 함께 볼 수 있다.
아이투아이 컨택(eye to eye contact)을 보장기 위해 사람의 중첩된 이미지의 시선에 카메라거 배치된다.
홈위치와 원격지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비디오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홈위치와 원격지 사이에 망접속이 존재한다.
그리고, 두개의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사람들간의 아이투아이 컨택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오디오 장비, 조명, 배경 및 장비가 이에 관련된다.
원격지 사람의 비디오 이미지의 배경은 검은색이고,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보이는 3차원 설정체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모니터의 주변에 어떠한 가시 표시(visible indication)도 존재하지 않는 3차원 설정체내에 사람의 중첩 이미지가 실물크기의 라이브 사람(liver persion)으로 보이도록 밝게 빛날 수 있다.
카메라의 높이 또는 카메라에 의해 뷰잉되는 사람의 높이는, 원격지에 대한 정밀한 원격현실감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의 눈높이를 해당 높이의 카메라 높이에 일치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명 이상의 사람들의 이미지는, 실물크기의 머리 및 어깨의 라이브 이미지 또는 콘솔 뒤 및 의자의 정면으로 중첩된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람이 실제로 의자에 앉아 있거나, 강의대 뒤 및 배경막 전면에 있거나, 테이블, 작업대 또는 카운터 뒤 및 배경벽 전면에 존재하는 것같은 임프레션(impression)을 제공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한명 이상의 사람들의 완전한 전신이 스테이지 위 및 배경막 전면에 중첩된 실물크기의 라이브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된다.
필요한 경우, 셔터를 번갈아 바꿈으로써 카메라로 투사되는 빛을 회피하거나 최소화 하기 위해 카메라 및 투사기에 셔터나 편광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망접속은 ISDN 접속용 표준 비디오 회의 프로토콜(standard vidio conference protocol)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Claims (37)

  1.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이미지 포착장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투사장치, 해당 참가자가 점유하는 관찰구역, 및 이미지들이 뷰잉되는 양방향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포착장치 각각은
    (a) 홈위치 관찰구역을 점유하는 참가자를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과하는 시선을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뷰잉하도록 배치되며,
    (b) 포착된 이미지가 홈위치로 부터 원격위치로 전송되어 해당 양방향 미러를 통해 뷰잉되도록 원격위치에서 투사되게끔 상대방 이미지 투사장치에 링크되는 제1및 제2 위치와;
    관찰구역으로 부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볼 수있는 시각 뎁스큐 수단을 포함하여, 원격 참가자의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가 상기 시각 뎁스큐 수단이 제공하는 3차원 설정체내에서 중첩되어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상기 관찰구역에 대한 상기 양방향 미러의 대향측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의 위치의 전방및/또는 후방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그 후면이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의 위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의 위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책상, 테이블, 카운터, 콘솔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의 위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강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원격 참가자의 실질상 전체 높이의 이미지가 상기 스테이지에 대해 뷰잉되도록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스테이지의 전단과 후단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의 위치의 후방에 위치한 배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의 위치의 후방에 위치한 배경과,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뷰잉되도록 이미지를 상기 배경상에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는 상기 관찰구역으로 부터 상기 설정체에 대해 실질상 실물크기, 선택적으로는 실질상 전체 높이의 이미지로서 상기 원격 참가자를 표현하도록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큐수단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물체를 비추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참가자의 원격으로 포착된 상기 이미지는, 홈위치에서의 참가자에 의해 상기 양방향 미러를 통해 뷰잉될 때, 실질상 비가시적인 배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미러는 상기 관찰구역에 위치한 참가자의 시선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미러는 수평축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는 상기 양방향 미러 하부 위치로 부터 상기 양방향 미러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는 상기 양방향 미러 상부 위치로 부터 상기 양방향 미러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참가자의 눈높이가 참가자를 뷰잉하는 이미지 포착장치의 시선과 실질상 정렬되도록 이미지 포착장치및 참가자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가 홈위치 관찰구역으로 부터 뷰잉될 때 입체 시각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가, 편광 글래스를 이용하여 홈위치에서 뷰잉할 때 원격 참가자의 입체상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셔터유리와 같은 뷰어를 이용하여 홈위치에서 뷰잉되는 이미지가 교번 이미지 디스플레이와 동기되도록, 상이한 편광각을 갖는 이미지 쌍을 형성하기 위해 편광소자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각 효과는 상이한 뷰포인트로 부터 포착된 원격 참가자 이미지간에 교대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들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위치의 참가자를 상이한 각도로 부터 뷰잉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이미지 포착장치와, 원격의 상기 이미지 포착장치에 링크되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 투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가 홈 관찰구역으로 부터 뷰잉될 때 입체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으로 포착된 이미지가 상기 관찰구역에 대한 상기 양방향 미러의 대향측에 위치한 역반사 스크린에 투사되어 상기 관찰구역에서 역반사되어 뷰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구역에서 참가자의 눈위치를 트래킹하기 위한 수단과, 트래킹된 눈위치에 따라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수단은 시스템 사용중에 참가자가 착용할 헤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수단은 참가자를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수단과, 포착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눈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29. 제1항에 있어서,
