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355B1 -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355B1
KR100902355B1 KR1020090011029A KR20090011029A KR100902355B1 KR 100902355 B1 KR100902355 B1 KR 100902355B1 KR 1020090011029 A KR1020090011029 A KR 1020090011029A KR 20090011029 A KR20090011029 A KR 20090011029A KR 100902355 B1 KR100902355 B1 KR 10090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ood
transfer
vibration
bla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택
김성택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이앤씨
Priority to KR102009001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18Mechanic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6Biowaste
    • F23G2209/261Woodwaste

Abstract

각종 폐목재의 이송 중에 흙이나 돌, 금속과 같은 이물질들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를 개시한다.
그러한,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며 폐목재의 이송을 위한 통로를 구비하고 이 통로 상에 배출홀들이 형성된 분리용 스크린이 설치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상기 프레임 상에서 떨림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이송부의 떨림 운동을 위한 진동을 발생 및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그리고, 상기 분리용 스크린의 배출홀 측에 걸려지는 폐목재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을 포함한다.
폐목재, 각종 이물질 제거, 걸림해제수단, 이송 효율 및 구동 안정성 확보

Description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vibration conveyor}
본 발명은 각종 폐목재들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폐목재의 이송 중에 흙이나 돌, 금속과 같은 이물질들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폐자재 또는 벌목(伐木) 등에 의해 수집된 원목이나 잡목(나무뿌리)과 같은 폐목재는 파쇄 작업을 거치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칩(chip)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파쇄 작업은 파쇄용 블레이드를 구비한 파쇄기를 이용하여 폐목재들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기는 대부분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와 연결되어 폐목재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서 연속으로 파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처럼, 파쇄 작업을 진행할 때 폐목재에 묻어있는 흙이나 돌, 못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상기 파쇄기에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폐목재 중에 각종 이물질들이 달라붙은 상태로 파쇄기에 공급하면 파쇄용 블레이드로 폐목재를 타격할 때 마찰이나 압력이 크게 발생하여 파쇄용 블레이드가 쉽게 마모 및 파손되거나 구동계통(모터)에 과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쇄용 블레이드로 폐목재를 타격할 때 이물질들이 불규칙하게 튀어서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이송장치로는 폐목재의 이송 중에 이물질들을 걸러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가 있다.
즉, 상기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는 진동에 의해 폐목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특히 이송 구간 상에 메쉬 구조를 갖는 스크린(screen plate)이 설치되어 폐목재의 이송 중에 페목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들이 스크린에 의해 걸러지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한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는 폐목재의 이송 중에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목재를 이송할 때 폐목재의 일부분이 스크린의 홀부가 끼워지면서 걸려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현상은 스크린의 이송 구간 상에서 폐목재들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하여 이송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스크린 측에 걸려진 폐목재들에 의해 다른 폐목재들이 진행하지 못하고 한 곳에 정체되는 비정상인 이송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폐목재 중에서 잔뿌리들이 많은 나무뿌리들은 스크린의 홀부 측에 잔뿌리들이 쉽게 끼워지면서 걸림 상태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파쇄 작업시 작업자가 컨베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나무뿌리의 걸려진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성과 이송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은 종래의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들이 폐목재들의 이송 중에 걸림 상태를 강제로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목재의 이송 중에 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한층 향상된 이송 효율 및 구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며 폐목재의 이송을 위한 통로를 구비하고 이 통로 상에 배출홀들이 형성된 분리용 스크린이 설치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상기 프레임 상에서 떨림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이송부의 떨림 운동을 위한 진동을 발생 및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분리용 스크린의 배출홀 측에 걸려지는 폐목재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
을 포함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목재의 이송 중에 이송부의 분리용 스크린을 통해 각종 이물질들을 폐목재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송부와 대응하는 걸림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폐목재의 이송 중에 분리용 스크린의 배출홀 측에 끼워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폐목재의 걸림 상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프레임을 지칭한다.
상기 프레임(2)은 폐목재(W)의 이송 구간과 대응하여 일종의 지지대 역할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2)은 일단이 타단보다 더 높거나 낮게 이루어져서 윗면이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결된 구조의 프레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은 예를 들어, 형강들을 통상의 방법(용접)으로 연결 접합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프레임(2) 상에는 이송부(4)가 위치된다. 도 2는 상기 이송부(4)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이송부(4)는 폐목재(W)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는 통로(L)를 제공함과 아울러, 폐목재(W)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W1)들을 이송 중에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이송부(4)는, 이송용 가이드판(6)과, 이 이송용 가이드판(6)의 통로(L) 상에 위치하는 분리용 스크린(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은 일정 길이의 이송 구간을 갖는 통로(L)를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2) 상부에서 상기 통로(L)의 양단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도 2는 상기 이송부(4)의 분리용 스크린(8)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은 일정 크기의 배출홀(H)들이 관통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홀(H)들은 원형(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상기 분리용 스크린(8) 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H)들은 폐목재(W)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W1) 즉, 흙이나 돌, 못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분리용 스크린(8) 전체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관통 형성하면 좋다.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은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통로(L) 전체 이송 구간 내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통로(L)의 바닥면과 수평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통로(L) 전체 구간 중에서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이 설치되는 부분은 폐목재(W)의 각종 이물질(W1)들이 상기 배출홀(H) 들을 통해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하측에는 상기 분리용 스크린(8)과 대응하는 배출판(10)을 설치하면 좋다. 그러면, 폐목재(W)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각종 이물질(W1)을 상기 배출판(10)을 통해 한 곳으로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다.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용접에 의한 접합 방식으로 상기 통로(L)의 바닥면에 일체로 부착 고정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는 지지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는 진동(振動)에 의한 떨림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이송부(4)를 상기 프레임(2) 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지지부(12)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일측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제1 지지부(14)와,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타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4)는 지지용 연결축(S1)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2) 상에서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일측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하부 일측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용 연결축(S1)이 끼워지고, 이 지지용 연결축(S1)의 양단이 상기 프레 임(2) 상에서 베어링 블록(B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16)는 지지용 스프링(S2, 예: 압축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타측을 상기 프레임(2) 상에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타측 하부를 상기 지지용 스프링(S2)의 일단으로 떠받쳐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지지부(12)는 상기 프레임(2) 상에서 상기 이송부(4)의 이송용 가이드판(6) 일측 및 타측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4, 16)들에 의해 떨림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1 지지부(14)로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일측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하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이 떨림 운동할 때 상기 프레임(2) 상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을 상기 프레임(2) 상에서 복수 개의 지지용 스프링(S2)들로만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는 진동발생부(18)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진동발생부(18)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진동발생부(18)는 상기 이송부(4)의 떨림 운동을 위한 진동을 발생 및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발생부(18)는 편심축(V1)을 모터(M1)로 회전시키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편심축(V1)은 외부면이 편심지게 형성된 통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저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 고정된다.
