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758B1 -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758B1
KR100902758B1 KR1020070106250A KR20070106250A KR100902758B1 KR 100902758 B1 KR100902758 B1 KR 100902758B1 KR 1020070106250 A KR1020070106250 A KR 1020070106250A KR 20070106250 A KR20070106250 A KR 20070106250A KR 100902758 B1 KR100902758 B1 KR 100902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arch
keyword set
homonym
sear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755A (ko
Inventor
윤화경
신재승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10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7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7Thesauruses; Synony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에 소정 비율로 분배한 후, 각 키워드 집합의 전체 키워드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각 키워드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집합에서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배분하여 상기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한 제2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로 결정된다.
키워드, 동음이의어, 검색, 순위

Description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arching Order of Keyword}
본 발명은 검색 순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워드의 검색 순위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중 하나인 키워드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 검색을 수행한 후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검색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리 웹사이트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색인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웹사이트 정보들을 검색함으로써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다양한 키워드의 검색횟수에 따른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각 분야별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키워드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함으로써 검색 서비스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각 분야별 키워드 검색순위를 산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들 중에서 대표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각 대표 키워드와 유사한 유사 키워드를 선정한 후 대표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를 조합함으로써 각 대표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집합을 생성한다.
이후, 각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모든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합산하여 해당 키워드 집합의 전체 검색횟수를 산출하고, 키워드 집합들의 전체 검색횟수를 비교함으로써 각 키워드 집합간에 순위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키워드의 순위를 산정함에 있어서, 동음이의어, 즉 동일한 이름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키워드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횟수를 어떤 키워드 집합에 합산하여야 할지가 문제가 되었다.
예컨대,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경우, 대표 키워드가 '탤런트 김희선'인 키워드 집합과 대표 키워드가 '국회의원 김희선'인 키워드 집합 및 대표 키워드가 '농구선수 김희선'인 키워드 집합에도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어떤 키워드 집합에 합산시킬지가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당시 이슈가 되고 있는 대표 키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 집합에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모두 합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의 경우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전체 검색횟수를 키워드 집합 중 어느 하나에 몰아주는 극단적인 방식이었으므로 이러한 검색횟수를 바탕으로 결정된 키워드 검색 순위는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검색결과를 해당 동음이의어가 포함된 각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 별로 분배하여 제공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서 사용자들의 선택횟수가 많은 검색결과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제공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된 검색결과 중 자신이 원하는 키워드 집합의 검색결과를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또한, 선택횟수가 작은 특정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만을 열람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해당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많은 웹페이지를 열람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에 소정 비율로 분배한 후, 각 키워드 집합의 전체 키워드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각 키워드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검색결과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검색결과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함으로써, 많은 웹페이지를 열람하지 않고서도 특정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집합에서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 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배분하여 상기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한 제2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로 결정된다.
또한, 상술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은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집합의 대표 키워드를 상기 검색 순위에 따라 노출함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중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검색결과들을 상기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의 비율로 결정되고, 상기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검색결과 중 상기 제2 검색횟수가 많은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를 우선노출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하는 제1 산출부; 상기 키워드 집합에서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 머지 키워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제2 산출부; 및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배분하여 상기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한 제2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에 소정 비율로 분배한 후, 각 키워드 집합의 전체 키워드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각 키워드의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키워드 검색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검색결과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함으로써 동음이의어가 포함된 특정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들을 한번에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하나의 검색결과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검색결과를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함으로써, 특정 동음이의어 키워드, 예컨대, 사용자들에 의해 요청된 검색횟수가 작은 동음이의어 키워드라 하더라도, 많은 웹페이지를 열람하지 않고서도 해당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열람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은(10) 인터넷(1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4)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4)로부터 수신되는 키워드의 검색횟수에 따라 순위를 산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수신부(16), 키워드 DB(18), 키워드 집합 생성부(20), 제1 산출부(22), 제2 산출부(24), 분배부(26), 검색순위 제공부(28), 및 검색순위 결정부(30)를 포함한다.
키워드 수신부(1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14)로부터 수신하여 키워드 DB(18)에 저장한다.
키워드 DB(18)는 키워드 수신부(16)를 통해 수신된 키워드 및 키워드 집합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키워드 집합이 저장되는데, 이때 키워드 집합에는 각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키워드들의 검색횟수도 함께 저장된다.
키워드 집합 생성부(20)는 키워드 DB(18)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키워드 집합을 생성한 후 생성된 키워드 집합을 키워드 DB(18)에 저장한다.  키워드 집합 생성부(20)는 키워드 집합을 생성함에 있어서, 키워드들 중 하나 이상의 대표 키워드 및 대표 키워드에 유사한 유사 키워드를 선정하여 대표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들을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키워드 집합을 생성한다.
