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211B1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Google Patents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3211B1 KR100903211B1 KR1020090008836A KR20090008836A KR100903211B1 KR 100903211 B1 KR100903211 B1 KR 100903211B1 KR 1020090008836 A KR1020090008836 A KR 1020090008836A KR 20090008836 A KR20090008836 A KR 20090008836A KR 100903211 B1 KR100903211 B1 KR 100903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girder
- support
- vertical member
- welded
- form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거더의 양단에 지지구가 설치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하여 트러스거더 및 거푸집 하부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reinforced with a support, more specifically, by supporting the support at both ends of the truss girder, the truss girder and the formwork lower panel is deformed due to the load concentrated in the process of placing concrete To prevent it.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대다수는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어진다. 이같은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은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이 함께 사용되어지는 복합 구조물로서 거푸집을 가설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얻을 수 있다.In general, the majority of building structures are constructed using reinforced concrete. The building structure using reinforced concrete is a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a combination of concrete and compression material is used together.It can be obtain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formwork after reinforcing the formwork and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and pouring concrete. have.
이때 합판, 각재 등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에 철근 등의 배근작업을 수행하는 축조단계와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해체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공기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air is requir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formwork with plywood, lumber, etc., and the dismantling work for dismantl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of concrete and reinforcement work such as reinforcing bar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형태를 갖는 거푸집 또는 거푸패널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nstalled between beams, which are structures for constructing buildings, and has a deck plate shape that can support the weight of concrete itself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uring concrete and concrete being poured thereon. Formwork or formwork panels have been proposed.
제안된 거푸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에 형성된 관통홈(810)으로 볼트(820)가 상부로 노출되어, 핀홀(831)의 양측 사이에 결합홈(832)이 형성되어지며 결합홈(832)과 대향되는 하부에 너트홈(833)이 형성된 결합구(830)가 고정되어지고, 결합구(830)에 형성된 결합홈(832)에 트러스거더(840)를 구성하는 하부철근(841)이 안착되어 핀홀(831)에 끼워지는 고정핀(834)에 의하여 트러스거더(840)가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oposed die panel has a through
즉 종래의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이 결합구(830)에 의하여 트러스거더(840)에 이격되게 매달리어지는 구성에서, 상기 트러스거더(840)의 양측이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면, 상기 결합구(830)의 구성으로 인하여 양 단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트러스거더(840)의 하부철근(841)과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의 상부면의 간격만큼의 이격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트러스거더(840)의 양 단부에서는 상기 트러스거더(840)의 자체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이 양단부가 상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이 상기 트러스거더(840)에 접촉되어 설치되어진다.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ventional
이러한 상태의 구조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면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의 양측 단부가 심하게 처지게 되거나 밀려 내려 터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의 모든 하중이 상기 하부철근(841), 래 티스재 및 상부철근으로 결합된 트러스거더(840)의 양단을 통하여 상기 트러스거더(840)를 지지하는 지지체(미도시)에 전달되어지는데,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의 양측 단부에 발생되는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이 지지체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슬래브가 붕괴되어 버리거나, 상기 트러스거더(840) 및 슬래브 거푸집 패널(800)이 변형되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불안전한 문제점이 있었다.W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778269호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철근(910), 하부철근(920) 및 래티스재(930)로 구성된 트러스거더(900)의 하부 패널(940)을 연결구(950)에 의하여 설치하고, 상기 하부철근(910)의 양단에 지지구(960)를 각각 설치하여 트러스거더(90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지지구(960)가 하부철근(920) 각각에 지지됨에 따라 그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No.778269, as shown in FIG. 2,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구의 수평재와 수직재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평재에는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을 결합하고 상기 수직재에는 트러스거더의 상부철근을 결함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하여 트러스거더 및 거푸집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of the support is coupl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ember, the lower member of the truss girder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upper reinforcement of the truss girder to the vertical member By deflecting, the truss girder and formwork panel ar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loads during concrete pouring.
또한 하나의 지지구만으로 트러스거더의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직재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결합력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작업성 역시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both the upper reinforcement and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truss girder with only one support, and to form a concave portion in the vertical member, so that the coupling force is excellent, as well as excellent workability.