    원격위치의 참가자 행위를 상기 홈위치 3차원 설정체에서의 하나 이상의 물체와 상관시켜 상기 물체와 홈위치에서 관찰된 이미지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0.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이미지 포착장치, 및 하나 이상의 참가자가 점유하는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포착장치가 상기 구역을 뷰잉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이미지 포착장치에 링크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투사장치,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참가자가 점유하는 관찰구역, 상기 관찰구역으로 부터 뷰잉가능한 시각 뎁스큐 수단을 구비한 3차원 설정체, 및 상기 관찰구역과 3차원 설정체사이에 개재된 양방향 미러수단을 포함하는 제2 위치를 포함하며, 포착된 이미지가 상기 제1 위치로 부터 제2 위치로 전송되어, 해당 양방향 미러수단을 통해 상기 3차원 설정체와 중첩되어 원격참가자가 뷰잉되도록 상기 제2 위치에서 투사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원격 참가자의 실질상 전체 높이의 이미지가 상기 3차원 설정체내에서 뷰잉되도록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체는 스테이지와, 시각 뎁스큐수단을 구성하는 추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3. 제30항에 있어서,
    관찰구역에 대한 양방향 미러의 대향측상에 위치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4. 제1항 또는 제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간 시각 개인대 개인 링크는 위치간 컴퓨터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5. 제1항 또는 제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에 부가하여, 각 위치의 개인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대방 위치의 개인과 적어도 시각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별개 위치의 참가자들을 링크하는 통신시스템.
  36. 제1항 또는 제30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시스템용의 뷰잉장치에 있어서,
    원격위치에서의 이미지 포착장치에 링크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투사장치, 하나 이상의 참가자가 점유하는 관찰구역, 상기 관찰구역으로 부터 뷰잉가능한 시각 뎁스큐 수단을 구비한 3차원 설정체, 및 상기 관찰구역과 3차원 설정체사이에 개재된 양방향 미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위치로 부터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로 전송된 포착된 이미지가, 해당 양방향 미러수단을 통해 상기 3차원 설정체와 중첩되어 원격참가자가 뷰잉되도록 투사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장치.
  37. 삭제
KR1020027001942A 1999-08-10 2000-07-24 통신 시스템 KR100904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8704.9A GB9918704D0 (en) 1999-08-10 1999-08-10 Device and method for eye to eye communication overa network
GB9918704.9 1999-08-10
GB0012732A GB2353429A (en) 1999-08-10 2000-05-26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3D projection of conference participants, via a two-way mirror.
GB0012732.4 200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773A KR20020040773A (ko) 2002-05-30
KR100904505B1 true KR100904505B1 (ko) 2009-06-25

Family

ID=1085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942A KR100904505B1 (ko) 1999-08-10 2000-07-24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100904505B1 (ko)
AT (1) ATE400967T1 (ko)
DE (1) DE60039434D1 (ko)
DK (1) DK1203489T3 (ko)
ES (1) ES2307522T3 (ko)
GB (2) GB9918704D0 (ko)
PT (1) PT1203489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9160B2 (en) 1995-09-20 2007-04-24 Mcnelley Steve H Versatile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US6710797B1 (en) 1995-09-20 2004-03-23 Videotronic Systems Adaptable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FR2832282B1 (fr) * 2001-11-12 2004-07-30 France Telecom Systeme audiovisuel modulaire avec modules concatenables pour mettre en presence une scene locale et une scene distante
EP1606944B1 (en) * 2003-03-14 2006-1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deo conferencing
US8599239B2 (en) 2004-04-21 2013-12-03 Telepresence Technologies, Llc Telepresence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7057637B2 (en) 2004-04-21 2006-06-06 White Peter Mcduffie Reflected backdrop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8208007B2 (en) 2004-04-21 2012-06-26 Telepresence Technologies, Llc 3-D displays and telepresence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7512262B2 (en) 2005-02-25 2009-03-31 Microsoft Corporation Stereo-based image processing
RU2322771C2 (ru) * 2005-04-25 2008-04-20 Святослав Иванович АРСЕНИЧ Стереопрое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US8072481B1 (en) 2006-03-18 2011-12-06 Videotronic Systems Telepresence communication system
WO2008036931A2 (en) * 2006-09-22 2008-03-27 Peter Mcduffie White 3-d displays and telepresence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8427424B2 (en) 2008-09-30 2013-04-2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ysical objects in conjunction with an interactive surface
CN102084650B (zh) 2009-05-12 2013-10-09 华为终端有限公司 远程呈现系统、方法及视频采集设备