제1 산출부(22)는 키워드 DB(18)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 집합 중 하나 이상 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되는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음이의어의 검색횟수를 산출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희선'이라는 키워드는 '탤런트 김희선'을 대표 키워드로 가지는 제1 키워드 집합과 '정치인 김희선'을 대표 키워드로 가지는 제2 키워드 집합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동음이의어 키워드로써 제1 산출부(21)는 '김희선'과 같은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키워드 DB(18)로부터 검출하여 검출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가 10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산출부(24)는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서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키워드 집합에서 동음이의어 키워드인 '김희선'을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인 '탤런트 김희선', '배우 김희선', '영화배우 김희선'이라는 키워드들의 검색횟수를 산출하여 그 합을 산출한다.
도시된 예에서 '탤런트 김희선'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10이고, '배우 김희선'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50이며, '영화배우 김희선'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10으로 산출되었으므로, 제2 산출부(24)는 제1 검색횟수로 이들 키워드에 대한 검색횟수의 합인 70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키워드 집합에서 동음이의어 키워드인 '김희선'을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인 '정치인 김희선', '국회의원 김희선', '김희선 의원', '열린우리당 김희 선'이라는 키워드들의 검색횟수를 산출하여 그 합을 산출한다.
도시된 예에서 '정치인 김희선'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5이고, '국회의원 김희선'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20이며, '김희선 의원'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3이고, '열린우리당 김희선'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검색횟수가 2로 산출되었으므로 제2 산출부(24)는 제1 검색횟수로 이들 키워드에 대한 검색횟수의 합인 30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분배부(26)는 제1 산출부(22)에 의해 산출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해당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 별로 소정 비율로 분배하여 제2 산출부(24)에 의해 산출된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한 제2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별로 산출하고, 그 결과값을 키워드 DB(18)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부(26)는 각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에 따라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분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예에서, 제2 산출부(24)에 의해 산출된 제1 키워드 집합의 제1 검색횟수는 70이고, 제2 키워드 집합의 제1 검색횟수는 30이므로 제1 키워드 집합과 제2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은 7:3이 된다.  따라서, 분배부(26)는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제1 키워드 집합과 제2 키워드 집합에 7:3으로 분배하는 것이다.  즉,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가 100이므로 분배부(26)는 제1 키워드 집합에는 70의 검색횟수를 분배 하고, 제2 키워드 집합에는 30의 검색횟수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후, 분배부(26)는 제2 산출부(24)에 의해 산출된 제1 및 제2 키워드 집합의 제1 검색횟수와 분배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합산하여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제2 검색횟수를 산출하게 되는데, 상술한 예에 있어서 제1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는 140이 되고, 제2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는 60이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검색순위 결정부(28)는 키워드 DB(18)에 기록되어 있는 각 키워드 집합별 제2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각 분야별로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결정하고, 검색순위 제공부(30)는 검색순위 결정부(28)에 의해 결정된 각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순위 제공부(30)는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각 키워드 집합의 대표 키워드를 검색순위 결정부(28)에 의해 결정된 검색 순위에 따라 나열함으로써 각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예에서, 검색순위 결정부(28)에 의해 제1 키워드 집합의 검색순위가 1위이고, 제2 키워드 집합의 검색순위가 2위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검색순위 제공부(30)는 '1위; 탤런트 김희선', '2위: 정치인 김희선'과 같은 방법으로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10)은 하루 또는 일주일과 같이 소정 주기마다 동음이의어 키워드, 제1 검색횟수, 및 제2 검색횟수를 재산출하여 각 키워드 집합 별 검색순위를 산정함으로써 키워드 검색 순위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 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10)은 입력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검색결과 생성부(34), 검색DB(36), 및 검색결과 제공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결과 생성부(34)는 키워드 수신부(16)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전달받고 검색 DB(36)를 참조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전달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생성한다.
검색결과 제공부(38)는 검색결과 생성부(34)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를 리스트화하여 사용자 단말기(1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검색결과 리스트는 웹페이지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검색결과들은 생성된 검색결과의 개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결과 제공부(34)는 키워드 수신부(16)로부터 전달된 키워드가 동음이의어 키워드인 경우, 키워드 DB(18)로부터 해당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어야 할 검색결과들을 각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 별로 일정 비율로 분배하여 웹페이지 상에 배열할 수 있다.  이때, 일정 비율은 각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의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에 대한 구분없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가 많은 검색결과 순서로만 검색결과가 배열되었을 뿐,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 별 로 검색결과가 배열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검색결과들을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 별로 일정 비율로 분류하여 배열하는 것이다.