또한 고정몸체와 고정볼트로 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거푸집 하부패널을 상기 트러스거더에 매달리도록 결합함으로써, 트러스거더와 거푸집 하부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그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connecting body of the fixing body and the fixing bolt to combine the formwork lower panel hanging on the truss gi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truss girder and the formwork lower panel to improve its worka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는,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 하부에 거푸집 하부패널이 연결구에 의하여 매달리어지고, 상기 트러스거더의 양단에 지지구가 보강되어 이루어지는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Deck plate reinforced with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ormwork lower panel is suspended by the connector to the bottom of the truss girder of the deck plate, the support is reinforced on both ends of the truss girder In deck plate reinforced with earth,
상기 거푸집 하부패널은 상기 트러스거더 하부에 연결구에 의하여 매달지어지고, 상기 지지구는 수평재에 수직재의 하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직재가 결합되어지는 수평재의 결합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진다.The formwork lower panel is suspended by a connector at the bottom of the truss girder, and the support is wel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to the horizontal member, but the concave portion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to which the vertical member is coupled. Is formed.
또한 상기 수평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이 각각 용접결합되고, 상기 수직재의 상부에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부철근이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truss girder is welded to each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the upper reinforcement of the truss girder is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또한 상기 지지구의 수평재는 철제 평판으로 되고, 상기 수직재는 찬넬형태로 되며, 상기 수직재가 결합되어지는 수평재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상기 찬넬형태 수직재의 웹부가 용접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support is an iron plate, the vertical member is a channel shape, the horizontal member is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b portion of the channel-shaped vertical member is welded. .
또한 상기 지지구의 수직재는 상기 수평재의 하단 아래로 연장되어지되, 상기 수직재의 하단에 녹슴방지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member of the support is extended below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rust cap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또한 상기 연결구는 고정몸체 하부에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이 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bolt is screwed to the lower fixing body,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truss girder is fit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o.
또한 상기 고정몸체의 끼움홈 상부에는 상기 끼움입구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groove of the fixed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tting inlet.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구의 수평재와 수직재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평재에는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을 결합하고 상기 수직재에는 트러스거더의 상부철근을 결함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하여 트러스거더 및 거푸집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하나의 지지구만으로 트러스거더의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 기 수직재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결합력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작업성 역시 우수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of the suppor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ember, by combin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of the truss girder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of the truss girder to the vertical member, due to the concentration of load during the pouring of concrete In addition to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truss girder and formwork panel, it is possible to support both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of the truss girder with only one support, and by forming a recess in the vertical member, In addition to being excellent, it also provides useful effects that make workability excellent.
또한 고정몸체와 고정볼트로 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거푸집 하부패널을 상기 트러스거더에 매달리도록 결합함으로써, 트러스거더와 거푸집 하부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그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coupling body of the fixing body and the fixing bolt to couple the formwork lower panel to the truss girder, thereby facilitating the coupling of the truss girder and the formwork lower panel provides an effect to improve its workability.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T) 하부에 거푸집 하부패널(P)이 연결구(C)에 의하여 매달리어지고, 상기 트러스거더(T)의 양단에 지지구(A)가 보강되어 이루어진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k plate reinforc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the formwork lower panel (P)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truss girder (T) of the deck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uspended by (C), the support (A) is made to be reinforced on both ends of the truss girder (T).
먼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T)는 상부철근(41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420)가 용접결합되고, 상기 래티스재(420) 하부 외측에는 두 개의 하부철근(430)(430')이 각각 용접결합되어 삼각형태로 구성되어진다.First, the truss girder T of the deck plate is welded to the
이때 상기 트러스거더(T)의 상부철근(4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된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420)는 하부를 향하여 벌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래티스재(420)의 상부절곡부(421)가 1점으로 이루어진 1점용접부에 의하여 결합 되어지고, 상기 래티스재(420)의 하부절곡부(431) 외측에는 하부철근(430)(430')이 각각 2점으로 이루어진 2점용접부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거푸집 하부패널(P)은 트러스거더(T)의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구(C)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도록 매달리어진다. And the formwork lower panel (P) is suspended to be separated in a state separated by a plurality of connectors (C)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uss girder (T).
