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190B1 - 축구화 - Google Patents

축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190B1
KR100903190B1 KR1020070059091A KR20070059091A KR100903190B1 KR 100903190 B1 KR100903190 B1 KR 100903190B1 KR 1020070059091 A KR1020070059091 A KR 1020070059091A KR 20070059091 A KR20070059091 A KR 20070059091A KR 100903190 B1 KR100903190 B1 KR 10090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oot
pair
strap
socce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396A (ko
Inventor
강의윤
김영진
강성인
Original Assignee
강의윤
김영진
강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의윤, 김영진, 강성인 filed Critical 강의윤
Priority to KR102007005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190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43B5/025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characterised by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2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 A43B23/227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fixed on the outside of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Abstract

본 발명은 축구화에 관한 것이다. 이는 스파이크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발등부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끈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갑피와, 상기 끈걸이부의 구멍을 통과하며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끈걸이부를 죄는 끈과, 상기 끈걸이부의 하부에서 발등을 커버하는 발등덮개로 이루어지는 한 켤레의 축구화에 있어서, 상기 축구화를 구성하는 좌측 또는 우측 신발짝의 외측면에는 공을 찰 때 공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점탄성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축구화는, 축구화의 좌우 신발짝에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점탄성시트와 보강판을 설치하여 다양한 킥이 가능하고, 또한 끈을 커버하는 덮개판을 구비하므로 공이 끈에 영향받지 않아 정확한 킥을 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가 탄성 변형 가능하여 착지시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고 착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며 피로감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구화{Football boo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축구화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끈걸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축구화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와의 밑창에 구비된 스파이크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스파이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축구화 14:밑창 16:갑피
18:발등덮개 20:구멍 22:끈
24:스파이크 24a:상부스파이크편 24b:하부스파이크편
24c:홈 24d:암나사볼트 24e:고정볼트
24f:가이드홈 24g:삽입돌기 24k:공간부
24m:스프링 24n:바닥홈 26a,26b:보강판
28:점탄성시트 30:걸이부재 32:덮개판
34,36:벨크로테입 38:보강판 40,41:끈걸이부
42:우측신발짝 44:좌측신발짝
본 발명은 축구화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축구 농구 야구 등과 같은 구기 운동용 신발은, 선수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특히 축구는 넓은 운동장을 경기시간 내내 뛰어다녀야 하는 운동으로서 잦은 전력질주나 몸싸움 또는 급격한 방향전환이나 태클 등을 포함하는 매우 힘들고 격한 스포츠로서, 좋은 경기를 위해서는 선수의 발에 맞는 이를테면 가볍고 미끄러지지 않은 축구화가 필수적이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축구는 가장 대중적이며 인기있는 스포츠로서 고도의 기술과 창조적인 전술은 물론 선수 개개인의 체력과 집중력이 바탕이 되어야 좋은 경기를 할 수 있으며 관중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 축구에서의 즐거움은, 멋진 슛을 성공시키는 것이나 정확한 패스를 하는 것이나 또는 파워 있는 드리블을 통해 상대편 수비수를 돌파하는 것 등이 있겠다. 이러한 플레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선수 개개인의 기량이며, 선수 개개인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발에 맞는 기능화 된 좋은 축구화를 신어야 한다.
한편, 축구는 발을 사용하는 스포츠이므로 킥이 없으면 축구가 되지 않는다. 그만큼 킥은 축구의 기본으로서, 정확하고 강력하며 또한 드리블에 적합한 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축구화는 가볍고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며 또한 그라운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양한 종류의 스파이크가 고정되지만, 정확하고 강력하며 때로는 공에 많은 회전력을 주는 킥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는 적극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예컨대 발등의 위쪽에 넓게 위치하는 끈은 슛을 할 때 (공이 발등에 정확히 맞았다 하더라도) 공을 원치 않는 방향으로 보내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습이 충분히 되었고 최상의 컨디션이라 하더라도 만족스러운 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축구화의 좌우 신발짝에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점탄성시트와 보강판을 설치하여 다양한 킥이 가능하고, 또한 끈을 커버하는 덮개판을 구비하므로 공이 끈에 영향받지 않아 정확한 킥을 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가 탄성 변형 가능하여 착지시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게 하는 축구화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구화는, 스파이크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발등부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끈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갑피와, 상기 끈걸이부의 구멍을 통과하며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끈걸이부를 죄는 끈과, 상기 끈걸이부의 하부에서 발등을 커버하는 발등덮개로 이루어지는 한 켤레의 축구화에 있어서,
