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639B1 -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639B1
KR100903639B1 KR1020070099426A KR20070099426A KR100903639B1 KR 100903639 B1 KR100903639 B1 KR 100903639B1 KR 1020070099426 A KR1020070099426 A KR 1020070099426A KR 20070099426 A KR20070099426 A KR 20070099426A KR 100903639 B1 KR100903639 B1 KR 10090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container
blast furnace
outlet
mel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183A (ko
Inventor
김상범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9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27D3/145Runn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85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molten metal, e.g. leakage or spl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분출되는 화염 및 용융물을 받아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탕도의 고정커버 상에 설치되어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분출되는 용융물을 받기 위한 포집통을 포함한다.
포집통, 내화물, 개방구, 냉각자켓

Description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DEVICE FOR BLOCKING MOLTEN MATERIAL OF TOP HOLE IN FURNACE}
본 발명은 고로의 출선구에서 토출되는 화염이나 용융물을 차단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출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조업년한이 늘어나게되면 고로에서의 노벽 마모 및 침식이 심화된다. 이와같이 노벽이 마모되고 침식이 심화되면 일상의 조업 중에 장입물 불균일 강하나 노내가스의 불균일 흐름 등이 발생되어 정상 조업이 어렵게 되고, 노체의 냉각반 파손을 초래하는 등 설비사고가 발생된다.
따라서 고로의 노벽 마모 방지를 위해 정기 수리시 침식된 노내 벽부를 부정형 내화재로 스프레이하여 보수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로의 노벽 수리작업 후에 송풍을 재기하게 되면 노황 부조 등으로 인하여 출선구에서 화염 및 비산물이 분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출선구 폐쇄를 위해 스프레쉬 커버를 취외하는 과정에서 출선구로부터 비산되는 화염 및 비산물이 주상 타설비로 분출되어 2차적인 설비사고와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이에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분출되는 화염 및 용융물을 받아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시 적절하고 간편하게 화염 및 용융물 비산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대탕도의 고정커버 상에 설치되어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분출되는 용융물을 받기 위한 포집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은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용기형태일 수 있다.
이에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분출되는 용융물은 용융물의 분출각도에 맞춰 대탕도의 고정커버 상에 설치된 포집통 내부로 유입되어 용융물의 외부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집통은 내측면에 용손 방지를 위한 내화물이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통은 적어도 한쪽 측면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 자켓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자켓의 냉각수 투입구는 상기 포집통의 측면을 통해 돌출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통은 일측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기 위한 고리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통의 상단 내측면은 상기 비산되는 용융물의 완충과 용이한 흘러내림을 위해 30~ 50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비산되는 용융물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비사고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융물이 설비 외측으로 비산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설비 트러블과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차단장치(10)는 고로(도 3의 100 참조)의 대탕도(120)에 설치되는 고정커버(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분출되는 용융물을 담는 포집통(11)을 포함한다.
상기 포집통(11)은 상기 고정커버(13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고정커버(130) 상의 필요한 위치에 올려지게 된다.
상기 포집통(11)의 설치 위치는 고로의 출선구(도 3의 110 참조)로부터 분출되는 용융물의 분출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포집통(11)의 실질적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포집통(11)은 바닥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구(12)를 이루는 사각 용기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집통(11)의 개방구(12)는 포집통의 측면과 상면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다.
상기 포집통(11)의 외피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고온의 용융물에 의한 용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물(13)이 시공된다.
또한, 상기 포집통(11)의 바닥면과 측면에는 시공되는 내화물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자켓(14)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자켓(14)은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는 관 구조물로, 선단의 냉각수 유입구(15)와 냉각수 배출구(16)는 각각 포집통(11)의 측면으로 돌출설치되어 추후 냉각수 순환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다.
냉각수 순환관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자켓(14)을 따라 유통되면서 포집통(11)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포집통(11)은 냉각수에 의해 30도 정도로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집통(11)은 지게차로 이동시키거나 천정크레인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상기 포집통(11)의 상단에는 천정크레인의 후크를 걸기 위한 고리(17)가 더욱 설치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차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고로(100)의 출선구(110)를 폐쇄하기 위하여 대탕도(120)의 스프레쉬 커버(140)를 제거하게 되면 고로(100)의 출선구(110)로부터 용융물이 외부로 분출된다.
상기와 같이 분출되는 용융물은 용융물의 분출각도에 맞춰 대탕도의 고정커버(130) 상에 위치시킨 본 포집통(11)에 의해 포집된다.
즉, 고로의 출선구(110)는 경사를 두고 형성되어 있어서 분출물은 출선구에서 약 10~20도 각도(A)로 분출된다. 이에 상기 포집통(11)은 상기 용융물의 분출 각도가 상기 포집통(11)의 개방구(12)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탕도의 고정커버(130) 상의 적절한 위치에 놓여진다.
따라서 출선구(110)로부터 분출되는 용융물은 모두 포집통(11)의 개방구를 통해 포집통(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11)의 상단 내측면(18)의 각도(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 5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집통(11) 상단 내측면(18)이 상기한 각도로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포집통(11)의 내부로 분출되는 용융물이 상기 내측면에 부딪쳤을 때 아래로 보다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융물과 포집통(11) 상단 내측면과의 충격을 완화하여 용융물이 다시 포집통(11)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집통(11)의 상단 내측면의 각도가 30도 보다 작으면 용융물의 자연스런 흘러내림이 힘들고 50도보다 크면 충격완화가 작아 용융물이 비산될 우려가 높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4)