여기에서, 상기 거푸집 하부패널(P)은, 도 4에서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것으로 다수개의 통공(510)이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에 대응되도록 지그 재그 형태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 4, the form lower panel P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a plurality of through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A)는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재(100)에 수직재(20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구성된다. The suppor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concentration of load, as shown in FIGS. 3 and 4, in which the
또한 상기 용접결합된 수평재(100)의 양단 일측면에는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 단부가 각각 용접결합되고, 상기 수직재(200)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트러스거더(T)의 상부철근(410) 단부가 용접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구(A)가 트러스거더(T)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ends of the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수평재(100)의 수직재(200)가 결합되어지는 지점에는 상기 수직재(200)와 대응되는 형태로 오목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110)에 상기 수직재(200)를 용접결합시킴으로써, 그 용접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구(A)의 철제평판으로 된 수직재(200)의 두께 및 폭을 고려하여 상기 수평재(100)의 상기 수직재(200)가 결합되는 지점에 상기 수직재(200)의 웹부가 대응되도록 오목부(110)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110)에 상기 찬넬형태 수직재(200)의 윕부가 용접결합됨으로써, 상기 트러스거더(T)의 상부철근(410)과 하부철근(430)(430')의 끝단부가 동일한 수직평면 상에서 용접결합할 수 있게 되어 지지구(A)와 트러스거더(T)의 결합 및 트러스거더(T)의 제조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6, at the point where the
한편, 본 발명의 지지구(A)의 수평재(100)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활용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철제 평판을 이용하는 것이고, 수직재(200)로는 철제 평판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강도를 고려하여 찬넬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재(200)를 평판의 형태의 것을 이용할 경우는 수평재(100)와 수직재(200)의 교차위치가 무관하지만, 즉 수평재(100)의 일측(트러스 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이 용접결합되는 측)에 수직재(200)를 용접결합하여도 되고, 타측에 수직재(200)를 결합하여도 되지만, 상기 수직재(200)가 찬넬형태일 경우에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상기 수평재(100)의 타측면에 상기 찬넬형태인 수직재(200)의 웹부를 위치시켜 용접결합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의 지지구(A)는 상기 수직재(200)가 상기 수평재(100)의 하단 아래로 연장되어지되,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재(200)의 하단에 녹슴방지캡(210)이 씌움설치될 수 있는 데, 이는 데크플레이트의 설치 후 상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상기 수직재(200)가 녹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이때 상기 녹슴방지캡(210)은 상기 수직재(200)의 단부가 씌워지는 형태로 되거나 상기 수직재(200)의 단부에 평판형태로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될 수도 있으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나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연결구(C)는 도 5a에서와 같이, 고정몸체(310)의 하부에 고정볼트(320)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고정몸체(310)의 저부 중앙에는 암나사공(311)이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3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이 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끼움홈(31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그리고 상기 암나사공(3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32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32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볼트머리(322)가 형성됨으로써, 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And a
즉, 상기 고정볼트(320)가 상기 거푸집 하부패널(P)에 천공된 통공(510)을 통하여 상기 고정몸체(310)의 암나사공(3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하부패널(P)이 상기 트러스거더(T)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아울러, 상기 끼움홈(312)의 끼움입구(313)는 하부에 비하여 상부가 짧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몸체(310)의 끼움홈(312) 상부에는 상기 끼움입구(313)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14)가 구비되어지는 데, 이는 상기 트러스 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이 상기 끼움홈(312)에 용이하게 끼움되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즉, 고정몸체(310)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공(311)에 거푸집 하부패널(P)을 관통하여 고정볼트(320)가 결합되고, 상기 끼움홈(312)의 끼움입구(313)를 통해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이 결합되는 데, 상기 트러스거더(T)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5b와 같이, 상기 하부철근(430)(430')의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상기 경사부(314)를 따라 이동되어지고, 하부보다 상부가 짧게 형성된 끼움입구(313)를 통해 손쉽게 상기 하부철근(430)(430')이 상기 끼움홈(312)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하부철근(430)(43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서 텐션(tension)에 의하여 상기 끼움홈(3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이다. That is,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C)의 설치방향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도 5a 및 도 5b와는 달리 상기 연결구(C)의 끼움입구(313)가 트러스거더(T) 외측을 향하도록 할 수 도 있는 것이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or (C), unlike the Fig. 5a and 5b the
또한 상기 고정몸체(310)와 고정볼트(320)의 결합시 상기 고정볼트(320)에 와셔(315)를 추가하여 그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즉, 상기 연결구(C)에 의해 상기 트러스거더(T)에 거푸집 하부패널(P)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formwork lower panel P is suspended by the connector C to the truss girder 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Deck plate reinforced with a suppo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talled as follows.