즉, 상기 편심축(V1)은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하부에서 양단이 베어링 블록(B2)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M1)는 상기 편심축(V1) 일단과 통상의 축간 동력 전달부재(M2, 예: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모터(M1)에 의해 상기 편심축(V1)이 회전할 때 편심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으며, 진동은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중에서 상기 제2 지지부(16)와 대응하는 부분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은 상기 제1 지지부(14)에 의해 일측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부(16)와 대응하는 타측 부분이 도 4에서와 같이 진동에 의해 떨림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의 통로(L) 측에 공급된 폐목재(W)는 떨림 운동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통로(L)의 경사진 하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폐목재(W)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W1)들은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설치 지점에서 진동에 의해 폐목재(W)들로부터 분리되어 배출홀(H)들을 통해 하부 로 낙하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일측에 공급된 폐목재(W)는 각종 이물질(W1)들이 분리 제거된 상태로 타측을 향하여 이송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부(18)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진동 발생기(예: 전동 바이브레이터)들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이 떨림 운동하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셋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는 걸림해제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해제수단(20)은 폐목재(W)의 이송 중에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들 측에 폐목재(W)가 걸려지는 것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상기 걸림해제수단(2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걸림해제수단(20)은, 블레이드(22)와, 이 블레이드(22)를 구동하는 구동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레이드(22)는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 측에 끼워지는 폐목재(W)의 일부를 컷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블레이드(22)는, 도 6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컷팅용 홀(C)들을 구비한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컷팅용 홀(C)들은 상기 블레이드(22) 상에서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들과 대응하는 크기 및 배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각 컷팅용 홀(C)들의 내부면은 폐목재(W)의 절단이 가능한 구조(컷팅날)를 갖는다.
상기 블레이드(22)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하측에서 상기 분리용 스크린(8)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컷팅용 홀(C)들은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들과 서로 일체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2)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H1) 측에 양쪽 단부가 끼워져서 슬라이딩 동작이 가이드 되도록 설치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이 진동에 의해 떨림 운동을 하더라도 상기 블레이드(22)가 상기 분리용 스크린(8)과 평행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원(24)은 통상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피스톤 로드로 상기 블레이드(22)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2) 일측과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도 9는 상기 걸림해제수단(2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폐목재(W)의 이송 중에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 측에 폐목재(W) 일부가 걸려지면 상기 블레이드(22)는 상기 구동원(24)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컷팅 동작된다.
즉, 상기 구동원(24)은 상기 블레이드(22)의 컷팅용 홀(C)들이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들과 서로 일치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밀거나 당기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 측에 끼워진 폐목재(W)의 일부가 상기 블레이드(22)의 컷팅용 홀(C)들의 내부면 접촉력에 의해 절단되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는, 폐목재(W)의 이송 중에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 측에 폐목재(W)의 일부가 끼워져서 걸려지더라도 상기 걸림해제수단(20)을 이용하여 폐목재(W)의 걸림 상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해제수단(20)은 폐목재(W)들 중에서 잔가지가 많은 나무뿌리들을 이송할 때 잔가지들이 분리용 스크린(8) 측에 빈번하게 끼워지면서 이송이 비정상으로 진행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22)는 보조 배출홀(C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배출홀(C1)들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좌,우로 이격 형성된 컷팅용 홀(C)들 사이사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2)를 전진(또는 후진)시켜서 폐목재(W)를 컷팅할 때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들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컷팅 작업 중에도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배출홀(H)들을 통해 각종 이물질(W1)들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걸림해제수단(20)의 블레이드(22)가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24)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컷팅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6) 하측에서 분리용 스크린(8)과 평행한 상태로 블레이드(22)를 회전 구동(예: 모터 구동)시키면서 회전에 의해 컷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 이때, 블레이드(22)는 상기 분리용 스크린(8)의 전체 면적과 대응하여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컷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지며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폐목재(W)의 걸림 부분을 컷팅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컷팅 구조이면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이송부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지지부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진동발생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걸림해제수단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의 걸림해제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며 폐목재의 이송을 위한 통로를 구비하고 이 통로 상에 배출홀들이 형성된 분리용 스크린이 설치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상기 프레임 상에서 떨림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이송부의 떨림 운동을 위한 진동을 발생 및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분리용 스크린의 배출홀 측에 걸려지는 폐목재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
    을 포함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통로를 제공하는 이송용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용 가이드판의 통로 전체 또는 일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분리용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이송부의 하부 일측을 지지용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이송부의 하부 타측을 지지용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외부면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편심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편심축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수단은,
    복수 개의 컷팅용 홀들을 구비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원;
    을 포함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컷팅용 홀들이 일정 배열로 이격 형성된 금속판을 사용하고,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서 상기 분리용 스크린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실린더 또는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도록 동력 발생 및 전달이 가능하게 셋팅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보조 배출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배출홀들은,
    상기 블레이드의 컷팅용 홀들이 상기 분리용 스크린의 배출홀들과 서로 어긋난 상태일 때 상기 배출홀들과 일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KR1020090011029A 2009-02-11 2009-02-11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KR10090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29A KR100902355B1 (ko) 2009-02-11 2009-02-11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29A KR100902355B1 (ko) 2009-02-11 2009-02-11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355B1 true KR100902355B1 (ko) 2009-06-12