상기 한 켤레의 축구화 중 좌측 또는 우측 신발짝의 외측면에는 공을 찰 때 공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점탄성시트가 구비되고, 반대측 신발짝의 갑피 내부에는 공을 찰 때 공에 탄력을 부가하여 공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이 내장되며, 상기 끈걸이부의 저면에는 끈걸이부 아래에서 끈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링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로 끈을 통과시켜 통과된 끈을 발등덮개와 끈걸이부 사이에 위치시키는 다수의 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등덮개의 단부에는, 상기 끈걸이부측으로 접혀 끈걸이부를 그 하부에 커버하는 덮개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덮개판의 내부에는 공을 찰 때 공에 탄력을 부가하여 공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이 구비된 신발짝의 뒤꿈치부에는 공을 찰 때 공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점탄성시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상기 스파이크의 내부에는 스파이크 외부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스파이크는; 축구화의 밑창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스파이크편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스파이크편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과 하부스파이크편을 일정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조임부와, 상기 상부스파이크편과 하부스파이크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스파이크편으로부터 하부스파이크편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켤레의 축구화(10)는, 주로 공에 스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좌측신발짝(44)과, 강한 킥을 하기 위한 우측신발짝(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신발짝(44)은, 다수의 스파이크(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밑창(14)과, 상기 밑창(14)의 상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갑피(16)와, 상기 갑피(16)의 발등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는 끈걸이부(40)와, 상기 끈걸이부(40)의 구멍에 꿰어지며 양단부가 당겨져 끈걸이부(40)를 죄는 끈(22)과, 상기 끈걸이부(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발등을 커버하는 발등덮개(18)로 이루어진다. 상기 끈걸이부(40)는 U자 형태로 절제된 부위로서 사용자가 신발짝(44)에 발을 용이하게 넣거나 뺄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갑피(16)의 외측면에는 점탄성시트(28)가 구비된다. 상기 점탄성 시트(28)는 갑피(16)보다 점성과 탄력성이 큰 시트형 부재로서 갑피(16)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점탄성시트(28)로서 예컨대 천연고무나 이소프랜 또는 네오프랜 등을 포함하는 고무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탄성시트(28)는 킥을 할 때 공에 강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공이 휘어져 날아갈 수 있게 한다. 상기 점탄성시트(28) 없이도 공을 어느 정도 휘어 찰 수 있으나 공에 가할 수 있는 최대 회전력이 작기 때문에 그 효과가 적다. 아울러 상기 점탄성시트(28)는 갑피(16)의 외측면을 한바퀴 돌아 부착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갑피(16)의 안쪽(인사이드킥할 때 사용하는 면)과 발등부에만 부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우측신발짝(42)은, 상기한 좌측신발짝(44)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져, 다수의 스파이크(24)가 구비되어 있는 밑창(14)과, 갑피(16)와, 발등덮개(18) 및 끈(22)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갑피(16)의 내부에는 보강판(26a,26b)이 장착된다. 상기 보강판(26a,26b)은 높은 밀도를 가지며 갑피 보다 두껍게 제작된 딱딱한 패치형 부재로서 갑피(16)에 내장되어, 킥의 순간 공에 가해지는 임팩트를 증가시켜 공이 보다 빠른 속도로 날아가도록 한다. 상기 보강판(26a,26b)의 종류로는 가죽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우측신발짝(42)의 뒤꿈치부에는 상기한 점탄성시트(28)가 밀착 고정된다. 이와같이 뒤꿈치부에 점탄성시트(2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힐패스시 공을 휘어지게 보낼 수 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축구화의 후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측신발짝(42)의 뒤꿈치부와 좌측신발짝(44)의 인사이드면에 점탄성시트(28)가 접착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좌측신발짝(44)의 갑피(16)에 점탄성시트(28)를 전체적으로 씌울 수 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같다.
특히, 상기한 설명에서 (또한 후술할 설명에 있어서) 우측신발짝(42)에 보강판(26a,26b)이 적용되고 좌측신발짝(44)에 점탄성시트(28)가 구비되어 있지만, 왼발잡이일 경우, 우측신발짝(42)에 점탄성시트(28)를 좌측신발짝(44)에 보강판(26a,26b)을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좌측신발짝(44)에는 끈을 생략하였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이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 및 좌측신발짝(42,44)의 갑피에 형성되어 있는 끈걸이부(41)의 절제라인이 선단부(발가락을 향하는 단부)로 연장될수록 좁아져 결국에는 접하고 있다. 접하는 부위의 아래쪽에 위치한 발등덮개(18)는 해당 위치의 끈걸이부(41)에 의해 커버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끈걸이부(40)의 경우 U자 형태의 절제라인을 갖는다.)