먼저, 트러스거더(T)가 놓여질 위치에 대응되도록 거푸집 하부패널(P)에 통공(510)을 형성한 후 통공(510)의 하부에 상부를 향하여 상기 연결구(C)의 고정볼트(320)가 노출되어지도록 끼우고, 통공(510)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볼트(320)에 연결구(C)의 고정몸체(310)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311)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연결구(C)를 설치한다.First, the through
다음, 연결구(C)의 끼움홈(312)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철근(430)(430')을 끼움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구(C)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하부철근(430)(430')은 거푸집 하부패널(P)의 상부로부터 일정한 간격 즉, 끼움홈(312)으로 부터 고정몸체(310)의 저면까지의 간격을 갖도록 결합되어지게 된다. Next, the lower reinforcing
다음으로 상기 트러스거더(T)의 양측단부에 지지구(A)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A)의 수평재(100)와 수직재(200)를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평재(100) 양단 일측면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의 단부를 각각 위치시켜 결합시킨 후, 상기 수직재(200)의 상부 일측면에 상부철근(410)의 단부를 용접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트러스거더(T)의 양측단부가 지지구(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Next, the support (A) is installed on both side ends of the truss girder (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지지구(A)만으로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430)(430')을 모두 지지할 수 있게되어, 그 설치작업이 간단해지고 트러스거 더(T)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되는 것이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ll of the lower reinforcing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C)에 의하여 하부철근(430)(430')이 거푸집 하부패널(P)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구(A)가 결합되어지도록 설명하였으나, 하부철근(430)(430')이 거푸집 하부패널(P)에 고정되기 이전에 지지구(A)가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einforcing
또한 본 발명의 지지구(A)가 위치되는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목재거푸집의 수평각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철골보의 플랜지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on which the support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may be generally a flange of a steel ball,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rizontal box of wooden formwork or building structur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슬래브 거푸집 해체순서는 타설되어진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어진 후(이때 건축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보(girder)를 형성하는 목재거푸집의 수평각목, 수직각목 및 합판을 먼저 제거한다.) 거푸집 하부패널(P)의 하부로 노출된 고정볼트(320)를 해체하고 거푸집 하부패널(P)을 분리시킴으로써, 그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Next, after the slab formwork dismantlement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cured concrete (at this time, remove the horizontal box, vertical box and plywood of the wooden formwork forming the gird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ilding structure). By disassembling the fix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되었지만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데크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1 and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ck plat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ck plate reinforced wi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5a,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ck plate to which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pplied.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deck plate reinforced with suppo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수평재 200: 수직재100: horizontal member 200: vertical member
110: 오목부 210: 녹슴방지캡110: recess 210: antirust cap
310: 고정몸체 320: 고정볼트310: fixed body 320: fixed bolt
311: 끼움홈 311: fitting groove
T: 트러스거더 P: 하부패널T: Truss girder P: Lower panel
S: 연결구 A: 지지구 S: Connector A: Suppor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836A KR100903211B1 (en) | 2009-02-04 | 2009-02-04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836A KR100903211B1 (en) | 2009-02-04 | 2009-02-04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3211B1 true KR100903211B1 (en) | 2009-06-18 |
Family
ID=4098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8836A KR100903211B1 (en) | 2009-02-04 | 2009-02-04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321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3879B1 (en) | 2010-07-30 | 2010-11-11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Insulation deck plate |
KR101083698B1 (en) * | 2009-10-15 | 2011-11-15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Deck-plate |
KR101202377B1 (en) | 2010-09-16 | 2012-11-16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Truss girder built-in type deck plate |