Family

ID=4098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29A KR100902355B1 (ko) 2009-02-11 2009-02-11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2954A (zh) * 2013-08-22 2015-03-18 天津卫技天马除害处理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花卉种球中线虫的检疫处理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443A (ja) * 1992-10-27 1994-05-17 Kobayashi Kankyo Jimusho:Kk 廃棄物選別プラント
KR100265247B1 (ko) 1998-03-06 2000-09-15 승명호 목분입자 선별기
JP2002001217A (ja) 2000-06-22 2002-01-08 Tsukishima Kikai Co Ltd 砂糖きび搾り滓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KR20080006527U (ko) * 2007-06-21 2008-12-26 이혜경 쓰레기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443A (ja) * 1992-10-27 1994-05-17 Kobayashi Kankyo Jimusho:Kk 廃棄物選別プラント
KR100265247B1 (ko) 1998-03-06 2000-09-15 승명호 목분입자 선별기
JP2002001217A (ja) 2000-06-22 2002-01-08 Tsukishima Kikai Co Ltd 砂糖きび搾り滓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KR20080006527U (ko) * 2007-06-21 2008-12-26 이혜경 쓰레기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2954A (zh) * 2013-08-22 2015-03-18 天津卫技天马除害处理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花卉种球中线虫的检疫处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213B2 (en) Replaceable tooth mount rotor system for waste fragmenting machines
KR100801898B1 (ko)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KR100920711B1 (ko) 수목가지 파쇄기
JP2000225354A (ja) クラッシャ
KR100689098B1 (ko) 건설 폐기물 습식처리장치
US5875979A (en) Green waste processor
CA2088638C (en) Tumble grinder with screen portion
KR100902355B1 (ko) 폐목재 이송용 진동컨베이어
EP0738560B1 (en) Apparatus for shredding, handling and conveying scrap
KR101076712B1 (ko) 목재 분쇄 장치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20160031197A (ko)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JP2007090167A (ja) 夾雑物処理装置
KR101408893B1 (ko) 목재 파쇄장치
US20080041998A1 (en) Material processor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JP6284385B2 (ja) オガ粉製造装置
KR200470384Y1 (ko) 패각 분쇄기
KR101257940B1 (ko) 폐기물 선별장치
US1079573A (en) Fruit cutting and pitting machine.
JP4411009B2 (ja) 破砕処理装置
CN107973097A (zh) 除石去铁皮带输送机
JP3281340B2 (ja) 石膏ボードの破砕選別装置
JP5731442B2 (ja) 破砕機
JP2011088092A (ja) 破砕機
US7140566B2 (en) Ring and disk ref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