특히 상기 끈걸이부(41)의 선단부 저면에는 다수의 걸이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끈걸이부(41)의 저면에 고정된 링형태의 부재로서 그 내부로 끈(22)을 통과시킨다. 상기 걸이부재(30)의 기본기능 은 구멍(20)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끈걸이부(41)의 선단부측을 좁히고 그 저면에 걸이부재(30)를 위치시킴으로써, 걸이부재(30)에 걸리는 끈(22)은 발등덮개(18)와 끈걸이부(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등에 공을 맞춰 킥을 할 때 공이 끈(22) 부위에 맞을 확률이 그만큼 작아져 공의 진행방향이 틀어지지 않는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끈걸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끈걸이부(41)에 다수의 구멍(20)과 걸이부재(30)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30)는 금속으로 제작된 고리로서 그 내부로 끈(22)을 통과시킨다. 상기 걸이부재(30)를 통과한 끈은 각 구멍(20)을 차례로 통과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등덮개(18)를 커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좌우측 신발짝(44,42)의 발등덮개(18)에 덮개판(32)이 더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덮개판(32)은 발등덮개(18)를 더욱 길게 연장한 것으로서 발등덮개(18)와 일체를 이루며 끈걸이부(41)측으로 접혀 끈걸이부(41) 및 끈(22)을 커버한다.
상기 덮개판(32)의 기본 기능은 끈(22)을 그 하부에 감추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끈(22)을 커버하는 것이 정확한 킥을 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끈걸이부(41)에 덮개판(3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끈걸이부(41)의 상면과 덮개판(32)의 저면에는 서로에 대해 달라붙는 벨크로테입(34,36)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끈(22)을 당겨 축구화를 완전히 착용한 후 덮개판(32)을 앞으로 접어 내리면 덮개판(32)이 끈걸이부(41) 및 끈(22)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축구화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덮개판(32)의 내부에 보강판(38)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38)은 우측신발짝(42)의 갑피(16)에 구비되는 보강판(26a,26b)과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갖는 판상부재이다. 상기 보강판(38)의 두께나 넓이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와의 밑창에 구비된 스파이크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구화(10)의 스파이크(24)는 내부에 스프링(도 8의 24m)을 가져 착지시 그만큼 충격을 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축구와(10)에 구비되는 스파이크(24)는, 밑창(14)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스파이크편(24a)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24a)의 하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스파이크편(24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스파이크편(24b)은 상부스파이크편(24a)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이격된다. 상기 스파이크(24)에 대한 세부 구성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스파이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 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파이크(24)는 밑창(14)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상부스파이크편(24a)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24a)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면과 접하는 하부스파이크편(24b)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24a)과 하부스파이크편(24b)이 허용된 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암나사볼트(24d) 및 고정볼트(24e)와, 상기 암나사볼트(24d)를 감싸며 상부스파이크편(24a)과 하부스파이크편(24b)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24m)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스파이크편(24a)은 상부 중앙에 홈(24c)을 가진다. 상기 홈(24c)은 암나사볼트(24d)의 헤드부가 걸쳐지는 부위이다. 상기 암나사볼트(24d)는 그 상단부 헤드가 홈(24c)에 걸쳐진 상태로 하향 연장된 부재로서 그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암나사볼트는 공지의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스파이크편(24a)의 하부에는 삽입돌기(24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24g)는 하부스파이크편(24b)의 가이드홈(24f)측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그 내부에 스프링(24m)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한편, 상기 하부스파이크편(24b)의 중앙부 저면에는 공간부(24k)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4k)는 고정볼트(24e)의 헤드부가 위치하는 공간이다. 상기 고정볼트(24e)는 상기 공간부를 통해 하부스파이크편(24b)의 중앙부를 상향 통과하여 암나사볼트(24d)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고정볼트(24e)의 헤드부는 공간부(24k)의 바닥홈(24n)에 걸려 하부스파이크편(24b)을 상부로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24e)의 주변에는 가이드홈(24f)이 형성되어 있다. 