  1. 대탕도의 고정커버 상부에 설치되고 측면과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개방구를 이루며, 상기 개방구는 고로의 출선구를 향하는 용기 형태의 포집통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통은 내측면에 내화물이 시공된 구조의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은 적어도 한쪽 측면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 자켓이 더욱 설치되고, 상기 냉각자켓은 냉각수가 흐르는 지그재그형태의 관구조물로, 양 선단의 냉각수 유입구와 냉각수 배출구는 포집통의 측면으로 돌출설치된 구조의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은 상단 내측면이 바닥면에 대해 30~ 50도 각도로 경사면을 이루는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KR1020070099426A 2007-10-02 2007-10-02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KR10090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26A KR100903639B1 (ko) 2007-10-02 2007-10-02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26A KR100903639B1 (ko) 2007-10-02 2007-10-02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83A KR20090034183A (ko) 2009-04-07
KR100903639B1 true KR100903639B1 (ko) 2009-06-18

Family

ID=4076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26A KR100903639B1 (ko) 2007-10-02 2007-10-02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17B1 (ko) 2012-12-28 2014-08-25 (주)에스엔엔씨 전기로 출선구용 더스트 비산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5752U (ko) 1981-01-28 1982-08-05
JPH05271733A (ja) * 1992-03-26 1993-10-19 Nippon Steel Corp 高炉用傾注樋樋先部の付着物堆積防止装置
JP2001151546A (ja) 1999-11-22 2001-06-05 Nippon Steel Corp 高炉スラグと石炭灰を原料とする軽質人工骨材の製造方法
KR20040009492A (ko) * 2002-07-24 2004-01-31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대탕도의 스프래쉬 카바 손상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5752U (ko) 1981-01-28 1982-08-05
JPH05271733A (ja) * 1992-03-26 1993-10-19 Nippon Steel Corp 高炉用傾注樋樋先部の付着物堆積防止装置
JP2001151546A (ja) 1999-11-22 2001-06-05 Nippon Steel Corp 高炉スラグと石炭灰を原料とする軽質人工骨材の製造方法
KR20040009492A (ko) * 2002-07-24 2004-01-31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대탕도의 스프래쉬 카바 손상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17B1 (ko) 2012-12-28 2014-08-25 (주)에스엔엔씨 전기로 출선구용 더스트 비산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83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9641B (zh) 在燃烧器板中实现水冷系统的方法及相关装置
CN1037370C (zh) 处理加热材料的容器及其冷却方法
CN1057601C (zh) 处理热物质容器的盖
KR20160025618A (ko) 과립 장치를 위한 증기 응축 타워
KR100205773B1 (ko) 슬래그의 수쇄장치
KR100903639B1 (ko) 고로의 출선구 분출물 차단장치
RU21343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асплава
EP4341626A1 (en) Improved cooling apparatus
CN210450947U (zh) 熔体引流装置
CN210065872U (zh) 一种电渣炉气氛保护罩
EP2960608A1 (en) Method for cooling housing of melting unit and melting unit
KR100843859B1 (ko) 용광로 대탕도의 스프래쉬 카바 손상방지장치
KR101142488B1 (ko) 고로의 대탕도 커버 침식 방지장치
KR20030043266A (ko) 대탕도에서 와류억제형 내화물 블럭장치
KR100919015B1 (ko) 고로의 대탕도 용융물 와류 방지 장치
KR100840225B1 (ko) 전기로 루프 가스포트링의 부착 슬래그 제거장치
KR101591860B1 (ko) 커버장치
KR20090102134A (ko) 전기로의 버너장치
KR101291961B1 (ko) 분사 냉각방식의 고로 대탕도 커버
KR100460661B1 (ko) 고로가스 집진라인의 디가싱타워 수위조절장치
CN106048253A (zh) 铜冶炼设备
KR200180925Y1 (ko) 승, 하강 스커트 씰링 장치
CN201424480Y (zh) 一种高炉干渣快速处理装置
JP6828340B2 (ja) スラグ水砕装置
KR20020022928A (ko) 전로가스 냉각용 실링쟈켓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