CN102979232A (en) * | 2012-10-15 | 2013-03-20 |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 Assembly type steel bar truss floor support plate |
KR101375126B1 (en) * | 2013-08-26 | 2014-03-19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Functional deck-plate |
KR101483908B1 (en) * | 2014-06-27 | 2015-01-21 |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 Spacer for Stripping Deck Plate and Stripping Deck |
KR101850140B1 (en) | 2017-11-22 | 2018-05-30 | 권정수 | deck plate |
CN109577491A (en) * | 2018-06-04 | 2019-04-05 | 浙江中益建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teel bar girder plate and framework template support node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523U (en) * | 1996-12-31 | 1998-10-07 | 유영 | Deck panels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
JPH11324203A (en) * | 1998-05-19 | 1999-11-26 | Numata Kinzoku Kogyo Kk | Floor structural material |
KR200241408Y1 (en) | 2001-04-30 | 2001-10-12 | 이문곤 | Reinforcing bar structure for edge-fixed part of deck panel for architecture slab which equipped with steel wire |
KR100882464B1 (en) * | 2008-12-05 | 2009-02-10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
2009
- 2009-02-04 KR KR1020090008836A patent/KR1009032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523U (en) * | 1996-12-31 | 1998-10-07 | 유영 | Deck panels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
JPH11324203A (en) * | 1998-05-19 | 1999-11-26 | Numata Kinzoku Kogyo Kk | Floor structural material |
KR200241408Y1 (en) | 2001-04-30 | 2001-10-12 | 이문곤 | Reinforcing bar structure for edge-fixed part of deck panel for architecture slab which equipped with steel wire |
KR100882464B1 (en) * | 2008-12-05 | 2009-02-10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3698B1 (en) * | 2009-10-15 | 2011-11-15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Deck-plate |
KR100993879B1 (en) | 2010-07-30 | 2010-11-11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Insulation deck plate |
KR101202377B1 (en) | 2010-09-16 | 2012-11-16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Truss girder built-in type deck plate |
CN102979232A (en) * | 2012-10-15 | 2013-03-20 |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 Assembly type steel bar truss floor support plate |
KR101375126B1 (en) * | 2013-08-26 | 2014-03-19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Functional deck-plate |
KR101483908B1 (en) * | 2014-06-27 | 2015-01-21 |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 Spacer for Stripping Deck Plate and Stripping Deck |
KR101850140B1 (en) | 2017-11-22 | 2018-05-30 | 권정수 | deck plate |
CN109577491A (en) * | 2018-06-04 | 2019-04-05 | 浙江中益建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teel bar girder plate and framework template support node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2464B1 (en)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
KR100903211B1 (en) | Deck plate with support member | |
US6266938B1 (en) | Steel floor structure | |
KR100778269B1 (en) | Truss girder integrated slab form structure | |
KR100903212B1 (en) | Connector of truss girder | |
KR101548114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increased composite effect of connecting part at the cross-section change part | |
KR101083698B1 (en) | Deck-plate | |
KR20090130690A (en) | Deck plate | |
KR101499337B1 (en) | Wide PC beam for slim floor | |
KR100343960B1 (en) | Steel concrete structure | |
KR100894808B1 (en) | Connector of truss girder | |
KR20080084130A (en) | Coupling structure of dek for slab execution | |
KR100906156B1 (en) | Truss girder integrated slab form structure | |
KR100814379B1 (en) | Truss girder integrated slab form structure | |
KR100882163B1 (en) | Truss girder intergrated deck panel form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slab | |
KR100634344B1 (en) | Composite slab and the joint structure | |
KR20070027431A (en) | A fastener for fix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a mold panel, and a ceiling panel by spot welding | |
KR102139851B1 (en) | PSC Girder With Variable Cross Section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KR101038291B1 (en) | Steel beam and hybrid beam of steel concrete for slim floor | |
KR101685290B1 (en) | Wall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
KR200166886Y1 (en) | Steel concrete structure | |
KR102354804B1 (en) | Concrete frame and reinforced steel net integrated beam structure | |
KR200346435Y1 (en) | Truss Girder Attached Deck Plate Equiped with End Fixture | |
KR200449038Y1 (en) | Timber steel beam | |
KR101071647B1 (en) | Steel hybrid girder using re-used ang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