US8730309B2 (en) 2010-02-23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ors and depth cameras for deviceless augmented reality and interaction
US9329469B2 (en) 2011-02-17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an interactive experience using a 3D depth camera and a 3D projector
US9480907B2 (en) 2011-03-02 2016-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mersive display with peripheral illusions
US9597587B2 (en) 2011-06-08 2017-03-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al node device
KR101409845B1 (ko) * 2012-12-20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9628754B2 (en) 2015-04-02 2017-04-18 Telepresence Technologies, Llc TelePresence architectural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D808197S1 (en) 2016-04-15 2018-01-23 Steelcase Inc. Support for a table
US10219614B2 (en) 2016-04-15 2019-03-05 Steelcase Inc. Reconfigurable conference table
USD862127S1 (en) 2016-04-15 2019-10-08 Steelcase Inc. Conference table
USD838129S1 (en) 2016-04-15 2019-01-15 Steelcase Inc. Worksurface for a conference table
KR102270754B1 (ko) * 2019-12-16 2021-06-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프로젝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시스템
WO2023230139A1 (en) 2022-05-24 2023-11-3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Videoconferencing boo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376A (en) * 1995-12-21 1997-10-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chieving eye-to-eye contact in a video-conferenc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819A (en) * 1988-09-22 1990-10-23 Docu-Vision, Inc. Video conferencing system for courtroom and other applications
US5400069A (en) * 1993-06-16 1995-03-2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Eye contact video-conferencing system and screen
US5572248A (en) * 1994-09-19 1996-11-05 Teleport Corporation Tele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ace-to-face, non-animated teleconference environment
US5892538A (en) * 1995-06-30 1999-04-06 Ericsson Inc. True three-dimensional imaging and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376A (en) * 1995-12-21 1997-10-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chieving eye-to-eye contact in a video-conferen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53429A (en) 2001-02-21
PT1203489E (pt) 2008-10-17
GB0012732D0 (en) 2000-07-19
DK1203489T3 (da) 2009-01-19
KR20020040773A (ko) 2002-05-30
DE60039434D1 (de) 2008-08-21
ATE400967T1 (de) 2008-07-15
GB9918704D0 (en) 1999-10-13
ES2307522T3 (es) 200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505B1 (ko) 통신 시스템
US7136090B1 (en) Communications system
US10880582B2 (en) Three-dimensional telepresence system
Gibbs et al. Teleport–towards immersive copresence
Kim et al. Telehuman: effects of 3d perspective on gaze and pose estimation with a life-size cylindrical telepresence pod
KR101856629B1 (ko) 실물 크기 비디오 회의용 스튜디오 및 시스템
US20010024229A1 (en) Teleconference system with personal presence cells
US20160269685A1 (en) Video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locations
US20170237941A1 (en) Realistic viewing and interaction with remote objects or persons during telepresence videoconferencing
Gotsch et al. TeleHuman2: A Cylindrical Light Field Teleconferencing System for Life-size 3D Human Telepresence.
TW201309020A (zh) 遠距出席入口系統
Roberts et al. Communicating eye-gaze across a distance: Comparing an eye-gaze enabled immersive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aligned video conferencing, and being together
JP3289730B2 (ja) 画像通信用入出力装置
JP2007501950A (ja) 3次元像表示装置
US6909451B1 (en) Method for generating video programs, variants, and system for realizing this method
Pan et al. Effects of 3D perspective on head gaze estimation with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Fafard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person fish-tank virtual reality display
Kuechler et al. Holoport-a device for simultaneous video and data conferencing featuring gaze awareness
Pan et al. A surround video capture and presentation system for preservation of eye-gaze in teleconferencing applications
JPH0832948A (ja) 視線一致テレビ会議システム
Bolas et al. New research and explorations into multiuser immersive display systems
Kim et al. HoVerTable: Combining dual-sided vertical mid-air images with a horizontal tabletop display
CN106886289B (zh) 一种双用户互动的全息显示装置
Kobayashi et al. Transmission of correct gaze direction in video conferencing using screen-embedded cameras
Krum et al. Social impact of enhanced gaze presentation using head mounted pro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