예컨대,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10개의 검색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10개의 검색결과들을 사용자의 선택횟수가 높은 순으로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동음이의어가 포함되는 키워드 집합 별로 일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는 제1 키워드 집합과 제2 키워드 집합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검색결과 제공부(34)는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검색결과를 제1 키워드 집합인 '탤런트 김희선'에 대한 검색결과와 제2 키워드 집합인 '정치인 김희선'이라는 검색결과로 일정 비율로 분배하여 배열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10개의 검색결과가 포함될 수 있는 경우, 제1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는 140이고, 제2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는 60이므로, 제1 및 제2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의 비율은 14:6이 된다.  따라서,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서 제1 키워드 집합인 '탤런트 김희선'에 대한 검색결과를 8개 배열하고, 제2 키워드 집합인 '정치인 김희선'에 대한 검색결과를 2개 배열하되, 이들 검색결과를 각 키워드 집합별로 배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검색결과 제공부(34)는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서 검색결과를 배열함에 있어서,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 중 총 검색횟수가 많은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를 우선노출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검색결과가 웹페이지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예에서는 '탤런트 김희선' 이라는 제1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가 '정치인 김희선'이라는 제2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보다 많으므로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서 '탤런트 김희선'에 대한 검색결과를 우선노출 대상으로 선정하여 웹페이지의 상단에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해 검색결과 제공부(34)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결과의 예시 화면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검색결과가 '김희선'이라는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되는 제1 키워드 집합인 '탤런트 김희선'에 대한 검색결과들(40)과 제2 키워드 집합인 '정치인 김희선'에 대한 검색결과(42)가 일정 비율로 분배되어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각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검색결과의 개수는 각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검색횟수가 많은 제1 키워드 집합의 검색결과(40)가 웹페이지의 상단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10)이 검색결과 생성부(34) 및 검색 DB(36)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10)이 외부의 검색서버(미도시)로 키워드를 전달하고, 검색서버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검색결과 제공부(38)는 검색서버로부터 전달되는 검색결과를 리스트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워드 DB(18)에 저장되어 있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각 키워드 집합 별로 분배하여 키워드 검색 순위를 산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10)은 키워드 수신부(16)로 키워드가 입력될 때, 수신된 키워드가 동음이의어 키워드인 경우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해당 동음이의어가 포함될 수 있는 키워드 집합들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10)은 수신된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어떤 키워드 집합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는 키워드 DB(18)에 저장되어 있는 각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 또는 각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에 따라 수신된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될 키워드 집합을 결정하게 된다.  즉, 수신된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1 검색횟수 또는 제2 검색횟수가 많은 키워드 집합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키워드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키워드 DB(18)를 참조하여 대표 키워드 및 대표 키워드에 유사한 유사 키워드의 조합으로 구성된 키워드 집합을 생성한다(제100단계).  다음으로, 키워드 집합 중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검출하여 해당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한다(제110단계).
이후,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각 키워드 집합의 키워드들 중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고(제120단계), 각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합을 이용하여 각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을 산출한다(제130단계).  다음으로, 제130단계에서 산출된 각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에 따라 동음이의어 키워드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에 배분하여 각 키워드 집합의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함으로써 각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를 산출한다(제140단계).
이후, 각 키워드 집합별 제2 검색횟수를 비교하여 각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결정하고(제150단계), 결정된 키워드 집합의 검색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제160단계).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집합의 검색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각 키워드 집합의 대표 키워드들을 검색순위에 따라 노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키워드 집합의 검색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4)로부터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적합한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 제공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4)를 통해 키워드가 수신되면(제170단계), 수신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 DB(36)를 참조하여 검색결과를 생성한다(제180단계).  이후, 수신된 키워드가 동음이의어 키워드인 경우, 키워드 DB(18)를 참조하여 동음이의어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에 대한 정보 및 해당 키워드 집합들의 제2 검색횟수를 획득한다(제190단계).