상 기 가이드홈(24f)은 하부스파이크편(24b)과 상부스파이크편(24a)이 근접할 때 삽입돌기(24g)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홈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24m)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상부스파이크편(24a)으로부터 하부스파이크편(24b)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킨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파이크(24)에 있어서, 축구화에 사용자의 몸무게가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24m)이 압축되면서 도 8b와 같이 하부스파이크편(24b)이 상부스파이크편(24a)측으로 이동하며 완충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스파이크(24)의 내부에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점프 후 착지할 때의 충격이 상기 스프링(24m)에 흡수되므로 그만큼 피로감을 덜 수 있고 착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축구화는, 축구화의 좌우 신발짝에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점탄성시트와 보강판을 설치하여 다양한 킥이 가능하고, 또한 끈을 커버하는 덮개판을 구비하므로 공이 끈에 영향받지 않아 정확한 킥을 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가 탄성 변형 가능하여 착지시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고, 착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며 피로감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스파이크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발등부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끈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갑피와, 상기 끈걸이부의 구멍을 통과하며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끈걸이부를 죄는 끈과, 상기 끈걸이부의 하부에서 발등을 커버하는 발등덮개로 이루어지는 한 켤레의 축구화에 있어서,
    상기 한 켤레의 축구화(10) 중 좌측 또는 우측 신발짝의 외측면에는 공을 찰 때 공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점탄성시트(28)가 구비되고,
    반대측 신발짝의 갑피(16) 내부에는 공을 찰 때 공에 탄력을 부가하여 공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26a,26b)이 내장되며,
    상기 끈걸이부의 저면에는 끈걸이부 아래에서 끈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링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로 끈을 통과시켜 통과된 끈을 발등덮개와 끈걸이부 사이에 위치시키는 다수의 걸이부재(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단부에는, 상기 끈걸이부측으로 접혀 끈걸이부를 그 하부에 커버하는 덮개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내부에는 공을 찰 때 공에 탄력을 부가하여 공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이 구비된 신발짝의 뒤꿈치부에는 공을 찰 때 공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점탄성시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의 내부에는 스파이크 외부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축구화의 밑창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스파이크편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스파이크편과,
    상기 상부스파이크편과 하부스파이크편을 일정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 지하는 조임부와,
    상기 상부스파이크편과 하부스파이크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스파이크편으로부터 하부스파이크편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KR1020070059091A 2007-06-15 2007-06-15 축구화 KR10090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91A KR100903190B1 (ko) 2007-06-15 2007-06-15 축구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91A KR100903190B1 (ko) 2007-06-15 2007-06-15 축구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96A KR20080110396A (ko) 2008-12-18
KR100903190B1 true KR100903190B1 (ko) 2009-06-17

Family

ID=4036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091A KR100903190B1 (ko) 2007-06-15 2007-06-15 축구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507B1 (ko) 2015-12-04 2016-07-26 안태훈 킥의 정확도가 향상된 축구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72B1 (ko) * 2017-12-07 2019-07-09 이현구 탈착 가능한 축구화용 스파이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A (ja) * 1996-06-14 1998-01-06 Miyata Kinzoku Kogyo Kk 靴用スパイク
KR20010085004A (ko) * 2001-07-12 2001-09-07 이 상 준 정확한 슛과 회전을 강하게 하는 축구화와 이에 사용되는고무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A (ja) * 1996-06-14 1998-01-06 Miyata Kinzoku Kogyo Kk 靴用スパイク
KR20010085004A (ko) * 2001-07-12 2001-09-07 이 상 준 정확한 슛과 회전을 강하게 하는 축구화와 이에 사용되는고무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507B1 (ko) 2015-12-04 2016-07-26 안태훈 킥의 정확도가 향상된 축구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96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9224B2 (ja) ソックスおよびシューズ
JP4428861B2 (ja) スポーツ用履き物
KR20020061101A (ko) 공의 회전력과 속력을 향상시킨 축구화
WO1997033495A1 (en) Training device for soccer players
US6886275B1 (en) Kicking aid
KR100903190B1 (ko) 축구화
US5894685A (en) Footbag pads externally mounted to footwear, constructed for catching, juggling, and tossing a footbag
JP4414478B1 (ja) サッカーシューズ
USRE37887E1 (en) Concave footbag pads
US10034520B1 (en) Sports shoe with cleat
US20150143719A1 (en) Temporary Footwear Modification Device
KR102056427B1 (ko) 축구화용 밀착밴드
CA2657019A1 (en) Quick release goalie pad attachment
KR100970515B1 (ko) 족구화
US1887725A (en) Shoe
KR200448516Y1 (ko) 족구용 신발
KR101987588B1 (ko) 축구화 보조구
RU64869U1 (ru) Спортивный ботинок
KR200312574Y1 (ko) 축구 보조구
KR200381557Y1 (ko) 축구화 밑창용 패드구조
WO2009011646A1 (en) A toe piece for a sports shoe and a shoe for playing sports
JP3154802U (ja) 靴紐固定装置。
RU107904U1 (ru) Спортивная обувь для игры в футбол
KR20120058679A (ko) 1항:축구화 아웃솔(바닥) 마모 방지 대체 프라스틱 나사못 2항:축구화(운동화) 혀(베라) 틀림 방지구 3항:축구화 신발끈 풀림 방지 방법
Hennig et al. Influence of Soccer Shoe Construction on Performance and Inju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