다음으로, 제180단계에서 생성된 검색결과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일정 비율 로 분배하여 배열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제200단계).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비율은 제190단계에서 획득된 각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의 비율로 결정되는데, 이때, 키워드 집합의 제2 검색횟수의 수가 많은 키워드 집합의 검색결과가 우선노출 대상으로 선정되어 검색결과가 제공되는 웹페이지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검색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각 키워드 집합 별로 구분된 검색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일정 비율로 배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노출횟수 등을 배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분야별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화면을 캡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 제공화면을 캡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4는 동음이의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집합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 제공화면을 캡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워드 검색순위 제공 시스템 12: 인터넷
14: 사용자 단말기 16: 키워드 수신부
18: 키워드 DB 20: 키워드 집합 생성부
22: 제1 산출부 24: 제2 산출부
26: 분배부 28: 검색순위 결정부
30: 검색순위 제공부 34: 검색결과 생성부
36: 검색 DB 38: 검색결과 제공부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집합에서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로 배분하여 상기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한 제2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에서,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로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대표 키워드 및 상기 대표 키워드에 유사한 유사 키워드를 조합함으로써 키워드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집합의 대표 키워드를 상기 검색 순위에 따라 노출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는 상기 키워드 집합이 속한 분야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중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검색결과들을 상기 각 키워드 집합 별로 분배하여 배열함으로써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중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검색결과들을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의 비율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검색결과 중 상기 제2 검색횟수가 많은 키워드 집합에 대한 검색결과를 우선노출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1. 하나 이상의 키워드 집합에 포함된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산출하는 제1 산출부;
    상기 키워드 집합에서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들의 검색횟수의 합인 제1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제2 산출부; 및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로 배분하여 상기 제1 검색횟수와 합산한 제2 검색횟수를 각 키워드 집합 별로 산출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동음이의어 키워드의 검색횟수를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1 검색횟수의 비율로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대표 키워드 및 상기 대표 키워드에 유사한 유사 키워드를 조합함으로써 키워드 집합을 생성하는 키워드 집합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집합 별 제2 검색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결정하는 검색순위 결정부; 및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순위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순위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 집합의 대표 키워드를 상기 검색 순위에 따라 노출함에 의해 상기 키워드 집합의 검색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수신하는 키워드 수신부;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생성하는 검색결과 생성부; 및
    상기 검색결과를 리스트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키워드가 동음이의어 키워드인 경우, 상기 검색결과 제공부는 상기 검색결과를 리스트화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중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검색결과들을 상기 키워드 집합 별로 분배하여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시스템.
KR1020070106250A 2007-10-22 2007-10-22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02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250A KR100902758B1 (ko) 2007-10-22 2007-10-22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250A KR100902758B1 (ko) 2007-10-22 2007-10-22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55A KR20090040755A (ko) 2009-04-27
KR100902758B1 true KR100902758B1 (ko) 2009-06-15

Family

ID=4076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250A KR100902758B1 (ko) 2007-10-22 2007-10-22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854A (ko) * 2012-03-0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517A (ja) 2002-12-26 2004-07-22 Nifty Corp ホットキーワード提示方法及びホットサイト提示方法
JP2004334588A (ja) 2003-05-08 2004-1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ランキングアイテム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ランキングアイテム表示プログラム
JP2006079454A (ja) 2004-09-10 2006-03-23 Fujitsu Ltd 検索キーワード分析方法、検索キーワード分析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キーワード分析装置
KR20070090014A (ko) * 2004-12-14 2007-09-04 야후! 인크. 삭제 예측을 이용하여 다중 용어 검색 질의 내의 용어의연관값을 순위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517A (ja) 2002-12-26 2004-07-22 Nifty Corp ホットキーワード提示方法及びホットサイト提示方法
JP2004334588A (ja) 2003-05-08 2004-1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ランキングアイテム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ランキングアイテム表示プログラム
JP2006079454A (ja) 2004-09-10 2006-03-23 Fujitsu Ltd 検索キーワード分析方法、検索キーワード分析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キーワード分析装置
KR20070090014A (ko) * 2004-12-14 2007-09-04 야후! 인크. 삭제 예측을 이용하여 다중 용어 검색 질의 내의 용어의연관값을 순위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55A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5016B2 (en) Recommending media items based on take rate signals
US11263217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user-specific proportions of content for recommendation
US10356462B1 (en) Recommending a composite channel
US9332315B2 (en) Timestamped commentary system for video content
JP6030652B2 (ja) ソーシャル検索結果のフィルタリング
US9767159B2 (en) Ranking search results
US7953741B2 (en) Online ranking metric
US20110302153A1 (en) Service for Aggregating Event Information
US20080052630A1 (en) Hosted video discovery and publishing platform
RU2692045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рекомендации свежих саджестов поисковых запросов в поисковой системе
EP2973351A2 (en) Taste profile attributes
US11036813B2 (en) Content placement criteria expansion
US11989755B1 (en) Expansion of high performing placement criteria
US9569432B1 (en) Evaluating content in a computer networked environment
US8307005B1 (en) Determining reachability
US20150324815A1 (en) Seasonality-based reporting period synchronization
KR100902758B1 (ko) 키워드 검색순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US11237693B1 (en) Provisioning serendipitous content recommendations in a targeted content zone
US89097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data with advertisements
US10133788B1 (en) Determining resource quality based on resource competition
WO20201235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rogram actors with program gen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